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가 탄생한 진짜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5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53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4 роки тому +19

    다음 영상은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2편 입니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같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혁명가들을 중심으로해서 자본주의의 위기에 대해 풀어나갈 생각입니다
    많이 기대해주세요 !!

  • @라귱
    @라귱 4 роки тому +13

    너무 유익하네여 다음편이 기대되여ㅎㅎ

  • @토디니
    @토디니 4 роки тому +5

    재밋게 보고 가여 ^*^👍🏻

  • @무소유sjs
    @무소유sjs 4 роки тому +7

    쉽게 정리가 잘 되어 있고 재밌네요 너무 재밌고 유익해서 구독 두번 눌렀습니다 ㅋㅋ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4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_^
      헉 근데 구독 두번이면 취소아닌가요?.?

    • @무소유sjs
      @무소유sjs 4 роки тому +4

      @@Knowledge_Reader ㅋㅋ 장난입니다 ㅋㅋ

  • @tangiblemark
    @tangiblemark 3 роки тому +2

    4:09 어쌔신크리드 배경 역시 멋지네요 ㅎㅎㅎ

  • @트재-u5w
    @트재-u5w 4 роки тому +5

    재밌게 보고갑니다~!

  • @kimsaint0919
    @kimsaint09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주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

  • @seongeunyoo9837
    @seongeunyoo9837 4 роки тому +3

    멋진 분이시네요~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4 роки тому +1

      칭찬 너무 감사드려요~~ㅎㅎ
      또 보러 와주세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

  • @K-silkworm
    @K-silkworm 4 роки тому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 같이 잘 모르는 사람도 이해하기 쉽네요
    감사합니다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4 роки тому +2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
      이해하기 쉬우셨다니 정말 다행이에요!

    • @K-silkworm
      @K-silkworm 4 роки тому +2

      @@Knowledge_Reader 모든 동영상 정독해서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좋은 영상 많이 많이 부탁드립니다
      분명 구독자분들도 늘어나실겁니다 화이팅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4 роки тому +2

      @@K-silkworm 감사합니다 좋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드리네요 ㅎ_ㅎ

  • @wnsgur618
    @wnsgur618 4 роки тому +2

    너무 유익하고

  • @dontcall119
    @dontcall119 4 роки тому +1

    채널 주제가 너무 흥미롭네요! 자본주의 다음 주제는 뭔가요???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4 роки тому

      마르크스와 엥겔스같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혁명가들을 중심으로해서 자본주의의 위기에 대해 풀어나갈 생각입니다
      많이 기대해주세요 ㅎㅎ

  • @eunholee5875
    @eunholee5875 4 роки тому +3

    👍

  • @leehugun
    @leehugun 3 роки тому +12

    자본주의 이전의 시대, 즉 봉건주의 혹은 절대왕권시대를 생각해보자. 대한민국의 자본주의 이전 시대인 조선시대에는 돈이 있어도 좋은 가마를 못 탓으며 돈이 있어도 좋은 집에서 못 살았다. 왜냐면 가마의 크기와 기와의 갯수까지 철저하게 신분에 따라 규제해 놓고 있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정착하면서 인간은 돈 벌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왕처럼 귀족처럼 살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부유하게 살 권리가 핏줄에서 돈을 벌 능력, 즉 자본으로 옮겨진 것이다. 시대를 훌쩍 건너뛰어서 공산주의 국가들을 보자. 지금까지 남아있는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과 북한을 예로 들어보자. 이 나라들은 입으로는 인민 민주주의를 떠들면서 철저한 통제사회와 철저한 계획경제를 하고 있다. 그 결과는 구소련과 동독의 붕괴로 이미 결론이 났다. 자본주의를 부정한 공산주의자들은 결국 공산주의자들의 특권세력을 만들어 또다른 신분제 국가를 만든 것이다. 그것이 공산주의의 실체인 것이다. 경제는 결국 부와 자원의 분배의 문제인 것인데, 자기 능력에 따라 부를 분배받는 자본주의와 어떤 사상에 대한 충성심과 혈통으로 부를 분배받는 공산주의...어떤 것이 더 공평할까? 물론 자본주의가 완벽하지는 않다. 인간이 완벽하지 않듯이 말이다. 그렇지만 인간의 본성, 아니 모든 생물의 본성인 이기심과 자기 발전의 욕구를 철저히 배제한 채 어떤 초월적 존재나 계층에 의한 통제와 규제를 유일시하는 공산주의적 계획경제는 반드시 비효율과 당성에 따른 차별 및 인간 자유의지의 박탈로 이어진다. 북한을 보면 알 수 있다. 등소평 이후 무늬만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도 공산당이 특권세력이며 중국 기업 거의 전부가 공산당의 통제하에 움직인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자본주의는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인 것이다. 공산주의는 특정 세력의 특권화를 이루기 위한 의도적인 선동에 불과한 것이다. 이미 몇십년 전에 결론난 문제로 계속 떠드는 이유가 뭘까? 바로 옆의 공산주의 국가가 어떻게 사는지 알면서 계속 떠드는 이유가 도대체 뭘까?

    • @vc5219
      @vc5219 3 роки тому +2

      그 이유는 특권세력이 되고싶어하는 존재들이 있기 때문이죠 어느 시대를 떠나 권력욕에 물든 세력들 아니겠습니까

    • @luchador2111
      @luchador2111 2 роки тому

      마르크스주의 기본개념이 계급투쟁론이고
      공산주의는 대중선동술에 기반한 사기극...
      갈등장사죠, 권력욕, 특권세력이 되고싶은
      평등(공공이익)을 얘기하지만, 평등을 도구로
      개인착취 자유억압하는 계급사회가 공산사회

    • @Haeil_Park
      @Haeil_Park 4 місяці тому

      공산주의에 너무 집착할 필요가
      없습니다. 좌파가 아니라 진보가
      필요한겁니다. 자본주의가
      공산주의와의 체제 경쟁에서
      이겼지만 댓글 내용처럼 완전하지
      않고 그로인해 심각한 문제가
      생겨나고 있으니까요. 공산주의가
      전체주의이긴 하지만 욕망의
      절제없는 극도의 이기심과 무한
      생존경쟁과 약육강식을 당연시하는
      현행 자본주의는 사람들을 질리게
      합니다. 어떤이에게 꿈을 내려놓게
      만들고 더이상 욕망을 의욕하지
      않게 합니다. 결국 자본의 독재에
      의한 전체주의적 자본주의 역시
      비인간적입니다.
      아담스미스가 국부론 이전에
      도덕감정론을 썼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본주의가 승리했다고 해서
      빈부차로 인한 사회의 침체와
      붕괴를 감수해야 될까요? 현재
      지구상에 초강대국이자 코로나 이후
      유일하다시피한 호황 경제인 미국이
      그렇다고 사회 내부가 멀쩡할까요?
      찍어낸 돈으로 부양되는 경제는
      주식시장과 부동산과 기업은
      살리지만 노동자와 소비자와 집없는
      사람들을 죽이고 생활에 허덕이게
      만들고 삶의 희망을 빼앗습니다.
      그 결과가 실제로 전세계적인
      1인가구의 증가와 NO출산의
      확산입니다. 즉 현재의 자본주의
      방식인 신자유주의는 부작용이
      커지고 한계에 처하게 된 상황입
      입니다.
      외노자 이민 받아들인 영국에선
      브렉시트에 이어 최근 폭동까지
      일어나는 사회적 부적응 상태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민, 다문화
      아무리 해 봐야 자국민인 신세대가
      없이는 나라가 온전하게 존속할 수
      없습니다.
      지금은 공산주의 VS 자본주의의
      구도가 아니라.. 신자유주의 VS
      대안체제? 의 구도가 돼서 국민적
      고민과 토론과 연구가 있어야만
      소국인 한국이 지금껏 필사적으로
      유지해온 강소국의 지위를 잃지
      않고 다시금 약소국으로 전락하지
      않을 수 있다고 봅니다.
      작금의 신자유주의는 경제적
      약자들에게는 끔찍한 고문과도
      다를 바 없습니다.

  • @한국인-u4i
    @한국인-u4i Рік тому +1

    통사 ppt 발표 수행있는데 혹시 좀 참고해도 될까요..?

  • @tyui46able
    @tyui46able 4 роки тому +3

    사회공부가 됐어요ㅎㅎ

  • @김인범-c8i
    @김인범-c8i 4 роки тому +1

    와 지린다

  • @allofthetravelvideos4204
    @allofthetravelvideos4204 3 місяці тому

    내가 보기엔 사람들 모르는듯. 그냥 4대보험 복지론 복지 임대아파트 노동자를 지켜주는법들 자본가를 지켜주는 법들 다 폐지하고 옛날처럼 자유방임 하고싶은거 같음

  • @greatopen
    @greatopen 7 місяців тому

    성숙한 이기심 = 공동이기주의. 이게 답이죠.

  • @시바이누-d6l
    @시바이누-d6l Рік тому +1

    애덤스미스도 지금 시대 태어났으면 욕 한바가지 먹을듯

  • @헌서방
    @헌서방 Рік тому

    국부론은 당시 자본주의를 분석했음 자본주의는 1500년부터 출발함

  • @치유성
    @치유성 9 місяців тому

    다른 나라들은 저러고 있을때 조선은 세도정치 권력다툼 그놈의 사대의 예 떠들고 망국으로 가고 있었지

  • @RealRightTV
    @RealRightTV 3 роки тому +2

    팩트: 자본주의가 유일한 답이고 정부의 개입이 없으면 빈부격차가 생기지만 심해면 세금이 늘어난다. 결론: 자본주의, 자유경제 만세!!!

  • @brianahn8608
    @brianahn8608 3 роки тому

    자본주의에 대해 잘 못 이해하고 계시네.
    자본주의는 시장경제와 사유재산제가 기본임. (보이지 않는 손)
    시장경제는 시장 즉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재화와 용역의 가격과 물량을 결정하는 것임.
    (가격, 품질, 편의성, 등등 여러가지이나 가격으로 단순화)
    즉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매일 가격과 물량을 투표로 결정하다고 보면 됨. 다수가 결정하므로 가장 의미있는 자원배분이 되고
    경제주체는 투표에서 당선되기 위해 모든 노력과 창의성을 발휘하게 되고 경제발전을 하게 됨.
    문제는 독과점이 발생할 때임. 공급자가 1명이거나 수요자가 1명일 때 경제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며,
    정부의 역할은 독과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심판의 역할을 하는 것임.
    정부가 심판의 역할을 넘어서 경제에 간섭하면 계획경제가 되고 경제 발전은 없슴
    미국이 왜 자본주의가 발전하고 (구)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이 왜 망했는지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슴.

    • @Knowledge_Reader
      @Knowledge_Reader  3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에서는 애덤스미스의 초기자본주의와 국부론에 대한 얘기를 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초기 산업자본주의의 한계와 그에 따른 반작용들을 설명했고요
      독과점에 대한 문제도 위 영상에서 다루었습니다
      자세한 부가설명은 감사해요

    • @Haeil_Park
      @Haeil_Park 4 місяці тому

      공실율이 40%가 넘는데도 상가와 건물 때려지어 GDP 끌어올리는 방식이 자원의 효율적 배분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