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가 컨텐츠 분야를 찬밥 취급 한적은 없습니다... 오히려 21세기는 컨텐츠의 시대라며 1980년대 버블경제 시대에 벌써부터 무지막지하게 투자했습니다. 문제는 컨텐츠 회사에 너무 많이 투자한데다가, 전자부문에 이상하게 돈을 투자해서 돈줄이 마름. 그러다가 연구원들을 짤라버리는 최대의 실수를 저지르면서 몰락하기 시작함
제가 과거 소니출신 히타치임원분 한번 뵌적있는데 그때 이런말씀을 하셨습니다. 과거 1987년 샤프에서 TFT-LCD모니터를 개발해내면서 소니도 어떤걸 밀어야할까?라고 할때. 소니의 A3영상연구소에서 OLED모니터개발해보겠습니다. 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당시 A3영상연구소, DNP(다이닛폰스크린), 소니케미컬에서 OLED양산시스템을 1995년에 개발성공했다더군요. 다만 고베대지진+슈퍼엔고로 무산되고, 그 이후 1997년 동아시아외환위기로 일본금융권이 줄도산하면서 양산이 밀렸고, 그 인력들이 NEC에 대거흡수하고, 그 NEC의 OLED엔지니어들이 삼성에 대량으로 갔다더군요. 그분이 말하시길 소니의 A3영상연구소가 폐쇄만 되지않았어도 OLED를 뛰어넘는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지않는 디스플레이를 발명해냈을거라고 합니다.
지금은 파이가 줄어들긴 했지만 카메라 시장에서 소니가 보여준 액션을 본다면 소니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었죠. 시대는 변했고 소니는 한 때 생존의 기로에 섰지만 지금은 다른 분야에서 잘 나가면서 그 시기를 헤쳐 나간 만큼, 우리나라 기업들도 소니의 생존싸움 역사에서 힌트를 얻어서 위기를 잘 벗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정확한 시기는 기억이 안나지만 2000년대 초에 소니가 PDA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안되는 시장이구나 생각했다가 애플이 뛰어들더니 PDA 랑 비슷한 느낌아닌 느낌의 아이팟으로 대박을 치는거 보고 정말 대박이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개인적으론 그래도 소니라고 NET MD 랑 MP3 플레이어를 같이 들고다녔던 시기였네요.
@@shkang8058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멀티터치 정전식 터치 스크린은 lg가 아니라 제프 한 랩에서 처음 개발했고 초콜릿폰이 나온 2005년에는 논문으로만 존재하던 기술이었음. 처음 기술 시연을 한 게 2006년이고 소비자용 상용 제품에 탑재된 건 2007년에 나온 아이폰이 최초 중에 하나였음
ㅇㅈ합니다. 영상 초반대 보면서 바로 이 생각 들어요.. 게다가 중국은 자본 많고 자국 인구가 너무 많다보니 대놓고 표절해서 다른 나라에 못팔아도 자국내에서 팔아서 돈 엄청 벌고 그걸로 또 해외에 투자할 수 있고 돈 많다보니 계속 우리 따라하다가 오히려 더 기술이 좋아질 가능성이 높고,,
저도 MD를 2000년 초반에 구입 했는데, 당시 MP3 음질은 최악이여서 나름 매니아 층에서는 역시 MD가 최고다~!!! 라는 생각이 있었죠. 하지만 소니가 세월의 변화에 대해 빠르게 대응 하지 못한 부분, 지금도 PS 컨텐츠 때문에 MS가 블리자드 인수한다는데에 강한 반발을 보이는 부분처럼, 앞으로도 미래에 대한 투자와 대책이 앞서지 않는다면 어느 기업들 역시 마찬가지로 영원한 강자는 존재 하지 않을 듯 싶네요.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TV시장 트랜드 변화도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과거 다양한 일본기업들이 잡아먹던 시장을 한국기업들이 잡아먹고있던 그 순간, 여전히 화질면에선 뛰어났던 파이오니아의 PDP 생산 포기 그리고 LCD의 유행 더 나아가 QLED OLED 싸움 끝에 OLED에서 mLED로 변화할 다음 발자국까지 프리미엄 티비 시장의 변화를 “소비더머니”의 스타일로 알려주시면 또 재밌을 것 같아서 부탁드려봅니다 ㅎㅎ
샤프 에 대해서도 다루어주세요.. 2001년 다들 영한사전 뒤지고 있을때. 손바닥만한 샤프 영한번역기 최고 였고.. 현재 LG오브제 다이슨 공기 청정기쓰고 있는데.. 5년전 출시했던 샤프 공기청정기 정확도 못따라가고 있어요.. 테크유투버가 아니여서.. 보여드리기 힘들지만 동일한 환경에서 가장 빠르게 반응하고 효과 좋습니다. 샤프 공기청정기 한국 철수 한지 오래라서.. 구하실수도 없을거예요 샤프 일대기도 듣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hesist 일본이 백색 가전 우리한테 밀린다고 일본 전자업체들이 몇군데 망했나요? 일본 부품없으면 우린 완제품 못 만들지만 일본은 우리나라 부품없어도 만들어요.거기다 우리나라 방송국과 기자들 죄다 일본제품 쓰지요.초 정밀 가공 산업과 부품 소재산업은 일본 못따라가요.그게 가장 중요한 핵심 산업이에요
전엔 어떤 상품이든 소니 것이면 최고급처럼 느껴졌고, 실제로 소니 바이오 노트북도 정말 만족하면서 썼고 어떻게 이런 디자인을 했을까 하며 감탄했는데 지금은 카메라 말고는 소니 걸 사야겠다 싶은 게 하나도 없네요 플스야 최고의 상품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닌텐도 게임기를 더 좋아해서... 정말 세상이 많이 변했습니다 물론 또 앞으로도 어떻게 될지 모르죠
현기는 중국자동차회사 추격을 너무 많이 받고 있음. 삼성 엘지는 소니이후 어느정도 전성기를 누렸지만, 현재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애플이라면 그 밑 기업들의 격차가 눈꼽만큼임....시장에서 왕좌소리를 듣기에는 테슬라가 넘사벽이고, 2위자리 유지하려고 하니 중국의 추격이 만만치 않음.... 현기의 가장 큰 문제는, 테슬라를 뛰어넘어야할 생각을 해야하는데, 현재 현기차의 경영이나 기술은 중국보다 조금이나마 더 잘하려는데 포커스가 맞춰져있는것 같아서 상당히 아쉬움....
IT 업계 종사자로서 요즘 또다시 격변하고 있는 시대에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곱씹게 되는 유익한 영상이었답니다. ^^
It기술도 새로운것들이 계속 쏟아져나옵니다 ㅠㅠ 미칠것같아요
지금의 소니는 가전업체라기 보다는 종합엔터테이먼트 회사에 더 가까운거 같아요
소니가 하드웨이쪽에서는 수많은 삽질을 했지만 역설적이게도 전성기시절에 찬반 취급하던 컨텐츠 분야가 현재의 소니를 먹여살리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
소니가 컨텐츠 분야를 찬밥 취급 한적은 없습니다...
오히려 21세기는 컨텐츠의 시대라며
1980년대 버블경제 시대에
벌써부터 무지막지하게 투자했습니다.
문제는 컨텐츠 회사에 너무 많이 투자한데다가, 전자부문에 이상하게 돈을 투자해서 돈줄이 마름.
그러다가 연구원들을 짤라버리는
최대의 실수를 저지르면서
몰락하기 시작함
제가 과거 소니출신 히타치임원분 한번 뵌적있는데 그때 이런말씀을 하셨습니다. 과거 1987년 샤프에서 TFT-LCD모니터를 개발해내면서 소니도 어떤걸 밀어야할까?라고 할때. 소니의 A3영상연구소에서 OLED모니터개발해보겠습니다. 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당시 A3영상연구소, DNP(다이닛폰스크린), 소니케미컬에서 OLED양산시스템을 1995년에 개발성공했다더군요. 다만 고베대지진+슈퍼엔고로 무산되고, 그 이후 1997년 동아시아외환위기로 일본금융권이 줄도산하면서 양산이 밀렸고, 그 인력들이 NEC에 대거흡수하고, 그 NEC의 OLED엔지니어들이 삼성에 대량으로 갔다더군요. 그분이 말하시길 소니의 A3영상연구소가 폐쇄만 되지않았어도 OLED를 뛰어넘는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지않는 디스플레이를 발명해냈을거라고 합니다.
소니는 처음부터 가전업계가 아니였습니다. 그래서 냉장고 잔자렌지 같은게 안나왔죠 예전부터 소니는 오디오&비디오 업체 입니다
@@무사시-q3r AV...
@@내일을봅니다-n8f 돈 나올 소스 독점해서 쉽게 벌라다 좆댄 케이스 군요
지금은 파이가 줄어들긴 했지만 카메라 시장에서 소니가 보여준 액션을 본다면 소니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었죠.
시대는 변했고 소니는 한 때 생존의 기로에 섰지만 지금은 다른 분야에서 잘 나가면서 그 시기를 헤쳐 나간 만큼,
우리나라 기업들도 소니의 생존싸움 역사에서 힌트를 얻어서 위기를 잘 벗어났으면 좋겠습니다.
현용님 정말 입담꾼!! 같은 얘기라도 집중하고 상상하게 만들고 너무 재밌어서 25년 1월 다시 봅니다!
끊임없이 변화하지 않으면 앞서나갈수 없다는거겠죠
😊😊😊😊😊😊😊😊😊😊😊😊😊😊😊😊😊😊😊😊😊😊😊😊😊😊😊😊😊😊😊😊😊😊😊😊😊😊😊😊😊😊😊😊😊😊😊😊😊😊😊😊😊😊😊😊😊😊😊😊😊😊😊😊😊😊😊😊😊😊😊😊😊😊😊😊😊😊😊😊😊😊😊😊😊😊😊😊😊😊😊😊😊😊😊😊😊😊😊😊😊😊😊😊😊😊😊😊😊
😊😊😊😊😊😊😊😊😊😊😊😊😊😊😊😊😊😊😊😊😊😊😊😊😊😊😊😊😊😊😊😊😊😊😊😊😊😊😊😊😊😊😊😊😊😊😊😊😊😊😊😊😊😊😊😊😊😊😊😊😊😊😊😊😊😊😊😊😊😊😊😊😊😊😊😊😊😊😊😊😊😊😊😊😊😊😊😊😊😊😊😊😊😊😊😊😊😊😊😊😊😊😊😊😊😊😊😊😊😊😊😊😊😊😊😊😊😊😊😊😊😊😊😊😊😊😊😊😊😊😊😊😊😊😊😊😊😊😊😊😊😊😊😊😊😊😊😊😊😊😊😊😊😊😊😊😊😊😊😊😊😊😊😊😊😊😊😊😊😊😊😊😊😊😊😊😊😊😊😊😊😊😊😊😊😊😊😊😊😊😊😊😊😊😊😊😊😊😊😊😊😊😊😊😊😊😊😊😊😊😊😊😊😊😊😊😊😊😊😊😊😊😊😊😊😊😊😊😊😊😊😊😊😊😊😊😊😊😊😊😊😊😊😊😊😊😊😊😊😊😊😊😊😊😊😊😊😊😊😊😊😊😊😊😊😊😊😊😊😊😊😊😊😊😊😊😊😊😊😊😊😊😊😊😊😊😊😊😊😊😊😊😊😊😊😊😊😊😊😊
😊😊😊😊😊😊😊😊😊😊😊😊😊😊😊😊😊😊😊😊😊😊😊😊😊😊😊😊😊😊😊😊😊😊😊😊😊😊😊😊😊😊😊😊😊😊😊😊😊😊😊😊😊😊😊😊😊😊😊😊😊😊😊😊😊😊😊😊😊😊😊😊😊😊😊😊😊😊😊😊😊😊😊😊😊😊😊😊😊😊😊😊😊😊😊😊😊😊😊😊😊😊😊😊😊😊😊😊😊😊😊😊😊😊😊😊😊😊😊😊😊😊😊😊😊😊😊😊😊😊😊😊😊😊😊😊😊😊😊😊😊😊😊😊😊😊😊😊😊😊😊😊😊😊😊😊😊😊😊😊😊😊😊😊😊😊😊😊😊😊😊😊😊😊😊😊😊😊😊😊😊😊😊😊😊😊😊😊😊😊😊😊😊😊😊😊😊😊😊😊😊😊😊😊😊😊😊😊😊😊😊😊😊😊😊😊😊😊😊😊😊😊😊😊😊😊😊😊😊😊😊😊😊😊😊😊😊😊😊😊😊😊😊😊😊😊😊😊😊😊😊😊😊😊😊😊😊😊😊😊😊😊😊😊😊😊😊😊😊😊😊😊😊😊😊😊😊😊😊😊😊😊😊😊😊😊😊😊😊😊😊😊😊😊😊😊😊😊😊😊😊😊😊😊😊😊😊😊😊😊😊😊😊😊😊😊😊😊😊😊😊😊😊😊😊😊😊😊😊😊😊😊😊😊😊😊😊😊😊😊😊😊😊😊😊😊😊😊😊😊😊😊😊😊😊😊😊😊😊😊😊😊😊😊😊😊😊😊😊😊😊😊😊😊😊😊😊😊😊😊😊😊😊😊😊😊😊😊😊😊😊😊😊😊😊😊😊😊😊😊😊😊😊😊😊😊😊😊😊😊
😊😊😊😊😊😊😊😊😊😊😊😊😊😊😊😊😊😊😊😊😊😊😊😊😊😊😊😊😊😊😊😊😊😊😊😊😊😊😊😊😊😊😊😊😊😊😊😊😊😊😊😊😊😊😊😊😊😊😊😊😊😊😊😊😊😊😊😊😊😊😊😊😊😊😊😊😊😊😊😊😊😊😊😊😊😊😊😊😊😊😊😊😊😊😊😊😊😊😊😊😊😊😊😊😊😊😊😊😊😊😊😊😊😊😊😊😊😊😊😊😊😊😊😊😊😊😊😊😊😊😊😊😊😊😊😊😊😊😊😊😊😊😊😊😊😊😊😊😊😊😊😊😊😊😊😊😊😊😊😊😊😊😊😊😊😊😊😊😊😊😊😊😊😊😊😊😊😊😊😊😊😊😊😊😊😊😊😊😊😊😊😊😊😊😊😊😊😊😊😊😊😊😊😊😊😊😊😊😊😊😊😊😊😊😊😊😊😊😊😊😊😊😊😊😊😊😊😊😊😊😊😊😊😊😊😊😊😊😊😊😊😊😊😊😊😊😊😊😊😊😊😊😊😊😊😊😊😊
😊😊😊😊😊😊😊😊😊😊😊😊😊😊😊😊😊😊
3:02초 소비더머니 본인 맞으시죠 ? 오
지금 제가 쓰는 소니가 뭐있나 생각 해보니 그래도 일반용 캠코더와 전문가용 해드폰 이렇게 2가지나 가지고 있네요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90년대 까지만 해도 전자제품 = 소니일 정도로 압도적인 브랜드였는데
독자규격으로 소비자들 민심 잃더만 2000년대부터 삼성한테 그 자리 뺏기고
다시 엔터쪽으로 다시 살아나는거 보면 격세지감 느껴짐
독자규격 애..... 플......?
소니라기 보다 일제 였죠.
JVC 샤프 아이와 히타치 파나소닉 NEC 도시바 내쇼날...
근데 냉장고 세탁기 전자렌지 에어컨... 요건.. 일제는 하나도 몰겠고 미제는 유명했는데...
@@judgejung488 도시바 = 내쇼날 = 파나소닉
진짜 학창시절 일제 미제라는 단어 많이썼죠
옛말에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했는데 지금은 1년마다 바뀌는듯합니다
정확한 시기는 기억이 안나지만 2000년대 초에 소니가 PDA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안되는 시장이구나 생각했다가 애플이 뛰어들더니 PDA 랑 비슷한 느낌아닌 느낌의 아이팟으로 대박을 치는거 보고 정말 대박이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개인적으론 그래도 소니라고 NET MD 랑 MP3 플레이어를 같이 들고다녔던 시기였네요.
참고로 그 기술 lg기술임.
예전엔 감압식 터치 방식이였는데 첨으로 초콜릿폰에 정전식 방식으로 만들었고 망해서 애플한테 기술 팔았음.
솔직히 말해서 전 IPOD보다 2003년 소니의 X505가 더 충격적이였습니다.
@@shkang8058 엘지는 예나 지금이나 잘 만들어놓고 말아먹는 건 예술이구나
@@shkang8058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멀티터치 정전식 터치 스크린은 lg가 아니라 제프 한 랩에서 처음 개발했고 초콜릿폰이 나온 2005년에는 논문으로만 존재하던 기술이었음. 처음 기술 시연을 한 게 2006년이고 소비자용 상용 제품에 탑재된 건 2007년에 나온 아이폰이 최초 중에 하나였음
PDA 비슷한 제품은 아이팟이 아니라 아이폰 아닌가요..?
현 시점에 애플 포지션이 딱 2000년대 이전에 소니 느낌이었지. 쌔끈하고 갖고 싶고 시장선도하는 느낌
요약된 부분을 간단 명료하게 일러 주십니다 급격하게 구독 좋와요 바쁜 일정을 소화해야하는 시대에 꼭 맡는 🎉🎉🎉🎉🎉
군대 제대하고 소니 TV영업사업 했을때를 생각해보면
그냥 S.O.N.Y 알파벳 네글자 때문에 TV사는 분들이 많았았습니다 폰도 그랬고요
그 당시 소니 생각해보면 격세지감이 많이 느껴지네요
소니 예전에도 자주 보였던 기업이라 특히 재밌게 봤네요 ㅋㅋㅋㅋㅋ 조부께서 소니를 좋아하셔서 예전에 자주 봤는데 새롭네요 ㅋㅋㅋ
저도 쏘니카세트 썼어요 시디플레이어도 썼고요 추억의 이름 마이마이 그건 써보닌 않았지만 아하 요요깜 다 추억의 이름이네요 오늘도 즐감합니다 고맙습니다~
디지털카메라 사업부분 최대경쟁자인 캐논도 부탁드립니다
닌텐도도!!
니콘과 캐논 같이!
파나소닉, 덴소, 히타치 등 할거 많음
후지필름도요.. 아주 변태같은 회사 철학을 가진 것 같아서요 ㅋㅋ
그러면 코닥이 빠질수가 없죠
은근히 중국 기업들의 느낌이 과거의 한국 기업처럼 위협적으로 느껴집니다.
여기에 대한 영상도 부탁드립니다.
ㅇㅈ합니다. 영상 초반대 보면서 바로 이 생각 들어요.. 게다가 중국은 자본 많고 자국 인구가 너무 많다보니 대놓고 표절해서 다른 나라에 못팔아도 자국내에서 팔아서 돈 엄청 벌고 그걸로 또 해외에 투자할 수 있고 돈 많다보니 계속 우리 따라하다가 오히려 더 기술이 좋아질 가능성이 높고,,
중국은 가격경쟁력이 미친데다 기술력도 장난아니죠 요즘
일단 확실한건 게임 시장은 중국한테이미 졌어요
화웨이 이런 예전에는 말도 안되던 핸드폰 회사들이 삼성을 따라잡고있죠
모니터패널만봐도 워낙싸게 파니깐 삼성,엘지 보급형에도 대만이나 중국패널 쓸정도임 엘지패널 들어간건 가격이 거의1.5배수준
다른 편도 항상 재밌었지만 이번 소니 편은 특히 더 재밌네요 ! 앞으로 또 어떤 일본 기업 이야기를 해주실지 기대가 됩니다 !.!
플레이스테이션5... 진짜 구하느라 너무 힘들었었다ㅠㅠㅠ
뭐든 독보적인 기술력이 있으면 쉽게 무너지지 않음.
물론 소니가 종합 엔터 사업으로 거듭 나고 있지만,
그 주축에는 견고한 전문가용 카메라와 게임기 산업이 떠받쳐 주고 있다는 거.
깔끔한 정리 굿
이외로 전문성 갖추고 모토로라는 망해버린 특이 케이스ㅠㅅㅠ
떠받힌다라...갤럭시 s23울트라 256gb 판매금액이 75억달러.. 2022년 디지털카메라 시장 총합계가 68억달러...문제는 512gb가 더 많이 팔렸음.
@@gregory000 카메라 vs 핸드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p1yj5xp5k ㄴㄴ 폰 1개 모델의 256gb 버전 vs 카메라 전체
3:02 기자님 아니세요 ??
03:02 조기자님..? 언제적..?!
참여정부 후반기 또는 이명박 정부 전반기 예상
2부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ㅋㅋㅋㅋㅋ
스티브잡스가 소니는 박스부터 감명받는다고 했을 정도로 지금 애플에 큰 영향을 준 게 소니. 소니는 명품의 혼이 있었지.
지금은 없음. OEM 중국제 투성이..
아이폰은 아이리버 보고 영감 받은건데 ㅡㅡ
당시 소니노트북 싸게가져보려고 용산 매장을 이리저리 다니던 기억이(펜3 노트북)
표절
과거 맥킨토시 뒷통수 툭 튀어나온 알록달록이때나 그랬지
조나단 아이브 부사장 이후로는
다 아이팟 제품군들 부터 패키징 다 디터람스 영향임
금맥이 어디에서 어떻게 터질지 알 수 없군요. 이래서 경영이 힘든 듯...
재밌게 잘 봤습니다.
그러니까요
자존심이 밥먹여주지않는다를 몸소보여준 소니
97년 쯤 그 시절때.
플스 게임 하며.. 매달 게임잡지 사 모으던 시절..
그때.. 게임잡지에 실린 기사에서 " 소니전사. 소니뮤직, 소니엔터테인먼트," 등 분할, 합병 한다고 기사에 실렸는데..
지금은 금융이랑, 엔터테인먼트, 꽉 잡고 있지...
저도 MD를 2000년 초반에 구입 했는데, 당시 MP3 음질은 최악이여서 나름 매니아 층에서는 역시 MD가 최고다~!!! 라는 생각이 있었죠.
하지만 소니가 세월의 변화에 대해 빠르게 대응 하지 못한 부분, 지금도 PS 컨텐츠 때문에 MS가 블리자드 인수한다는데에 강한 반발을
보이는 부분처럼, 앞으로도 미래에 대한 투자와 대책이 앞서지 않는다면 어느 기업들 역시 마찬가지로 영원한 강자는 존재 하지 않을 듯 싶네요.
뉴스 잘보고 있습니더
남들이 안 하는 거 하고,
그 중에서 자기가 잘하는 거 하고,
또 그 중에서 모든 이들이 원하는 것을 해라.
그러면 성공할 것이다.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자유로운 형식과 편리한 mp3가 이겼지만, 소니의 마지막 MD플레이어 sony rh1을 들어보면
왜 그들이 MD만 바라봤는지 보여주는 비운의 명작이라고 생각합니다.
6:07
여기서 스티브잡스가 말한 건 기업의 목표가 있는 우리와 달리 소니는 무엇을 향해 달리는지, 목표가 제대로 없다는 것을 비유한 표현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영상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니는 몰락했다기보다는 버블경제 시대에 인수한 미국 회사들 가지고 가전에서 엔터.미디어 업종 중심으로 변신했죠.
삼성과 소니는 책으로도 봐서 훨씬 흥미롭네요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TV시장 트랜드 변화도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과거 다양한 일본기업들이 잡아먹던 시장을 한국기업들이 잡아먹고있던 그 순간, 여전히 화질면에선 뛰어났던 파이오니아의 PDP 생산 포기 그리고 LCD의 유행 더 나아가 QLED OLED 싸움 끝에 OLED에서 mLED로 변화할 다음 발자국까지 프리미엄 티비 시장의 변화를 “소비더머니”의 스타일로 알려주시면 또 재밌을 것 같아서 부탁드려봅니다 ㅎㅎ
매우 효과적인 강의입니다
재밋어요 소니 이야기!~ ㅎㅎ
설명한다고 고생했다.
경영에선 이말이 진리인것 같습니다."어느구름에서 비가 올지 모른다. " 일단 해놓고 나면 되는걸로 돈을 버는거지요.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어제 모 먹고주무셨나요
볼이 통통통❤️
소니가 우리나라 기업들이 배워야할 교과서급 스토리죠.우리도 지금 중국한테 전자제품 먹히네마네하고있는데 돌파구 찾으려면 소니와 똑같지는 않더라도 체질개선 잘해야합니다.이미 산업스파이들한테 기술 다털리고있는데 언제까지 중국기업 아래로 보고있을까요.지금 한국서럼들 오만하게 있다가 한국한테 따인 소니꼴보다 더한모습 나올텐데..
누가 오만하게 있음?본인 이야기아님?
@@dan4536dg 말귀 문맥이해못하고 시비터는 당신같은 사람ㅇㅇ
@@dan4536dg누가 오만하게있냐고? 전국민,그리고 대기업 오너들 ㅋㅋㅋㅋㅋ 삼성만봐도 세계적으로 커진지 얼마나됐다고 벌써 흔들리는데 대책이 아예없음 미국,중국한테 제발 버리지말아달라고 비는거밖에 없어서 맨날 돌아다님
근데 국민들은 그걸보면서 기술력으로 시장 선점을 하느니 이딴 뇌내망상이나 뿌려댐ㅋㅋㅋㅋㅋㅋ
소니는 나날이 발전하고 진보하는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처하고 변화에 맞춰 제 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죠.
그리고 우리가 보통 소니하면 전자.미디어컨텐츠 기업으로 알고있지만 아이러니하게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은 금융쪽 계열사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여전히 방송기기 분야에서 소니는 독보적입니다.
2부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ㅋㅋㅋㅋㅋ 그리고 혹시 영상 제작에 활용한 자료들을 더보기란에 기재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책 같은 거면 저도 보고 싶어서요ㅋㅋㅋㅋㅋㅋㅋ
화이팅입니다 😢
3:03 너무 풋풋하시다.... 몇살때인가요
3:03 나오는 분 진행자 조현용 PD 아닙니까?
은근히 자료화면에 삽입....
샤프 에 대해서도 다루어주세요..
2001년 다들 영한사전 뒤지고 있을때.
손바닥만한 샤프 영한번역기 최고 였고..
현재 LG오브제 다이슨 공기 청정기쓰고 있는데.. 5년전 출시했던
샤프 공기청정기 정확도 못따라가고 있어요..
테크유투버가 아니여서.. 보여드리기
힘들지만 동일한 환경에서 가장 빠르게 반응하고 효과 좋습니다.
샤프 공기청정기 한국 철수 한지 오래라서.. 구하실수도 없을거예요
샤프 일대기도 듣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3:03 제가 제대로 본거 맞나요 ㅎ
기자 시절에 찍으신건가?
재계서열 19위의 비상장 기업 부영그룹도 해주세요!!ㅠㅠ
카세트 테잎 워크맨 시디플레이어 새걸로 다시 사고 싶은데 살 수가 없음.
그만의 감성이 있는데 말이지.
그래서 요즘은 LP(Vinyl) 들으면서 아날로그 감성 충족 시키고 있음.
한국도 비슷한 상황인듯한 느낌이 드네요.
소니의 일반가전제품은 우리나라 기업에 밀리긴 했지만 소니의 방송장비및 영상장비는 지금도 우리나라 기업들 따라잡지 못했다.
따라잡을 필요가 없어서 아닌가요... 방송국같이 수요가 한정된거 보다는 대중한테 파는게 돈이 더 되니까...
@@bk-es3dr tv몇백대팔아서 벌 이익 몇십대 팔아서 이익 남음..... 방송카메라 한대가격 9천만원...... 초정밀 분야는 일본 따라잡을수 없음
@@자전거-f6z 대량생산제품이면 많이 팔리는 제품이 좋아요. 규모의 경제 잖아요. 제품당 수익은 적어도 판매량에서 압도하면 됩니다.
@@hesist 일본이 백색 가전 우리한테 밀린다고 일본 전자업체들이 몇군데 망했나요? 일본 부품없으면 우린 완제품 못 만들지만 일본은 우리나라 부품없어도 만들어요.거기다 우리나라 방송국과 기자들 죄다 일본제품 쓰지요.초 정밀 가공 산업과 부품 소재산업은 일본 못따라가요.그게 가장 중요한 핵심 산업이에요
@@자전거-f6z 지금은 못따라 잡는 시대는 아닙니다 그냥 사서 쓰면 편하니까 개발 안하는거죠
예전에는 워크맨, 디스크맨, 랩탑 바이오 꽤나 잘나갔는데 이제 다 추억일 뿐 ㅋㅋ
시대에 맞추면서 변화해야
선택받을수 있다
소니 테이프워크맨 씨디워크맨 엠디 소니 티비 캠코더 다 썼던 사람으로 잠시 추억에 젖어보다보니 지금은 소니 풀프 미러리스 카메라 m4 로 아이들을 찍어주고 있네요
3:02 기자님 등장
소니가 콤롬비아영화사 인수해둔게 지금 덕보고 있는거죠 삼성은 하드웨어는 강한데 소프트가 약한게 아쉬운거죠
소니뮤직 , 컬럼비아 영화사를 가지고 있는거 자체가 엔터테이먼트분야에서 한국이 따라올수없는부분이기도 함..
현재도 카메라는 독자규격 메모리 사용합니다.. 울며겨자먹기로 써야허죠..
메모리 스틱 가격 엄청났죠.. 엠디도 썻는데..
삼성이 소니를 능가하는 카메라를 다시 만들면 좋겠습니다. 삼양렌즈와 같이 손잡고 렌즈쪽도 힘을 쏟는다면 능히 가능할것 같아요.
음 마이마이는 소니 워크맨에 비빌건 아니었죠. ㅋㅋ 오히려 소니를 망하게 한건 이거저거 다하는 거엿고 엘지 삼성은 선택과 집중이었음...
그리고 지금도 미디어의 제작, 유통까지 모든 과정이 가능한 회사는 소니가 유일함
90년대 소니하고 아이와가 판칠때 삼성에서 나온 무선 마이마이가 있었는데 어릴때라 무슨 기술인지는 모르겠지만 무선으로 듣는데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지금 어떤건지 찾고 싶어도 못 찾겠네요
알다가도 모르는게 세상이네요.
어떻게 흐를지 모르는 세상 의외라고 생각하는 곳에서 대박터지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죠.
3:02 젊은 시절 형님 ^^
절대 무시할수 없는 저력을 가진 회사...
주력사업을 바꿔 탈바꿈하다니...
저기서 너무 소니 금융쪽을 무시하는데 소니 몰락을 소니가 만든 자동차 보험이 버티게 해주었습니다. 지금도 소니의 보험회사 매출이 엔터 매출 다음으로 높아요.
영상만드는 쪽이 자료 조사를 덜한건지는 모르겠지만, 소니가 금융업 진출하면서 국내 대기업도 똑같이 따라했습니다.
@@gagurig5193보험업이 무슨 창의성이 필요한게 아니니깐요...
도요타혼다도 해주세용
소니 tv는 지금도 타사대비 색정확성은 확실하게 높여서 나와서 좋긴함 ㄹㅇ
다른 일본기업 사례들도 소개해 주세요! 너무 재미있어요
3:04 앗! 기자님이닷!
전엔 어떤 상품이든 소니 것이면 최고급처럼 느껴졌고, 실제로 소니 바이오 노트북도 정말 만족하면서 썼고 어떻게 이런 디자인을 했을까 하며 감탄했는데 지금은 카메라 말고는 소니 걸 사야겠다 싶은 게 하나도 없네요
플스야 최고의 상품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닌텐도 게임기를 더 좋아해서...
정말 세상이 많이 변했습니다
물론 또 앞으로도 어떻게 될지 모르죠
이미지 센서는 소니가 독보적임.. 스마트폰 용이나 크기가 작은 이미지 센서부분에서만 한국이 경쟁할뿐… 삼성에도 제발 35mm이상의 센서도 만들어주길!!
MBC뉴스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할말하는 깨어있는 언론
앞으로도 진실된 전달자로 남아주세요
세계 TV시장에서 중국 브랜드가 빠르게 점유율을 올려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삼성 LG는 프리미엄 라인 위주로 점유율이 재편되고 있는데 과거 소니가 우리한테 역전당할때랑 비슷한 패턴 인것 같아 불안하긴 하네요.
3:02 기자님 아니신가요? ㅋㅋㅋ
진짜 나 초등학교(그시절 국민학교)
시절에 집에 소니tv와 워크맨가지고
다니면 잘사는 집이었죠 삼성은. 그냥
지금의 중국가전업체 취급받던 시대었죠 처음으로 용산가서 alwa워크맨
사고 기뻐했던 기억이 나네요 벌써
25년전 이야기
1편 2편 진짜
잼있게 봤다
소니 TV 시장이나 LG 피처폰 이나 뭐든지 전환 타이밍이 중요한 듯...
소니 수익구조가
영화,음악,반도체(소재,부품,장비),카메라,게임,다른 회사 지분,전자제품
진짜 엄청 다양하네
3:02 에 나오시는 분은 도플갱어 맞죠??
소니한테 배울 점은 딱 하나야. 세상의 변화에 신경 안쓰고 나몰라라하면 안 된다는 점. 한국 기업들은 소니처럼 그러지는 않는 것 같아서 다행인 듯
Im surprised you did not mention the SONY EV (AFEELA) that will go on sale next year. That could be the product that reinvents SONY again.
기자님 두산 한 번 다뤄주세요~
2003년도였나
LCD모니터 열풍불때
TV는 소니라며 소니 LCD 모니터 쓰던 선배있었는데
색감은 소니가 당시 삼성.LG보다 월등했죠
가격이 1.5배였나 비싸서
전 LG꺼 썼지만
3분03초 소비더머니 진행자인줄 설명하는 남자 !
💥💥중국의 산업스파이에 대해 다뤄줌 좋겠다
소니의 고집과 기만이 애플과 삼성, LG에겐 기회였을지도 모르죠..
지금도 음향기기는 소니가 좋기는 한데....
과거 서니의 대응이 현재 인본차 메이커들의 전기차 시장에 대한 안일한 대응과 겹쳐보이네요
그러나 토요타 작년에도 세계 1위
3:02 젊으셨을떄 잘생기셨네요 ㅎㅎ
아이리버 창업자가 미국인이었다면 어마어마한 투자를 받아서 지금 세계를 휘어잡고 있었을 듯.... 결국 인생은 운이고 그중에 어디에 태어났는냐가 가장 중요하다는 경제학자의 말이 와 닿네요.
현대차도 지금 딱 그 시기인 것 같네요.
자동차 최강자인 도요타가 전기차는 너무 이르다고 개발을 안한것처럼 전기차를 준비해 호평을 받는 현대차 응원합니다.
현기는 중국자동차회사 추격을 너무 많이 받고 있음. 삼성 엘지는 소니이후 어느정도 전성기를 누렸지만, 현재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애플이라면 그 밑 기업들의 격차가 눈꼽만큼임....시장에서 왕좌소리를 듣기에는 테슬라가 넘사벽이고, 2위자리 유지하려고 하니 중국의 추격이 만만치 않음.... 현기의 가장 큰 문제는, 테슬라를 뛰어넘어야할 생각을 해야하는데, 현재 현기차의 경영이나 기술은 중국보다 조금이나마 더 잘하려는데 포커스가 맞춰져있는것 같아서 상당히 아쉬움....
유튭충이시네요 ㅎㅎ 국뽕충인가 ㅋㅋ
@@scottyoko703 님을 낳으신 부모님도 응원합니다~
@@scottyoko703 얘는 일뽕충 혹은 깨시민충이네ㅋㅋ
나쁘게 말하면 둘다 애매한 포지션인거죠.
그 도요타가 2022년 자동차 판매량1위 한거 아시죠?
현대는 내연기관 시장에서도 어중간한 포지션이고 전기차 시장에서도 선두가 아니에여
현대가 22년도에 전기차를 61만대 팔았는데 전기차 시장 진입이 늦었다는 도요타가 44만대 팔았어요.
전기차 시장은 테슬라1강 byd2강이고 나머지는 엎치락뒤치락 하는 상황이라
어떤기업이 급성장할지 알 수 없죠.
옛날엔 소니가 지혼자 독자규격을 해서 너무 짜증났는데
현재는 애플이 그 독자규격을 하고 있어서 짜증남
소니보면서 뭔가 LG 핸드폰 사업부분 보는거 같았음..ㅜㅜ
30년 전쯤에 삼성 직원이 소니가서 배웠는데 15년?? 전쯤 삼성에 회의가니까 소니직원들 삼성와서 뭐 배우고 있던데 감개무량 하더군요 ㅋㅋ
Md 는 매우 좋았다
시디 보다 작고. 워크맨 보다
작은데. 음질이 좋았지
손맛도 좋았고
타이밍이 아쉬울뿐
아무래도 훨 더 작은 mp3 에 선가는 대중이 많았지.
md 크기도 딱 좋은데
플스도 독점작으로 큰거죠. 개방성이랑은 거리가 멀어요
소니의 브라운관TV는 레트로게임할때 최고의 아이탬이지. 다시 만들어서 팔아줘.
삼성과 애플이 소니를 역전한 사례가 현재 TSMC가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뛰어넘어 시장 점유율에서 1등을 하고 있는 모습과 닮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