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역사상 최악의 대패?/고구려의 15만 대군과 주필산 전투【고구려-당 전쟁3】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당나라의 안시성 공격과 주필산 전투
    #주필산전투 #당나라 #고구려
    참고문헌
    새로 쓰는 연개소문전, 김용만.
    고구려와 수당 70년, 임기환.
    645년 고구려군과 당군의 주필산 전투 고찰, 문영철.
    당태종(唐太宗)의 고구려 침공과 백암성(白巖城) 전투, 서영교.
    당태종의 고구려 親征과 작전 歪曲 - 요동성 전투 전후의 상황을 중심으로 -, 서영교.
    李勣의 騎兵과 ‘長槍兵’ -주필산 전투를 중심으로-, 서영교.
    唐太宗의 고구려 침공과 水軍, 서영교.
    高句麗와 투르크계 北方勢力의 관계, 이성제.
    고구려의 대당전쟁과 내륙아시아 제민족, 서영교.
    당나라의 고구려 침공과 기마전, 이홍두.
    당대 기병의 보전, 서영교.
    주필산(駐蹕山) 전투와 안시성(安市城), 서영교.
    고구려 후기 고구려, 수ㆍ당, 북방 제국의 대립관계, 김용만.
    BGM (Artlist License)
    1. Pound The Big Drums - Rhythm Scott
    2. Rhythm Scott - Battle Dance
    3. big boom beat - rhythm scott
    4. tribal fire - rhythm scott
    5. Pound The Big Drums - Rhythm Scott
    6. fire dance - rhythm scott
    7. we are the fight - rhythm scott
    질문이나 각종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퍄퍄킴 이메일 : pyapyakim@sandboxnetwork.net
    퍄퍄킴 인스타그램 : / pyapyakim_history
    퍄퍄킴 멤버십 : / @퍄퍄킴

КОМЕНТАРІ • 507

  • @퍄퍄킴
    @퍄퍄킴  Рік тому +89

    0:00 연도 표기가 잘못됐습니다. 664년 -> 644년
    죄송합니다.
    -> 앞에 2초를 아예 잘라버리는 중....

    • @bugs_bunny__
      @bugs_bunny__ Рік тому +3

      아이고ㅋㅋㅠ

    • @셀바-r7t
      @셀바-r7t Рік тому +1

      아이고 ㅠㅠ

    • @acidholic
      @acidholic Рік тому +1

      정신 똑바로 안차릴래

    • @콤달-p5q
      @콤달-p5q Рік тому +3

      ​@@acidholic 너나 차려

    • @콤달-p5q
      @콤달-p5q Рік тому +1

      아무튼 아주 옛날인 것은 똑같네

  • @user-ojiseung
    @user-ojiseung Рік тому +7

    알기쉽게 역사공부하게큼 해주시니 재밌고 이해가 팍팍 오네요. 구독과 좋아요 눌렀어요. 다음편이 기대됩니다. ~~^^

  • @아기고양이-h9e
    @아기고양이-h9e Рік тому +68

    다른분들껀 그냥 역사에 관련된 자료만 올려서 이해하기 어렵고 지루했는데 귀여운 고양이들이 직접 역사에 대해서 알기 쉽게 상황을 표현해 쉽고 고양이들이 귀여워서 중독성있어요! 퍄퍄님과 팀원분들 수고 많으셨어요~!❤🐱

  • @따뜻한바람떡
    @따뜻한바람떡 Рік тому +35

    교과서에서는 무슨무슨 전투가 있었다 정도만 나왔었는데 전투를 상세히 알려주니까 너무 재밌네요ㅋㅋㅋ

  • @이하늘-c3g
    @이하늘-c3g Рік тому +128

    당나라군이 고구려군의 병력규모와 자신들의 전과들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대 중국도 자신들의 경제성장률, 인구와 같이 핵심이익 및 국가전략과 관련된 지표는 실제에 비해 크게 푸불리는게 현실입니다.
    특히 당태종은 사초를 보고 수정을 명령한 적도 있으니 말할 것도 없죠.

    • @이하늘-c3g
      @이하늘-c3g Рік тому +10

      예를 들자면 중국정부는 2021년에 예정된 인구 지표 발표를 2번이나 미루고 그 마저도 앞뒤가 맞지 않았습니다.

    • @미제드론
      @미제드론 Рік тому +28

      솔직히 고구려원정에서 수급 4만을 벳다면서 자기네 전사자는 2천 이라고 하는건 누가봐도 이상하죠

    • @banana-milk
      @banana-milk Рік тому +5

      고마워요 스피드왜권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Рік тому +23

      한국전때 장진호 전투에서 13만 병력으로 2만여명 미군이랑 싸워 놓고선 자기는 절반 정도로 줄이고 미군은 두배 정도 뻥튀기해서 가르치죠.

    • @박동욱-c3q
      @박동욱-c3q Рік тому +3

      @@sjeoendiowksbsjsel 13만 중 3만명이 얼어죽었다죠 아마?

  • @윤성-d2e
    @윤성-d2e Рік тому +6

    잘보고 갑니다

  • @johnloecona5141
    @johnloecona5141 Рік тому +75

    그때 당시의 기록이 거의 전무하고 전과를 과장하기 위해서 공적을 늘리기도 했으니...솔직히 저도 고구려군 15만을 격퇴했다는건 과장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user-op4ds1np9x
      @user-op4ds1np9x Рік тому +13

      그러게요 15만이 격퇴되어으면 고구려 망햇을듯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Рік тому +5

      말같잖은 소리지..
      오백년쯤 뒤 인구 밀집지역인 전라 경상 충청도를 모두 가진 고려가 전국을 탈탈 털어서 나온 병력이 그정도밖에 안되는데 인구 희박한 북부 고구려에 15만 병력이 어딨어.. 완전히 황당무계한 개소리에 불과.

    • @15nu4543
      @15nu4543 Рік тому +7

      ​​@@sjeoendiowksbsjsel 그건 아닌 것 같은데요. 고구려가 인구가 희박했을거란 근거가 약하고 오히려 고구려는 국민중 장정은 모두 바로 징집하려 정병화 가능한 나라였고, 고려도 수십만씩 징병하려 대회전을 벌인 전적이 많은데.

    • @chamchimayo5995
      @chamchimayo5995 Рік тому

      @@15nu4543
      “고(구)려국은 예전에 다섯 부로 나뉘어져 1백 76성, 69만 7천호였는데, 이에 그 땅을 나누어 9개 도독부와 42개 주 그리고 1백여 개의 현을 설치하였으며 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두어 통치하게 하였다.” (고구려전)
      전후고구려 인구가 3백만 정도 69만호 정도인 15만의 대 병력을 소집한다는 당치도 않은 소리를 하십니까... 고구려는 수십만씩 징병할 수 없습니다 수나라 당나라도 아니고 인구가 없는데 어떻게 수십만을 부립니까? 삼국지를 너무 보신 것 같은데.. 그리고 전투 한 번에 수십만 전력의 100퍼센트의 고구려군이 나왔다는 것도 말이 됩니까? 전투 한 번하고 나라 말아먹을 일 있습니까?.. 고구려 군 15만은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 @chamchimayo5995
      @chamchimayo5995 Рік тому +16

      @@15nu4543 고대 전쟁사를 아시는 분이라면 한 회전에 15만을 가는 것이 인구 3백만 국가에 가능한 것인지 불가능한 것일지 바로 아실겁니다..

  • @user-yc2hg4pq4s
    @user-yc2hg4pq4s Рік тому +203

    진짜 이런 최악의 상황에서도 끝까지 버텨낸 안시성의 우주방어가 경이로울 정도네요....

    • @Hans_JKPL
      @Hans_JKPL Рік тому +48

      일단 산성 특성상 몇년은 버틸 식량과 식수원이 내부에 존재하니까요.
      또 자체적으로 무기를 정비 제작할 수 있게 철도 쌓아놓고 연료인 숯 창고도 엄청 크게 지어 놓고... 하여간 영화처럼 성 앞에 오자마자 바로 전투 벌이고 그러진 않았을거임

    • @2asd423
      @2asd423 Рік тому +32

      최악의상황이 아님 영상이 극적으로보이려고 최악인척하는거
      신성 건안성 주필산 포위망은 건재한상황이었고
      안시성 밖에서 고정의 주필산 10만이상 병력이 진치고 도와주는상황이었음

    • @2asd423
      @2asd423 Рік тому +6

      실제로 나중에 장손무기가 안시성 10만대군 때문에 직공할수 없다고 언급하고

    • @미제드론
      @미제드론 Рік тому +10

      ​@@Hans_JKPL 안시성이 지금의 해성시 영성자산성이 맞다면(가장 유력함) 그렇게 많은 물자를 가지고 있긴 어려웠을겝니다. 사서대로면 요동성의 비축물자가 많죠. 신성에도 상당한 전력이 있다고 했는데 거긴 북쪽 멀리있어서 무시할만 하다고 판단했나봅니다.

    • @banana-milk
      @banana-milk Рік тому +1

      당태종:왜 안뒤지는 거야!!!

  • @NewRepublic4137
    @NewRepublic4137 Рік тому +28

    드라마 대조영에서 참 맛깔나게 표현했지 안시성을 ㅋㅋㅋㅋ
    여수장우중문시와 수나라 깃발로 이세민에게 초강력 어그로를 시전해서 전투 벌일 명분을 더 만들어주고 각고의 노력 끝에 토산 무너지는 그래픽은 어우

    • @그재경
      @그재경 Рік тому +1

      드라마 대조영이 대단한건 ㄹㅇ 역사에 2줄뿐인 대조영을 100화를 넘게 했다는점 물론 살짝 삼국지오마주하긴했지만 ㅎ

    • @장지웅-q2s
      @장지웅-q2s 11 місяців тому

      게임에서도 음성이쓰이져 추억 설인구대사 토산이무너진다!

  • @박대박-q3t
    @박대박-q3t Рік тому +1

    매주 기다리던 파파킴 올라왔군요 고생했어요
    즐겨 듣는 기분
    기다리는 기대감
    담주 내용 궁금함

  • @shipduck111
    @shipduck111 Рік тому +125

    재밌는 기록이 하나 있다면, 주필산에서 당태종이 고구려군에 포위당해서 며칠간 고립되어 진짜 죽기직전까지 갔다는 내용이 중국 사서에 있답니다

    • @banana-milk
      @banana-milk Рік тому +1

      중국은 역사도 바꿉니다
      기록을 왜곡시켜서

    • @jaeun1234
      @jaeun1234 Рік тому +4

      대패한전투인데요?

    • @snjnkm1588
      @snjnkm1588 Рік тому +4

      어느 사서에?

    • @김치-e6w
      @김치-e6w Рік тому +5

      ​@@jaeun1234 맞는데요?

    • @skyclan
      @skyclan Рік тому +35

      ​@@jaeun1234고구려가 패배했다고 나오지만 사료에 적힌것에 오류나 이상함이 많아서 주필산 전투 안졌다는 애기도 있어요

  • @Tricky_Tricker
    @Tricky_Tricker Рік тому +289

    반유목 고구려보다 진짜 유목민족 돌궐을 박살내면서 대기병전의 달인이 된 당나라군에 정면대결을 건 시점에서...

    • @김도현-d2g
      @김도현-d2g Рік тому +71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밀리는 총체적 난국의 상황...

    •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Рік тому +1

      고구려 산 궁으로 무장된 궁기병으로 된 흉노 궁기병과 달리 돌궐은 창기병이였으니 당의 창병 위주의 전략이 먹힐 수 밖에요.
      창기병의 창은 3.5M인데 반하여 대 기병전을 위한 장창병의 창은 6M입니다. 이런 창병에게 돌격전을 벌이면 기병은 꼬치가 되지요. 전형적인 그리스의 팔라크스진에 꼬치가 된 거라고 보면 됩니다.
      다만 이런 창보병은 창기병에게만 강하지 궁병이나 궁기병에겐 매우 약합니다.(로마군처럼 방패를 든 근접 보병에게도 약함)
      이런 장창은 방패를 들지 못하기 때문에 화살비나 불화살 공격이라도 당하면 전멸 당하죠.
      뭐 유목민족의 특성상 화살비를 내리게 할 수 있을 만큼 화살을 충분히 만들 자원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화살만 조심하면 어찌 되긴 합니다만...
      방패병에게도 창병은 약한데 방패로 창의 공격을 막고 창을 잡은 후 부무장인 도끼등을 이용해 창의 나무부분을 잘라 버리면 바로 비무장 상태가 되므로 쉽게 전멸 합니다. 청나라의 군대가 창병이 아니라 칼과 방패로 든 군으로 유럽의 신식군대와 전투를 한 점도 이런군이 창병을 쉽게 이겼기 때문이지요.
      이런 점을 무시하고 좀 유목민족 좀 이겼다고 기고만장해지면 이길 싸움도 못 이기게 됩니다.

    • @2asd423
      @2asd423 Рік тому +16

      동돌궐 2인자 이계찰이 고굴한테 공격받아서 패배하고 거란 지배권 다시내줬음
      돌궐박살낸게 대단한게 아님

    • @hjs830
      @hjs830 Рік тому +55

      근데 후에 당나라도 티베트(토번)을 치다가 아주 아주 완전 개작살 나죠.

    • @nosaster
      @nosaster Рік тому +18

      전성기의 몽골군처럼 당나라군도 실제 동원한 병력보다 더 많은 병력이 있는거처럼 착각하게 한거 같습니다.
      기병은 기동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잡았고 충분한 훈련도에 뛰어난 지휘관과 부사관을 확보해서 가능했던거 같고요.

  • @송금왕
    @송금왕 Рік тому +17

    진짜 옛날 기록들 뒤죽박죽이네 ㅋㅋㅋㅋ

  • @dlee3497
    @dlee3497 Рік тому +12

    어릴때 배운 교과서에서는 안시성 성주만 띄어줘서 잘 몰랐는대, 알고보니 건안성, 신성이 제 역할을 잘 해주어서 안시성이 더 돋보였군요.

  • @남진혁-v6s
    @남진혁-v6s Рік тому +12

    근데 포로는 3만이고, 신성이나 건안성에 고구려군10만이 주둔했다는 기록 보면, 선봉 3만일 높은 가능성이 있습니다.

  • @johnpark9523
    @johnpark9523 Рік тому +4

    주필산전투는 당군의 일방적인 승리라고 볼수 없습니다. 당에게는 피로스의 승리 고구려에게는 졌잘싸정도죠. 사서에서도 당군이 치부를 숨긴 흔적이 보입니다.

  • @tooniverse22
    @tooniverse22 Рік тому +14

    형 발해역사도 부탁해 ❤️발해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많아졌으면 좋겠어!

    • @흔한티팬티
      @흔한티팬티 Рік тому

      역사적 기록이 거의 없죠,,ㅠㅠ

    • @AlaaRalara-f4j
      @AlaaRalara-f4j Рік тому

      사료도 적은데 카더라 쓸 수는 없잖아요

  • @David-ry9gg
    @David-ry9gg Рік тому +13

    1. 당시 이세민에게 투항한 고연수,고혜진은 욕살로 총지휘관급 직위가 아닙니다.(영상에 나온대로 통솔 총병력 각 3만정도 추정) 고구려는 전쟁이 일어나면 막리지, 대대로같은 높은 직위의 인물이 직접 전투에 참가해 지휘를 했죠.(총지휘관 급인 대대로 or 대로에 대한 언급없음)
    2. 말갈인만 3,300을 구덩이에 묻어 파묻었다고 사서에 나오는데 나머지 고구려군 포로를 전쟁 중에 다 풀어줬다는게 말이 안됨(식량문제라고해도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게)
    3. 15만을 격파하고 안시성으로 향했는데 1달간 어떠한 전투 기록이 없고 그다음 적힌 기록이 진지 위치를 안시성 남쪽으로 옮기고 죽은 병사시체를 표시함 + 장손무기: 안시성 안에는 10만의 무리가 있습니다.( 당시 산성인 안시성에 상주하던 순수병력이 10만?? 수나라 침량당시 요동성 병력이 3만)
    4. 3의 장손무기가 발언한 10만이 고연수 고혜진이 잃은 병력을 제외한 약 10만+ 기존 안시성 병력을 포함했기에 10만의 무리가있다고 추정
    주필산 전투에 이세민이 고구려군에 승리한건 맞지만 15만 전체를 상대로 승리한 것이 아니라 고연수 고혜진이 이끄는 일부를 상대로만 승리한 것을 부풀린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 @내취저
      @내취저 6 місяців тому

      안시성 산성아님... 평지성임 위치가 잘못 비정됨.

  • @carefree5404
    @carefree5404 Рік тому +7

    03:32 고구려의 고대 블록체인 기술 ㄷㄷㄷ

  • @youface_overlord
    @youface_overlord Рік тому +25

    정말로 주필산전투에서 당태종이 격퇴시킨게 고구려군 15만명 전군이었다면 안시성따위 무시하고 바로 평양성으로 내달렸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어차피 보급 못받는건 수나라 별동대랑 사정이 비슷하지만 적어도 고구려가 동원가능한 주력군이 한방에 궤멸되었다는 소리이니 살수대첩 시즌2 찍기는 커녕 수도방어에서조차 병력차가 너무 났을 것입니다.
    그리고 고구려가 병농일치 사회여서 15만명을 동원하는건 가능했을 겁니다. 구당서에서 고구려 청년들은 경당에서 글공부와 활쏘기를 익혔다고 하였으니까요. 문제는 개인기량은 충분하지만 이들이 마치 로마군단처럼 전술적ㆍ조직적으로 움직이는 쓸만한 정예군으로 만드는건 다른 이야기였을 것입니다. 따라서 고연수ㆍ고혜진의 병력은 고정의의 주력부대가 준비되기 전까지 당나라군을 견제하고 천리장성 일대의 요동방어선을 지원하는 일종의 선견대ㆍ또는 선봉대 역할이었을 것으로 추정하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nosaster
      @nosaster Рік тому +2

      전투에 참전한 당나라군이 전투에 참여한 고구려군보다는 적었을 가능성이 높죠.
      기록왜곡을 하더라도 완전히 거짓말을 할수는 없어서요. 회전에서 붙은 당나라군은 고구려군보다 적은거까지만 사실에 가까운거죠.

    • @shipduck111
      @shipduck111 Рік тому +7

      애초에 욕살따위한테(심지어 경험도 거의 없는)고구려 전군에 가까운 15만대군을 맡긴다는게 이상하죠

    • @alsid_
      @alsid_ Рік тому +1

      ​@@nosaster 당군 3만 대 고구려군 6만 정도로 붙었다가 고구려군이 대패했다는 추론이 맞을 것 같군요.
      수성전도 아닌 회전이면 두 배 병력 차이를 뒤집는 정도도 충분히 대승이죠.
      결국 그 6만 중 고구려군이 재집결 시켜서 다시 활용할 수 있던게 1~2만 정도였던 것 같으니 최종 결과 자체는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봤던 것이죠.

    • @dailybread-p6i
      @dailybread-p6i Рік тому +2

      중국기록은 개구라가 너무 많다 ㅋㅋㅋㅋㅋ

    • @skipperenterprise2286
      @skipperenterprise2286 Рік тому

      수도함락되고도 고구려 전력은 거의 온존했는데 구심점이 없으니 다 흩어짐
      이후 서역으로 건너간게 고구려의 돌궐 마자르 타타르-몽골등임
      이들이 중동으로 가서 죄다 휩쓸어 몽땅 자기들 나라 세우고 그중 일부는 또 서진해서 고구려황금씨족이 몽골을 통일하고 서부원정 올 때까지 동유럽 지배함
      일부는 이집트까지 가서 왕조 찬탈 ㅋㅋㅋㅋ
      여러모로 고구려는 유라시아 깡패들 모임이 맞음

  • @Communistslimited
    @Communistslimited Рік тому +5

    중국 사서들이 난해한게 전공을 부풀리기 위해서 뻥카, 과장, 변명이 너무 많음...
    이 영상에서 추론한 내용들이 신빙성이 있는게 중국 역사서는 매번 이런 내용들이 매번 등장함. 예를들어
    1. 포로를 잡았으나 자비로운 마음으로 풀어줌 -> 전투에서 이겼으나 피해가 막심하여 추격을 하지 못함
    2. 3만의 병력으로 15만의 병력을 물리침 -> 중국군대는 전투원만 새고 고구려군대는 비전투요원까지 새는 기적

  • @퍼식
    @퍼식 Рік тому +8

    당군이 고정의군 10만을 주시하면서 성을 포위한거면 적어도 신성+건안성에 보낸군대 10만을 빼도 20만 이상을 보유한 대군을 보유중이고 요동.백암성등 요충지를 뺏어도 힘든걸 보면 수양제가 113만 대군으로 각 성을 붙잡고 평양 직공한게 성공만 햇다면 고구려 공략에 정공법이 아니엿을까 싶기도 하네요 물론 수군이 보급을 해준다는 전제지만

    • @이케르-y4o
      @이케르-y4o Рік тому

      이미 당나라 수군이 괴멸된 상태라서 불가능 했을듯

  • @조희만-f9f
    @조희만-f9f Рік тому +3

    땅이 묶이 냥이들 너무 귀여워

  • @nosaster
    @nosaster Рік тому +4

    당나라군이 3만명보다는 많을거 같고 고구려군은 15만명보다는 적었을거 같네요.
    확실한건 전장에서 붙은 당나라군이 전장의 고구려군보다는 적었던거 같고요.
    당나라 극초기에 기병을 경기병화하고(수양제가 낭비한게 너무 컸다)
    이렇게 된김에 기병은 기동력을 중시하는 군사체계를 정착시켰죠.
    충분한 훈련과 기동력 중심 군사체계를 활용해서 몽골군이 실제병력보다 더 많은 병력이 있는거처럼 보이게한걸 당나라군도 한거 같습니다.
    당나라군이 수나라군이 얻은 교훈을 제대로 흡수해서 기존의 수나라군보다 더 강력한 군대가 된건 확실했고요.
    이세민은 본인과 본인의 아버지의 사초를 보고 실록을 자기 입맛에 알맞게 바꾼거로도 악명이 높습니다...

  • @joontaekpark
    @joontaekpark Рік тому +20

    저걸 이긴 고구려도 대단하지만... 그런 고구려가 내분으로 무너진것도 너무 안타깝죠... 반역자가 그만큼 해롭습니다.

  • @michaelsung297
    @michaelsung297 Рік тому +23

    기록이 엄청나게 부족한점, 주필산전투가 당의 일방적 대승이었다면 이후 안시성공략에 50여일이 지체된것, 이긴 군대가 이전과 다르게 요동방어진에서 안시성주변에 한정되는 군사작전만 펴는것(고구려 주력군 15만이 궤멸되었다면 안시성만 남은것이 아닌 현도성 백암성 비사성등 요동방어선의 몇몇 성을 점령한 상태니) 갑자기 이해할수없는 보급이 끊기거나 나타날수 없는 식량부족 등등 설명할수 없는 것들이 있죠, 물론 주필산전투는 분명 고구려의 패배지만..

    • @송현직-k9g
      @송현직-k9g Рік тому

      15만이 전투병력이 아닐수 있음.
      치장부대나 보급 합쳐서 15만 일수도요.
      수100만도 전부 전투병력은 아니었음

  • @dealiongoin6047
    @dealiongoin6047 Рік тому

    안시성전투만 화제된줄 알았는데 역시 양만춘장군님뿐만 아니라 대단한 장군들이 많네요

  • @houbird
    @houbird Рік тому +3

    당나라 군대라는 말은 정말 잘못된 말입니다 당시 세계최고의 군대였는데요 그 군대와 나라상대로 저만큼 버틴게 대단했죠

  • @worldhousing
    @worldhousing Рік тому +11

    저 고구려 요동 방어선은 광개토 대왕 말기에 짜놓은 거라거 어디서 봤는데, 광개토 대왕 스스로가 요동을 수십차례 순회 하면서 겪은 수많은 전투경험으로 촘촘한 대 중국 방어선이었다고 합니다. 기본 전략은 본문처럼 서로 끈끈하게 엮어진 네트워크로 대군을 막아서 지연전을 펼치면서 상대의 전투력을 갉아 먹는거 였죠. 고구려는 북쪽 말고 남쪽전선도 신경 써야 했기에 병력을 몰아서 운용하는데 상당히 애로사항이 많았기 때문일거라 추측합니다. 실제로 저때 신라군에 의해 한강유역을 상실합니다

    • @룰루랄라-q4p
      @룰루랄라-q4p Рік тому +1

      저 시기에 보이는 천리장성으로 대표되는 본격적인 요동 방어선은 수나라와의 전쟁 이후 만들어졌습니다. 애초에 천리장성 축조 시작했단 기록이 당나라가 세워진 이후예요.

    • @zichikichi
      @zichikichi Рік тому +1

      …? 한강 유역은 저 전쟁 훨씬 이전에 상살됐을텐데요?

  • @FireBear_불곰
    @FireBear_불곰 Рік тому +23

    주필산 전투에서 육화진법으로 고구려군을 격퇴했다고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상황을 보니 여러성을 점령했다고 해도 주요 거점을 점령 못해서 오히려, 보급로 차단과 이동 제한,시간 타임에 걸렸고 수군도 고구려 수군 막히면서 안시성으로 간 것 같아요.
    고당전쟁이나 나당전쟁에서 느낀 게 거점을 하나하나 뺏고 뺏기는 싸움이 되니깐 고구려가 오래 버틴 것 같고 신라가 최후의 승자가 된 것 같습니다.
    전격전처럼 했으면 고구려를 무너뜨릴수도 있겠지만 을지문덕 살수대첩 영향인지 그런, 전략과 전술을 못 쓰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 @skyclan
      @skyclan Рік тому +1

      전격전 했으면 근데 고구려 이겼을수도

    • @고등어자반
      @고등어자반 Рік тому +2

      @@skyclan 근데 수양제가 그거했다가 30만명 원큐에 갈려나가서 당태종도 섣불리 그걸 하지 못했죠. 걔도 사람인지라....

    • @tenal6643
      @tenal6643 Рік тому

      ​@@skyclan애초에 겁주면 알아서 길거라고 생각하고 친정을 나간 거라 진짜 피터지게 싸울 거라고는 생각 못했지 ㅋㅋㅋㅋ 고대시대에 구라라고 감안해도 100만을 끌고 평지성 하나에 발목 잡혔으니 ㅋㅋㅋㅋ

  • @이현승-w2i
    @이현승-w2i Рік тому +5

    664년은 당 고종 재위 기간인데 644의 오타인 것이지요?

  • @dlrjrkekfhdnj
    @dlrjrkekfhdnj Рік тому +2

    1:52 오오 새로운 연출

  • @BiBi_01
    @BiBi_01 Рік тому +2

    볼수록 아쉬운 고대국가 기록들......너무 적어서 뭐 어떻게 흘러간건지 알기 어렵다는 점...거의 추정일 뿐

  • @YoungukJo
    @YoungukJo Рік тому

    재밌당

  • @보둑이
    @보둑이 Рік тому +15

    폐하 안시성은 포위군대만 냅두고 단데 치면된다고요!
    ???: 아 빈틈 있으면 안된다고! 시끄러워!

    • @banana-milk
      @banana-milk Рік тому

      안시성:어림도 없는 소리

    • @drkw7918
      @drkw7918 Рік тому

      홍타이지: 그거 그렇게 하는거 아닌데 ㅎ

    •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Рік тому

      댓글들 웃기네 ㅋㅋㅋㅋㅋ

    • @고등어자반
      @고등어자반 Рік тому

      요동에 10만명이 쫒아오는데 전격전 한번 잘못했다가 한고조 꼴 날 수도 있는데요? ㅋㅋㅋ 실제로 고연수가 당태종한테 그냥 전격전 치죠? 하니까 장손무기가 뒤에 10만명 있는데 황제달고 전격전 감당됨? 시전해서 안시성으로 간거임

  • @장용사
    @장용사 Рік тому

    영화 안시성 보러 간거 떠오른다. 추억이네.

  • @루카치-u3m
    @루카치-u3m Рік тому +3

    영상 자막과 음성 싱크가 묘하게 맞질 않습니다.. 한 박자씩 자막이 먼저 나오고 소리가 나중에 나옵니다 ;
    재야역사 유튜버 청화수님에 따르면.. 안시성 전투의 진짜 영웅은 영상에 나온 고정의라고 합니다. 수성전을 할때 성벽만 무작정 지키기보다는 외부 별동대가 같이 적 포위를 들쑤셔야 더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진주 대첩 당시 성주인 김시민이 성을 지키고, 곽재우가 바깥에서 왜군을 괴롭혔듯이요. ua-cam.com/video/EpUhWZTZyZI/v-deo.html

    • @퍄퍄킴
      @퍄퍄킴  Рік тому +2

      음.. 앞에 2초를 지우려고 수정을 걸어놨는데, 아직 유튜브에서 진행 중이라 그런가보네요..

  • @BravoTwoZero04
    @BravoTwoZero04 Рік тому +1

    가자!!!!! 승리의 불꽃으로!!!!

  • @MNMNM1111
    @MNMNM1111 Рік тому +2

    황제까지 참여한 원정이다보니 본국에서도 여론이 안좋았을 것이라 봄니다.
    그래서 본국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가장 최근에 이긴 전투의 숫자를 조작해서 15만 대군과 싸워 이겼다는 언론 플레이를 한 것 같습니다.
    군대 만명을 움직이는 것도 엄청난 준비가 필요한데 15만명이나 되는 대규모 군대가 한꺼번에 움직인다는 것은 상당히 힘들죠.

  • @김봉두-x8d
    @김봉두-x8d Рік тому +1

    파파킴님도 그거 보셨군요. 양만춘은 실체가 모호한 인물이지만 고정의 활약을 주로 보셨네요

  • @TV-eh4tf
    @TV-eh4tf Рік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자막 싱크가 조금 느린 거 같네요.

  • @anidrummer8780
    @anidrummer8780 Рік тому +4

    이제 안시성 전투가 남았군....

  • @LML-ggg
    @LML-ggg Рік тому +1

    당나라 이정 장군이 만든 진법이 그 당시 새로 나온 진법인데 기병 상대로 꽤 막강한걸로 앎 당나라는 이정의 진법을 메인으로 삼았고 돌궐을 제압하는등 효과를 보았고 고구려 상대로도 꽤 효과를 본걸로 알고있음

  • @BAD25-37
    @BAD25-37 Рік тому +5

    이러고도 고구려가 전쟁에서 지지 않은게 더신기하네😮

  • @846SE-j3f
    @846SE-j3f Рік тому +1

    선생님들 이세민이 불 태운 다리를 다시 재건해서 보급로를 잇는게 더 정상적인 판단이 아니예요? 그다음 고구려 공략을 하면 시간에 쫒기지도 않고 차근차근 진도를 빼지 않았나 싶은데 역알못구독자인디 궁금해요.

    • @Propus-rk9pz
      @Propus-rk9pz 8 місяців тому

      후대에 역사서를 손 댄 부분이 많아, 제대로 파악하기 쉽지 않습니다.
      전쟁에서 승리한 당나라가 이 정도 대군을 다시 모아서,
      보급로를 길게 늘려가며 전쟁을 유지한 경험도 없고
      절도사를 통제하지 못해 나라가 흔들리는 걸 보면
      고구리와의 전쟁기록은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구리 점령 후 그 절도사에게 한참 동안 휘둘림)
      아마도 추측컨대, 고구리의 방어가 견고해 공성을 두려워하자
      당 태종이 어떤 방식으로든 분위기를 다시 잡고 성을 쳤다는 말 같습니다.
      저 대군이 보급로 없이 싸운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 @운성-x8s
    @운성-x8s Рік тому +7

    선비족의 당나라가 중화족들의 판도를 키워주고 천년 뒤 여진족의 청나라가 중화족의 판도를 최대로 키워줌. 결국 중국은 동북방 이민족들의 유입으로 그 국운이 급상승하는 패턴을 보임.

    • @qkdhrwifh1436
      @qkdhrwifh1436 Рік тому +1

      그냥 말도안되는 소리임

    • @LEOmess1realGOAT
      @LEOmess1realGOAT Рік тому

      문제는 이민족들이 지배할때마다 땅은 넓어질지언정 퇴화함
      당나라 선비족들은 애초에 몇세대나 거쳐 이미 한족화 되어있어서 이민족이라 보는게 멍소리임 지들도 자신이 한족이라고 알고있는 사람들이 대다수 당황제가 스스로 중국 최고 명문가중 하나인 홍농 이씨릉 표방했기도 하고 이게 한족이 아니면 제주도 사람들도 한민족이 아님
      남송 때 까지만해도 추정 1인당 GDP가 유럽 최상위 북이탈리아(밀라노 등지)에 준했음 인구 생각하면 전세계에서 가장 압도적으로 잘사는 거임 로마가 분열된거 와 다르게 균현제와 정치체제는 중국이 압도적이였고 철강생산량,석탄생산량 등등이 대영제국 전성기에 필적했음
      근데 몽골이 지배하자마자 생산량이 나락가고 중국의 당시에는 우월했던 중앙집권화 정치체제가 몰락해서 유럽처럼 봉건제로 돌아가고
      명나라 때 다시 화약무기로 무장해서 세걔 최초 희망봉으로 가고 스페인 포르투갈 함대를 패버리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1인당 GDP 프랑스 정도 인구 생각하면 잘산다고 볼만한데
      다시 청나라 때 1인당 GdP몰락 화병기 퇴화 오히려 명나라때 보다 화포,화승총이 기술력이 더떨어짐

    • @전도사-j6x
      @전도사-j6x Рік тому +2

      걍 혐중유사역사수준 논리 ㅋㅋ

    • @princ2024
      @princ2024 5 місяців тому

      李世民的祖母是鲜卑人,他只有1/4的鲜卑血统,另外只要你多读书就知道鲜卑人是多么积极想要融入中国汉族。

    • @princ2024
      @princ2024 5 місяців тому

      毛泽东收回新疆、西藏和满洲都不是一帆风顺都是靠战斗取得控制,不像南朝鲜人等着盟国解放,依靠美军抵挡北朝鲜,还妄想窥视中国的领土,这不知道你们那里来的自信可怜

  • @송현직-k9g
    @송현직-k9g Рік тому +1

    당3만은 순수 전투병력만
    고구려15만은 보급,치장 등등 다 포함.
    원래 이런식으로 기록함.
    거짓말은 안하고 전과를 뻥튀기 할수 있음
    노획물자들 어마무시 한거 보면 보급부대 개털린거 같음

  • @sean7082
    @sean7082 Рік тому

    양만춘은 그저 빛!!!

  • @hoyoungjung9768
    @hoyoungjung9768 Рік тому

    그래서, ㅎㅎㅎ 이덕화 형님은 언제 등장하시려나..

  • @ku11min
    @ku11min Рік тому +1

    고구려 땅을 유지해서 통일을 이룩했어야 했는데... 아쉬워~

  • @skyblood99
    @skyblood99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보다보면 지도가 점점 넓어지는 상황
    계속 밀리고 있다는 거네
    연출 쩌는데

  • @콤달-p5q
    @콤달-p5q Рік тому

    2:05 마크로 나타내면 왼쪽에 사슬 갑옷, 가운데 네더라이트 갑옷, 오른 철.갑

  • @arch9475
    @arch9475 Рік тому +4

    처음 664년이 아니라 644년 아닌가요 ?

    • @퍄퍄킴
      @퍄퍄킴  Рік тому +1

      네 영상 오류가 맞습니다. 잘라버리는 중 ㅠㅠ

  • @잘랄웃딘멩구베르디
    @잘랄웃딘멩구베르디 Рік тому +18

    냥개소문 시무룩한거 웃기네요 ㅋㅋ

  • @강태우-v2s
    @강태우-v2s Рік тому

    2분전은 못 참지!

  • @강철룡-e7p
    @강철룡-e7p Рік тому +1

    오홍, 슬슬 명장 양만춘 장군 등장이겠군요.

  • @chonryong
    @chonryong Рік тому

    주필산에 있던 병력이 안시성에 크게 합류해 안시성을 이기지 않았을까요

  • @6단수동
    @6단수동 Рік тому

    대흥안령산맥 옛이름이 천산산맥인가요?? 지금의 천산산맥은 위구르자치구, 키르키즈, 우즈벡, 카자흐 접경지대에 있는 산맥으로 아는데ㅎㅎ

  • @04captain5
    @04captain5 Рік тому +4

    주필산전투에 대해 연구자마다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말씀해주시면 좋았을 듯 하네요.

  • @alanshore4528
    @alanshore4528 Рік тому

    피가 끓는구나

  • @naload12
    @naload12 6 місяців тому

    안시성전투의 핵심은 고정의다

  • @skyclan
    @skyclan Рік тому

    안시성 전투랑 연개소문이 직접 나서는 전투도 기대기대

  • @나꼬마-u5o
    @나꼬마-u5o Рік тому +1

    주필산 전투에서 당나라가 승리한 전투인데 피해가 만만치 않아서 장수 몇 명 처벌받은 걸로 아는데…

    • @Joel-ux6bn
      @Joel-ux6bn Рік тому

      일단 고구려가 선공을 가했고, 적을 패퇴시키지 못했으니 당나라의 방어 승이지요. 근데 이겼지만 더이상 진군하며 다방면으로 공세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린 것으로 보입니다.그래서 안시성에 집착을 하게되는 계기가…
      고구려의 뼈아픈 패배죠. 저정도로 유인책에 걸려 얻어맞을 정도면 상당히 자신이 있었단 것이고, 아마 충격을 크게 먹었을 겁니다.
      당태종의 군사적 재능을 볼 수 있는 대목이랄까.. 근데 당태종도 적잖이 충격을 많이 먹었을 것으로 사료 됩니다.
      그래서 아마 안시성 포위까지 시간이 많이 걸렸을지도 모릅니다… 서로 “좀 치네” 를 깨닳았고.. 서로 수습할 시간이 많이 필요 했었을 거구

    • @볼트-x7p
      @볼트-x7p Рік тому

      그래도 목숨은 살려준걸로알음

  • @양은정-y7m
    @양은정-y7m Рік тому

    근래 연구 논문중에는 저 15만이란 수 자체가 과장이라는 이야기도 있긴하던데 최근 고구려 백제 인구 추정치에 대해서 백제는 100만 내외 고구려도 이와 비슷하다 라는 골자로 15만 이상의 동원이 어렵다 라는 이야기인데 그렇게 따지게 되면 어느정도 주필산 전투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듯함
    주필신 전투에 대해 6만 정도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 대외 원정시 병력이 아닌점을 감안해도 그 정도 수가 적당하다 생각
    고대 보급의 한계로 보통 3만명 이상의 규모를 한번에 전선 투입이 어렵기 때문에 당태종의 주필산 본대는 나눠져 있다 감안하면 당 태종이 떨며 무서워 했다라는 기록도 일치함

    • @user-se-19x
      @user-se-19x 7 місяців тому

      고구려 76만호 350만 인구설이 제일 유력한걸로 알고있었는데 기록마다 진짜 천차만별인가보네요 ㄷㄷㄷ

  • @Петроград-й2щ
    @Петроград-й2щ Рік тому

    고구려 성들이 그물망처럼 이어져있다는게 크고 작은 성들이 서로 가깝고 촘촘하게 있어서 그런거임? 아니면 따로 설비가 있어서 그런거임?

  • @Metalvirus_June
    @Metalvirus_June 6 місяців тому

    포로로 두면
    식량난 때문에
    풀어줬을수도...

  • @ymj2934
    @ymj2934 Рік тому

    고구려 병사들은 정말 용맹했네

  • @드키무티
    @드키무티 Рік тому

    1:53 창돌이하는 고양이손 귀엽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우사-s2q
    @우사-s2q Рік тому +27

    여기서 고구려가 15만 동원해서 진 거랑 고려 때 강조가 거란 막겠다고 30만 동원해서 진 거 둘 다 미스터리 합니다...

    • @권학수-w2n
      @권학수-w2n Рік тому +13

      원래 성벽에서 싸우면 병력 3~5배 많아도 힘들고 평지에서 싸우면 기세에서 밀리면 다 도망감

    •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Рік тому +5

      강조의 30만도 전사자는 3만가량이고 나머지는 성이나 요새에 들어가 항전을 계속함

    • @seongmin663
      @seongmin663 Рік тому +15

      둘 다 오판 때문에 그럼
      주필산 전투도 당나라가 판단을 제대로 한 반면 고구려는 병력 우세를 믿고 그대로 산으로 닥돌한거

    • @김도현-d2g
      @김도현-d2g Рік тому +5

      30만은 모랄빵나서 와해된거지 거기서 다 죽은게 아님

    • @poi282
      @poi282 Рік тому +1

      미스터리까진아니고 고려는 조선과달리 중앙집권적국가가아닌호족국가였고
      강조는 전왕을 죽이고 권력을 잡은사람이었음
      그래서 휘하장수들의 불신도 있었다고 하지만 자세한건 몰루?

  • @연리미-v3b
    @연리미-v3b Рік тому

    생대보다 적은 병력으로. 많은 병력을
    포위하는 전술 알렉산더 대왕이. 선보인적이있죠

  • @pureum3919
    @pureum3919 Рік тому +2

    손대음 같은 배신자는 정말 없어져야 하는데 ㅠㅠ

  • @고연수-g6p
    @고연수-g6p Рік тому

    1차고당전쟁만 놓고 본다면, 수양제는 한반도 진입이라도 했지만 당태종은 요동방어선 내에서 컷 당한 지라 과연 수나라 때 보다 성과가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 @Create.CatMomMeateBall
      @Create.CatMomMeateBall Рік тому +2

      수나라때보다 내치가 훨씬 안정적이여서 계속 전쟁 유지할수있다는 점에서
      저 정도 진행도면 고구려한테 엄청난부담감이죠 결론적으로 고구려는 말라죽어서 내부분열로 멸망

    • @고등어자반
      @고등어자반 Рік тому

      성과라 하면 그래도 병력을 많이 갉아먹긴 했죠. 고당전쟁만큼 고구려가 회전에서 그렇게 처참하게 깨진 적이 없어서.... 1차2차 고당 전쟁은 대체로 당나라가 대가리 깨고 다닌 반면에 수나라는 아무것도 못하고 30만명이 원큐에 증발하던 기적을 보여줬으니 그래도 당나라가 좀 더 성과가 있지 않았을까요?

    • @princ2024
      @princ2024 5 місяців тому

      ​@@고등어자반 高句丽是中国的地方政权,国土在中国、国王贵族平民都发配中国内地,它南朝鲜和高句丽有什么关系?

  • @Knowledge_Navigation
    @Knowledge_Navigation Рік тому +8

    진짜 자칫하면 이 때 고구려가 멸망할수도 있었네요

  • @JKJK-h2s7d
    @JKJK-h2s7d Рік тому

    소리 싱크가 안 맞아요

  • @user-bf4lt9zi9u
    @user-bf4lt9zi9u Рік тому +2

    그와중에 당나라 군대가 먹는 음식 계란볶음밥이네. 폭격기로 폭격 마렵네.

  • @llllIIlIllIllllIIllI
    @llllIIlIllIllllIIllI Рік тому +19

    주필산 전투 기록은 너무 왜곡 되어 있습니다. 당나라 기록에 의존해야 하는 이상한 전투가 주필산 전투입니다. 그리고 주필산 전투는 기록도 한문장으로만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기록이 없어요. 나라간에 역사적인 전면전 전투인데도 기록이 없습니다. 기록이 없기 때문에 해석이 다양합니다. 주필산 전투에서 당태종이 오히려 고구려군에게 포위되어 전멸위기에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태종이 죽기 직전에 계필하력의 지원으로 오히려 고구려가 포위되어 전멸했다고 합니다. 암튼 주필산전투는 고구려가 패배했지만 정확한 기록이 없고 의문이 많은 전투중 하나입니다.

    • @SKCCP
      @SKCCP Рік тому +5

      결론은 고구려가 15만대군을 한번에 탈탈 털린 대패였습니다. 15만 대군이면 현재 한국군에 현역 전력 1/4인데 그 1/4에 한국군 알짜배기 전력 포함한 전력입니다. 특히 고구려 한테 치명적인게 저 15만 병력이 전체 고구려 전력중 최정예 + 전체 전력에 과반수 이상 이었다는것 입니다. 당군이 30만을 털려도 감당 되지만 고구려군은 5만만 털려도 감당이 안되던 체력이었습니다.

    • @엔터프라이즈1
      @엔터프라이즈1 Рік тому +2

      ​@@SKCCP근데 이전투로 고구려 야전군이 전멸 내지는 그에 준하는 타격을 입었다기엔 그 당태종이 평양성 직공을 안하고 안시성으로 간 이유가 고구려 야전군 때문이라

    • @hiiihiihhi
      @hiiihiihhi Рік тому +1

      ⁠@@SKCCP아니 저 당시에 15만이 저기서 전멸했으면 고구려는 즉시 멸망이죠. 당장 대한민국도 저런 전투로 15만 전멸하면 국가존폐가 흔들릴텐데요

    • @안마냥
      @안마냥 Рік тому

      ​@@hiiihiihhi뭔 헛소리지 ㅋㅋㅋ 적은 숫자는 아니지만 한국 존폐가 흔들려?ㅋㅋㅋ

    • @내안에하늘과숲과슬기
      @내안에하늘과숲과슬기 Рік тому

      @@SKCCP 이새낀 영상을 똥으로 봣나ㅋㅋ 15만 죽엇으면 걍 멸망임

  • @정찬혁-u3z
    @정찬혁-u3z Рік тому

    뭔가 음성이랑 영상 싱크가 조금 밀린거같은데...

  • @메시-d9b
    @메시-d9b Рік тому +1

    이시기 전후로 이세민이 몇만명가지고 정명진 설만철같은 장수들 시켜서 게릴라전으로 고구려의 힘을빼버림... 그리고 1차 고당전쟁 직후 고구려의 전선이 요동에서 확밀려버려서 압록강 평양일대로 밀려버림...

  • @가시나무-k7i
    @가시나무-k7i Рік тому

    구당서든 신당서는 이해할수 없는 기록이니까
    주필산 전투는 뒷부분이 생략된 전초전에 불과합니다.
    북부욕살 고연수가 15만군대의 총책임자일까?
    아니면 고구려 왕이랑 권력을 양분하던 대대로 고정의가 총책임자일까?

  • @ELBUG-ku1iq
    @ELBUG-ku1iq Рік тому +1

    고구려가 이후 당나라 상대로 야전으로는 싸우지 않고 수성전만 했으니 일단 고구려가 좀 크게 진건 맞는거같음

  • @킹세종-u3f
    @킹세종-u3f Рік тому +2

    주필산에서 패배한건 맞는데 15만이 전멸한게 아니라 그냥 어느정도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고 보는게 맞음 저기서 15만이 전멸했으면 고구려는 그때 멸망했음

  • @Tweet_Boss
    @Tweet_Boss Рік тому

    고구려와 백제가 난 좋아~

  • @실버선장-q4r
    @실버선장-q4r Рік тому +1

    병력수에 대해서는 신빙성이많이 떨어집니다. 같은지역 천년후 후금이 사르후전투에 총동원했던 팔기 병력이 3만이 조금 넘은 정도였으니. 당시 고구려 인구를 백에서 백오십만 정도로 보는데 1/10이 투입됐다는것도 그렇고.
    당의 기록이 전과를 뻥튀기를 과하게 한듯합니다.

  • @Ulleun
    @Ulleun Рік тому +5

    안시성 전투가 굉장한 전투임에는 분명함. 하지만 당나라의 멍청함과 자존심 때문에 현재 우리가 더더욱 안시성 전투를 극적인 전투로 생각하게 된 이유가 주필산 전투때문이 맞음 ㅋ. 진짜 개소리도 저런 개소리가 따로 없음
    상식적으로 당시 고구려 추정 인구가 7~8백만인데, 한번의 전투로 순수하게 군인 15만이 갈렸다?? 사실상 회복 불가능한 수준임ㅇㅇ. 당시 고구려 인구 규모로 봤을 때 전체 인구 중 2%가 전투 한방에 사라진거임. 2%가 별거 아닌거 같아도 당시 고구려에서 실질적으로 군인으로 싸울 수 있는 남성과 그 연령대를 생각하게 되면 인구그래프 싱크홀나는 수준임. 심지어 저 때는 농사와 가축 키우고 기르는 인구가 상당할 것으로 고려를 해야되기 때문에 더더욱 심할거고
    현재 우리나라 상황으로 생각하면 저 주필산 전투가 얼마나 개소리인지 더더욱 분명해짐. 현재 우리나라 인구가 약 5155만명인데, 예비군 제외하고 군인 수가 55만정도. 인구대비로 보면 1%임. 주필산 전투의 양상을 현재 우리나라가 전쟁 중이라는 가정하에 보면, 전투 한방에 우리나라 총 군인 수의 2배 수준인 110만명 군인이 한번에 증발됐다 ? ㅋ 아무리 우리나라 예비군이 빵빵하고 잣이고 작살나는거임
    + 주필산 전투 기록이 전부 맞다고 치면, 고구려 멸망 원인이 내분이 아니라 주필산 전투 때문임 ㄹㅇ ㅋㅋㅋㅋㅋㅋ

    • @Create.CatMomMeateBall
      @Create.CatMomMeateBall Рік тому

      ㅋㅋㅋㅋㅋㅋ ㄹㅇ
      항상 15만이라 주장하면
      의심부터 들긴 함
      아마 대승한걸 당측에서 부풀린 느낌임
      역사는 승자에 의해 쓰이는거니깐

    • @Kjhsoocof
      @Kjhsoocof 9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15만이라는 숫자는 말이 안 됨 ㅋㅋ 조정에서 대당전선 방어하라고 15만 정도의 병력을 보냈는데, 그 병력 중의 일부가 주필산 전투에서 패배했다고 보는게 유력함

  • @joe-qw5rv
    @joe-qw5rv Рік тому

    오 돌발이~~~

  • @skipperenterprise2286
    @skipperenterprise2286 Рік тому +2

    고구려 멸망할 때도 전력은 거의 다 남아있었다고 ㅋㅋㅋㅋ
    고구려 내분 아니었으면 감히 도모할 수 없던 중원인들

    • @qkdhrwifh1436
      @qkdhrwifh1436 Рік тому +2

      요동방어선 돌파당하고 압록강에서 야전군도 전멸한상황에서 수도포위당했는데 무슨 전력이남음? ㅋㅋ

    • @johnpark9523
      @johnpark9523 Рік тому

      ​@@qkdhrwifh1436연남생이 영토가지고 갖다바치고 길잡이노릇해서 방어선이 압록강까지 뚫린거지 그전에 연개소문 살아있을때만 해도 당군은 계속 박살났어. 내분아니었으면 도저히 멸망할 상황 아니야. 주서들은거가지고 아는척말고 공부좀하고 댓글달아 찐아

    • @johnpark9523
      @johnpark9523 Рік тому +1

      ​@@qkdhrwifh1436고구려멸망이후에도 수십개의 주요성들이항전했고 30년만에 대조영에의해 고려(발해)가 재건국되었어. 가용병력이 전멸했으면 이게 가능했겠냐 어?

    • @erchany
      @erchany 4 місяці тому

      @@qkdhrwifh1436 바쿠ㅣ ㅎ2

  • @탱크집막내아들
    @탱크집막내아들 Рік тому

    야옹이귀여워 ㅠㅠ

  • @charming_man123
    @charming_man123 Рік тому +1

    사실상 당태종의 패배라고 봐야지 ....

  • @jung8711
    @jung8711 Рік тому

    대대로 고정의 2년 전 청화수 역사채널에서 안시성주가 양만춘이 아니고 고정의라고 추정하는 내용있으니 참고바람

  • @재은-p3b
    @재은-p3b Рік тому

    왜 당태종이 본인의 중부 보급로를 파괴했는지 알려줄 수 았나요?

  • @호로록-s7v
    @호로록-s7v Рік тому +1

    고연수등 앞질러간 3~5만정도가 포로된거고 나머지는 후퇴할걸로 봐야함..

  • @용기병-t6y
    @용기병-t6y Рік тому +2

    고구려의 인구수가 15만의 군이 전멸하고도 막을 병력이 있었을까.. 이거 중국의 과대포장인거 같은데

    • @김영훈-h4c6m
      @김영훈-h4c6m Рік тому

      반대로 고구려가 생각보다 더큰 국가였습니다

    • @Kjhsoocof
      @Kjhsoocof Рік тому +2

      말이 안 됨 ㅋㅋ 15만 전멸하면은 그대로 끝이고 그만한 병력을 전투 하나에 내보낸다라... ㅋㅋ

    • @가시나무-k7i
      @가시나무-k7i Рік тому

      구당서 신당서의 사로잡은 병력이 뻥카거나 고구려군의 규모가 뻥카거나 그런거임
      좀 생각해보면 이세mini가 기록에 따라 다르지만 포로로 3만 사망 2만에서 15만 전부를 포로로 잡았다는데
      3만을 잡고 2만을죽였으면 나머지 10만은 안 잡힌거고 15만을 잡았으면 15만한테 밥은 어케 먹임? 3만명포로도 밥을 주냐 마냐 소리 나올것 같은데
      이후 기록에 나오는 고구려 10만군대도 설명이 안 됨 고구려군이 야전군 25만을 투입하고도 각 성에 주둔군까지?
      고구려 총병력 한 30~40만 된다는 소리인데 이정도면 고당전쟁에서 당나라군대랑 대등한 수준임

    • @mochacream57
      @mochacream57 Рік тому

      ​​​​​​​@@Kjhsoocof성 쳐들어오는데까지 한달인가 걸림. 시간이 많이 지연된걸로 봐서 승리는 했으나 남은 고구려군의 방해로 계획이 지연됬다고 보는게 맞음.당태종이 두려워했다는 기록도 있으니
      함정을 파두고 15만을 패배시켜서 한 2만 죽이고 3만 포로로 잡고 나머지 고구려군은 항전하다가 안시성에 합류했다고 보는게 합리적 추론. 그리고 15만이 불가한건 아닌게 그게 고구려 전체 동원 병력의 대부분일 것이고 정예군만 있는게 아니라 농민군까지 포함이겠죠. 상대가 상대인만큼 국가 존망 위기인데 남자 싹 긁어모아는건 이상한게 아님

    • @용기병-t6y
      @용기병-t6y Рік тому

      ​​​​​​@@김영훈-h4c6m 아무리 커봐야 당시 고구려 인구를 긍정적으로 봐도 300에서 400만인데 노인, 여성, 아이를 제외해야 하고 냉병기이다 보니 현대처럼 훈련기간이 짧은것도 아닌데 15만이 전멸?
      5천만 한국의 상비군이 50만이고 예비군이 230만인걸 생각했을때 저 15만은 정예병일텐데 걔네 다 죽고 패잔병들 모아서 어떻게 막지?
      심지어 양반들은 군대 안가고 노비도 군사훈련 못받는데...?

  • @해바라기남
    @해바라기남 Рік тому +2

    상식적으로 전쟁이 끝난것도 아닌데 일반 병력도 아니고 전투력이 좋은 장수들을 풀어준다? 아무리 봐도 구라로 쓴듯

    • @풀바트
      @풀바트 Рік тому

      지휘관급들은 전부 본국으로 끌고가고 병사들만 풀어줌. 당시 사회구조상 호족, 귀족의 사병 집단이나 지역 민병들일 그들이 무장만 준다고 당장 전력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미국 남북 전쟁에서조차 지역별로 모은 연대들이 결원이 생기든 말든 다른 지역 연대들끼리 섞이는 걸 거부해서 병력 관리에 애를 먹는 모습이 나타남. 설령 같은 지역 출신의 부대가 있어도 패잔병의 낮은 사기와 패배주의가 다른 병사들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문제가 남음.

  • @영상편집연습-l7q
    @영상편집연습-l7q Рік тому

    좀 해설이 내용보다 빠르지 않나요?

  • @노먼-y3b
    @노먼-y3b Рік тому +1

    우리나라는 매번 내분으로 망하고 규합해서 다시세워짐 ㅋㅋ 이거 반만년 반복인듯

    • @UHAHA56
      @UHAHA56 Рік тому +3

      안 그런 나라가 있나

    • @12coom
      @12coom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한국역사가 반만년이 안되는데 무슨.

  • @건의사항012
    @건의사항012 Рік тому

    군무원의 역사역할이야기해주세요 59트

  • @연성빈-u8p
    @연성빈-u8p Рік тому

    근대 고구려병력이 과장이라고 생각되는게 고구려병력이 15만이면 고구려 전병력이라해도 과언이 아닌데 당시 쿠데타를 일으켜서 내부적으로 불안전한데 연개소문이 직접나선것도 아니고 부하들을 보내서 그랬다는거자체가 이해가되지않음(연개소문이 나중에 사수대첩한거보면 군사적능력이 없는것도 아닌거같고)물론 15만이 과장이라는거지 고구려주력병력이라는것에는 의견은 없습니가

  • @hwashin1888
    @hwashin1888 Рік тому

    요동성 위치가 저기가 아닌데…

  • @BigRussianGrizzly
    @BigRussianGrizzly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거 라노벨에서 나오는 포위섬멸진인가 뭔가 하는 그거 아니냐 ㅋㅋ

  • @겨울-w1l
    @겨울-w1l Рік тому +1

    말갈병들만 따로 학살한 이유가 말갈인들이 고구려편을 들지 못하게 고구려는 살려주고 말갈인은 살려줌으로 이간질한게 아닐까 싶은데요

    • @JH-ek5bn
      @JH-ek5bn Рік тому

      말갈족보고 줄 제대로 타란 뜻이에요

    • @alsid_
      @alsid_ Рік тому

      고구려는 살려주고 말갈인은... 살려줬어요?
      그보다 말갈인도 살려주면 그 문장의 다른 부분들이 의미가 없어지는데요…

    • @Create.CatMomMeateBall
      @Create.CatMomMeateBall Рік тому

      어차피 고구려는 쟁대상이라
      말갈인들만 죽임으로써
      선택잘하면 너넨 치진 않겠다
      메시지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