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바닷속 성게를 없애버렸더니 생긴 놀라운 변화|크랩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бер 2023
  • #크랩 #성게 #해녀
    ‘바다 사막화’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 해조류가 숲을 이뤄야 할 바닷속이 새하얗게 변하며 황폐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바다 사막화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게 이른바 ‘해적 생물’이라는 성게입니다. 이때문에 국내외에선 성게를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수 년 동안 열심히 성게를 잡아 없앤 우리 바닷속 모습은 어떨지 크랩이 알아봤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2,7 тис.

  • @sleepyanonymous8653
    @sleepyanonymous8653 Рік тому +1902

    성게알을 싸게 공급만 해주면 본인 인간 해달이 될 자신 있음

    • @user-nk2mi1lt8m
      @user-nk2mi1lt8m Рік тому +54

      나도 ㅋㅋ

    • @haitaitigersv104
      @haitaitigersv104 Рік тому +21

      나도

    • @omyo3522
      @omyo3522 Рік тому +12

      나두

    • @user-ds6so7ss2s
      @user-ds6so7ss2s Рік тому +60

      근데 우리가 먹는 성게랑 문제가 되는 성게랑 종류가 달라

    • @user-jf2yz8cb5b
      @user-jf2yz8cb5b Рік тому +34

      @@user-ds6so7ss2s 진짜??? 바닷가 가면 해녀분들이 막 잡은거 파시는거 아니였음???

  • @user-wj6oe5rx8v
    @user-wj6oe5rx8v Рік тому +7851

    그래도 성게들이 부서지는걸 보니 마음이 아파서 입에서 눈물이 나네요

  • @gjlms8443
    @gjlms8443 Рік тому +408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묵묵하게 자기 일에 최선을 다 하는 이런 분들이 많이 있어서 그나마 우리나라가 돌아가는 것 같네요.. 정말 숨은 영웅들. 감사합니다.

  • @syk1938
    @syk1938 Рік тому +304

    성게 줍는거 어렵지도 않고 ㅈㄴ 재밌고 성게 바다에서 주워서 바로 먹으면 진짜 너무 달고 하나도 안비리고 맛 진하고 너무 맛있는데 ㅠㅠ 외할아버지 돌아가시기 전에는 섬에서 어업하셔서 휴가마다 행복했었지..

    • @JJJosuk
      @JJJosuk 3 місяці тому +12

      근데 웰케 비쌀까요.. 이게 대량 생산이 안돼서 그런가ㅠ

    • @neppu_heart
      @neppu_heart 3 місяці тому +2

      식당에서 드시면 비싸고 온라인으로 찾아보세요

    • @user-lm9lh1wo6j
      @user-lm9lh1wo6j 2 місяці тому

      ​@@JJJosuk네

    • @user-le8nv1xq6j
      @user-le8nv1xq6j Місяць тому +1

      @@JJJosuk 일본에 수출하면 환율로 7배 가격임

    • @ka_ming_
      @ka_ming_ 17 днів тому

      @@neppu_heart인터넷도 비싸요ㅜㅜ

  • @W.O_O.K
    @W.O_O.K Рік тому +5580

    무식하게 싹다 없애버리는게 아니라 일정 규격안에 얼마나 있어야 생태계에 큰 영향이 없는지 봐가면서 줄인게 넘 좋은거 같네요

    • @TheNorang
      @TheNorang Рік тому +683

      ㄹㅇ "이건 해로운 새다" 같은 일이 없었으면

    • @user-tw1fe4tu9z
      @user-tw1fe4tu9z Рік тому +163

      3:02

    • @maple5998
      @maple5998 Рік тому +44

      @@TheNorang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z6wf6js8n
      @user-bz6wf6js8n Рік тому +37

      ​@@TheNorang 나는 천안문을 좋아해! 😂

    • @user-fi6yu6wg3c
      @user-fi6yu6wg3c Рік тому +56

      단위 규격 안에 얼마나 그 생물이 많은지가 생물다양성을 재는 방법 중에 하나임. 생소해서 무분별하지 않게 하는 방법이라 보일 수 있지만 옛날부터 쓰여왔던 방법이란걸 알려주고 싶었음.

  • @user-yt4bu6nq1s
    @user-yt4bu6nq1s Рік тому +3817

    와... 이미 우리 환경을 지키시는 분들이 곳곳에 계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chinaGG
      @user-chinaGG Рік тому +5

      ㅇㅈ

    • @MatriX_Neon
      @MatriX_Neon Рік тому +99

      근데 성게알 오지게 비싸게팜…

    • @user-pr6re6sd1d
      @user-pr6re6sd1d Рік тому +3

      난 아님

    • @user-bo5zb5mq3p
      @user-bo5zb5mq3p Рік тому

      ​@@user-chinaGG
      안녕하세요 오지환입니다 반갑습니다
      자네들 너무 국뽕에 빠지지 말게

    • @user-rc4uy4be6q
      @user-rc4uy4be6q Рік тому +1

      저는 파괴를 하겠습니자 고기냠냠

  • @user-fg5lj2bq3k
    @user-fg5lj2bq3k 3 місяці тому +15

    유익하고 재미있는 정보 늘 감사합니다

  • @apdl129_Dec9
    @apdl129_Dec9 Рік тому +6

    이런영상 유익하네요!

  • @Spear-n-shield
    @Spear-n-shield Рік тому +2313

    우와 성게가 주원인이라고 듣긴했는데 이렇게 사진으로 보니까 확실히 차이가 엄청나네요. 😮 성게만 없어졌는데도 다른 개체나 생태계에 영향없이 오히려 복원만 된 걸 보니까 너무 신기해요...! 물질 동호회분들이나 다이버 동호회분들도 성게 제거 프로젝트에 동참하실 수 있도록 지원이나 제도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ny7cm2xm2f
      @user-ny7cm2xm2f Рік тому

      독도는 일본의 영토입니다. 마음대로 하지 마세요.
      独島は日本の領土です。勝手なことをしないでください。

    • @allAnnoying
      @allAnnoying Рік тому +15

      그리고 채집한 성게를 저희가 먹는거지요 히히히히ㅣ힣ㅎ😊

    • @MooNie_l
      @MooNie_l Рік тому +1

      위에 댓 병먹금 & 신고

    • @allAnnoying
      @allAnnoying Рік тому

      @@user-ny7cm2xm2f 1.일본은 지네땅이라고우기지만 지네는 독도위치도모름
      2.독도가 무주지라고했지만 옛부터 조선의 영향력에있던 독도를 우긴다음에 한국은 17세기이전에 슬았다면 일본은 17세끼때 찾아서 지랄중임 대한제국칙령중보면 단서았음
      3.니네 선조가 독도울릉도중간에서 불법조업하다가 발견돼서 ㅇㅋ 독도 느그땅 하고감(각서 뺏김)+(태정관에서 독도는 한국꺼라 일본에게인정받음)
      4.일제강점기때 반환땅에 독도가 안적혀있었는데 우리나라에겐 3000개의섬이있는데 다쓸꺼임? 독도는 울릉도의 조각이여서 안쓴게 더맞음
      5센프라 시스코 조약에 대놓고 반박하는문서는 (gho)에따르면 독도는 한국땅이라고뜸 +스카피문서에 독도를 일본에게서 분리한다 라고쓰여있음
      스카피는 12월 gho는 5월쯤 이제 우리꺼잖음 이제 인정이나 처해 개새꺄 내놔 ㅅㅂ놈아

    • @hakkyoung
      @hakkyoung Рік тому +2

      ​@@user-ny7cm2xm2f 이사람뭐임 댓글보니까 독도는 일본땅이라고 헛소리를 하던데 일본인인가

  • @user-on5pd6th8w
    @user-on5pd6th8w Рік тому +1028

    이걸 알아내고 실행하신 연구진분들과 고생하신분들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 @jangsarah2496
    @jangsarah2496 Рік тому +18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5년만에 숲이된 바다를 보니까 정말 감사하네요. 오케이 개인이 할 수 있는 환경운동에 작은 도움으로 오늘 성게 먹으러 가야지.

  • @user-wk1uk5lr6e
    @user-wk1uk5lr6e Рік тому +35

    우와 너무 행복한 소식이네요 많은 분들이 힘써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뭐든 손놓고 있기보단 움직여야하네요

  • @user-rz2km7cj8s
    @user-rz2km7cj8s Рік тому +651

    성게가 저렇게 많은데 왜케 비싸! 라고 생각했는데 번식만 하고 먹을게 없어서 텅텅빈 성게였구나 싶어 가격도 이해가 됐습니다
    맛있게 회나 성게를 먹기 위해서라도 바다를 건강하게 지켜야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qf3ke5wz3t
    @user-qf3ke5wz3t Рік тому +876

    이렇게 안보이는 부분에서 노력하는 분들을 소개해주는 콘텐츠 굉장히 좋네요

  • @jinyoug
    @jinyoug Рік тому +1

    해녀분들 화이팅!!!!

  • @user-vm4lp1lr1u
    @user-vm4lp1lr1u Рік тому +11

    재밌어요. 유익한 영상이에요.

  • @DJ-xc3vv
    @DJ-xc3vv Рік тому +692

    성게는 5-6월이 산란기라 그때 잡아야 알이 꽉차있어요, 영상 나온 것처럼 겨울에 잡으면 알이 없기때문에 여름이아니면 일부러 잡지도 않아요. 여름에 성게 많이들 드셔주세요!!겨울에 식당에 파는건 냉동일 확률 높습니다

    • @user-zd3pc5rn8e
      @user-zd3pc5rn8e Рік тому +16

      헐 그렇군요!

    • @jawunk
      @jawunk Рік тому +79

      겨울에는 말똥성게가 알이 생김

    • @DJ-xc3vv
      @DJ-xc3vv Рік тому +15

      @@jawunk 아 그 납작한 성게 말하는건가보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f5zr9ls2m
      @user-vf5zr9ls2m Рік тому +11

      일반적으로 우리가 먹는 성게알은 성게 생식소 아닌가요?

    • @user-yz7dm8db6i
      @user-yz7dm8db6i Рік тому +1

      알있는거왜먹냐ㅡㅡ

  • @user-jg6vw8hx3s
    @user-jg6vw8hx3s Рік тому +943

    독도수산연구센터 와 해녀님들 너무 감사드립니다 진짜 너무 열심히 일해주고 계셨네요 성게가 바다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되어 몰랐던 정보도 배워가고 감사합니다

    • @user-ip3cn8id3g
      @user-ip3cn8id3g Рік тому

      닭쳐 오골계야

    • @bung_dae
      @bung_dae Рік тому +4

      @@user-ip3cn8id3g ?????

    • @user-gl3dh5iu7z
      @user-gl3dh5iu7z 8 місяців тому +1

      해녀들은 사막화된곳에 성게를 일부러 잡아다가 해초가 많은곳에 풀어놓습니다. 성게가 돈이되니 일부러 사막화되는걸 알면서도 그렇게합니다

  • @user-hp5zm3lm2q
    @user-hp5zm3lm2q Рік тому

    좋은소식 감사합니다.

  • @Physics_OT
    @Physics_OT Рік тому +1

    해양과학자님들 리스펙트

  • @user-tc3qz4yc5j
    @user-tc3qz4yc5j Рік тому +594

    성게가 쫌싸면 우리바다는 사막이아니라 밀림이다

    • @user-qw5so8jy2b
      @user-qw5so8jy2b Рік тому +33

      그니깐 성게알 왜케 비쌈?

    • @hooligona
      @hooligona Рік тому +175

      ​@@user-qw5so8jy2b 배로잡는게 아니라 저렇게 손수 물질해가며 하나하나 캐는데 당연히 비싸지 인건비가 있는데

    • @NewJeans_ETA_
      @NewJeans_ETA_ Рік тому +84

      ​@@hooligona 그것보다 물류, 유통업자들이 등 존나쳐먹어서 그럼

    • @ad-so2ni
      @ad-so2ni Рік тому +4

      @@NewJeans_ETA_ 아니에여 해녀들이 직접 잡아서 그래여ㅎㅎ

    • @gy9984
      @gy9984 Рік тому +96

      ​@@NewJeans_ETA_ 성게는 그냥 인건비에요 성게 생식소에 붙은 해조류 전부 제거하는것도 일인데 빠르게 안하면 전부 녹아서 상품성도 사라져요 현지에서 바로 손질된것도 비싸요......

  • @koala20001
    @koala20001 Рік тому +320

    잠수부가 성게를 부숴놓으면 물고기들이 냠냠할 수 있고 해양 식물들이 늘어 치어들의 은신처도 만들고 결과적으로 어류 개체수가 늘어나는 여러 장점이 있겠네요

    • @user-wj4cx8zx6f
      @user-wj4cx8zx6f Рік тому +9

      그리고 그 돌돔을 사람이 다시 무분별하게 잡고 성게가 또늘고 또 사막화 무한반복

    • @user-zu1dv6dy6u
      @user-zu1dv6dy6u 5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wj4cx8zx6f 좋은데?

  • @jenjennyjen23
    @jenjennyjen23 Рік тому +9

    오 해양수산부가 여러 일을 하고 있었군요👍🏻

  • @endlessReBorn37
    @endlessReBorn37 3 місяці тому

    맞아. 먹어서 응원하자. 내 위장과 지갑아! 일해라!!!

  • @kalpop_99
    @kalpop_99 Рік тому +671

    저분들의 많은 노력과 노고로 사막화를 막아내고 자연을 지켜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CommentGPT
      @CommentGPT Рік тому +1

      저는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ChatGPT이기 때문에, 직접 자연을 지키는 노력을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것처럼 많은 분들이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노력과 희생 덕분에 우리는 이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도 함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user-je8vg9tx6y
      @user-je8vg9tx6y Рік тому +9

      ​@@CommentGPT 자라

  • @seongha0526
    @seongha0526 Рік тому +643

    안보이는 곳에서 이렇게 푸른 바다를 위해서 열심히 노력해주시는 분들이 계셨네요!! 어서 빨리 자연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푸른바다가 되길 기원합니다 :) 유익하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ㅎㅎ

    • @user-ny7cm2xm2f
      @user-ny7cm2xm2f Рік тому

      독도는 일본의 영토입니다. 마음대로 하지 마세요.
      独島は日本の領土です。勝手なことをしないでください。

    • @sokim521
      @sokim521 Рік тому +3

      2015년부터니까 사실상 문재인대통령님 노력이기도 하지요... 그립고 사랑합니다 건강하세요

    • @user-ny7cm2xm2f
      @user-ny7cm2xm2f Рік тому

      이승만이 독도를 빼앗기 위해 일본인을 학살한 문서가 미국의 국립공문서관에 남아 있습니다.
      그러니까 한국은 스스로 ICJ에 갈 수 없고, 일본이 제소해도 도망가는 것입니다.
      李承晩が独島を奪うために、日本人を虐殺した文書がアメリカの国立公文書館に残っています。
      だから韓国は自らICJに行けないし、日本が提訴しても逃げるのです。

    • @floridasun312
      @floridasun312 Рік тому +1

      @@sokim521 뭐가 그리워요... 돈없는 사람들이나 포퓰리즘 퍼다주니까 고맙나보지
      우리집 사업장 진짜 힘들어졌었습니다

  • @kimincheon7
    @kimincheon7 2 місяці тому +3

    산소통 메고 하는 바닷속 작업은 잠수병위험이 있기 때문에 최소화 해야 합니다.. 프리다이빙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해녀분들이 있죠..그래서, 독도주변의 성게제거에 성공한 걸로 보입니다..당연히 임금보상은 충분히 해드려야겠죠..수중에서 잠수해서 인력으로 대규모로 성게를 제거할수 있는 건 전세계에서 우리나라만 가능한 일일지도.. 그러나, 해녀분들이 언제까지 할수 있는게 아니므로, 장기적으론 성게와 불가사리를 제거할 수 있는 수중로봇을 빨리 개발해야 할 듯..

  •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Рік тому

    So excellent!!

  • @user-uu2sb6um5n
    @user-uu2sb6um5n Рік тому +190

    보이지 않게 노력해주시는 분들 덕분에 환경이 보존되고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 @user-tm9lx3ij6d
    @user-tm9lx3ij6d Рік тому +112

    해녀 진짜 멋있다... 바다의 여인들

  • @stycsi
    @stycsi 2 місяці тому +1

    목소리 기욥

  • @eddiechae5226
    @eddiechae5226 2 місяці тому +1

    저도 지구환경을 위해서 오늘 저녁 성게 먹고 싶은데요... 크랩님이 사주시는 거죠? 🥲🤣

  • @toto051
    @toto051 Рік тому +323

    환경을 지키는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fgd3476
      @fgd3476 Рік тому

      @@user-eg3qi9fz8d 현 실험및 검증단계... 앞으로 지속하기위해서 성게 천적을 늘리는중... 생태계를 유지하는것이 환경을 지키는거지 뭐

  • @user-ii5or9ol6d
    @user-ii5or9ol6d Рік тому +16

    해녀님들 대단하시고 너무 감사해요

  • @user-pb5sy9ux6q
    @user-pb5sy9ux6q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성게만 아니라 저녁때 사막화가 완성된 바다가 바위를 보면 성게늕 안보이는데 보말 고동도 밀도가 상당히 높이 붙어 있는걸 목격 합니다 보말도 사막화의 조력자

  • @DDUNGE_b
    @DDUNGE_b Рік тому +1

    우리가 못보는곳에서 힘쓰고 있었네요

  • @sinabrohychoi4664
    @sinabrohychoi4664 Рік тому +35

    정말 우리나라에 필요한 업무를 보시는 분들 덕분에 앞으로 미래가 보이는것같아요❤ 너무멋있어요!

  • @try-new-game
    @try-new-game Рік тому +39

    저분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네요 관계자분들 감사합니다

  • @rodmans8895
    @rodmans8895 Рік тому +1

    며칠전에 스쿠어 다이빙 하러 갔었는데 10m 깊이에서도 성게가 엄청 많더라구요

  • @brentwood6270
    @brentwood6270 Місяць тому

    와.. 놀랍다

  • @user-pb5pv2ru8i
    @user-pb5pv2ru8i Рік тому +269

    사람이 환경에 좋은 영향을 (부작용 없이)끼치는 일이 진짜 힘든데 정말 신기하고 대단하네요

    • @MrjinZin0902
      @MrjinZin0902 Рік тому +15

      이게 애초에 인간이 천적을 다 잡아 없애거나 인간 때문에 천적이 멸종해서 생긴 것이잖아요. 인간이 도구를 사용하고 기구를 만들기 시작한 이후로 지구 생태계 루프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이제는 무엇을 해도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는 것 밖에 할 수 없습니다. 그게 너무 걷잡을 수없이 커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게 최선이죠. 우리가 무엇을 하던 생태계를 돕고 있는 게 아니라 피해를 그냥 최소화하고 있는 것 뿐입니다. 인간이 아주 똑똑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리는 자연의 아주 조그만한 일부만을 흉내내어 사용하고 있는 것뿐이고 그 사용의 대한 댓가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자연을 망치고만 있습니다.

    • @user-or3xe3ug9m
      @user-or3xe3ug9m Рік тому +5

      바다 사막화도 인간에게 피해가 돌아오니 복구하는거임 무슨 인간이 환경을 파괴한다? ㅋㅋ 어차피 그것도 인간의 관점이지
      왜 주범인 성게는 환경파괴하는거 아님? 과정이야 어쨌든 성게가 주요원인인데

    • @MrjinZin0902
      @MrjinZin0902 Рік тому +4

      @@user-or3xe3ug9m 우리가 보기에 해충인 것들이 자연의 관점에서는 다른 쓰임이 있는 것이죠. 우리에게 해가 있다고 몰살 시키면 다른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탈이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이 뭔가 환경을 위한답시고 하는 게 사실은 크게 자연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단지 갑작스럽게 커지는 피해를 완화 시킬 뿐이지 근본 해결책은 아니죠. 우리 인간이 본능이 아닌 자기 의지대로 살기 시작한 순간부터 지구의 해충이 되었습니다. 19세기 전까진 그래도 과학기술력의 발전이 크지 않아 그 피해 정도가 크지 않았지만 그 이후로 200년 사이에 몇천년에 걸쳐서 파괴되어야 할 환경이 일순간에 파괴된 것이고요.

  •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Рік тому +6

    정말 유익하고 좋은 소식입니다.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ch6xr7zf2f
    @user-ch6xr7zf2f Рік тому

    정보 성게는 정력에 좋다

  • @flanker_3729
    @flanker_3729 Рік тому +5

    뚊 치어를 풀어서 자연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라니 슬기로운 방법이네요😊

  • @user-wv1wo8pi5f
    @user-wv1wo8pi5f Рік тому +103

    2:29 연구사님의 사진에서 연구를 향한 열정이 느껴진다

    • @kentpaper958
      @kentpaper958 Рік тому +3

      신분증 사진 자주 업데이트해야 하는 이유...ㅋㅋㅋㅋ

    • @user-bc7lq4sc3y
      @user-bc7lq4sc3y Рік тому +1

      갑자기 이글아이 튀어나와서 놀랐네 ㅋㅋㅋㅋ😂

  • @user-mo6cy3uo2s
    @user-mo6cy3uo2s Рік тому +280

    세상에 나쁜놈들 투성이 인 것 같아도 이렇게 묵묵하게 열심히 자리를 지켜주시는 분들 덕에 나라 꼬라지가 그나마 유지되는것 같습니다.

    • @Space-gw3yj
      @Space-gw3yj Рік тому +14

      너무 맞는 말입니다만 … 하아 요즘은 진짜 욕나와요 ㅠㅠ

    • @Route66go
      @Route66go Рік тому +5

      @@Space-gw3yj 죄명이나 지키러 가라

    • @noahs915
      @noahs915 Рік тому +2

      @@Route66go 요즘보면 두창이는 돈 안주는 죄명이라 차라리 돈주는 죄명이가 나은거 같긴해 ㅇㅇ

    • @Space-gw3yj
      @Space-gw3yj Рік тому +3

      @@Route66go 죄명은 님안에 있는듯하네요. 난 그런 분은 모르고 이재명만 압니다.

    • @Route66go
      @Route66go Рік тому

      @@Space-gw3yj ㅋㅋㅋㅋㅋ그래.이죄명이

  • @Aa-ne7gc
    @Aa-ne7gc Рік тому +3

    1:36 리정?..

  • @F0X_L0veR
    @F0X_L0veR Рік тому +1

    강치야.. 보고싶다.. 😢

  • @user-en2ln8xz3k
    @user-en2ln8xz3k Рік тому +91

    정말 대중에게 알려지지않은 숨은 영웅분들이 많구나 항상 감사합니다!

  • @user-uj9eo7ng2o
    @user-uj9eo7ng2o Рік тому +38

    크랩 댓글 반응 꾸준히 보고 연속해서 영상 만들어주는거 너무 좋아요 😊👍

    • @KLAB
      @KLAB  Рік тому +1

      연속해서 만든 영상 연속해서 시청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erisuh7565
    @erisuh7565 Рік тому +2

    나.. 바다 사막화.. 막을 자신있는데..
    성계.. 잘 먹을 수 있어요 ㅠㅠ
    조금 가걱만 낮춰주시면

  • @godoreex
    @godoreex Рік тому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 @gkeeod7174
    @gkeeod7174 Рік тому +380

    "대한민국 우리나라 땅"인 독도가 다시 환경을 되찾고 있어서 다행이네요!

    • @user-kahjiz8
      @user-kahjiz8 Рік тому +14

      일본인들은 관심도 없는데 조선인들 지들끼리 독도만 나오면 쉐도우 복싱 하는 거 ㅈㄴ 웃기노 ㅋㅋ

    • @hgp1010
      @hgp1010 Рік тому +139

      @@user-kahjiz8 당연히 느그땅 아니니까 관심없지

    • @space_yoon
      @space_yoon Рік тому +69

      @@user-kahjiz8 그러면서 다케시마의날 ㅇㅈㄹ하고 독도를 어떻게든 가져와야 한다 이러냐?

    • @user-kahjiz8
      @user-kahjiz8 Рік тому +1

      @@hgp1010 느그땅에 전세계인 이무도 관심없음 ㅋㅋ 아무도 뭐라 안했는데 피해망상 절어서 화난 치와와 마냥 지들꺼라고 빽빽댐 ㅋㅋ

    • @user-ggopch
      @user-ggopch Рік тому +12

      ​@@user-kahjiz8 우리나라땅 뺏긴 ptsd와서 그러는거임 ㅋㅋ

  • @LeaveWorkAfterHumor
    @LeaveWorkAfterHumor Рік тому +57

    정말 많은 분들이 바다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군요!

  • @oceansilber2987
    @oceansilber2987 Рік тому

    성게를 뿌시는거 보면서 마음이 너무 아프네요ㅠㅠ 미안해 먹어주지못해성ㅠ

  • @user-vn2yy5ed4o
    @user-vn2yy5ed4o 3 місяці тому

    연구진 분들 감사합니다:)

  • @shinpe9713
    @shinpe9713 Рік тому +25

    독도를 지키자.
    이런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jx5qb8cm2e
    @user-jx5qb8cm2e Рік тому +56

    희망적인 뉴스 감사합니다~👏
    성게가 많아져서 바다가 사막화된것이 결국 성게의 천적 어류의 무분별한 포획 때문인거 같은데, 생태를 위해 푼 돌돔을 잡아먹어 도로묵되면 어쩌나하는 걱정이 드네요 ㅎㅎㅎ

    • @user-wj4cx8zx6f
      @user-wj4cx8zx6f Рік тому +4

      이미 진행중입니다. 낚시배타면 선장 : 돌돔포인트로 이동할게요

    • @user-gl3dh5iu7z
      @user-gl3dh5iu7z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무엇보다 해녀들이 문제죠 성게알이 비싸게 팔리니 사막화된곳에서 성게를 잡아다 해초가 많은곳에 풀어놓으니...

  • @MasterCH0I
    @MasterCH0I 2 місяці тому

    귀여운해달이 밥도잘먹네

  • @user-ek6fc8oy1w
    @user-ek6fc8oy1w Рік тому

    유명해졌구나 찌르성게!

  • @user-fn4pw7pq3q
    @user-fn4pw7pq3q Рік тому +21

    미래에 대한 소식 요즘 암울한게 많았는데 드물게 긍정적인 소식이 나와서 기쁘네요 ㅎㅎ

  • @newcape327
    @newcape327 Рік тому +21

    와... 사막화가 많이 없어졌네요. 정말 다행이군요.

  • @user-yy3to6lt4e
    @user-yy3to6lt4e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력에 좋아요

  • @user-we1uj4xd4l
    @user-we1uj4xd4l Рік тому

    바다 뿐만 아니라 도시내에 있는 하천을 신경썻으면 하는 바램도 있네요 차운전하면서 지나가다가 보면 녹조가 확껴있어서 저거 괜찬나 싶은 하천도 있구요 이런 뉴스는 언제든 환영임다

  • @Mireu_
    @Mireu_ Рік тому +13

    자연적으로 개체가 조절될수 있을때까지 관계자분들의 노력이 앞으로도 많이 필요하겠네요
    일단 저는 우니초밥 한그릇 때려야겠어요

  • @user-pn5ny3bl9e
    @user-pn5ny3bl9e Рік тому +9

    결론은 잘먹고 잘큰 성게가 먹을게 있는거라 개체수 유지 할겸사 잡는게 서로 이득인듯 하네요 성게만 폭주한 상태에서 바다사막화 되가는 와중에 잡은건 대부분 못먹는듯 그러니 사막화 진행중에 있는 성게는 먹거리 겸사 제거할겸 수거 할 시간에 그냥 바로 제거 작업 해서 개체수 조절 하는게 맞죠

  • @Terrazine_Lover
    @Terrazine_Lover Рік тому

    진짜 말 그대로 먹어서 응원하자

  • @jangkong00
    @jangkong00 Рік тому

    2분까지.. 성게 많이 캐면 인쟈 성게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어쩔 수 없는 거였군여...흑흑

  • @user-uo5tt3gy5r
    @user-uo5tt3gy5r Рік тому +11

    해양수산부, 해녀 등 여러 관계자들의 노력을 볼 수 있었네요 ㅎㅎ

  • @footstep002
    @footstep002 Рік тому +251

    사막화를 촉진하는 생물이 성게 외에도 불가사리도 한몫한다고 들었던 기억이 있네요.

    • @fate0106577
      @fate0106577 Рік тому +38

      불가사리를 재료로 한 제설제가 있어요.

    • @krvore1951
      @krvore1951 Рік тому +39

      불가사리가 정력에좋았더라면.....

    • @hw0160
      @hw0160 Рік тому +6

      근데 불가리아리는 천적이 거의 없고 있다 해도 걔네들은 딱히 불가사리를 먹을일이 없어서 더 문제죠

    • @user-kc7wq4yi1v
      @user-kc7wq4yi1v Рік тому +41

      ​@@hw0160불가리아는 강대국이군요

    • @user-ie8fz8zn5o
      @user-ie8fz8zn5o Рік тому +3

      ​@@user-kc7wq4yi1v
      ㅋㅋㅋㅋ

  • @user-ey1my5qx6m
    @user-ey1my5qx6m Рік тому

    해초 너무 아름답다..

  • @user-hj4ym9dv1e
    @user-hj4ym9dv1e Рік тому +1

    바다를 돌려주려 노력하시는 모습 감사합니다
    이제 어망도 강하게 통제해주시죠 ㅠ

  • @user-rd4hs5zb3b
    @user-rd4hs5zb3b Рік тому +40

    성게 진짜 맛있는데..ㅠㅠ 가격만 착하다면 배터지게 먹을듯 제주도에서 성게 미역국이랑 성게알을 뇸뇸먹었을때 진짜 맛있었음ㅠㅠ

  • @user-le5iz3lj7s
    @user-le5iz3lj7s Рік тому +23

    연구하는 사람들이 단위면적당 개체수까지 일일히 계산한거 진짜 놀랍네

  • @agm9635
    @agm9635 3 місяці тому

    바다 사막화의 슬픔에 입에서 눈물이 ㅠㅡㅠ

  • @user-kj8xi2gc4v
    @user-kj8xi2gc4v Рік тому

    국산 해수성게는 시즌에 먹기 좋죠 대부분 먹는 성게는 켈리포니아산이나 페루산 수입성게임

  • @kk-ou5qf
    @kk-ou5qf Рік тому +58

    화면에 보이는 성게보다 가시가 잛은 성게(우리는 앙장구라 불렀음) 가 알이 많고 맛도 더좋아서 70년대 영도 동삼동 바닷가에서 즉석으로 많이 잡아 먹었죠 감칠맛이 죽여 줬는데 이 맛있는 것을 왜 시장에는 거의 없는지 의문이 들어서 물어봤더니 거의다 일본으로 수출한다 하더라고요

  • @user-cd7cx7cp1b
    @user-cd7cx7cp1b Рік тому +3

    저도 빨리 많은 사람들을 도와 성게 없애기에 참여해야겠어오! 🤤

  • @astragoldn5780
    @astragoldn5780 Рік тому +2

    해양생태계를 조져놓을정도의 개체수와 번식력이면 값이 꽤 내려갈법하기도 한데 채취하기 어려운곳에 사니까 아직 많이 비싼가요?
    어떻게 바다에서 성게만 골라서 대량 채집할수 있는 기계나 수단이 있다면 바다 환경에도 도움 되고 해녀분들이 목숨걸고 나갈 일도 줄고
    이렇게 잡은 성게를 시장에 싼값에 대량으로 공급할수 있다면 꽤나 수입이 짭잘할거같은데 왜 아무도 시도를 안할까요?(영상이 중간에 꺼져서 뒤늦게 봤는데 상품성이 떨어지니까 그냥 바로 뽀개는수밖에 없는거였군요. 그래도 성게나 불가사리를 집중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면 꽤 도움될텐데 말이죠...)
    가장 좋은건 벵골호랑이 가지고 한국 토종 호랑이를 복원시키려고 했었던거처럼 강치를 다시 복원시키는거겠지만 이것도 아무도 시도했다는 소식을 들어본적이 없네요.

  • @admiral_yi_love
    @admiral_yi_love 3 місяці тому

    오늘도 감사합니다아아아아는 성게 먹고싶다 하 먹어서 없애주즤

  • @HJ__o92o
    @HJ__o92o Рік тому +9

    성게같은거는 일반인들도
    채취하게 해줘야 없어지지
    어촌계 자기네들 구역이라고 따지도 못하게하는데
    그리고 성게 껍데기나 조개껍데기는
    비료로쓰면 기가맥혀요

  • @user-it7ht4rn2q
    @user-it7ht4rn2q Рік тому +4

    오호 유익한정보 ❤ 감사합니다 🎉

  • @user-go6rv7xy9p
    @user-go6rv7xy9p Рік тому

    저도 기억나는게 친할머니가 영덕사람인데 해녀였어요 그래서 어렸을때 성게자주 잡아다가 알까먹었었던 기억이 나네요 요즘은 해녀라는 직업이 적어지다보니 제주도나 영덕등 바다 인근지역에나 가끔 해녀들이 보이는거같아요.

  • @aaspaa
    @aaspaa 4 місяці тому +1

    제일 중요한건 인간이 일부로 잡아서 없에는게 아닌 동물들이 알아서 할수있는 환경을 만들어 생태계를 보존하는게 맞겠네요.....

  • @user-uc7sv1it6p
    @user-uc7sv1it6p Рік тому +22

    이런 바다 사막화를 막기 위해서는 돌돔 치어 방류 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이 해양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소비를 해야 합니다 다 같이 지구를 지킵시다

  • @user-vi1sw3du2t
    @user-vi1sw3du2t Рік тому +25

    성게알도 성게알이지만 바닷가에 쓰레기버리지않는것 그거라도 해봅시다!!

  • @greenwave2199
    @greenwave2199 3 місяці тому

    먹어서 응원하자. ㅋㅋ
    어디서 많이 듣던 얘기 같은데.

  • @user-kl5yd3cy9q
    @user-kl5yd3cy9q 3 місяці тому +1

    보홀갔을때 바닷가동네에서 고깃배에 소라랑 성게도 막 섞여있어서 소라 사면서 성게 공짜로 잔뜩 얻어와서 숙소에 요리비주고 노점에서 산 방구스는 굽고, 소라는 삶고, 성게 반으로 갈라 달라고 해서 신나게 먹음.

  • @yanagi_tsuru
    @yanagi_tsuru Рік тому +20

    실제로 성게하고 불가사리는 친척관계입니다.네 둘다 해악질이 심한녀석이죠. 단 성게는 먹을수 있고 불가사리는 못먹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user-hp4qh2bk9g
    @user-hp4qh2bk9g Рік тому +14

    또 그렇다고 다 없애면 큰일 나겠죠 ㅎ
    너무 없애진 말고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해야합니다

  • @user-im8xd5ed5m
    @user-im8xd5ed5m Рік тому +1

    바다 살릴려면 성게 많이살아져야하는데 성계알 가갹도 낮춰서 사람들이 많이먹을수있게 해야함

  • @hi.happyday
    @hi.happyday Рік тому

    해녀분들 이제 없어질텐데.. 어찌 이어갈지 고민해야할것 같습니다

  • @-3864
    @-3864 Рік тому +121

    저렇게 많은데 왜 시중에 팔리는건 비쌀까.... 비싸서 못먹는 성게알...

    • @user-mi2wx7ef9q
      @user-mi2wx7ef9q Рік тому +72

      인건비가 문제임 해녀분들이 스쿠버 장비없이 맨몸으로 채취하는것과 성게알을 사람손으로 일일이 채취해야해서 인건비때문...

    • @QSdhkYr5QqVy7in
      @QSdhkYr5QqVy7in Рік тому +43

      상하기 쉬운 식품이라 운송이나 보관에 비용이 드는걸로 아는데

    • @zonnachachansaram
      @zonnachachansaram Рік тому +3

      해산물들은 싸게팔면 안팔려서 그런것도 있는듯요

    • @before_above_else
      @before_above_else Рік тому +11

      해초를 많이 먹어 향과 맛이 좋은 상품성있는
      성게는 사막화가 덜 되어야 나온다고했는데..
      성게의 번식력을 고려하면 해초의 성장 속도
      보다 사막화 속도가 빠를 거고 성게는 많고
      먹을 해초는 적고 당연히 상품성있는 성게가
      나오기어려운 상황이라는 거잖아요?
      비싼 이유가 한 두가지가 아니였던거죠. 하

    • @user-ur9xm5lq6h
      @user-ur9xm5lq6h Рік тому +14

      성게 캐먹는 유튭 보면 대부분 먹을거 쥐똥만큼 나와서 싹싹 긁어먹음. 그런거 긁어다가 팔면 모양도 안나오고 사람들이 사먹지도 않을듯. 크고 이쁜 성게알은 생각보다 별로없음

  • @user-eb7yn6gf7d
    @user-eb7yn6gf7d Рік тому +15

    성게 많이 잡아서 우늬 가격 낮추는 기업 있으면 그거야 말로 친환경 기업일듯

  • @hniy_
    @hniy_ Рік тому

    바다야 아프지마ㅠㅠ

  • @Jennie2019
    @Jennie2019 Рік тому

    오늘 저녁도 독도의 푸른 바다를 위해 우니 오마카세다!!!

  •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Рік тому +225

    중학생떄 백화현상을 들었는데 과학자들은 또 답을 찾아서 해결했네요 ㅋㅋ 과학이 미래다

    • @yanggun1004
      @yanggun1004 Рік тому +4

      We will find a way. We always have.

    • @user-ur9xm5lq6h
      @user-ur9xm5lq6h Рік тому +9

      ​@@nanotree님 1억주면 무인도가서 계산기라도 만들어오기 가능? 무슨 혼자 1억으로 스마트폰을 만듭니까

    • @user-jz3bp2tx8h
      @user-jz3bp2tx8h Рік тому

      @@nanotree ㅋㅋㅋㅋ 어거지 작작 부려라

    • @dri13829
      @dri13829 Рік тому +4

      @@nanotree
      일단 리튬과 반도체를 어디서 구할 거임?
      무인도에 혼자 있으면 관련 분야 전문가도 못 만들어 내는 데?

    • @Napalm47
      @Napalm47 Рік тому +1

      ​@@nanotree 전인류가 님 수준이었다면 지금 문명은 얼마나 발전했을까요 토기에 빗살무늬는 넣었을까요?

  • @kduok
    @kduok Рік тому +11

    사막화 뉴스 보고 어쩌나 했었던게 진짜 방법을 찾아냈구나

  • @kimjjim
    @kimjjim 3 місяці тому +11

    성게가 그렇게 많은데 성게알 사먹으려면 왜그리 비싸.?

    • @user-xu7hm2sj1n
      @user-xu7hm2sj1n 2 місяці тому +2

      양식불가, 사람이 직접 잡고 손질까지 또 보관 기간이 짧음, 또 영상 속에 나온거처럼 사막화가 이루어진 곳에는 성게에 아무것도 없다고 하니.. 비쌀만도 해요

    • @Kimmanduk
      @Kimmanduk 2 місяці тому +2

      인건비 손이 많이가요 잡고 하나하나 손질하고

  • @minkim6879
    @minkim6879 Рік тому +1

    그거네 쪼렙마을 앞 슬라임 토벌 퀘스트 같다 ㅎ 바다속 슬라임 성게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