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코로나 키즈' 진학 시기에 폭증..."사회적 문제 될 수도"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8 жов 2023
  • 난독증은 글자를 거꾸로 읽거나, 받침이나 새로운 단어를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을 말합니다.
    단지 책을 싫어하는 게 아니라, 글자부터 제대로 읽지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데
    난독증으로 서울시교육청의 지원을 받는 학생이 코로나19 이후 7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초등학생이 757명으로 94%를 차지합니다.
    지능지수, IQ가 71~84인 경계선 지능으로 시교육청의 지원을 받는 학생 역시 같은 기간 5.4배로 늘었습니다.
    역시 초등학생이 84%나 됩니다.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주의력이 짧고 긴 문장으로 말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학습 부진을 겪기 쉽고 다른 사람의 말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동 발달 문제가 심각해진 건, 코로나19 이후 마스크 착용과 바깥 활동 감소 여파로 이른바 '코로나 키즈'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하는 시기가 오면서 치료받는 학생이 대폭 늘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임미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영유아사교육포럼 대표 : 기본적으로 신체의 활발한 움직임과 감각을 활용함으로써 뇌의 각 부분이 활성화가 되는 거거든요. 움직임이 저하되면 사실은 언어 발달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뇌 발달이 지연될 수밖에 없죠.]
    전문가들은 난독증이나 경계선 지능은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경계선 지능의 경우, 부모가 검사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데,
    치료를 받으면 글 읽기나 사회성 훈련에 확실히 도움이 되는 만큼,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영상편집 | 문지환
    그래픽 | 지경윤
    자막뉴스 | 박해진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474

  • @user-kp1vi8fj5j
    @user-kp1vi8fj5j 7 місяців тому +511

    받아쓰기하고 교과서 읽기 시켜야지
    뭐. 못한다고 쪽팔리다고 틀린거 틀렸다고 했다고 아동학대라고 말하고.
    그런식이니까 기초 교육을 아예 못받는거지. 뭘 못하는지 뭐가 틀렸는지 제대로 집어나가는것 부터가 학습의 시작이다

    • @hanhj8192
      @hanhj8192 6 місяців тому +19

      너무 공감.

    • @H_H-rx2oh
      @H_H-rx2oh 6 місяців тому +7

      ㅇㅈ

    • @user-fn8fq5rz9f
      @user-fn8fq5rz9f 6 місяців тому

      요즘은 잘못한 걸 지적하면 맘충, 파충이 그 사람 등에 칼 꼽는 시대......어휴 ....각성해라....이것들아......

    • @user-pz6tq6hv7v
      @user-pz6tq6hv7v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짚어

    • @nazow3180
      @nazow3180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기초교육이 안되었다는 말에는 깊이 공감합니다. 성적순으로 아이들의 인생을 평가하는건 잘못된거지만 성적이 있어야 아이들도 그만큼 발전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으니까요.

  • @jojojo1922
    @jojojo1922 7 місяців тому +558

    가정통신문에 적힌 '중식 제공' 글귀보고 왜 아이에게 중국음식을 주냐고 따지는 부모도 있다는데 꼭 애들만의 문제는 아닌 듯

    • @moran9938
      @moran9938 7 місяців тому +57

      와 이거 너무 심한데요. ㅠ

    • @cube_wc
      @cube_wc 7 місяців тому +52

      진짜인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ky1dk9jr3c
      @user-ky1dk9jr3c 7 місяців тому +29

      부모부터가 문제였다.....😂😂😂

    •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심각함,,,,

    • @user-xt4zs4ls5w
      @user-xt4zs4ls5w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ㅋㅋㅋ 님도 보셨군요 기억에서
      사라지지 않던
      소식이었지요

  • @user-ds1hw2xj3q
    @user-ds1hw2xj3q 7 місяців тому +560

    단지 코로나 영향만은 아닌 것 같다
    영상매체가 과도하게 발달된 시대를 살다보니
    부모들도 자식 어릴 때부터 손에 폰 쥐어주고 유투브나 보게 하고 활자보다는 영상으로 모든것을 접하는게
    가장 큰 이유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듦

    • @kk12
      @kk12 7 місяців тому +26

      식견좀 있네. 이게 정답임.

    • @seegore
      @seegore 7 місяців тому +8

      티비도 옛날엔 죄악시여겼다 호들갑떨지마라ㅋㅋㅋ

    • @user-pe3ht2it2m
      @user-pe3ht2it2m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태블릿 이전에 컴퓨터가 ㅋㅋㅋㅋ컴퓨터 이전에는 티비가 ㅋㅋㅋ티비 이전에는 뭐였는지 알아? 책이였어 ㅋㅋㅋㅋ책 많이 읽어서 문제가 생긴다는 논문도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ed_Art_play
      @Red_Art_play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타블렛이나 폰 쥐어 줄땐 편하고 좋았겠지...
      스웨덴은 초등학교에 사용하던 테블렛 같은 첨단 기기 사용 없애고 종이책으로 돌아간다고함.
      글을 쓰면서 잃고 글을 배우는게 큰데 그런게 교과 과정에 없어진 것도 크다고 보더라.

    • @video_ko
      @video_ko 7 місяців тому +6

      ​@@Red_Art_play글을 잃고..ㅋㅋㅋㅋ

  • @j-ordinarykim4546
    @j-ordinarykim4546 7 місяців тому +217

    난독증을 학습부진으로 착각해서 잘못된 보충학습을 하거나 학원에서 고생시키는 경우를 보았어요. 부모님들 잘 확인하셔요.

    • @twincolorful
      @twincolorful 7 місяців тому +7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심리 또는 정신치료 전문가들이 많지않아요 모든 분야에서 소프트웨어가 약함 그러다보니 수술이나 약물투여처럼 눈에 보이는 분야는 그나마 대접을 해주는데 정신치료 등 인간의 본질적인 면을 들여다보는 부분에는 약하죠 최근에도 정신과 치유를 받은 사람들은 보험에 드는게 힘든 상황이죠

  • @user-vv9zv8wt2z
    @user-vv9zv8wt2z 7 місяців тому +524

    코로나 탓아닙니다. 같은 코로나를 겪었어도 정상발달하는 아이들이 더 많습니다. 10년 전에 비해 경계성 발달장애나 자폐, 발달장애 아이들이 급속하게 늘었습니다. 후천적 영향을 받는 아이들은 조금 교육기관에서 신경써주면 6개월~1년 사이에 정상범주안에 들어옵니다. 그러나 몇년을 치료받아도 범주안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발달장애입니다.

    • @Doctor-UK
      @Doctor-UK 7 місяців тому +60

      ​@@user-cf3ck7bm4u 맞음 ㅇㅇ 자폐는 아빠나이가 많으면 더 확률높아짐

    • @_AHN_
      @_AHN_ 7 місяців тому +106

      노산(부/모 상관없이 둘모두에 영향) + 맞벌이로 케어 부족 + 릴스 틱톡 숏츠등 저능화 컨텐츠 폭발 + 스마트 기기 발달로 실제 경험으로 발달하는 지능 퇴화

    • @user-fh1bw1or6u
      @user-fh1bw1or6u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ho7rq1yb1u가스라이팅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야 ㅋㅋㅋㅋㅋ 구글검색만 해봐도 나오는데 무슨 과학이랑 기싸움, 가스라이팅을 운운하냐 ㅋㅋㅋ 멍청하네 진짜 ㅋㅋㅋㅋㅋ

    • @dkzldkzl-jf9qe
      @dkzldkzl-jf9qe 7 місяців тому +28

      ​@@Doctor-UK노산은 여성쪽이 더 문제입니다만...

    • @user-fh1bw1or6u
      @user-fh1bw1or6u 7 місяців тому +91

      ​@@dkzldkzl-jf9qe근데 노산보다 남자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장애들도 있다는 거에요 그 중 하나가 자폐고요 그리고 아이가 저러는 원인이 노산이라고는 장담을 못하죠 아빠들 나이도 많아지고 있다는 걸 아셔야죠 ㅋㅋ 외국은 아빠도 상대적으로 젊은 경우가 많습니다 ㅋㅋㅋㅋㅋ

  • @user-ud9jz6bs1g
    @user-ud9jz6bs1g 7 місяців тому +102

    이게 다 부모가 자기 자식들을 망치고 있기 때문임. 주변에 있는 어린이집 교사들 이야기 들어 보세요. 교육이라는 것을 하지 않아요. 특히 학습교육... 그냥 유튜브에서 영상만 틀어 주고 아이들이 다치는지만 봅니다. 왜일까요? 다치면 그 날로 큰 일이 일어 나기 때문이죠. 뿐만 아니라, 학습교육을 할 때는 강제성이 들어가야 하는데, 강제성이 들어 가서 아이가 울면 역시 그 날도 큰 일 납니다. 최소한의 사회성을 가정에서 부모들이 시켜야 하는데, 오히려 어린이집에서 사회성을 가르쳐 주려 하면 반대로 민원 및 항의가 빗발칩니다. 최소한의 사회성이란 뭘까요? 하고 싶어도 참는 방법 그리고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방법들을 알아 가는 과정이죠. 그래서 열심히 케어하는 것처럼 CCTV에서 연출할 뿐, 진짜 교육은 하지 않는 거죠. 진짜 문제는 자기 자식을 위한다고 하는 행위가 오히려 자기 자식을 망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부모들의 현실이죠. 더 웃긴 건 정작 본인들도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지도 않음...

  • @user-bf7tr3ig5n
    @user-bf7tr3ig5n 7 місяців тому +37

    오냐오냐해주면 멍청이로 만듬.
    부모 잘못이 매우 큼.
    부모들아 자식교육이나 똑바로 하고 잘시켜.
    선생이 문제가 아니야.
    무지한 부모들이 잘못이지.

  • @kayla61344
    @kayla61344 7 місяців тому +64

    저희 둘째도 한참 한글배울 유치원, 초등1학년시기에 코로나가 왔고... 책을 읽어주는데 곳곳에 읽지않고 넘어가는 부분이 많아서 난독증을 의심했었어요. 신기하게도 마스크 벗고는 많이 좋아졌습니다. 다만 이미 한글을 다 떼고 코로나시기를 맞았던 첫째에 비해 어휘력이 엄청 떨어진다고 생각했는데, 학교 선생님은 저희 둘째가 오히려 반에서 가장 어휘가 좋은 편이라고 하셔서 정말 의아했습니다.
    코로나 때 한창 말배우는 시기였던 아이들은 저희 둘째나이의 아이들보다 훨씬 더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더라구요
    휴대폰 같은 미디어 사용이 늘어난 것도 문제지만, 코로나 영향이 정말 크다고 봅니다.

    • @jaggogji
      @jaggogji 7 місяців тому

      코로나 영향이 있다는 말씀이신지 아니면 마스크 영향이 있다는 것인지 헷갈리네용

    • @kayla61344
      @kayla61344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jaggogji 코로나땜에 마스크 썼으니...

    • @user-nk5yx3yt7g
      @user-nk5yx3yt7g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원래 1학년들은 책 잘 못 읽어요. 우리나라 너무 어린 나이부터 한글 시켜서 잘 한다 착각 해서 그래요. 제가 관련 종사자인데 설명만 봐서 어떤부분이 느린지 모르겠네요.
      원래 7세 정도는 되어야 한글을 제대로 이해하지 그 전에는 그림문자를 통째로 외우는 식이예요. 우리나라는 그모습을 보고 글을 읽는다 말하더라구요. 마치 옹알이 하는 애가 엄마 비슷한 소리 내면 엄마라고 말한다고 생각하는 것처럼요.

    • @kayla61344
      @kayla61344 7 місяців тому +4

      @@user-nk5yx3yt7g 저희 아이들은 한글을 따로 시킨 적이 없습니다. 둘다 스스로 알아서 간판같은 거 보고 뗏어요. 원래 배우기 쉬운 글로 고안된 거라서 어렵지는 않구나 생각했습니다.
      다만 첫째는 둘째처럼 그런식으로 책을 읽을 때 단어들을 빼먹은 적이 없었고, 글을 읽기시작한 뒤로는 책을 한 번만 읽어도 내용을 전부 이해했고, 책 속의 오류도 다 짚어내고는 했는데. 둘째는 책을 소리내어 읽을 때 중간중간 읽지 않고... 아니 아예 그 단어가 있는지도 모르고 넘어가더라구요. 그래서 이상하다 생각했구요. 신기하게 마스크를 벗고 그런 것들이 금방 사라졌어요.

    • @enpassant86
      @enpassant86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nk5yx3yt7g한글 처음 배울 때 자음 모음 나눠서 가르치는데 어떻게 글자를 통째로 외워 쓰나요? 저는 처음 글 배울 때부터 그렇게 교육받아서 문자를 통째로 외우는 행동은 하지 않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 @AlphaGo27
    @AlphaGo27 7 місяців тому +178

    애들은 애들끼리 소통하면서 성장함.
    그 과정에서 말을 배우고, 지식이 늘고, 지능이 올라감.
    근데 코로나 때 집안에 있어서 애들끼리 소통할 시간이 없었음.
    거기다 부모들이 편하다고 조금만 칭얼대면 애들 유튜브 켜줌.
    그러다 보니 배움이 짧아짐.
    거기에 30~40에 애 낳는 노산 영향 절대 무시 못함.
    앞으로 이런 문제는 계속 심해져 갈거임.

  • @h.s.k9723
    @h.s.k9723 7 місяців тому +15

    요즘 부모들 쓸대없는 민원질이나 할줄알지 저런 애들 기초교육에 조차 신경을 안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iheehun
    @liheehun 7 місяців тому +82

    이쯤 되면 만화책이라도 맘껏 읽게 해야 할 듯.
    타카하시 루미코나 허영만 작가님 처럼 재밌으면서도 어휘도 우아한 작품도 많으니까요.

  • @asmrwithmewriter8589
    @asmrwithmewriter8589 7 місяців тому +37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그만큼 부모가 시간을 내주고 그렇게 해도 가정에 문제가 없을 금적적 여유가 있어야한다=즉 없는 집에서는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 @zangsj8089
    @zangsj8089 7 місяців тому +16

    독서를 하지 않고, 부모 또한 독서를 하지 않으니까

  • @user-fc7en4ll1h
    @user-fc7en4ll1h 7 місяців тому +215

    부모들의 문제가 정말 심각하구나 아이를 아무 생각없이 방치하니

    • @user-qq9nd7rt2u
      @user-qq9nd7rt2u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노산문제가 심각하네요.. 결혼은 여자가 20대에 하는걸로 바꿔야 합니다. 정상아들을 낳기 위해서 최소한의 조치입니다!

    • @user-wf2ji6wn1r
      @user-wf2ji6wn1r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코로나로 마스크껴라하고 옆친구랑
      말도못섞게했었음 울아들초2 코로나 한창때. 학교담임이 화장실도 잘안보내줌 쉬는시간5분으로단축
      리얼.

    • @user-dq6cz6my8s
      @user-dq6cz6my8s 7 місяців тому +4

      @@user-qq9nd7rt2u 20대 젊은 부부들이 많아지려나요... 요즘 세상 나 살기도 힘든 상황인지라

    • @KJ-vn7io
      @KJ-vn7io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이 뉴스를 보고 부모의 문제로 인식하면..
      너도 지능에 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ㅋㅋㅋ

    • @petra24_
      @petra24_ 6 місяців тому

      맞벌이 부부는 그럼 아동학대범임?
      생각좀 하고 댓 쓰세요.

  • @luka_father
    @luka_father 7 місяців тому +17

    저런 문제는 물론 교육기관이나 코로나의 영향은 있겠지만 부모의 문제가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저런 아이들의 경우 특히나 계속된 휴대폰, 미디어 노출일 가능성이 가장 클것입니다. 계속적으로 미디어에 노출되어 뇌 자체가 책을 읽거나 사색하는 시간은 없고 생각하지 않고 유튜브나 SNS에 노출된 화면 그대로 받아들이다 보면 점점 뇌는 활동성이 떨어지게 되고 강한 자극만 원하고 그런 뇌로 바뀐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게 저런 형태로 나타나는 거죠.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갑니다. 당장 편하다고 휴대폰 노출 시키면 평생을 고생할 수 있으니 이 영상을 보면서 많은 부모들이 생각을 해보셨으면 하네요.

  • @user-ds4cv7kl1d
    @user-ds4cv7kl1d 7 місяців тому +12

    폰을 손에서 띄지 않고 하루 종일 붙잡고 영상만 쳐다보니 글을 읽거나 칠판을 쳐다 보게 할 수가 없다 집중력 결여가 심각해졌다

  • @luvleecha8029
    @luvleecha8029 7 місяців тому +14

    정신적 문제가 자꾸만 늘어나네요… 평균적으로 결혼시기가 늦어지기도 했고.. 세상이 오염되기도 했고.. 원인은 다양할 것 같네요. 아이들이 안타깝습니다. 앞으로 살아가기 더 힘들텐데. 우리의 희망,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 해야할 것 같아요.

  • @mgn1234
    @mgn1234 4 місяці тому +6

    1학년들 받아쓰기 20~30점이 수두룩...
    받아쓰기 치기 전날 연습조차 안함;;
    휴대폰은 다들 가지고 다니면서
    문자에 대답을 글자판 쓰지 않고
    음성 인식으로 하더라고요🤦‍♀️
    영어학원은 또 다들 다니는ㅎ

    • @user-jg6gu7vt4b
      @user-jg6gu7vt4b 4 місяці тому +1

      요즘 초등학생은 잘 모르는데 상상을 초월하네요 ㅋㅋㅋㅋㅋㅋ 음성인식은 잘 안될 때도 많던데... 글을 작성하는 거에 왜 이렇게까지 거부감을 느낄까요?

    • @gardenasjungwon
      @gardenasjungwon Місяць тому

      ​@@user-jg6gu7vt4b 글 작성 자체를 어려워하고, 글 쓰는 잠깐의 집중도 힘든거죠. 심지어는 손 힘이 없어서 연필 놓치고, 간신히 이름 석자쓰는 애들도 봤어요.

  • @aaa33137
    @aaa33137 6 місяців тому +8

    좋아하는 것만 먹게 하고, 좋아하는 것만 하게 하는 것도 한 몫한다고 생각함
    참을성 있게 훈육하는 걸 강압하는거랑
    구분을 못하니 전부 다독거리기만 함..
    그런 애들이 학교가서 혼나는 걸 참지못함
    뭘 잘못했는지 모르니까
    수능 부정행위하고도 선생님 이름 외웠다며 집에가서 꼰지르는 인간같지도 않은 학생이 나옴...

  • @user-wz8le7wi1i
    @user-wz8le7wi1i 7 місяців тому +30

    유튜브 or 핸드폰 문제라고 생각함. 어릴때부터 지금까지 인터넷에서 맨날 자극적인 것만 보는데 책이 집중이 되는게 신기한데? 인터넷 중독이지;; 노산 문제라기엔 우리집 둘째랑 나랑 나이 7년차로 어머니 30대 or 아버지 40대 넘어간 시점에서 태어난건데 얘 어릴적부터 공부 너무 잘한거보면 노산문제라고 보긴 어려움;;; 아예 없다고 하긴 어렵지만 인터넷이 제일 크다봅니다.. 인터넷에서 도파민 뿜뿜인데 가만히 책 보면 뿜어져 나올까..? 학습이 이미 되어 있는 상태인데?

  • @user-vu7ii6oh6h
    @user-vu7ii6oh6h 7 місяців тому +14

    패드영향도 큼, 지식 구성하거나 탐색하고 탐구해서 고등사고 발달이 득대화 되는 시기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렛 보면 미디어 움직이는 자극에 뇌 발달이 치우쳐짐
    미디어로 학습해도 미디어는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는게 아니다 보니 그쪽 발달이 느려지는거임
    또 아동기는 신체감각으로 지식 습득하는 나이인데 시각적 자극만 추구하니 더 발달이 느림

  • @user-akdkdnenakdkdks
    @user-akdkdnenakdkdks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마트 푸드코드 알바한적있었는데 10테이블중 7테이블정도가 걍 애들한테 스마트폰 틀어주고 부모가 관심도 없었음. 부모들이 애가 안틀어주면 징징거리니까 어쩔 수 없다 라하는데 글쎄? 그렇지 않은 집안들도 많은데 걍 부모 능력 부족인 것 같음 ㅇㅇ.

  • @user-vr8rk8vs2k
    @user-vr8rk8vs2k 7 місяців тому +7

    부모님들. 집에서 아이들과 대화 및 놀이 책 읽기 좀 하세요. 개임 유튜브 폰먼 하자 말고요. 애 구ㅏ찮다고 폰 패드 쥐어주고 관리도 안하니 아이들이 갈수록 문재가 생기네요. 아이는 관심과 사랑으로 바르게 자랍니다.

  • @chenote1
    @chenote1 7 місяців тому +14

    요즘 학교에서는 반 전체 학생들이 국어책을 읽는
    그런 수업이 없나요?
    어릴때 국어시간 그런 수업이 대부분이었는데

    • @Kali82user
      @Kali82user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있어요. 참관수업갔울때 책을 1번부터 끝번까지 돌아가며 읽는거 하던데요.

    • @user-jg6gu7vt4b
      @user-jg6gu7vt4b 4 місяці тому +4

      그거 가지고 민원 들어오기도 한다네요 부끄러워하는데 왜 읽히냐고 ㅠ

    • @Kali82user
      @Kali82user 4 місяці тому

      @@user-jg6gu7vt4b 정말요? 웃기네요. 그럼 집에서 가르치지 참 유난들 떠는거 같아요. 그게 아이를 위한게 아닌데 말이죠.

  • @user-ut4hw7bu9m
    @user-ut4hw7bu9m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요즘 밖에서 애들을 보면 하루종일 폰으로 영상만 보고 있더라 그러니 발달이 느리지

  • @poa.
    @poa.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부모들이 자기들이 아무것도 안해도 애가 저절로 글자를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코메디네. 40년 전에도 뱓아쓰기 매일 시험보고, 못하면 선생이 사명감을 가지고 나머지 공부 시키거나 부모가 받아쓰가 공부 시켰는데… 부모가 아무것도 안하는데 뭐 하나 저절로 되는 교육 같은 건 없음.

  • @babyyeah7930
    @babyyeah7930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이게 다 스마트폰 영상 매체 때문이지뭐 영상이라는게 결국 사진의 연속이라 깜박깜박 하는걸 계속 보고 있다고 생각해야지. 성인이 되서도 adhd 위험 있겠다

  • @MinChoNaRa
    @MinChoNaRa 7 місяців тому +21

    부모들 대부분이 내 애가 그럴리가 없다고 이게 무슨 망신이냐며 절대로 저런 거 검사받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음
    사실 애는 별로 안 중요하고 본인 평판이 깎일까봐 창피하기 때문

  • @tm13865
    @tm13865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책을 읽거나 뭘 적거나 하는 등 능동적으로 언어를 사용해야 언어능력도 발전을 하는데 대신 읽어주고 틀어주고 하는 것이 너무 많으니 언어능력이 퇴화하는게 뻔한 일이다.

  • @lacrimosa_cej
    @lacrimosa_cej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사람이랑 소통하면서 뇌 발달을 이뤄야하는 시간에 유투브 같은 함축적인 내용만 전달하는 매체의 과도한접촉+코로나때 집에서만지냄+마스크착용으로 사람표정 못읽음. 성인도 이렇게 지내면 사회성 떨어지는데 애들은 오죽한가.

  • @daegue_sangnamja
    @daegue_sangnamja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내 친구 초딩때 특별반이었는데 지금 인서울 프리패스임 선천적병 아니면 고쳐져서 걱정 안해도 될듯

  • @GFD0116
    @GFD0116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스마트폰 같은거 줘서 그래 그게 가장 큰 원인이야

  • @user-wm8vz3vp6q
    @user-wm8vz3vp6q 7 місяців тому +23

    오호...이런 상태로 자란애들 커서 지금의 MZ세대들 된통 당할꺼 같다.
    상상만해도 끔찍하다.

  • @Socotra012
    @Socotra012 7 місяців тому +7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량 줄어든게 뇌발달에 영향을 주는듯..

  • @bm-et5cf
    @bm-et5cf 7 місяців тому +31

    소리내어 고운 그림 많은 동화책 읽어주고 테블릿 멀리하고 운동정에서 친구와 목청껏 뛰어놀고 아름다운 동요 듣고... 아이는 이렇게 커야한다. 학교에서도 예전처럼 동요대회, 글짓기 대회, 체육 관련 상을 만들어 순수하게 경쟁시키면 아이들의 무기력은 완화될것이다.

  • @mottipark3138
    @mottipark3138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당장은 큰 문제가 아님.
    저런 애들이 제때 치료 못받고 방치되다가 10여년 뒤에 사회로 나올거생각하면 넘호 감미롭다

  • @garnet7739
    @garnet7739 7 місяців тому +17

    지금 막 성인된 사람들도 맞춤법 박살나있어요. 됬다. 됌. 안되. 이러는 거 보면 진짜 답이 없다고 느끼는데 아예 맞춤법 검사조차 안한 매체들만 보고 자라는 이 세대들은 어떻게 자랄지...

    • @user-xf4ud3pp1p
      @user-xf4ud3pp1p 7 місяців тому

      에 의 구분 못하는 거 킹받음

  • @ellyelly1081
    @ellyelly1081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코로나가 문제가 아니라 편하자고 스마트폰 쥐어주는 부모가 문제인거 같은데. 뇌 발달에 치명적인 부작용임.

  • @user-rf7ek5qt2g
    @user-rf7ek5qt2g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주 어린 나이부터 스마트폰 등 디지털 미디어를 많이 쓸 수록 뇌가 수동적이 되고 지능이 떨어지는 경향이 강해진다. 코로나로 그게 대폭 강해졌을테고, 스마트폰이 생긴지 10년이 넘어가니 아기때부터 스마트폰을 이용해온 아이들이 초등생이 되어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 @vakion1
    @vakion1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치료시기 늦으면 답없는게 지능인데 제발 정신과라고 기겁하지말고 좀 가봐라..

  • @sado7820
    @sado7820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난독증 이 아니라 .............. 기성새대의 무관심이지 아이가 글을 깨우였는지 관심이 없는거야.......... 유아원 유치원에 보내고 애가 얼나 무얼 배우나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위탁기관에서 알아서 하겠지 하면서 관심이 없느 거지..................... 예전 처럼 학교에서 자음모음부터 다시 가르쳐야할 판............................

  • @user-gn7fg9rb3u
    @user-gn7fg9rb3u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꼭 코로나 문제만이 아닙니다.!
    핸드폰, 즉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생각과 사고방식이 아닌 시각적인 방식이 발달되면서 뇌의 전체적인 사고방식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같아요.!!😢

  • @f_____riend711
    @f_____riend711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당연하지 부모부터가 책도 안읽고 인스타 릴스 쇼츠 등 전두엽 녹아 내리는 컨텐츠만 매일 소비하고 즐기고 있는데 당연한거임

  • @eunkoyungpark2719
    @eunkoyungpark2719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거 많이 심각해요ㅜㅜ 코로나로 너무 심각해졌어요

  • @kim-vu5vl
    @kim-vu5vl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초등학생 뿐만 아니다 요즘 중고등학생들도 난독증 심하다

  • @user-qn6yz1qx5g
    @user-qn6yz1qx5g 4 місяці тому

    영어 가르치는데 간단한 파닉스를 못 읽어서 보니까 국어에서 모음조합을 이해 못 하는 문제인 친구들도 있더라구요.
    그냥asmr식으로 커가는듯 한데 부모님들이 신경쓰실부분 입니다. 학교학원은 그기초위에서 학습이 이루어져요.
    심한케이스 머리가 나쁜친구가 아니데 영유다녀 국어약해서 읽기피하다 중학교때 고생하더라구요. ㅜㅜ

  • @shira3518
    @shira3518 7 місяців тому +72

    또 부모들 선생탓하겠지 뭐 자기들이 잘못한것을 모르고 말야

    • @kk12
      @kk12 7 місяців тому

      자기가 누군데. 인자기?

    • @jaggogji
      @jaggogji 7 місяців тому

      뭘 잘못함

    • @user-op8el1wo5p
      @user-op8el1wo5p 7 місяців тому

      느그1찍부모들

    • @kk12
      @kk12 7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op8el1wo5p 일찍? 일찍일어나는 새?

    • @HEHan-rn5ij
      @HEHan-rn5ij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또 또 잘못된 일반화. 헛소리. 기승전부모탓 그만. 대체로의 정상인은 막무가내로 교사들 탓으로 몰고가지않음. 상식선에서 현실을 살자.

  • @user-ru3gw9yr8b
    @user-ru3gw9yr8b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미취학인 애들한테 빌어쳐먹을 스마트폰 좀 그만 보여주시면 됩니다.

  • @havenicedayyy
    @havenicedayyy 7 місяців тому +38

    K교육이 책임지겠습니다. 초등 난독증 전문 치료학원 --- 먼저 깃발꽂고 프랜차이징 하면 1~2년 안에 대박날듯. 시험치고 입사하는데 난독 있으면 특출난 실기재능 없으면 가기 힘드니깐.

    • @user-yn2ir7fe1b
      @user-yn2ir7fe1b 6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굿아이디어 같이해보실?

  • @user-be5wc1lu2d
    @user-be5wc1lu2d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부모님들 제발 애들 아무거나 먹이지 말고, 아이 가지신 분들 아무거나 먹지 마세요. 농약, 해산물의 중금속 축적이 세대를 내려가며 더해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수은에 노출된 아이들이 신경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요.
    가족을 중금속 중독으로 고통받다 떠나보낸... 마음이 아파서 적습니다.

  • @user-xv9rx3ns1t
    @user-xv9rx3ns1t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학까지 와서도 난독인 듯한 애 가르쳐본 적 있는데, 일단은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뒤지게 없음 읽기라는 것도 처음에는 누구나 힘들고 그 스트레스를 견뎌내면서 음절, 단어, 문장을 조합하고 차차 거기에 적응해 나가는 건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자체가 뒤지게 없으니 단계별로 조합을 못하고 음소를 지맘대로 조합하고 자빠짐 신체적인 문제 때문에 난독인 건 이해를 하겠는데 그게 아닌 것은 그냥 참을성 없고 게으른 걸로 밖에 안 보임

  • @user-mt4px1xh7s
    @user-mt4px1xh7s 7 місяців тому +62

    부모의 책임이 가장 크다. 자기 자식을 부모인 자신들이 챙기지 않으면 누가 세심하겠나? 유아와 아동의 지능은 부모가 오래 함께 하며 옆에서 가르치며 같이 경험해 줄 때 가장 크게 발달한다.
    또 늑대 틈에서 자란 늑대 소년에게 사람 말을 20년 가까이 가르쳤어도 한 마디도 못한 채 30대에 사망한 연구 사례에서 보듯이 2살 무렵에 사람 말을 배우지 못 하면 사람의 말을 할 수 없다.
    읽는 것도 마찬가지다. 옛날에 어린 아이로 하여금 책을 소리 내어 읽도록 한 이유가 있다. 읽는 본인 발성과 발음 연습에 좋고, 부모는 자식이 읽지 못 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어서다.

  • @user-qm4ve8gb7v
    @user-qm4ve8gb7v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부모부터 휴대폰을 내려놔라

  • @user-vb3ty6tj7j
    @user-vb3ty6tj7j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책을 안보고 숏츠 같은 짧은 것만 보니까 그러지

  • @boririon7580
    @boririon7580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부모가 인식하고 치료하면 다행이지 지 자식 경계선 지능인데 정상이라고 우는 부모 보면 역겨움 그 자체

  • @user-jf3kc7qf6v
    @user-jf3kc7qf6v 7 місяців тому +9

    요즘 애들 중에 얼빵해 보이는 애들 진짜 많아요..

  • @nazow3180
    @nazow3180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요즘은 굳이 책이 아니어도 누릴게 많아서 그런거 같습니다. 80년대만 해도 저녁 5시 30분부터 TV를 해주기 때문에 집에서는 교육차원으로 동화책 전집을 사주는데 할게 없다면 결국 책을 볼수 밖에 없었어요. 그런데 요즘은 어린이들 동화책도 글보다는 그림이 대부분이니 글을 읽고 뜻을 받아들이지 못하는거겠죠. 스마트폰, 24시간 나오는 TV, 어린이 채널 등등 학교에서만큼이라도 교권을 인정해주고 학부모가 관여하지 못하게 했으면 좋겠어요.

  • @reflux2757
    @reflux2757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댓글만 봐도 확 와닿네 ㅋㅋㅋㅋㅋㅋ

  • @kimimnida
    @kimimnida 4 місяці тому

    숫자만이 아니라 구성원들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 다문화 사회로 가고 있는 것도 한 몫 하고 있으리라 예상.

  • @namecastle3299
    @namecastle3299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인류가 태어나고, 발전하고 성장해왔고 시대가 지날수록 점점 진화하는데,
    왜 아이들이 점점 퇴화하는걸까? 세상은 살기 좋아지고 더 좋은것만 입히고, 먹이고, 더 좋은곳에서 생활하는데.? 2000년대 생 부터,
    무엇이 점점 경계성 지능을 갖은 아이들이 폭발적이게 늘어난것일까?

  • @twilight_fox
    @twilight_fox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코로나보다는 어릴적에 책을 안 보고 영상 위주로 보다보니까 글 읽는 능력 자체가 쇠퇴하고 있음

  • @user-av9j8c7bl4
    @user-av9j8c7bl4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초등학생때는 밖에서 많이 뛰놀아야 되는데 요즘은 죄다 스마트폰만 보더라

  • @user-yk3tr7zf9i
    @user-yk3tr7zf9i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라떼는 어려서 책을 안 읽어도 모여서 놀면서 이런 말 저런 말을 나눌 수 있었는데, 지금 방치된 아이들은 집에서 동영상 보지요. 이건 그냥 바보 놀음입니다. 반드시 언어로 상호작용, 책 스스로 읽으며 머리 써야 합니다. 영상은 영상일 뿐 어휘나 지식을 늘려 주지 않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는요.

  • @amumuda
    @amumuda 7 місяців тому +4

    핸드폰이 문제인데 ㅋㅋ ㅋ 2줄이상 넘어가면 문장 이해를 못하는 사람 많던데

  • @coffee_love999
    @coffee_love999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오냐오냐 학대소리 듣기 싫어서 방치한 죄

  • @lyjest
    @lyjest 6 місяців тому +28

    아니야. 검사를 적극적으로 많이 하기 때문에 늘은 것이다. 교직 10년 중 최근 2년에만 난독증 검사를 필수로 하라고 해서 시행했다. 그리고 난독증 아닌 학생들도 난독증이라고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많아서 신뢰성도 떨어진다.
    경계성 지능의 경우 원래부터 많았는데 적극적 검사로 인해 이제야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

  • @user-gm4cq5oo2b
    @user-gm4cq5oo2b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나도 말을 더듬고 긴문장을 잘 읽지못했지만
    어머니께서 매일 책을 읽어달라고하셔서 더듬고 틀려도 계속 읽다보니 지금은 걍 일반인임 ㅎㅎ
    요즘 부모 일부는 애들케어는 신경도안쓰지뭐.. 그러니 저런 결과가나온거

  • @oik4058
    @oik405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지능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 @shkim6883
    @shkim6883 4 місяці тому +1

    초등학교가 이렇게 중요한데,
    의무교육을 무시하니 ...

  • @hl2citizen
    @hl2citizen 7 місяців тому +8

    글자를 읽게해야지 영상만 쳐 보는데 읽기가 늘겠냐고
    책을 읽음으로 뇌에 어느 영역이 발달하는지부터 알아봐라 부모란 놈이 그런것도 공부 안 하냐?
    계획도 없이 애 낳았냐?

  •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아지매들 애울면 바로 유튜브 on
    코로나탓하지마라

    •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A-s-s-h-o-l-e 유튜브로 애 키우면 이런 ㅅㄱ 되는거임

  • @bellaj275
    @bellaj275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작작들 해라 뭐든 코로나?
    젊은 부모들, 퇴근해서 애들 공부 돌보는거 정말 싫어한다. 너무 피곤해서 애들 공부,독서 못 봐준다고. 그래서 하는게 핸드폰, 테블릿들. 그래놓고 난독증이니 문해력 부족이니 뭐니...어떤 희생없이 애를 키우겠다는거 적당히 해야지. 애국 하겠다는 마음으로 낳은 아이들 아니잖아. 부모로서 감당해야 할건 하자

  • @llullulu30
    @llullulu30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책을 안 읽히니 그러지

  • @user-uu1ju5sv9g
    @user-uu1ju5sv9g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어린이 스마트폰 제한늘 사회문화로 바꿔야함
    이나라는 문화와 흐름, 메타 등등 분위기로 만들면 누구보다도 잘 모이는 민족임

  • @hanjiney
    @hanjine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미디어 노출 때문이다
    맨날 패드 휴대폰만 하니 저렇지

  • @theskye2056
    @theskye2056 7 місяців тому +16

    어릴때부터 핸드폰만 쥐어줘서 그래 ~ ㅎㅎㅎ

  • @user-yh4do9le3k
    @user-yh4do9le3k 7 місяців тому +3

    태블릿으로 글을 읽은 아이가
    종이책으로 글을 읽은 아이들 보다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하는 연구결과를 본적이 있는 거 같은데 아무래도 전자파가 어린아이 뇌에 영향을 주니깐 뭔들 이상한 증상이
    안생기겠나

  • @dangerousvaccin2450
    @dangerousvaccin2450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시각장애들도 말을 잘하는데
    마스크 때문에 입모양을 못봤다고 말을 못해요?
    말이 안됩니다

  • @user-fo9nv6fn7l
    @user-fo9nv6fn7l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 집 부모도 조사해보면 조을듯.
    유퀴즈에서도 부모들 보니 한국말 모르던데. 중식제공 ... 조식 중식 석식을 모른다는 얘기 ..

  • @unable999
    @unable999 5 місяців тому +2

    7년사이에 무슨 일어난 거임? 도대채? 내가 8살때 최소 1주일에 한번씩 메주 일기2번쓰기는 꼭해야됬는대 안해오면 칠판앞으로 가서 손들고 있기정도는 했었는대 왜 ㅇㅈㄹ남? 왜?

  • @user-ym4du9se2c
    @user-ym4du9se2c 7 місяців тому

    경계선 지능은 좀 다른 원인이 있지 않나? 노산이나 전체적인 혼인 연령이 늦어져서 기형이나 저런 장애아동 출산이 오래전부터 꾸준히 증가한것도 원인이라고 생각함

  • @Ggg-iw9xg
    @Ggg-iw9x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느 순간 읽기 쓰기를 초등에서 안하니

  • @user-fn8fq5rz9f
    @user-fn8fq5rz9f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누가 봐도 애가 이상해서 조심 스럽게 ADHD 얘기 했더니...."우리 금쪽이는 절대 그럴 금쪽이가 아니여! 빼~~~~액"하면서..........어휴...그래 나중에 보.........

  • @user-ij9cz2sq4l
    @user-ij9cz2sq4l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부모가 교육을 안한거잖어

  • @dd-ux1zy
    @dd-ux1z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애들 방치하고 관심 안 주고 어린애들한테 영상 보여주니까 이렇게 된 듯;

  • @Red_Art_play
    @Red_Art_pla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타블렛이나 폰 쥐어 줄땐 편하고 좋았겠지...
    스웨덴은 초등학교에 사용하던 테블렛 같은 첨단 기기 사용 없애고 종이책으로 돌아간다고함.
    글을 쓰면서 잃고 글을 배우는게 큰데 그런게 교과 과정에 없어진 것도 크다고 보더라.

  • @Ho-kq8vm
    @Ho-kq8vm 6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그랬는데 학사때 장학금도 받았습니다

  • @BebeMong-qe4rk
    @BebeMong-qe4rk 23 дні тому

    코로나로 이정도 문제 되는거면 가정교육 평균수준이 사회문제

  • @user-rr8yc5gd1m
    @user-rr8yc5gd1m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스마트 폰을 많이봐서그렇지

  • @artravelers_8663
    @artravelers_8663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동네 애들과 놀면서 창의성 문제해결력도 키우고 촉각놀이 신체 활동이 많았는데 요즘애들은 영상만 쳐보니

  • @user-om3jd2sp1k
    @user-om3jd2sp1k 7 місяців тому

    라노벨 소설 이라도 읽는것도 도움이 될수 있다니

  • @user-fj5qx6kc2u
    @user-fj5qx6kc2u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책을 안읽혀서그럼!!! 타블렛 쥐어주구

  • @user-zn1ux5ys9f
    @user-zn1ux5ys9f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애들이 오냐오냐 하면서 자라니까 요즘 10대들 능지 개떨어짐

  • @user-gq4kc5uk9m
    @user-gq4kc5uk9m 7 місяців тому +9

    미디어때문이다. 코로나때 친구들 만나서 놀 수가 없으니 애들이 미디어 중독으로 내몰렸다ㅜㅜ

  • @user-bd9tg6qt4u
    @user-bd9tg6qt4u Місяць тому

    어릴적 배운게 평생감
    40년전 외운 천자문 아직 기억함

  • @sgm117
    @sgm117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싸지른다고 부모가 아니다 집에서 뭐했냐

  • @user-bp9bg1ie7z
    @user-bp9bg1ie7z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노산으로 인해 10명중 3명이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죽어도 말 못하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OWELLRYAN
    @LOWELLRYAN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대한민국의 미래가 답이 없다 못해 진짜 ㅈ된거 같다

  • @JS-yr5zo
    @JS-yr5zo 6 місяців тому +1

    30중반에 결혼해서 30후반에 애 낳는 노산이 당연시 됐고 노산으로 인해 덜 떨어진 애들은 계속 태어나고 과잉보호속에 어긋나게만 자라니 모자란 애들 투성이일 밖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aehanminkuksaram
    @daehanminkuksaram 4 місяці тому

    난독증은 영아기 때부터 육아 하는데 어쩔 수 없다면서 핸드폰 태블릿 쥐어서 화면만 보여주니 그런 것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