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여행 | 행성과 위성들의 생생한 입체 영상과 이미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우리의 태양계는 8개의 행성, 200개 이상의 위성, 수많은 혜성, 소행성 및 우주 암석, 얼음, 그리고 명왕성과 같은 몇 개의 왜행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8개의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및 해왕성입니다. 수성이 태양에 가장 가깝고 해왕성이 가장 멉니다.
    행성, 소행성 및 혜성은 우리 태양을 공전합니다. 타원형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돌죠.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1년이 걸리면 수성은 88일, 가장 유명한 왜행성인 명왕성은 248년이 걸립니다.
    행성에는 위성도 있습니다. 현재 목성의 위성은 67개이고 수성과 금성은 없습니다. 물론 지구에는 하나가 있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입니다.
    이전 영상에 이미지와 설명을 더해 업그레이드한 버전입니다.
    Credits:
    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Jupiter)
    NASA/JPL/Space Science Institute (Saturn)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Mercury)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Venus, Mars)
    태양계는 45억년 전에 형성되었습니다.
    은하 중심을 시속 20만 km로 2억 5천만년에 한 번 공전합니다.
    8개의 행성과 200개가 넘는 위성 그리고 몇 개의 왜행성을 비롯하여 수많은 혜성과 소행성이 있죠.
    8개의 행성은 암석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4개와
    가스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4개입니다.
    태양은 태양계 질량의 99.86%를 차지할 정도로 크고 무겁습니다.
    거의 수소와 헬륨이고, 산소나 철같은 무거운 원소는 2% 미만이죠.
    핵에서는 1초마다 62억 톤의 수소가 융합되어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수성은 가장 작고 가벼운 행성입니다.
    수성의 하루는 59일인데, 수성의 1년은 88일에 불과해 기온이 급격히 변하죠.
    수성에는 대기가 없고 위성도 없습니다.
    금성은 밝고 아주 뜨거운 행성입니다.
    표면온도는 467도나 되는데, 두터운 대기에서 비롯된 온실효과 때문이죠.
    금성에도 위성은 없습니다.
    우리가 사는 푸른 행성 지구입니다.
    물이 액체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이 넘치는 행성이죠.
    그리고 달도 하나 있습니다.
    화성은 태양계 행성 중에서 두번째로 작습니다.
    대기압은 지구의 1% 수준이며 중력은 38% 정도입니다.
    올림푸스산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산이죠.
    에베레스트보다 세 배는 더 높습니다.
    화성에는 작은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 두 개가 있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는 소행성대가 있습니다.
    소행성대에서 가장 잘 알려진 건 세레스죠.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행성입니다.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죠.
    대적점은 거대한 폭풍인데, 크기가 지구의 3배에 달합니다.
    그리고 목성에는 67개나 되는 위성이 있습니다.
    토성은 행성 중에서 두번째로 크고 밀도는 가장 낮습니다.
    거대한 고리 덕분에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죠.
    토성의 위성은 62개입니다.
    천왕성은 행성 중에서 세 번째로 크며 지구의 4배 정도 됩니다.
    행성 중에서 가장 추우며 기온은 대략 -215°C입니다.
    천왕성은 특이하게 자전축이 옆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천왕성의 위성은 27개입니다.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은 천왕성과 비슷합니다.
    태양에서 아주 멀어서 해왕성의 1년은 지구의 165년과 같습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빠른 바람이 관측됐는데 시속 2,100km 정도였습니다.
    해왕성의 위성은 14개입니다.
    태양계 외곽에는 카이퍼대가 있습니다.
    카이퍼대에서는 명왕성과 마케마케, 그리고 하우메아가 유명합니다.
    명왕성은 예전에 행성이었지만 새로운 기준에 따라 지금은 왜행성입니다.
    지구 크기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으며 명왕성의 1년은 248년입니다.
    얇고 희박한 대기가 있으며 표면의 98% 이상을 질소 얼음이 뒤덮고 있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91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16

    영상 설명에 나오는 행성의 데이터는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반올림 등 간략화한 수치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user-ssolpleromance
      @user-ssolpleromance 3 роки тому +2

      금성 직경이 잘못된거 같아요-!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2

      금성의 지름이 2만 4천 km로 잘못기재되었습니다. 금성의 지름은 1만 2100km입니다. 감사합니다.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1

      금성 지름이 실수로 두 배로 표기되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okedh
      @okedh 3 роки тому

      티테일이 좋고 태양계 지도가 아주 디테일 해요!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1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ylang445
    @ylang445 2 роки тому +23

    태양계 행성
    0:49 태양
    1:13 수성
    1:41 금성
    2:10 지구
    2:51 화성
    4:15 목성
    5:39 토성
    6:12 천왕성
    6:46 해왕성

  • @mamashin615
    @mamashin615 2 роки тому +7

    5살 남자아이가 요즘 제일 좋아하는 영상이예요. 자기 전에 꼭 봐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D-ef7ej
    @MD-ef7ej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녕하세요 ! 현재 만 5세 17명의 유아들과 우주에 대해 알아가고있는 교사입니다. 영상을 보며 유아들이 너무 흥미로워하고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특히 영상에 담겨있는 사진 자료들이 역동적이고 화질이 좋아 유아들이 행성끼리 비교하며 탐구합니다. 혹시 가능하시다면 영상에 사용된 사진자료를 받을 수 있을까요 ? 🙏 아이들과 학습의 목적으로만 사용하겠습니다.

  • @kumaaaku
    @kumaaaku 3 роки тому +7

    영상 퀄리티들이 너무 좋고 엄청 재미있어서 다 봤어요 ㅠ!!! 최고예요!!!!!!

  • @san32song
    @san32song 3 місяці тому

    행성에대해 이유을 자세히 할게되어서좋았고 자료가 많아서 좋았어요.

  • @김지은-m6r
    @김지은-m6r 2 роки тому +1

    이런재밌는영상감사합니당

  • @샍즈요리사
    @샍즈요리사 Рік тому

    제가 태양계의 PPT를 만들고 이었는데 이 영상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정말 감사합니다

  • @김형태-f9i
    @김형태-f9i Рік тому

    정보 넘치는 영상 감사합니다! 😎사진 연상도 너무 손에 잡힐 듯
    선명하고 생생하네요! 그런데 포보스, 데이모스는 위성이죠? ^^
    ...이 영상 보고 나 좀 똑똑해진 듯?!

  • @olive1334
    @olive1334 3 роки тому +5

    태양계 정리 끝판영상이네요~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이전 영상에 자료를 보강해서 만들었는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rz-zy6fx
    @rz-zy6fx Рік тому

    영상이 너무 좋습니다! 혹시 이 영상을 강원도 초등학교 교육을 위해 정부사업으로 만드는 메타버스의 오프닝으로 일부 사용하기 위해 발췌하는 게 가능할지요?

  • @구누세요
    @구누세요 2 роки тому +2

    멋져요!

  • @박영순-o1o
    @박영순-o1o Рік тому +1

    ❤❤❤❤

  • @inhyeyuaas4746
    @inhyeyuaas4746 Місяць тому

    재미있어요

  • @쿼크입자
    @쿼크입자 3 роки тому +7

    잠이 솔솔 오는 영상이당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1

      낮에도 많이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

  • @밤안개-p5v
    @밤안개-p5v 3 роки тому +2

    나사의 자료를 참고하셨는데 더 많은 영상 기대합니다.
    저는 영어에 좀 약해요. ^.~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활동을 활발하게 못하고 있는데 차츰 준비해 보겠습니다.

  • @김부장-t1w
    @김부장-t1w 2 роки тому +1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
    지구
    태양
    천왕성
    해왕성

  • @뿌드드득추득
    @뿌드드득추득 Рік тому

    중 2 시험생인데 감사합니다😂

  • @Melshima
    @Melshima Рік тому

    해왕성 색깔 파스텔톤 같아서 예쁘다❤

  • @jooamin86
    @jooamin86 3 роки тому +18

    어떻게 기체행성인 목성이 제일 무거울수가 있지

    • @주주-m4f
      @주주-m4f 2 роки тому

      부피 질량 어쩌구 뭐시기 그거 아녜유?

    • @유튜-c5w
      @유튜-c5w Рік тому

      기체 가스를 제외한다면 태양계에서 지구가 가장 질량이 무겁습니다.

    • @사람-d5y6k
      @사람-d5y6k Рік тому

      ​@@유튜-c5w 지구>수성>금성>화성>명왕성>해왕성>태양>목성>천왕성>토성 순으로 밀도가 차이납니다.

    • @남아프리카황토흙
      @남아프리카황토흙 Рік тому

      존나 커서?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구름으로 가득차있지만 그 가스의 양이 워낙 많다보니 지구형 행성보다 더 무겁긴 합니다

  • @권혁준-b1v
    @권혁준-b1v 2 роки тому

    수성은 공기가 없는 것도 큰 일교차 원인이래요 금성은 이산화탄소 때문에 뜨겁데요 화성도 대기가 약간 있죠

  • @tv-ed8pv
    @tv-ed8pv Рік тому

    제 아들이 요즘 행성을 좋아해서 행성을 직접 그리기도 해요

  • @밤안개-p5v
    @밤안개-p5v 3 роки тому +1

    제가 원하던 자료.
    감사합니다.

  • @jjsa1116
    @jjsa1116 2 роки тому +1

    올림푸스산이 정말 태양계에서 가장 큰 산인가요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요 저에게 있는 산이에요 영상에서 말한것처럼 에베레스트보다 3배 더 높습니다

  • @김윤종-y5s
    @김윤종-y5s 3 роки тому +2

    혹시 이영상을 공공장소에 상시 송출하여도 될까요??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3

      영상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튜브 영상은 공공장소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다만 공공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광고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영상을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것은 유튜브 약관에 따라 가능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금-i8j
    @금-i8j 2 роки тому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가스행성 맞아요?

  • @인생은독거인
    @인생은독거인 Рік тому

    어떻게 거대한 행성들이 공중에 떠 있지요?

    • @박건후치는피아노
      @박건후치는피아노 9 місяців тому

      아마도태양에중력이강하니까떠있을걸요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우주에는 인력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 @문대성-l7w
    @문대성-l7w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저기요, 명왕성의 위성 이름은 샤원이 아니라 카론입니다.

  • @VAMOS-k9x
    @VAMOS-k9x Рік тому

  • @mmll10684
    @mmll10684 Рік тому

    좋아하는 행성
    1위 지구
    2위 해왕성
    3위 토성
    4위 금성
    5위 천왕성
    6위 명왕성
    7위 수성
    8위 목성
    9위 화성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왜 내가 9위지?

  • @diallooumou1558
    @diallooumou1558 Рік тому

    오림푸수가 에베레스트보다 3배나 크다고?? 너무 대담하시네요 ㅎㅎ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대단하죠?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천왕성보다 해왕성이 더 춥습니다

  • @p0rsche2400
    @p0rsche2400 2 роки тому

    “포브스 선정 : 포보스 생물체 들이 가장 좋아하는 영상 1위“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 사실 포보스는 내 위성임

  • @luip7927
    @luip7927 Рік тому

    그이유는기제지만목성이가작마는제노가드너이자아요?!그네서목성이가작무거운 행성이에요!?

  • @이야-w1z
    @이야-w1z 3 роки тому

    가장작고 가벼운 행성은 명왕서이에요.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1

      명왕성은 지금은 태양계의 8개 행성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 자리를 수성이 차지했습니다.

  • @yooseens
    @yooseens 2 роки тому +1

    명왕성씨는 집을 떠나셨읍니다..

    • @김지은-m6r
      @김지은-m6r 2 роки тому

      아이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불쌍한 명왕성

  • @문채영-t1e
    @문채영-t1e 2 роки тому +1

    신기루 잘생김

  • @귀요미-q7l
    @귀요미-q7l 2 роки тому +1

    오 학교에서 보여줫는데

  • @권혁준-b1v
    @권혁준-b1v 2 роки тому

    가니메데는 수성보다도 크죠

  • @태인박-o3c
    @태인박-o3c 5 місяців тому

    하지만 나는 내가 너무 좋아요

  • @jungminlim7600
    @jungminlim76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지구에는 셍명체❤

  • @나의삶-l9z
    @나의삶-l9z 3 роки тому +1

    행성들은 왜? 같은 방향으로 돌고 왜? 위아래 좌우 대각선 제각각 돌지 않고 마치 바닥에서 도는 것처럼 도나요?

    • @interstellartv
      @interstellartv  3 роки тому +2

      태양계가 처음 생성될 때 성운이 뭉쳐지면서 회전을 하면 원반 모양이 됩니다. 이 원반 안에서 태양이 태어나고 이후 점차 행성이 생성됩니다.
      하나의 회전 원반에서 태어나므로 운동 양상이 모두 비슷해집니다. 다만 초기 원시 행성 단계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자전축이나 공전 궤도가 다양해집니다.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들은 궤도가 정해져 있어요 인력은 우리를 붙잡아두죠

  • @선달이-g5p
    @선달이-g5p 2 роки тому

    배경음악 넘 시끄러워

  • @조재민-w3i
    @조재민-w3i Рік тому

  • @정다정-u3y
    @정다정-u3y Рік тому

    근데 토성은 예쁘게 생겼다

  • @웨이소매점양꼬치
    @웨이소매점양꼬치 Рік тому

    신 기

  • @hanjames519
    @hanjames519 2 роки тому

    지금 보는 태양이 8분 20초 전의 모습이라고? 그럼 8분 전의 태양의 모습은 어떻게 볼건데? 태양 근처에 가서 촬영해서 빛보다 빠르게 보내면 볼수있나? 지금 보이는게 지금 존재하는거야.
    저 별빛이 3억5천만년 전의 별빛이라고? 우끼고 있네.
    바보들아, 우주는 인간이 흔히 말하는 '지금' 이라는 표현을 쓸수가 없어. 지금 우주 어딘가에 생명체가? 어디? 5천만광년 멀리? 빛의 속도로 5천만년 거리인데 지금 어딘가에? 참...

  • @치아와댕댕이
    @치아와댕댕이 Рік тому

    수금지화목토천해명

  • @박소라-e9e
    @박소라-e9e 6 місяців тому

  • @은우사다리차.스카이
    @은우사다리차.스카이 2 роки тому

    ..

  • @박명회-i5i
    @박명회-i5i Рік тому

    ❤❤😂😂❤❤ㅁ😂😂

  • @주재경-u8e
    @주재경-u8e Рік тому

    수금지화목토천해 ㅋ

  • @박건후치는피아노
    @박건후치는피아노 9 місяців тому

  • @user-hp1ui6pw3t
    @user-hp1ui6pw3t 2 роки тому

    수성은행성이아니라위성인뎈ㅋㅋㅋㅋ

    • @pigbank64000
      @pigbank64000 2 роки тому

      수성이 왜 위성인가요?

    • @Mars-deri
      @Mars-deri 6 місяців тому

      수성은 위성이 아니라 행성임 달이 위성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