삼성전자 vs TSMC, 글로벌 반도체 전쟁 [신뢰게임]ㅣKBS 시사멘터리 추적 17회 22.08.28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0 сер 2022
  • 삼성전자가 여유를 즐기면서 갈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수많은 대내외적인 리스크가 있다고 봅니다. 장애물이 첩첩이 쌓여 있습니다.
    동서남북 온 사방에서 천둥·번개가 치는 그런 날씨에서 가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내부적으로는 항상 오너 리스크도 안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위기적 요소는 바로 tsmc라는 장애물입니다.
    애플이나 NVIDIA 같은 빅 클라이언트들이 이미 tsmc와 손을 잡고 발주를 주고 있습니다.
    삼성이 앞으로 10년 안에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를 잡는다고 얘기했는데
    과연 그럴까요?
    ■ TSMC의 성장
    모리스 창은 2018년 은퇴식에서 tsmc가 없었다면 스마트폰이 일찍 세상에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올해 대만의 1인당 GDP가 한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했다. 2003년 이후 19년 만의 역전이다. tsmc 때문이었다.
    ■ 삼성 vs. TSMC
    반도체는 크게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로 나눠진다.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D램, 또는 낸드플래쉬 등을 말한다. 시스템 반도체는 정보를 해석하고 계산하는 반도체다. 제조 공정에 따라 설계를 하는 펩리스 기업과 생산만 담당하는 파운드리 기업으로 나뉜다.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1위 기업이고 시스템 반도체, 그 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시장인 파운드리에선 대만의 tsmc가 1위다. 그 뒤를 삼성 등이 따라가고 있다.
    ■ 글로벌 반도체 경쟁 본격화
    지난 8월 초, 미국 하원의장 펠로시가 대만을 전격적으로 방문했다. 중국은 거세게 반발했고, 전세계 이목은 집중됐다. 방문 이틀째 펠로시 의장은 TSMC 창업자 모리스 창 전 회장과 마크 리우 현 회장을 만났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대만 반도체가 미국 국가 안보에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보여주는 행보라고 평가했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도 미국과 대만, 그리고 TSMC의 협력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삼성 파운드리 공장을 첫 번째 방문지로 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곳에서 3나노 반도체 생산 설비를 둘러봤다. 미국 권력 서열 1위와 3위가 비슷한 시기에 각각 삼성과 TSMC를 찾아간 것이다. 미국은 자국 영토에도 반도체 공장을 짓길 원하고 있다. 미국은 반도체 칩 설계 시장에서 약 60%를 점유하고 있는 반도체 설계 강국이지만 생산 시장 점유율은 13%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반도체 산업 육성에 366조 원을 투자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반도체 공장을 만드는 기업에겐 25% 세액 공제를 해주기로 했다. TSMC와 삼성, 두 회사의 투자 경쟁에 불을 붙인 것이다.
    ■ TSMC, 앞으로의 행보는?
    TSMC는 2024년 양산을 목표로 애리조나 5나노급 공장 건설에 13조 6천억 원을 투자했다. TSMC가 5나노급 공장을 대만 밖에 짓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TSMC는 일본에도 10~20 나노급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일본 정부는 공사비 약 10조 원 가운데 4조 원을 지원했다.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반도체는 토요타와 소니 등 일본 기업에 우선 공급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미국 텍사스를 전진기지로 삼고 있다. 이미 오스틴에 파운드리 공장 2곳을 운용 중인 삼성은 인근에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을 추가로 짓고 있다. 약 20조 원을 투자했고 2024년 하반기 가동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20년 동안 250조 원을 투자해 공장 11개를 새로 짓겠다는 투자 계획도 검토 중이다.
    시사멘터리 추적 취재진은 tsmc의 경쟁력과 향후 투자 계획 등을 물어보고 싶었다.
    -2022.8.28(일) KBS1TV 방송
    시사멘터리 추적 17회 [신뢰게임]
    #삼성전자 #TSMC #애플 #엔비디아 #반도체 #글로벌경제 #시사멘터리추적 #kbs시사
    -취재 : 이현준
    -촬영 : 권준용
    -편집 : 이기승

КОМЕНТАРІ • 970

  • @kbssisa
    @kbssisa  Рік тому +10

    KBS시사 반도체 관련 다큐 모아보기 ua-cam.com/play/PLjESAf4PvYLlfhZlXsG0xGBYIRRBRr4ms.html

  • @kdkna
    @kdkna Рік тому +129

    정말 수작입니다 반도체의 현재와 미래를 잘 담아두셨네요,, 만드신 연출진께 감사드립니다 엉성하게 나열되어 있던 지식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좋은 다큐멘터리였습니다 주변에도 많이 추천하겠습니다!!! 추척팀 화이팅입니다!!

  • @HL-rf1zq
    @HL-rf1zq Рік тому +211

    설계와 생산을 같이 한다는 것이 더 이상 약점이 아니라 강점으로써, 아직 설계 부분에서 미숙한 고객과 함께 고민하고 제품을 발전시키면서 신뢰를 주고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는 마지막 연구원 분의 인터뷰 말씀이 너무 인상적이네요...

    • @user-pz3xr5qf8s
      @user-pz3xr5qf8s Рік тому +4

      동감합니다.

    • @user-nr5dw2sk3m
      @user-nr5dw2sk3m Рік тому +1

      정답이네요~~~

    • @hwadong486
      @hwadong486 Рік тому +6

      실제로 대만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합니다.
      TSMC를 나온 임원이 반도체설계 회사를 만들어 서로 상부상조...

    • @user-cf7sj3up5h
      @user-cf7sj3up5h Рік тому +5

      저도 이말이 와 닿을수 밖에없는게 우리는 일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선택을 잘못해서 침몰하고있는 일본이 이미 선례로 남아있는데 왜 그걸 따라가려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초격차를 벌려놓고 수율을 높여놓고 고객사와의 신뢰관계를 두텁게 쌓아두면 고객사에서도 대안을 찾지않습니다. 이미 tsmc가 하고있는 일이구요.

    • @user-ik6uw9hc6s
      @user-ik6uw9hc6s Рік тому +1

      Desalt drill chuck 교환방법

  • @kujuiced134
    @kujuiced134 Рік тому +21

    반도체 산업에 관심이 많았는데 정말 방송보면서 많은걸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qe1hg1id3b
    @user-qe1hg1id3b Рік тому +9

    잘만들어진 다큐네요 궁금하던 부분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인터뷰 하신 분의 인터뷰내용이 문제의 본질을 말씀해주시네요 훌륭한 인터뷰입니다

  • @user-cf7sj3up5h
    @user-cf7sj3up5h Рік тому +13

    개인적으로 제일 무서운점은 tsmc도 굉장히 정보에 민감한 회사라는것이네요 .. tsmc에 관한 서적을 찾아봐도 진짜 몇권 되지도 않아요 그중에 하나 찾아서 읽어보았는데 정말 뚝심있게 큰 회사입니다 이렇게가다간 체력안배 안되서 탈진해 쓰러지는 삼성이 보이네요 tsmc는 마라톤을 하고있는데 삼성은 전력질주를 하고있어요..

  • @soulless1103
    @soulless1103 Рік тому +11

    관련업계 사람으로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이후에도 관련 이야기가 자주 나왔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landonorris2567
    @landonorris2567 Рік тому +32

    와 48분이 정말 순식간에 지나갔네요. 이 정도로 몰입해서 본 취재는 오랜만인듯. 격차가 발생한 그리고 앞으로도 발생할 요인이 첫째로 둘 다 '고객만족'을 말하지만 고객을 상대로는 경쟁하지 않는 tsmc 그리고 둘째로 삼성내부의 문제. 이건 직장인으로 공감이 가는게 누구나 내 회사가 잘되면 좋겠지만 누구도 성과안나오는 부서에서 성과급 차이나면서 일하고 싶어하지 않고 우리부서 우리팀이 일한거 공유하고 싶어하지 않아하니..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항상 답을 찾아왔던 곳이니 응원하는 맘입니다.

  • @freebird4757
    @freebird4757 Рік тому +9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jablroimhanuk4499
    @jablroimhanuk4499 Рік тому +19

    삼성이나 tsmc의 취재 거부에도 훌륭한 내용으로 좋은 탐사 보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b7bl6ok2g
    @user-kb7bl6ok2g Рік тому +77

    반도체 설계 현직자가 봐도 정말 요점을 잘 집어낸 다큐네요. 아주 재밌게 봤습니다.

    • @user-fn1yo1pc3k
      @user-fn1yo1pc3k Рік тому +1

      현직에 계시면, 한가지만 여쭤볼게요
      지금 삼성은 설계와 파운드리의 단점이 아닌 장점을 살리기 위해 과거부터 인지해서 노력중인 단계인가요?
      아니면 최근에 인지하고 시작하려는 단계일가요?

    • @user-xf8ct9je4d
      @user-xf8ct9je4d Рік тому +2

      @@user-fn1yo1pc3k 인지안하려고하는듯

    • @hunihoon6662
      @hunihoon6662 7 днів тому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user-sc9hp1iq1j
    @user-sc9hp1iq1j Рік тому +3

    아주좋은 방송 감사드립니다

  • @SIlIlIlIl
    @SIlIlIlIl Рік тому +28

    매우 양질의 다큐 감사합니다! 반도체 업계 종사자라 매우 인상적으로 보았습니다. 여전히 삼성전자 내부적으로도 파운드리는 미숙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 전반적으로 퍼져있는 인식입니다.. 과연 10년뒤 판도가 어떻게 되어있을지 궁금한데 썩 밝아보이지 않아 걱정입니다.

  • @lyra9409
    @lyra9409 Рік тому +6

    정말 시간 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좋은 다큐 감사합니다.

  • @larryjeon5120
    @larryjeon5120 Рік тому +16

    TSMC 파운드리 사용했던사람인데, 정말 신뢰도가 높습니다. 10년전 디자인한 제품 다시 생산하는데 불평하나 없이 소량이라도 만들어줍니다.삼성에게는 전혀 기대 할수 없죠. TSMc 따라잡는다구요 ? 텍도 없읍니다 ㅎㅎㅎㅎ

    • @user-nu5eq7fb8n
      @user-nu5eq7fb8n Рік тому +1

      네 따라잡아요.

    • @Null_pointer_
      @Null_pointer_ Рік тому +1

      @@user-nu5eq7fb8n 님은 삼성 주식 사세요 나는 tsmc 살라니까 ㅋㅋ

    • @user-nu5eq7fb8n
      @user-nu5eq7fb8n Рік тому

      @@Null_pointer_
      아직도 안샀어?
      얼른사

  • @user-kr5wv8hh4q
    @user-kr5wv8hh4q Рік тому +36

    협력업체들과 생태계를 만들어온 애플 tsmc와 달리 내부적으로 모든걸 해보려고 했던 전형적인 한국형 재벌기업인 삼성의 차이.....

  • @ahnji5550
    @ahnji5550 Рік тому +20

    TSMC 입사준비를 하고있는 반도체 학생으로써 좋은 영상 만들어주신 제작진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iamSexyDaDa
    @iamSexyDaDa Рік тому +12

    와..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 @kbssisa
      @kbssisa  Рік тому +3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kkim2672
    @mkkim2672 Рік тому +155

    이런 프로그램이 점점 많아져야한다

    • @keerei15
      @keerei15 Рік тому +6

      삼성은 양손에 떡을 쥐려네
      그럴려면 업계1위를 넘어서는 획기적인상황이어야할텐데

    • @hokimhokim5901
      @hokimhokim5901 Рік тому +3

      여러 데이터를 종합하고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야지.객관적이지 못하고 이미 떠난 내부자 이야기가 전체인 양 보도하는 값싼 프로그램? 어느 조직이나 떠난 사람은 그 사람한테 더 문제가 많지 않나요?

    • @SJluckyguy
      @SJluckyguy Рік тому +2

      내외부자 몇명 인터뷰 하고 삼전 파운드리 문제가 있고 전략을 다시 짜야 된다
      이런 프로그램?? ㅋㅋ

    • @happygospel8664
      @happygospel8664 Рік тому +1

      이건희 아들 나오네 .

    • @user-cf7sj3up5h
      @user-cf7sj3up5h Рік тому

      @@SJluckyguy 전체적 현 상황을 보여주고 관련자 내부자 인터뷰 조금 넣어서 그 상황이 맞다는걸 절실하게 보여주는거 같은데 그리고 전략다시짜야한다는 지금 그 관련업종도 아닌 나도 그렇게 이해가되는데 이정도 르포가 별로라면 당신이 pd하셔야죠 ?

  • @hownice922
    @hownice922 Рік тому +1

    멋진 다큐입니다

  • @user-fx4cw1sf8w
    @user-fx4cw1sf8w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ox2gfyggft
    @user-ox2gfyggft Рік тому +3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 @user-wl7dj3cs1o
    @user-wl7dj3cs1o Рік тому +3

    정말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감사합니다,

  • @wolfk3893
    @wolfk3893 Рік тому +6

    가혹한 단기성과 경쟁이 사람을 열심히 일하게 만드는 건 맞지만
    그 와중에 사장되는 다양한 시도의 가능성들과 기술축적 경험

  •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Рік тому +20

    2021년이 한국의 고점이었을 것같다

  • @user-pc9kw7ms5n
    @user-pc9kw7ms5n Рік тому +37

    진짜 좋은 프로그램!!! 칭찬해

  • @user-kq8kv4ej4l
    @user-kq8kv4ej4l Рік тому +16

    반도체 시장 상황을 잘 짚어주는 프로그램이네요! 어쨋든 지금이 시장의 흐름을 가르는 중요한 시기임은 분명해보입니다.

  • @chyun8658
    @chyun8658 Рік тому +2

    좋은 다큐감사합니다 몰입해서 보았습니다

  • @user-hb5wn6do1i
    @user-hb5wn6do1i Рік тому +29

    진심으로 명작입니다 제작진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jaehoonha6
      @jaehoonha6 Рік тому

      재용리스크를 언급하지도 않았는데.. 양심이 없는 제작인데 무슨 감사냐?

    • @bonheur4851
      @bonheur4851 Рік тому

      @@jaehoonha6 아니 지금 삼성 그룹에 대한 다큐가 아니잖아;; 반도체 기술 얘기하는데

  • @user-nz1zv5cl4u
    @user-nz1zv5cl4u Рік тому +7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수신료가 아깝지 않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ㅎㅎ

  • @lsb7408
    @lsb7408 Рік тому +10

    현 상황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t3fb3zc5x
    @user-wt3fb3zc5x Рік тому +5

    유익한 프로그램 제작에 감사 드립니다

    • @kbssisa
      @kbssisa  Рік тому

      시청해주시고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Jayden-vv7tq
    @Jayden-vv7tq Рік тому +28

    대한민국은 조직문화 전체를 싹 다 갈아 엎어야된다 ... 안 그러면 미래는 없다

    • @ewwe9980
      @ewwe9980 Рік тому +1

      ㅋㅋ 그런말은 병신들도 하기쉬움 근데 어떻게 ?

  • @janechoi124
    @janechoi124 Рік тому +8

    오랜만에 웰메이드 방송 본 것 같아요. 구독과 좋아요가 저절로!!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

  • @jwoowang
    @jwoowang Рік тому +29

    이런 양질의 컨텐츠를 볼 수 있다는게 참 감사하네요.

  • @user-qb9vf1kf7x
    @user-qb9vf1kf7x Рік тому +14

    삼성 응원합니다. 힘을 냅시다. 또 해낼 수 있습니다.

  • @sanhok7357
    @sanhok7357 Рік тому +5

    좋은 프로그램 이네요

  • @tr2550
    @tr2550 Рік тому +26

    좋은방송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이렇게 격차가있는줄은 몰랐네요;;

  • @ryanj2503
    @ryanj2503 Рік тому +96

    굉장히 유익하고 의미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점점 더 좋은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학부생입장에서 도움이됩니다

  • @minju9453
    @minju9453 Рік тому +3

    가슴이 먹먹하네요..

  • @user-em1kj3ou2r
    @user-em1kj3ou2r Рік тому +6

    Kbs 시사채널 좋아요

  • @user-ch3mz5bi9v
    @user-ch3mz5bi9v Рік тому +23

    반도체 업계 종사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의 미래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었던 영상이었습니다.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g.2004
      @g.20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멋져요❤

  • @user-zf3mi6pt7z
    @user-zf3mi6pt7z Рік тому +14

    객관적인 시각에서 만들어진 것 같네요
    이런 심층 다큐가 늘었으면 좋겠어요

  • @user-oj4wp5ek9q
    @user-oj4wp5ek9q Рік тому +149

    TSMC만큼의 수율과 기술력을 잡는다 해도 삼성이 그들을 따라잡을 수 없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밖에 없네요. 좋은 컨텐츠네요. 잘 봤습니다.

    • @yubiinsight
      @yubiinsight Рік тому +15

      더 나은 기술력으로 비슷한 수율을 잡으면 모르는 일이죠. ip라는게 생각보다 쉽게 베낄수 있진 않습니다.
      그런 논리라면 반도체 회사끼리 협력이 불가해요 설계도 뿐만 아니라 공정레시피도 핵심ip인데 고객사도 반도체생산역량을 키울수 있다면 못받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잖아요.
      삼성이 선택받지 못한건 tsmc보다 실질적으로 납기를 안정적으로 못맞추는게 큰거같네요

    • @mazingaz935
      @mazingaz935 Рік тому +15

      @@yubiinsight 삼성과 TSMC에서 일한 경력자가 고객이 설계도를 삼성에 보여주기 싫을 거라는 데는 이유가 있겠죠

    • @appleseeds5603
      @appleseeds5603 Рік тому +23

      물론시대가변해서 삼성이 tsmc자리에비해 상당히 불리한자에있는게 맞는데, 이병철회장님이 단기간에 삼성을 세계1위(물런 메모리한정이지만) 반도체시장을 장악한 경험이 있기에 시스템반도체에서도 1위찍을 가능성도 있다고봅니다 1등은 해본놈이 또 1등해먹기쉽거든요. 물론 피깍는 노력과 천운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한국인으로서 삼성 응원할수밖에없내요

    • @user-fd4qp3bi6e
      @user-fd4qp3bi6e Рік тому +9

      @@appleseeds5603 한국이 살려면 삼전을 응원할 수 밖에 없음

    • @PCS1017
      @PCS1017 Рік тому +2

      Tsmc 수율과 기술력을 따라잡을 수도 없어

  • @user-eh4pm7bb6o
    @user-eh4pm7bb6o Рік тому +56

    현 반도체 시장에 맥을 정확하게 집는 영상이네요.

    • @SJluckyguy
      @SJluckyguy Рік тому

      무슨 맥을 잡았을까요?

    • @user-eh4pm7bb6o
      @user-eh4pm7bb6o Рік тому +3

      @@SJluckyguy 영상 내용 보시면 아시겠지만, 삼성전자에 위치가 반도체 시장에서 어느 정도이며, 이렇게 중요한 산업이 미래 먹거리임에 틀림 없고, 그 경쟁에서 대한민국은 뒤쳐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것도 아주 디테일하고 정확하게 말해주고 있네요.

  • @bonheur4851
    @bonheur4851 Рік тому +3

    적절한 인터뷰 덕분에 내용 이해가 더 잘됐네요 앞으로 고국의 기업이 더 잘됐으면 좋겠네요 이러든 저러든

  • @rara3078a
    @rara3078a Рік тому +12

    공영방송 존재의 이유..
    50분 내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 8 місяців тому

    늘 감사드리며 건강하시길.........

  •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항상 많은 걸 배우고 있습니다♡

  • @user-eu3hd7lf6i
    @user-eu3hd7lf6i Рік тому +9

    마지막 인터뷰 대사가 좋네요. 오는거만 기다리지 말고 찾아가는 방법도 고려해야할듯

  • @user-db7vk4vr7z
    @user-db7vk4vr7z Рік тому +20

    평소 반도체에 궁금증이 많고 관심도 많았는데 이런 프로그램 좋네요!!!!!
    우리나라도 이젠 반도체 공룡들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단순히 세계최초 이런 타이틀 보다는... 기본기부터 시작해서...
    믿을수있는 장기적으로 데려갈수있는 회사들을 우선 동맹을 구축하던지 팀으로 만들어서... 몸집을 다지게되면.. 언젠간 정말
    좋은 결과의 날이 오지않을지요!!!!...
    32나노 부터 매번 수율이 안좋다.. 그래서 제품 재고가 부족하다.. 이런 이야기를 듣던 TSMC 였는데.. 이제는... 파운드리에서 최강자가
    되어버렷죠... 더구나 점점 TSMC 밴더들의 결과물들을 보면... 기존 인텔 과는 비교되었던 칩 성능 자체도...(처리속도) 확실히 인텔 만큼
    올라왔음을 보여주고있죠...; 우리나라 몇 않되는 주력사업인데 부디 잘되어서 발전될수있었으면 좋겟습니다..

    • @tv-ni6sy
      @tv-ni6sy Рік тому

      삼성 그자체가 이미 공룡입니다. 메모리 반도체에서 세계최고의 자리를 계속 이어오고 있어요 기본기 운운할 체급은 아닙니다.

    • @appleseeds5603
      @appleseeds5603 Рік тому

      기술도 기술이지만 외교가 진짜중요한게 미국에붙으면 중국수출에 영향있고 그렇다고 중국에붙으면 세계1위강대국 미국압박이 올거고.. 넘어려운문제내요

  • @Iamfather77
    @Iamfather77 Рік тому +23

    반도체는 진짜 전쟁이구나...

  • @primekim8114
    @primekim8114 Рік тому +1

    반도체에대해 많은걸 알아갑니다.

  • @minbora69
    @minbora69 Рік тому +18

    확실히 신뢰도가 아무리 높아도 설계를 같이하는 삼성에 팹리스 회사들이 수주를 맡길리가 없겠네요. 너무 위만 봐오던 시선을 아래로 돌려서 발상의 전환으로 설계와 제조를 모두 도와 고객을 키우고 시장을 확보한다.. 유일한 탈출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user-xl7tx5ym3k
      @user-xl7tx5ym3k Рік тому +1

      그러기엔 1등을 제외한 그외 기타 다른 회사들 이랑의 격차가 너무 심함.지금 삼성에 케파를 준 회사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심정으로 tsmc에 자리가 없어서 준거임.대표적으로 퀄컴과 엔비디아가 되겠네.tsmc의 주력 고객이 애플과 amd임.퀄컴 같은 경우는 tsmc에서 만들고 싶어도 못 만드는 거임.

    • @minbora69
      @minbora69 Рік тому +2

      @@user-xl7tx5ym3k 신뢰도가 낮으니 울며 겨자먹기로 삼성에 수주를 맡긴 거겠죠. 제 얘기의 시작은 '신뢰도가 높아지면'입니다. 제 논리 흐름에 맞지 않는 지적이신 것 같네요.

  • @mytimelog
    @mytimelog Рік тому +3

    찐짜 유익하게 봤습니다~

  • @Gitech_TV
    @Gitech_TV Рік тому +2

    요즘 아주좋아요

  • @sakoc8461
    @sakoc8461 Місяць тому +2

    TSMC 문화대목에서 정말 무서운 회사구나 느끼게 되는군요

  • @user-en8vw5ds5p
    @user-en8vw5ds5p Рік тому +5

    삼성은 신뢰를 곱 씹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유익한 공영 방송 입니다

  • @kangminsoo6679
    @kangminsoo6679 Рік тому +75

    반도체 공부하는 박사생인데, 너무 좋은 영상 제작해주셔서 제작진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marcosrohojin828
    @marcosrohojin828 Рік тому +27

    반도체를 좋아하고 일류라고 자부하는 삼성에 제일 가고싶었던 공학도로서 너무나 냉정한 현실을 느끼고 마음이 복잡하네요.
    현재 우리나라 반도체 실체를 객관적으로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r2lc6bd7t
    @user-tr2lc6bd7t Рік тому +4

    삼성전자 문제점에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 @jamieseung
    @jamieseung Рік тому +8

    정말 유익했어요! 좋은 프로그램👍

  • @user-lp7tl4kk5w
    @user-lp7tl4kk5w Рік тому +8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 @JS-he8rk
    @JS-he8rk Рік тому +1

    잘봤습니다 유익하네요

  • @marinesoundstage9986
    @marinesoundstage9986 Рік тому +17

    같은 분야의 사업을 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tsmc와 삼성은 다른 기업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삼성이 파운드리에서 진정으로 tsmc을 넘고 싶다면 파운드리와 모바일 사업부를 아예 분리시켜 별도의 법인으로 만들거나, 지금 하고 있는 비메모리 설계 분야(엑시노스)를 아예 포기하여야 고객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고 보네요...

  • @piter_31
    @piter_31 Рік тому +19

    지금봐도 최고의 다큐임.
    물론 자세한 사항은 반도체 관련 책 읽는 게 최고긴한데, 간략하게 정리가 잘 된 다큐.

    • @piter_31
      @piter_31 Рік тому

      3번째 보는 중.. 반도체에 심도 있는 고찰편 다큐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 @vkfks1041
    @vkfks1041 Рік тому +185

    삼성의 문제점을 잘 분석한 다큐. 물론 약점 전부는 아니겠지만 지금 시점에 우리나라에 경감심을 심어주는, 정말 시의적절한 다큐.

    • @simonpark7342
      @simonpark7342 Рік тому

      솔직히, 협력업체랑 구성원만 쥐어짜서 발전하는 기업은 경영진이 놀러다니는 기업이죠. 혁신을 위해서 하는게 아무것도 없는거니까

    • @SJluckyguy
      @SJluckyguy Рік тому +3

      ㅋㅋㅋ 문제? ㅋㅋㅋ

    • @omg5571
      @omg5571 Рік тому +1

      경각심?

    • @SJluckyguy
      @SJluckyguy Рік тому +8

      @@omg5571 내부자 인터뷰 3명 하고 경각심? 그 내부자들도 짤린건지 스스로 이직 한 건지도 모르는데 경각심? 스스로 저딴 판단 내리는 피디가 경각심이 필요하다.

    • @user-zk4mm7yp3h
      @user-zk4mm7yp3h Рік тому +9

      Tsmc는 경쟁할필요가 없으니까 그런거고
      삼성은 애플과 경쟁해야되는 구조니까
      그런거아닌가
      무조건 삼성잘못이라고하기에는..

  • @xjdizhfikdli
    @xjdizhfikdli 2 місяці тому +1

    참 유익한 컨텐츠입니다. 삼성 반도체와 최고위 경영진들이 안봤으면 꼭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그분들은 여기서 꼬집는 쓴소리들은 이미 다 알고 있을것도 같습니다만...
    - 메모리 대비 다품종 소량생산에 고객별 커스터마이제이션 노력이 필요하나 소품종 대량생산, 범용제품인 메모리 사업 방식대로 하려니 안 되는것 같음
    - 회사 내부적으로도 반도체부문내 메모리 대비 낮은 위상도 문제임. 그나마 근래에는 성과급에 있어서는 메모리와 동일하게 지급하는것 같긴 해서 다행인것 같지만 그게 다가 아님
    메모리로 벌어서 파운드리 투자하는 구조인데 작년 메모리 대규모 적자로 파운드리에 대규모 투자 여력이 있을지 우려됩니다.
    결국 방송에서도 모 기업 경영연구소 위원이 언급했듯이 삼성의 주가가 간접적으로 이 같은 슬픈 현실을 다 드러내주는거죠.
    삼성에는 파운드리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통신장비 네트워크 사업도 잘 되지 않는 이유도 파운드리와 비슷한것 같습니다

  • @user-io4dc5le9d
    @user-io4dc5le9d Рік тому +98

    맨날 국뽕 유튜버들 떠드는 소리만 듣다가 제대로 된 문제를 파악하게 됐네요.
    조회수 장사하는 국뽕 유튜버들이 사실을 호도하는게 문제에요.

    • @janechoi124
      @janechoi124 Рік тому +1

      완전 공감합니다! 근거없는 국뽕 타도!!

    • @anchilla4660
      @anchilla4660 Рік тому +3

      국뽕티비는 그냥 김치 싸대기 난무하는 아침 드라마 라고 보면됨. 그냥 판타지 드라마채널임.
      그런 내용을 진짜라고 믿는 사람이 젤 문제고,
      "국뽕유튜버가 사실을 호도한다"고 비판하는것도 웃긴거임.
      왜? 원래 딱봐도 환타지 드라마 니까...
      주부용 재미 극대화 된 아침드라마보고 실제라고 믿는 놈이나
      왜 현실과 다르냐고 하는 사람이나...

    • @dd-cw8zb
      @dd-cw8zb Рік тому +2

      자기가 듣고 싶은것만 들으려고 하는게 문제입니다. 국뽕 유튜버들도 그부분만 과장해서 떠들고요. 우리는 현실을 봐야합니다.

    • @starcore8704
      @starcore8704 Рік тому +2

      국뽕 보지말고 뭐가 문제다 라고 지적하는 채널을 더 많이 보세요. 진실은 그런곳에 있습니다.

    • @user-mb1nu3pe3m
      @user-mb1nu3pe3m Рік тому

      주식백만장자~~ㅋㅋ

  • @chodes6417
    @chodes6417 Рік тому +5

    Taiwan NO1. Tsmc the best semiconductor company 🎉

  • @user-wd7gy1um9l
    @user-wd7gy1um9l Рік тому +5

    너무 재미있는데 후속편 계속 만들어주세요

  • @hjin75
    @hjin75 2 місяці тому

    국민의 방송 kbs는 역시 다르네요.
    반도체 관련 방송으로 인상깊게 본 top10 중 최고입니다. 2편도 후속으로 만들어주세요.😊

  • @wireless-lj7we
    @wireless-lj7we Рік тому +6

    너무 잘 봤습니다. 좋은 다큐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loudunder1546
    @cloudunder1546 Рік тому +3

    신뢰를 잃으면 다 잃는 건데... 신뢰는 말로 얻을 수 없다..

  • @user-sp9ro8ph5y
    @user-sp9ro8ph5y Рік тому +4

    목표가 TSMC가 아니라 기술력과 고객감동에서 최고인 삼성전자가 되길 바랍니다. TSMC를 따라잡겠다는 압박감보다는 경쟁에서 최선을 다하고 고객울 감동시키는 경영전략이 팔요합니다. 꾸준히 최선울 다하다 보면 성과는 있을 것입나다.

  • @user-h47sjfhvgk6
    @user-h47sjfhvgk6 Рік тому +2

    재밌네요

  • @link8902
    @link8902 4 місяці тому +1

    국가가 적극 지원해줘야 합니다.

  • @Davidjohnson-ct7zh
    @Davidjohnson-ct7zh Рік тому +7

    아주 유용한 내용 이였습니다.

  • @kjuingong
    @kjuingong Рік тому +74

    3나노 개발했다고 좋아할 일이 아니었군요.
    이 방송은 현실에 어긋나는 무리한 목표가 빛좋은 개살구가 될수 있다는 점을 깨우쳐 줍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수율등의 기술적인 차이가 숨어 있다는것을 절대 간과할수 없군요.
    TSMC에서 삼성이 수율이 낮다고 했을때 어깃장으로만 보았었는데 그것은 알고보니 아주 큰 격차네요.
    3나노를 개발했다고 고객들이 달려와 주지 않는다는 설명도 시스템 반도체의 현실을 알수 있네요.
    정말 차근 차근히 목표를 설정해서
    직원들도 만족하는 연구환경속에서, 고객 만족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는 삼성을 만들기 바랍니다.
    다방면으로 신뢰받는 삼성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세계 중요 고객들에게 신뢰 받아 가면서 목표를 이루길 바랍니다.
    인터뷰에 응하신 분들의 좋은 지적과 조언이 빛납니다.

    • @user-fs5wq9nq4h
      @user-fs5wq9nq4h Рік тому +12

      공부를 안하고 주어 듣기만 하니까 생각이 중심이 없고 휘둘리는 거지
      어차피 고객과 경쟁하는 삼성이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 TSMC를 넘어설 수 없는 걸 삼성이 모르겠니 ?
      GAA로 돌아 설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뭔지 알아 ?
      핀펫공정으론 소량 다품종 생산을 못하니까 그런거야 띨띨아 공부 좀 해라 공부...

    • @donlee4105
      @donlee4105 Рік тому +1

      @@user-fs5wq9nq4h 우리사회는 너같이 모지리들이 목소리가 너무 커서 될일도 안될나라야. 국뽕에 미쳐서 듣고싶은말만 듣고싶고 지한테 불리한거는 항상 부정할려고하고. 어휴 한심하다 인간아

    • @myhong7164
      @myhong7164 Рік тому +15

      @@user-fs5wq9nq4h 말투 역겹네

    • @kingsseo7962
      @kingsseo7962 Рік тому +11

      @@user-fs5wq9nq4h 키보드 전문가 나오셨네ㅋ

    • @user-lk9dr9uz2t
      @user-lk9dr9uz2t Рік тому

      @@user-fs5wq9nq4h 어디서 줏어 들은건 있어가지고 소량 다품종 생산 이지롤하노....최선단 공정인 3나노공정에 고객은 어짜피 한정되어있는데 그 필요로하는 애플이나,퀄컴등도 ap제품생산이 주목적이고...그 ap들은 몇천만개씩 생산하는데 소량 다품종 생산 이 지롤하네...1990년대부터 이분야 세계1위한 tsmc하고 2010년대 중반부터 본격투자한 삼성하고 기술력차이 특히 후공정 패키징분야에서 차이가 많이 날수밖에...그걸 좁힐려고 삼성은 gaa로 먼저 들어간거지 이띨띨아...모르면 그냥 닥치고 있어..아는체 하지말고

  • @sungju58
    @sungju58 Рік тому +2

    너무 멋있게 기획했어요~ 맨날 봐요

  • @bbtan7110
    @bbtan7110 Рік тому +5

    우리나라 재벌구조를 간파한거죠.
    돈 좀 된다싶으면 문어발식 확장하니깐 경계대상이 될 수 밖에 없는거죠.

  • @_Dokgo
    @_Dokgo Рік тому +5

    반도체 분야에 취직하고 싶은 취린이 입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fi7js2zx5g
    @user-fi7js2zx5g Рік тому +10

    我是台灣人 沒有中文翻譯 聽不懂節目在說什麼 但從留言 也大概知道內容
    台灣韓國斷交 韓國限制台灣外交人員一日內離開韓國 並沒收台灣在韓國資產 並免費移交給中國 這非常不尊重台灣 也違反外交禮儀
    台灣韓國 同為亞洲四小龍 在很多產業高度重疊
    台灣在1980年代 提出兩兆雙星計劃 扶持台灣面板及記憶體產業 三星此時提出ki11Taiwan計劃 用非常下流手段 打擊台灣
    比如大量下單台廠 在臨時抽單
    向美國提起專利訴訟
    接受韓國政府補貼 用低價策略 擴大記憶體佔有率
    台灣HTC是最早投入Android 手機研發 三星看手機有發展潛力 斷供HTC面板
    三星從台積電挖人才 梁孟松 三星才成功從28nm 跳級到14nm
    ……
    2010年代 台積電已經發展晶片業代工王者 三星想超越台積電 又推出 金奇楠計劃
    😥韓國對台灣非常不友善 帶著敵意

    • @user-sj8rl6rl6c
      @user-sj8rl6rl6c 9 місяців тому

      솔직히 한국인들은 대만 사람들에게 정말 일말의 관심 조차 없습니다. 우리 입장에서는 그냥 잘 지냈으면 좋겠네요. 솔직히 별 상관없긴 합니다.

  • @r4pi249
    @r4pi249 Рік тому +32

    TSMC가 삼성을 겨냥한 슬로건
    나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
    삼성은 어쩔수 없이 경쟁해야 하는 회사

    • @user-jasonyou8888
      @user-jasonyou8888 Рік тому +2

      去找環境,金錢,各方面條件都好的Intel 比較吧,tsmc只是代工而已,韓國在害怕什麼?

  • @user-hk1kx8bo9k
    @user-hk1kx8bo9k Рік тому +11

    진짜 잘만들었다
    시간 가는줄 모르고 봄
    최고의 방송프로그램

    • @kbssisa
      @kbssisa  Рік тому +1

      시청해주시고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forest_SGil
    @forest_SGil Рік тому +4

    좋은프로그램 감사합니다

  • @user-kn9ln9eu1x
    @user-kn9ln9eu1x Рік тому +35

    너무좋아요 이번편.. 메모지에 가득 써가면서
    수업듣듯이 시청했어요. 제작진 고생하셨네요
    이런 명작(?)이 계속 나오길 바랄뿐입니다.

    • @kbssisa
      @kbssisa  Рік тому +19

      격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알찬 내용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twg0456
    @twg0456 Рік тому +21

    너무 급하게 추월하려 하지 말고, 삼성전자만의 장점을 살려서 차근차근 하나하나 해결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기술과 자본이 충분히 받쳐주는 회사인 만큼 앞으로도 잘하리라고 믿습니다
    삼성전자 주주로써 화이팅입니다!

    • @user-kr6op5vm6w
      @user-kr6op5vm6w Рік тому +3

      급하게?? 그 전에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 더 박살나게 생겼는데????

  • @MinjoonKim-me8sw
    @MinjoonKim-me8sw Рік тому +3

    이걸 삼성 내부에서도 봤을까, 그리고 3자들의 입장에서 느낀 그들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고쳐나갈 수 있는 역량이 될까?

  • @snoopyboss94
    @snoopyboss94 Рік тому +16

    삼성은 반도체를 제조하고 소비(휴대폰산업)까지 하다보니 애플에게는 협력보다는 경쟁업체라고
    여겨서 납품을 못하게 된 것이군요....여러 어려운 문제가 있더라도 삼성이 이겨내고 헤쳐나가리라고
    생각합니다..삼성은 바로 대한민국의 자존심이니까요..삼성화이팅 대한민국 화이팅..^^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Рік тому +6

      그게 아니라 애플이 삼성에 칩 생산을 맡겼더니 삼성이 그 설계를 그대로 모방해서 꼭 같이 스마트폰을 생산을 해버린거임. 이걸 스티브잡스가 두고 두고 분해하면서 삼성을 그렇게 쌍욕을 해댄거임. 이 사건이 삼성에는 칩 생산을 맡기면 안된다, 기술을 탈취당할 수 있는 위기감을 주게 된 거임.

    • @sunglee3935
      @sunglee3935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삼성이 얼마나 악랄한놈들인지 모르고 당한거지 매모리도 처음에 토시바 엔지니어들 몇배로 돈주고 기술 다훔쳤지

    • @user-wt6qm4rt6f
      @user-wt6qm4rt6f 9 місяців тому

      ​@@sunglee3935중국 공산당 댓글 부대는 꺼져!!

  • @sksmsqkfka
    @sksmsqkfka Рік тому +19

    지난 번 삼성 스마트폰 GOS사태의 해결 과정 및 언론단속으로 얼렁뚱땅 넘어 가는거 보면서 여전히 음흉하다고 생각했고 또한 삼성은 완성제품 생산업체이기에 기술유출 등의 신뢰 문제로 TSMC를 뛰어 넘기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 @user-cf7sj3up5h
      @user-cf7sj3up5h Рік тому +2

      그런데 고집을 부리고있죠... 예전처럼 정주영정신 이건희정신으로 뛰어넘을 사안이 아닙니다 그때처럼 으쌰으쌰하자고해서 전사적으로 회사전체가 힘내는 분위기도아니에요 이럴 때일수록 내실을 다지고 다음 기회를 노려야죠 tsmc는 국가적으로 주도해서 계획적으로 키운 기업입니다 인재들도 근처의 유수의 대학교에서 정기적으로꾸준히 나와요 우리나라요? 지금 반도체관련학과 기술자가 씨가 말랏다고 하는 판입니다 최우선적인목표는 인재육성부터 해야하지않을까합니다.. 저들은 자연스레 묘목을 심어왔지만 우리는 울창한숲에 안주하고 씨를 뿌리지 못했다는걸 아직도 인지하고있지 못합니다.

    • @user-bq7fb8cl2v
      @user-bq7fb8cl2v Рік тому

      중국에서 발주한 tsmc반도체에 백도어 심겨져 있었는데 신뢰문제가 없나요? 그반도체 들어간 제품이 미국에 수출되서 각종 해킹이 발생했는데...삼성은 그런건 없었잖아요 대만이나 중국이나 개찐도찐

  • @user-sl8ft3lq7v
    @user-sl8ft3lq7v Рік тому +6

    그러네 삼성은 온실 속에 잇엇네

  • @jason_cha
    @jason_cha Рік тому +5

    시스템 반도체라는 용어가 지금은 많이 쓰이고 있지만, 예전에는 '비메모리 반도체'라는 희한한 용어를 만들어서 불렀지. (찾아보니 아직도 쓰는 언론이 있네.) 우리나라가 주로 만드는 메모리 반도체는 반도체 산업의 쌀이라고 홍보하며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시스템 반도체 분야를 깍아내리기 위해 만든 다분히 정치적인 용어였지. 실상은, 메모리가 쌀이면 시스템은 고기인데 말야. 암튼, 그렇게 비하하면서 투자도 소홀히 했는 지, 지금 우리나라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1등인 TSMC라는 거대 공룡과는 너무 많은 차이가 벌어진 게 아닌가 싶다.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Рік тому

      문제는 메모리는 단일시장인데 반해서 시스템은 분야가 너무 많아서 시스템 반도체 시장규모가 크다고 해서 그게 의미가 있는가라고 생각을 해봐야 한다는거임. 예로 시스템 반도체에서 우리가 제일 잘 알고 있는게 CPU 와 GPU인데 이렇게 따로 따로 떼놓고 보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개별 품목의 시장은 메모리보다 크지는 않다는거임 당연히 이렇게 다양한 시스템 반도체 영역이 존재하다보니 파운드리 입장에서는 이들 제품을 생산하는 별도의 라인, 공정을 구축해야 하는데 거기에 들어가는 비용대비 수익이 메모리보다 나은지는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지.

  • @kcal
    @kcal Рік тому +30

    삼성전자가 곧 파운드리 부문 물적분할 하려고 국민들의 생각의 방향을 다큐로 정리하는것 같네요
    물적분할하면 엄청난 국민반발이 있을태니 이런 다큐를 통해 어쩔수 없이 파운드리 분사를 해야된다는 명분을 쌓는일

    • @user-fd5yc6gx4x
      @user-fd5yc6gx4x Рік тому

      물분해서 지분늘리고 경영승계하려는 건가요 ?? 하여간 대한민국 주식 하지말아야지 ㅠ

    • @HJ-ud1mp
      @HJ-ud1mp Рік тому +1

      아하~ 재벌 4세 승계용이네요 통찰력 대단하십니다.

  • @BomYerum
    @BomYerum Рік тому +7

    고객 중심주의! 그렇네요. TSMC의 성공 방정식을 첨 알았네요.

  • @user-fv4nz1om9j
    @user-fv4nz1om9j Рік тому +8

    반도체에 대해서 공부하고 이해가 잘 안 갔는데 이 영상을 보니 반도체라는 거대한 숲을 이해한 느낌입니다. 감사드려요^^

    • @kbssisa
      @kbssisa  Рік тому +1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ap6845
    @ap6845 Рік тому +6

    오 객관적인 정보~~삼성의 정확한 분석
    한계를 잘 정리했네요

  • @user-ps4lf6zf4o
    @user-ps4lf6zf4o Рік тому +15

    파운드리 산업 자체가 고객과 신뢰 싸움이구나.
    경쟁문화에서 한국은 탁월하지만,
    상호협력에서 많은 축적을 이뤄낸 대만과 비교하면,
    2030년 구호는 환상일 확율이 매우 높겠구나.
    현실적으로 반도체가 필요로 하는 여러 환경에서
    TSMC가 못하는 영역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능력을 길러내고,
    수평적인 현장 중심 고객서비스 길러내는게 최선이겠네.

    • @TV_AIbb
      @TV_AIbb Рік тому +1

      구글에서 일하시는 분 얘기중에 제일 큰 문제라고 생각한게 고객과의 문제가 생겼을 때 tsmc는 담당자가 본사 또는 상부의 지원을 받아 바로 해결하는데만 집중할 수 있고 삼성은 상부의 결제를 받아야 되고 그 과정에서 이런 저런 생각들이 믹스가 된다는거에 삼성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중소기업까지의 되도 않은 결제 문화가 참 문제라 생각하네요.

    • @user-pi3rf4ik7h
      @user-pi3rf4ik7h Рік тому

      @@TV_AIbb 결제 X -> 결재O

    • @jeong6121
      @jeong6121 Рік тому +1

      결제 결재 사람들이 자주 착각하는 단어 하지만 선생님도 아니고 꼭 교정해야 할까요

    • @user-om4mg7mh3r
      @user-om4mg7mh3r Рік тому +5

      순이익면에서 TSMC는 삼성그룹을 이미 따라잡았음.
      삼성그룹이 메모리, 갤럭시, LSI, 디스플레이, 조선, 물산, 모든 걸 포기하고 파운드리 하나에만 집중해도 TSMC를 따라잡는건 불가능함.
      고객과의 경쟁같은게 문제가 아님. 이미 기술력과 규모에서 넘사벽급 차이가 난다는거지.

  • @user-bl1uz2kl3f
    @user-bl1uz2kl3f Рік тому +3

    삼성은 휴대폰사업 분야에서 애플과 경쟁관계라는 구조적인 문제로 tsmc와의 격차가 존재하는 핸디캡을 안고 있군요. 어쩔수 없는 부분은 인정하고 잘할수 있는 틈새시장에 집중해야겠습니다.

  • @barelytea3357
    @barelytea3357 Рік тому +2

    이주완 연구원 . 왠지 설명이 쏙쏙 들어온다
    일타강사가 시험전에 요점정리 해주는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