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만에 찾아온 공채, 경력만 수십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지만 여전히 불안한 이유ㅣ몇 없는 기회, 공채에 목숨건 청년들ㅣ공채의 종말과 그 이유ㅣ다큐시선ㅣ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тра 2024
  • ※ 이 영상은 2019년 10월 24일에 방송된 <다큐 시선 - 공채의 종말>의 일부입니다.
    공채의 문을 두드리는 우리
    충북 예산에 사는 박세연(24) 씨는 서울에서 학교를 졸업한 뒤 고향으로 내려온 그녀는 2년째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 작년에만 65개의 기업에 이력서를 넣고, 올해에도 그녀는 쉴 틈 없이 자기소개서를 쓴다. 서류 합격, 26%의 확률을 뚫고 간신히 면접을 본다 해도 쟁쟁한 경력과 경험을 갖춘 중고 신입들 앞에 취업의 꿈은 무너지고 만다. 수시채용이 더 확대되기 전에 취업해야 한다고 말하는 그녀의 일상에서 그녀의 조급한 마음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그녀는 오늘도 한 줄의 스펙을 위해 2시간이 넘는 길을 나선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만한 스펙 한 줄을 적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는 그녀의 일상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그녀의 일상을 통해 채용 시장의 흐름에 혼란스러워하는 취업 준비생의 모습을 만나보고자 한다.
    공채가 아닌 다른 길, 다른 방향.
    가격 비교 플랫폼 회사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 송기윤 씨는 자신을 ’공채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한다. 그는 수십 번 공채의 문을 두드렸지만, 그 문을 뚫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그는 자기만의 열쇠를 만들어 취업의 문을 열었다. 직무에 맞는 역량을 쌓고, 그 역량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지원했다. 또 그는 이직을 통해 점점 더 큰 기업으로 향한다. 그것은 현재 진행형이다. 공채가 아닌 길은 충분히 있다. 공채의 실패를 겪더라도 자존감을 잃지 않았으면 한다. 그는 이 시대의 청년들에게 말해주고 있다. 그가 공채가 아닌 다른 길을 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남들과 다른 길을 걸으면서 그가 만든 열쇠는 무엇이었을까? 그의 사례로 공채만이 취업의 기회는 아니라는 사실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낯설지만 이미 와 있는 미래. 공채가 없는 세상
    구직자들이 공채에 몰리는 이유는 결국 좋은 일자리의 문제다. 그렇다면 어느 곳이 좋은 일자리인가.
    아주 오랫동안 우리 사회에 축적된 문제다. 하지만 구직자들은 지금 당장 어느 곳이 좋은 일자리인지
    알아내야 하는 즉각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직무에 대한 이해도와 경험’이 우선이라고 말하는
    수시채용은 취업 준비생들을 납득 시키기에는 그에 대한 정보가 턱없이 부족했다.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를 또다시 고민하고, ’언제 공고가 뜰지, 몇 명을 채용하는 건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다. 일찌감치 스타트업 기업과 구직자의 정보 공유에 일찌감치 주목한 한 회사가 있다. 기업들의 정적인 정보는 취업 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없다고 그들은 말한다. 또, 그들은 기업과 직무에 대한 구체적이고 생생한 정보를 전달해주면서 기업과 구직자 사이의 다리를 마련해준다. 이미 공채가 없는 세상은 우리 사회의 한구석에 존재하고 있는 것 이다. 다큐 시선에서는 공채가 사라지고 있는 이 시대의 흐름에 대해 살펴보고, 구직자와 기업이 어떤 시선을 취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한다.
    ✔ 프로그램명 : 다큐 시선 - 공채의 종말
    ✔ 방송 일자 : 2019.10.24

КОМЕНТАРІ • 575

  •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  15 днів тому +31

    ※ 이 영상은 2019년 10월 24일에 방송된 <다큐 시선 - 공채의 종말>의 일부로 현재의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 @dogetoshinakamoto7057
      @dogetoshinakamoto7057 15 днів тому +2

      한국과 일본 외에 공채가 없다는 것..제대로 알고 얘기를 하는건가요? 공채 제도는 어느 선진국이나 거의 대부분 있습니다. 미국 대부분의 규모 있는 기업들은 졸업예정자들 대상으로 졸업시기에 맞춰 대대적으로 캠퍼스 리크루팅 가고 대규모 공채를 진행합니다. 대기업들이 공채를 줄이고 있는 것은 한국의 근본적인 노동시장 문제점 (사람을 못짜르니까 윗물만 고이는 현상, 그래서 신입 뽑을 여력이 없어짐)과 예전만큼 많은 신입직원 베이스를 가지고 회사경영하는 것이 부담스러워 지고 있는 어려워지고 있는 경영환경 등 안좋은 이유들의 복합적인 요인인데, 마치 수시채용이나 이런게 좋은 것 처럼 얘기를 하고 있네요 전반적인 톤이, 이제는 능력이 중요하다라는 말도 안되는 가스라이팅 하면서. 공채는 졸업예정자와 최근 졸업자들의 구인 창구의 역할을 하는 용도일뿐이지, 이거를 왜 능력과 연결시키는지 전혀 이해가 안되네요.

    • @user-fy2qs4lt3m
      @user-fy2qs4lt3m 14 днів тому

      문레기

    • @ililililililililililillll
      @ililililililililililillll 6 днів тому

      ​@@dogetoshinakamoto7057공식구인글은 올리긴 올리죠. 근데 그건요 지인찬스 업연찬스를 다 썼음에도 채용이 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그 인력이 급할때 공고를 올립니다. 그 공고는 어딘가에서 조건이 좋지 않을 확률이 높죠. 그러한 필터링을 거친 구인공고의 모음을 상식적으로 공채라고 부르진 않습니다.

    • @user-pv1gz7oy4e
      @user-pv1gz7oy4e 5 днів тому +2

      지금 생각하니 저 때가 좋았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18년~2021년 문프님 덕분에 공무원, 공기업, 무기직에서 정규직 전환 등 공공기관 입사자들은 개꿀 혜택 받음.....
      지금 입사자들 중에 18~21사번 사수/선배가 있다???? 그럼 45도만 인사하고 다녀도 무죄다 ㅋㅋㅋㅋㅋㅋㅋ

  • @laurenkylian9974
    @laurenkylian9974 15 днів тому +427

    19년 방송인데 상황이 더 악화됨..
    걍 스펙 좋은 사람들이 널려있으니까 이래도 오나...? 테스트 하는 것 같음.
    농담이 아니라 경력 있는 신입이 아니라 경력 없는 프로가 되어야 할 판임..

    • @udangtangaeyong
      @udangtangaeyong 9 днів тому +17

      막상들어가면 술쟁이임원들과 대가리똥찬 실무진들 똥닦아주기해야됨

    • @user-mt6wb5bm7i
      @user-mt6wb5bm7i 8 днів тому +1

      @@udangtangaeyong 꼬우면 회사 차려서 사장하면 됨. 그게 경쟁 사회 보수 사회 자본주의 사회임

    • @solesy-iu5qu
      @solesy-iu5qu 8 днів тому

      ⁠@@user-mt6wb5bm7iㄴㄴ 전쟁나서 영포티 죽이는거도 답임ㅋ

    • @jang.s.h3749
      @jang.s.h3749 8 днів тому

      ​@@user-mt6wb5bm7i 술쟁이 임원이나 대가리똥찬 실무진중 한분이시군요 그런게 해결방법이 아닙니다

    • @user-ui1iu9rv1l
      @user-ui1iu9rv1l 8 днів тому

      @@user-mt6wb5bm7i 모두가 사장을 하면 소는 누가 키우냐. 이딴 걸 말이라고. 사회초년생이 사장할 돈이 어딨냐. 그런 마인드였으면 사장학원 열어서 사장이 되는 법 강의하면서 강의팔이도 나오겠네. 총체적난국을 자본주의로 포장하는 본인은 그럼 사장임? 그리고 사장은 회사 원맨쇼로 돌림? 사장도 채용을 해야 할 거 아냐. 그럼 당연히 스펙 볼 거고 근데 리쿠르팅 비용 아낀답시고 경력직 원할 거고. 니가 말하는 "응~ 사장하면 그만~" 이라는 말에 충실해봤자 이 문제가 해결이 안 된다는 게 핵심인데 순환논증 오류 만들고 잡빠졌노. 생각이란 걸 하고 말을 뱉으셈

  • @jayinkor
    @jayinkor 15 днів тому +499

    최근에 면접보러 다니는데.. 중견/대기업에 정말 쌩신입은 단 한명도 못봤다.. 최소 1~2년 심지어 4년짜리 중고신입도 봄.. 심각하다

    • @kaizz80
      @kaizz80 15 днів тому +19

      와.. 그정도인가요? 진짜 심각하네요..

    • @byungjunmin4475
      @byungjunmin4475 15 днів тому +55

      30대중반 신입들이 있죠..

    • @sd213ad-ky5td
      @sd213ad-ky5td 15 днів тому +41

      대기업 작년에 입사했는데 아예 없지는 않음. 동기 30명중 20명 정도는 관련 업종 중고신입(1~3년) 이고, 10명 정도는 쌩 신입임.

    • @user-mg8tl1om7d
      @user-mg8tl1om7d 14 днів тому

      저는 석사 막 졸업하고 쌩신입 공채 갔습니당

    •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14 днів тому

      많이보이는데

  • @Cgjgjgj
    @Cgjgjgj 11 днів тому +65

    나는 해외에서 현지 사무직 직장생활 하는 사람인데 우리나라 취업시장보면 진짜 안타까움. 한국사람이 일 정말 잘하고 우리나라 청년들 만큼 똑똑하고 유능한 인재들 찾기 힘든데 저렇게 힘들게 취업준비하는게 정말 안타까운 현실이지..

    • @rkthylvek-zg9bp
      @rkthylvek-zg9bp День тому +1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아시아 국가들은 대부분 다 일잘하고 똑똑함.

  • @user-xk7sw7xm3p
    @user-xk7sw7xm3p 9 днів тому +57

    지금 석사 정출연 정규직으로 다니는데 내가 어떻게 지금 회사에 들어왔는지 가끔 나도 신기함.... 왜 나 혼자만 합격시킨거지? 라는 생각을 자주하는데 운칠기삼을 나는 강하게 믿음ㄷㄷ 면접 당시를 생각하면 난 스펙도 뛰어나지 않은데 "아 지금 작성하는게 맞는 내용인지 모르겠다.." 생각하면서 무지성으로 준비한 ppt 발표 면접 내용이 그 직무에서 하는 일 그대로 빼다 박은거였음. 쌩신입인데 관련된 일 하다가 온거냐고 물어볼 정도였으니까ㄷㄷ 그리고 인성 면접도 난 의식의 흐름대로 말했는데 (예를들어 취업하고 결혼해서 애기 손잡고 원내 유치원 등원시키고 출근하고 싶다고 말할정도였으니까..) 들어와보니 내 성격이 현재 팀원들의 성격이랑 비슷한거.... 진짜 취업은 운칠기삼임

    • @jrhanejr8688
      @jrhanejr8688 7 днів тому

      어리면 스팩좀 딸려도 뽑아줌

    • @user-xk7sw7xm3p
      @user-xk7sw7xm3p 7 днів тому

      @@jrhanejr8688취업당시 30에 여기가 첫직장이었습니다!

    • @DOWONKIM-fe5xt
      @DOWONKIM-fe5xt 6 днів тому +11

      그냥 딱 회사가 원하던 인재상이였어서 뽑은 것 같은데
      아무 생각없이 PPT준비했는데 업무와 빼다 박았다 = 무의식중에 업무내용을 이미 파악하고 있다
      들어와보니 팀원들과 성격이 비슷했다 = 사내분위기 적응하기 쉬움 + 회사에서 그런 성격의 사람들이 일 잘한다는걸 알고있는듯
      마지막으로 뽑혔어도 자만하지 않고 운으로 붙었다는 겸손함까지

    • @user-xk7sw7xm3p
      @user-xk7sw7xm3p 6 днів тому +3

      @@jrhanejr8688 합격할 때 나이가 30이였어요ㄷㄷ 부사관 5년하다가 와서...

    • @user-xk7sw7xm3p
      @user-xk7sw7xm3p 6 днів тому +4

      @@DOWONKIM-fe5xt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복받으실꺼에요!

  • @jse5217
    @jse5217 11 днів тому +43

    16년도에 중앙 공기업에 입사했었는데 그때도 치열했는데 저때도.. 지금도 매년 들어오는 후배들보면 스펙이 점점 더 좋아지는게 보여요. 근데 스펙이 좋다해서 일을 잘하는건 아니더라구요. 그 분야에 맞는 스펙과 지식 일머리를 가진 사람을 뽑아야하는데 그냥 점수로 줄세워서 뽑는 공채 시스템이 뭔가 잘못된게 아닌가 싶네요.

    • @user-vm4qd9bn4p
      @user-vm4qd9bn4p 8 днів тому +3

      저도 공기업다니는데요. 전 약간 달리 봅니다. 모든 사람이 그런건 아니지만, 스펙 학벌도 무시 못합니다. 학벌 스펙 좋은 후배들이 대체로 일도 잘하고, 성실하더군요.

  • @yongpreme
    @yongpreme 15 днів тому +153

    이제는 좋은 대학, 스펙 가진 사람이 너무 많아서 변별력이 없는듯... ㅜㅜㅜ 그래서 신입 공채가 없고 경력직을 뽑더라 그 회사에서 임펙트를 낼 수 있는 경험을 가진 사람을 필요로 하더라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12 днів тому +2

      박세연님 이젠 취업하셨겠네;;

    • @YOOND
      @YOOND 10 днів тому

      그냥 스펙쌓지말고 중소로 관련업무 있는곳가서 물경력이든 뭐든 경험 좀 쌓아라 개 더럽고 하더라도
      다음 회사는 중견,대기업 신입으로 간다생각해야 한다

    • @user-re7jk4bh7j
      @user-re7jk4bh7j 10 днів тому

      그런거군요

    • @leecw5841
      @leecw5841 9 днів тому

      특화된게 있어야지 제너럴리스트랍시고 개성없는 스팩쌓아서 노리는건 오히려 어려운길을 가는느낌

    • @day2895
      @day2895 7 днів тому +1

      학교좋은데 간 애들은 중소못가지

  • @sahder410
    @sahder410 11 днів тому +66

    난 회사들어가서 처음알았음.... 이렇게 스펙좋고 대외활동을 잘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을줄은............

  • @CESTLAVIE07
    @CESTLAVIE07 15 днів тому +10

    응원합니다

  • @user-rh3xl4ow6v
    @user-rh3xl4ow6v 9 днів тому +81

    이게바로 저출산현상을 심화시키는 원인이다 젊은이들이 회사에 취업해 돈을벌어야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데 회사들이 경력만 뽑으니까 청년들이 취업을 못해 알바나 임시직을 전전하게되고 결혼이나 출산은 꿈도 못꾼다

    • @day2895
      @day2895 7 днів тому

      나같은 경우 월 세후 290받고일하고 있는 만32세임. 나는 결혼하고 싶지만.
      현실도 그렇고, 굉장히 저림 마음이... 주위엔 온통 너는 안된다라고 말하는 사람들 투성임 . 그리고 다들 용기가없음 가족들이. 삶은 고통의 연속이라는게 느껴짐. 친구조차 너는 안된다...

    • @nike_airjordan
      @nike_airjordan 6 днів тому +2

      니가 사장이면 쌩신입 뽑겠냐 경력직을 뽑겠냐. 진짜 경영이란걸 해본적이 있어야 이런 말이 안나오지ㅋㅋㅋ쌩신입이어도 본인 포트폴리오 확실하면 잘도 취업한다ㅉ

    • @ADDADDADD2112
      @ADDADDADD2112 6 днів тому

      그치만 기업들을 살려야 한다구욧!! 이라고 비꼴라고 했는데 바로 위에 찐이 나타났넼ㅋㄱㄲㅋㅋㅋ 이나라 늙은이들은 답이없다 진짜ㅋㅋ 아직도 정신못차림

    • @siwan-xg4wy
      @siwan-xg4wy 6 днів тому +3

      ​@@nike_airjordan 맞죠.. 회사 입장에서 쌩초보 보다도 뭐라도 경험이 있고 스펙이 있고 하나라도 더 아는 사람 뽑는게 이득이죠. 하지만 사업적으로는 그것이 맞으나, 사회적으로는 또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부분을 정부에서 해결해야하는 것이구요. 어쩌면 이런 부분에서 정부에서 개입을 해서 기업의 취업 시장을 조정해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 @rosyw100
      @rosyw100 5 днів тому

      ​@@nike_airjordan국평오

  • @gywns031591
    @gywns031591 15 днів тому +169

    슬프다... 돈은 적게 주고 싶고... 일은 많이 잘 해줬으면 하고...

    • @good-day001
      @good-day001 15 днів тому +17

      돈은 많이받고 일은적게하고싶고...
      입장차이ㅜ

    • @sd213ad-ky5td
      @sd213ad-ky5td 15 днів тому +17

      직원들도 막상 취업하고나면 월급루팡하면서 일은 적게하면서도 급여나 복지는 오르길 바라죠.

    • @user-el1tw5qd2s
      @user-el1tw5qd2s 14 днів тому +4

      그만큼 회사들도 어렵다는거니까요

    • @herlifekim9932
      @herlifekim9932 14 днів тому +3

      신입을 꺼려지는 이유가 회사도1-2년은 신입 키우는게 투자인데...적성이 안 맞다고 퇴사하면 회사도 대략 난감. 그래서 경력 신입을 뽑는 이유가 적성이나 조직 부적응 이런 부분이 일단 안심

    • @user-ly7kk6pg6u
      @user-ly7kk6pg6u 7 днів тому

      회사가 땅파서 월급 주나😅 우리회사 급여 10만원씩 더 올려주면 사장이 한달 받을돈 10억이 줄어듬 본인 돈 10억이 사라지는데 그 결정이 쉬울까요?

  • @kimansee
    @kimansee 11 днів тому +15

    취업한 지 1개월 됐는데 5:29 여기 부분에서 눈물 팡 터졌음..

  • @user-mk9vk3cs2s
    @user-mk9vk3cs2s 15 днів тому +58

    얼굴도이쁘고 말도 잘하는거보니 이미 대기업취업하고도남았을듯 인서울에 이공계면

  • @MrDerek0518
    @MrDerek0518 13 днів тому +29

    지금은 미국처럼 공채는 없고, 경력직만 찾아요. 저희 회사도 그렇고요. 요새 대학생, 취준생들 너무 힘들 것 같아요.

    • @user-fk4im2bo8z
      @user-fk4im2bo8z 7 днів тому +3

      미국은 이직이라도 쉽고 고용유연성이 높은데 한국은 아닌데 그러니까..

    • @jwh1568
      @jwh1568 9 годин тому

      미국 채용시장의 유연성은 내다버리고 안 좋은 점만 비슷해질려함 ㅋㅋ 이제 해고까지 쉬워지면 답이 더욱 없어짐..

  •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15 днів тому +43

    8:20 펭수팀 피디분들도 이 어마어마한 미친 경쟁을 뚫고 오신분들이구나 ㄷㄷㄷ

  • @INATIMELAPSE
    @INATIMELAPSE 10 днів тому +18

    2024년 현재 1-2년과 또다르게 더 어려워짐 작년까지만해도 난사하면 그래도 붙는 곳이 있었는데 올해는 기이할정도로
    서합이 안됨

  • @papepopojuju
    @papepopojuju 10 днів тому +8

    나두 인서울 졸업하고 본가인 충남 예산에서 2년 취준하다가 취업하고 다시 서울 와서 이 영상 보는데 너무 반갑다...😢😢😢 아파트도 너무 익숙하고 예산 터미널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하......갓생살자 20대들

  • @withssamin
    @withssamin 15 днів тому +27

    저도 공채 준비하고 있는 취준생인데 불안한 건 어쩔 수가 없네요. 올해는 다들 좋은 소식 있길 바랍니다.

  • @TheLsw30223
    @TheLsw30223 15 днів тому +146

    20년전 취직세대인 지금 부모들 말 들으면 그냥 ㅈ된다고 생각하면됨 ㅇㅇ 부모들이 겪은 시대와 지금 20대가 겪는 사회는 다르다. 대학과 학점이 중요시 되던 시대는 이제 끝났고 부모세대들이 과거 가장 경시하던 "경험"과 "경력" 이 압도적으로 필요한 시대가 온거임. 과거경험에서 비롯된 지식의 되물림은 종말이다. 알아서 각자도생해라

    • @yiyuya
      @yiyuya 13 днів тому +4

      대물림..

    • @user-xz2dc8eh6i
      @user-xz2dc8eh6i 6 днів тому +2

      말 번지르르하게 써놓고 맞춤법 틀리면 확 깸

    • @vfnfhnwfnz
      @vfnfhnwfnz 5 днів тому +1

      진짜 유교민국이 부모 말 잘 들으라 하는데 젊은 친구들 내 부모가 어떤 사람인지 객관적으로 평가해보고 말 들을지 말지 꼭 생각해보세요. 부모 말 들었다 인생 망하면 책임져주는 사람도 없음. 내 맘대로 했다 망하면 내 책임인 거 인정이라도 하고 스스로 책임지지. 내 부모가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그 분야 지식 많고 프로면 말 들어도 됨.아니면 니맘대로 하고 살아라.

  • @poketmonster025
    @poketmonster025 11 днів тому +54

    어머니께서는 노력한만큼 얻어지는 세상이라 하셨는데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하는거고 얼마나 내 노력이 무산되는 울분이 쌓여야하는걸까요😢

    • @dongwookkim2712
      @dongwookkim2712 10 днів тому +2

      구라임

    • @CK-ep2dj
      @CK-ep2dj 10 днів тому +19

      어머니 시절엔 그게 맞았음 지금은 아닐뿐이고

    • @CK-ep2dj
      @CK-ep2dj 9 днів тому +1

      @@user-sk9lt6cb3y 노력은 기본이고 근데 노력만으론 부족해

    • @user-ly7kk6pg6u
      @user-ly7kk6pg6u 7 днів тому +1

      남들 이길만큼 노력해라. 경쟁에서 졌다만 본인이 할수 있는 노력이 부족했던 거죠😅 남탓 사회탓 한다고 다음 경쟁에서 이길까?

    • @user-fk4im2bo8z
      @user-fk4im2bo8z 7 днів тому +3

      @@user-ly7kk6pg6u20년전에는 내 스펙이면 1등하고도 남았는데 지금은 같은 스펙이어도 50등에 들까말까하니까 문제인거임 내가 노력을 적게 한 것도 아닌데 뭐 더 얼마나 노력하란거임? 그러니까 청년세대가 다 포기하는거임

  • @refresh8577
    @refresh8577 14 днів тому +31

    힘내시길..저는 포기햇어요 걍. 100번 해도 떨어지는 시대와 중고신입만 뽑고.. 경제 개판이라서 권고사직에 난리부르스 하는 시대에 답이없어서요. 알바나 할렵니다..

    • @v10bears28
      @v10bears28 6 днів тому

      응원합니다

    • @newwave2873
      @newwave2873 6 годин тому +1

      아이유도 오디션에 100번을 떨어졌다고 합니다.
      저도 서류는 100번 정도 떨어졌지만, 계속 도전해보려구요
      우리내인생 화이팅입니다.

  • @Oscar-Hong
    @Oscar-Hong 14 днів тому +11

    화학계열 졸업자수는 톱랭크인데 TO는 극악이에요, 고인물만 불어나는 구조

  • @inthiswork
    @inthiswork 9 днів тому +3

    🔥모든 취준생들 화이팅입니다! 어려운 뉴스가 많지만... 불안함은 결국엔 나를 성장시키는 에너지라는 것!

  • @user-zh5dy2vd7c
    @user-zh5dy2vd7c 14 днів тому +154

    정보) 다큐 촬영때는 취업 쉬웠던 시기였다

    • @user-zg5xt8zk7n
      @user-zg5xt8zk7n 10 днів тому

      19년인데 쉬웠다고?? 병-!;,)신아

    • @user-hc4se7uw9b
      @user-hc4se7uw9b День тому +1

      저때가 쉬웠던게 아니고 지금이 개나소나 나정도면 고스펙이라고 자위질하는 눈만 높은 애들이 늘어난거란다.

  • @user-px7vs1cg3u
    @user-px7vs1cg3u 14 днів тому +49

    진짜 스펙.. 스펙.. 스펙.. 스펙.. 스펙을 쌓았는데 취업이 안되는 요즘 청년들 보면 진짜 안타깝다.

  • @goonboknamja
    @goonboknamja 15 днів тому +14

    2등! 예비취업생분들 힘내세요! 좋은 날은 꼭 옵니다:)

  • @user-pk8iy8co7k
    @user-pk8iy8co7k 5 днів тому +1

    세연님 정말 아름다우십니다

  • @user-jc6ti9xu7u
    @user-jc6ti9xu7u 14 днів тому +30

    지금은 저거보다 더심하다…
    나도 이력서 한 300개 넣은 듯…인턴까지 하고 후우

  • @user-md3sx4gd9r
    @user-md3sx4gd9r 13 днів тому +12

    대기업 2번 다니고 탄탄한 중견기업으로 이직했습니다 그래도 다시 이직준비하려구요 대기업으로 다시 올라가고 싶은 심정

  • @user-nk9lc4hf7n
    @user-nk9lc4hf7n 15 днів тому +75

    이뻐서 들어 왔어요

  • @jaeeunleee
    @jaeeunleee 10 днів тому +39

    취업이 다가 아니고 취업하고나서 버티는게 진짜다

  • @alstjr3316
    @alstjr3316 9 днів тому +11

    청년들 대학졸업하자마자 공백기없이 24-25에 바로 취업할수있었으면 돈도 일찍모으고 좋을텐데, 허들이 너무높아서 2-3년 버리는게 안타깝네. 기사 OA자격증 토익 바짝 공부해도 1년은 그냥걸리는데

  • @user-vs9fw7rm4v
    @user-vs9fw7rm4v 7 днів тому +9

    이 여자분은 취업안하셔도 되것는디...? 미모가 후덜덜

  • @user-ql3ep4pn9k
    @user-ql3ep4pn9k 15 днів тому +46

    대기업 10년차인데 경력이직 준비하려니 답이 없습니다.. 저도 서울에서 대학나오고 학점도 4 넘고 하는데ㅠ 취준생들은 더하겠죠..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14 днів тому

      짜릿짜릿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h3vj7xh2h
      @user-vh3vj7xh2h 14 днів тому +2

      대기업10년인데 경력이직이 왜힘든가요?? 안뽑아서 그런가요??

    • @user-gz6kb2rq4h
      @user-gz6kb2rq4h 14 днів тому +13

      ​@@user-vh3vj7xh2h 왜그런지 궁금하시죠 경력10년이면 같이 일하는사람들이 좀 부담스러워하고 대기업에서 10년차이상이 나가지않는이상 좋은자리는 자리도 거의 없구요. 돈도 많이줘야하니 특정업종 말고는 옮기기 쉽지않아요.

    • @user-dd2xs4br6v
      @user-dd2xs4br6v 14 днів тому +8

      @@user-vh3vj7xh2h 10년이면 과장~차장급인데 특출난거 아닌 이상 들가기 힘듬... 인건비 문제도 있고, 그 정도 경력이면 관리자임...작은회사면 팀장,그룹장 중견이면 파트장급인데

    • @user-ql3ep4pn9k
      @user-ql3ep4pn9k 14 днів тому +6

      @@user-vh3vj7xh2h 다른분들께서 잘 설명해주셨네요. 과장급 관리자인데 진짜 애매합니다 자리도 안나고..ㅎㅎ

  • @Kindload
    @Kindload 9 днів тому +1

    경력 2년 반 정도 가지고 있는 이직 준비중인 사람인데 공채도 많이 없어지고 있는 마당에 공채를 취업을 준비하기보다는 필드 경험을 쌓아서 좋은 기업에 신입으로 들어가는게 좋다고 봅니다

  • @user-zq6is7bl8l
    @user-zq6is7bl8l 8 днів тому +5

    요즘 사람뽑으려고 하면 기술직은 2번 3번 공고 내도 미달이고. 사무직은 기본 수십대1 경쟁률 나옴. 근데 급여테이블은 기술 사무 똑같음. 역차별이 심하니까 기술자들이 점점 품귀해지지.

  • @PEPERO-bs1ve
    @PEPERO-bs1ve 14 днів тому +46

    기업과 취준생이 생각하는 포인트가 다름. 기업은 1순위가 경험인데 취준생은 1순위를 자격증 등 스펙이라고 생각함. 뉴스에 참 많이 나온 내용인데 간극이 좁혀지질 않음 왜냐면 커리어 스타트를 중소에서 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 그 이유는 일견 타당하기도 함

    • @dominion8998
      @dominion8998 9 днів тому +3

      기업에선 경험을 중요시하면서 경력 후려치기가 일상이고 더 쳐주는경우는 없는 게 현실이죠;

  • @fox_is_mew
    @fox_is_mew 10 днів тому +12

    동문이었구나…지금은 좋은 결과를 얻으셨길 바랍니다!저도 19년도 2월 첫 외국계 기업 입사후 퇴사하고 20년도 부터 공기업 근무중이지만 전문직 도전하고 있습니다!다들 화이팅입니다!!

    • @Smile-gw7zb
      @Smile-gw7zb 8 днів тому

      어느학교인가요?

    • @user-ni6xg6xd5g
      @user-ni6xg6xd5g 7 днів тому

      요즘 지잡들 왜 전문직 준비하노 ㅋㅋ

  • @user-dy8nl6wq1m
    @user-dy8nl6wq1m 15 днів тому +54

    와 이게 19년도네....여기 나오신 분들은 잘 되셨으면 좋겠다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12 днів тому +3

      박세연님 이젠 취업하셨겠네;;

  • @greencafe91
    @greencafe91 14 днів тому +6

    돈을 어디서 얼만큼 벌고 남들에게 보여지기에 멋있어 보이는 직장 말고 어떻게 벌어서 어떻게 재산을 늘려 행복하게 살 것인지 고민해야 되는게 인간의 궁극적 가치 아닌가...중견,대기업에만 목매다가 자존감 깎아먹고 우울해 하지말고 본인 이력과 커리어에 맞춰서 포커스 맞추면 만족할만한 회사 다니다가 또 미래인생 계획 하는게 어떤가 싶다. 요즘 시대에 대기업,공무원 퇴사자들이 늘어나는 이유도 본인 삶을 다시 그리면서 생각을 많이 바꾸기도 하니까...그리고 진실인지 아닌지 알 수도 없는 자기소개서는 왜 이력서에 포함되는거야..

  • @user-dx4ri7zn4y
    @user-dx4ri7zn4y 7 днів тому +3

    5:44 '내가 노력한 만큼 결과가 올거다.'
    어머님, 외람되지만 그 발언은 틀렸습니다. 그때는 하향평준화였지만 지금은 상향평준화에 모두가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머님이 살던 시기는 고속성장시기라 하향평준화에서 본인의 노력여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지금은 선진국 정체구간이라 백날 노력해도 될까말까하니까 그런 희망적인 말들은 긁힐 수 있는 발언이 될 수 있습니다.

  • @shlove1105
    @shlove1105 11 днів тому +4

    인맥이 아무래도 중요한거 같더라구여.. 백번천번수만번 노력을 한들.. 이 모든걸 뛰넘고 이미 그 자리에 가 있는 인간들이 많긴 하드라

  • @songmyeongsu6261
    @songmyeongsu6261 11 днів тому +2

    뭐 제조업 쪽은 그냥 뽑는다지만 (대기업말고)
    사람들 선호도가 높은 사무직, 개발직 등은 중소기업들도 신입 뽑을 때 경력 엄청 보더라구요.. 쓰읍..

  • @broccoli_park
    @broccoli_park 15 днів тому +11

    세연씨 지금은 잘 살고 계시답니다~

  • @user-kp6pw5iw1h
    @user-kp6pw5iw1h 14 днів тому +13

    생초짜 공채 뽑아서 키워 놓고 이직 당할바에 경력 수시채용이 맞지

  • @user-vd2nj2rc4g
    @user-vd2nj2rc4g 2 дні тому

    이뻐용

  • @pajkl2
    @pajkl2 10 днів тому +6

    유튜브 썸넬의 중요성을 아는 EBS

  • @Jasonmraz643
    @Jasonmraz643 13 днів тому +15

    저 시간과 노력과 돈을
    미국주식에 투자하고
    학창시절 재밌고 건강하게 보내고
    카페알바 일지라도 통장이 넉넉하게 지낼수있었다면
    더 행복했을텐데

  • @S_rookie
    @S_rookie 14 днів тому +67

    대기업 한번에 들어가면 가장 좋겠지만 2~3년 대기업 채용기다리면서 시간날리는것보단 1년이라도 중소 중견에서 직무경험쌓고 중고신입이던 경력이던 옮겨가는게 훨씬 수월하다

    • @user-tz2in2jf2r
      @user-tz2in2jf2r 14 днів тому +16

      요즘 중견가기도 빡셈

    • @user-oo1ye9jx8o
      @user-oo1ye9jx8o 14 днів тому +26

      요즘 중견 사람 겁나 안뽑고 중소조차 사람 가려받음..

    • @user-pl5nz6cp9o
      @user-pl5nz6cp9o 14 днів тому +16

      님아 요즘 기업규모 막론하고 중소 조차도 경력있는 신입 위주로 뽑는데 말이나 되는 소릴 하십쇼

    • @ijk6597
      @ijk6597 10 днів тому +9

      아니요. 첫단추가 중요한데 대기업준비하세요. 스펙안되면몰라도 비빌수만있다면 대기업가야죠

    • @I_am_inevitable_
      @I_am_inevitable_ 9 днів тому

      ​@@user-pl5nz6cp9o개소리냐 중소기업 인력난이라던데

  • @kkureu
    @kkureu 10 днів тому +1

    제가 약 2년전 지상파 방송 면접을 갔었는데 신입 뽑는 자리에 그때 제 나이는 28살 쌩신입으로 갔는데 면접가서 다른 사람들 보니까 쌩신입은 나만 있고 36살 경력 9년도 신입으로 지원하는데 면접 보면서도 “음 내가 면접관이여도 날 안뽑겠군” 했는데 역시나 탈락 ㅎㅎ

  • @user-kl3ql7lp7z
    @user-kl3ql7lp7z 12 днів тому +12

    경력자가 넘치는데 신입 스팩이 상상을 초월하는게 아닌이상 뽑을리가 없음 ;; 경력자가 다시 취업시장에 뛰어든다는것부터 이미 기업들은 신입뽑아서 가르쳐봐야 무조건 이직한다고 알기때문에 실무위주로 빠르게 빼먹는걸 목표로함

  • @user-ix7og6fg8k
    @user-ix7og6fg8k 15 днів тому +28

    지금은 직무 경력이나 경험이 있어야함... 저 분 경희대 나왔으면 괜찮은데 갈수 있을듯 한데 어케됐으려나

  • @jayhan9477
    @jayhan9477 8 днів тому +5

    경력자 뽑음서 월급은 신입처럼 주고싶은 기업들의 꼼수...

  • @user-ge1rg3bf4o
    @user-ge1rg3bf4o 15 днів тому +3

    눈높이를 낮추는게 시간은 계속흐르고 결국 남는건 좌절뿐이에요. 비슷한케이스라...

  • @DOTORI-zb2tp
    @DOTORI-zb2tp 15 днів тому +55

    신기한건 골라서 가는 사람은 항상 존재함

    • @user-zz4pi4oq6y
      @user-zz4pi4oq6y 15 днів тому +6

      나의 아는형이 그런케이스네요...
      대기업만 3군대 다녔었고 공기업도다니고 외국계 기업도 다니고 대단함...그만큼 스펙이랑 외국어 3개국어 하니...

    •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14 днів тому

      ​@@user-zz4pi4oq6y그정도아녀도 아직많음

    • @yyyycj
      @yyyycj 11 днів тому +7

      눈치챙기셈

    • @jwh1568
      @jwh1568 9 годин тому

      이런 말 진짜 의미 없는게 인류태초부터 항상 상위10퍼는 관련없이 잘 살았음 ㅋㅋㅋㅋ 그런 사람들 있으니 참고 견뎌라 라는건 아닌거 같음

    •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9 годин тому

      @@jwh1568 지잡대간다음에 대겹못갔으면 참고견뎌야제

  • @wofjdbwlfj
    @wofjdbwlfj 15 днів тому +43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너무 심함+인스타에 회사 사원증 자랑해야함+인터넷 상 평균 올려치기. 실제 한국 중위소득 연봉 3천 초반인데 인터넷에선 다들 연봉 1억임

    •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14 днів тому

      우리나라 ㅈ소는 어떠한 가치도 창출못하는 좀비기업이라그럼

  • @user-px3ox2fv5u
    @user-px3ox2fv5u 13 днів тому +8

    그래도 저분은 취준만 할수있지 나는 일하면서 취준중임.....

  • @Seulgeong
    @Seulgeong 10 днів тому +4

    이쁘다

  • @jaehongkim7947
    @jaehongkim7947 13 днів тому

    이미 합격하셨습니다

  • @user-hr5cq5dj4o
    @user-hr5cq5dj4o 12 днів тому +7

    이눈나 지금은 뭐할까.. 너무 이쁘고

  • @ssjagga
    @ssjagga 11 днів тому +18

    취업준비 어케 하나 보러왔다가
    왜케 이쁨..
    아니 왜케 귀염... 아니 왜케 이쁨...ㅋ
    근데 목소리도 좋은데 진짜 열심히 하심..
    그 먼곳에서 열심열심.
    셤보러 뛰어가는거도 엄청 귀염 뛰는거보시면 참 귀엽습니다.
    그러다가 주방 부엌에 식탁이 저정도면 집이 얼마나 큰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carlosj8637
    @carlosj8637 4 дні тому

    세연씨. 지금쯤 취직했으려나 힘내

  • @S_rookie
    @S_rookie 14 днів тому +7

    대기업 들어가도 고통의 시작인데

  • @dogcrazy8864
    @dogcrazy8864 8 днів тому

    간단히 말해서 운이 제일중요함.
    노력은 그 다음

  • @sswief123
    @sswief123 15 днів тому +52

    하 너무이쁘다 부럽다... 대역아니죠? 왠만한 연예인보다 이쁜거같은데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12 днів тому +2

      박세연님 이젠 취업하셨겠네;;

    • @user-yh5xj9tt9d
      @user-yh5xj9tt9d 11 днів тому

      연예인보다 이쁜건 좀..
      이쁘시긴한데

    • @user-sw9vz1sh9d
      @user-sw9vz1sh9d 10 днів тому +4

      아나운서나 승무원 준비생같음 ㅋㅋ 인지도 올릴라고

  • @kysm4893
    @kysm4893 9 днів тому +16

    대기업, 중견 갔던 사람들도 계속 이직하면서 연봉인상 하는 추세라 지금 신입은 경력이랑 경쟁하는 중이라 힘듦....

    • @fair-korea
      @fair-korea 7 днів тому +1

      00학번~14학번까지만 해도 토익 점수 없이 대기업 원서만 내면 다 들어갔데요. 지금 MZ 들은 그때 꼰대들보다 훨씬 스펙 좋고 능력좋은데 이 꼰대들이 자리 차지하고 스펙 요구 하고 있어서 채용이 어렵다는... 진짜 대한민국 역사상 제일 똑똑한 세대인데 앞세대 꼰대들때문에 피해를 보네요 ㅠㅠ

    • @iehbdnXksj337
      @iehbdnXksj337 7 днів тому +7

      ​@@fair-korea진짜 말도안되는 얘기를 하고 다니시네 ㅋㅋㅋㅋ IMF가 몇년도고 리먼사태가 몇년돈데 00-14학번 무토익 대기업입사같은 허무맹랑한 소리를 믿고 다니는거임?

    • @fair-korea
      @fair-korea 7 днів тому

      @@iehbdnXksj337 하... 모르면 제발 공부 쫌!!!!!!!!!!

    • @qman7182
      @qman7182 7 днів тому +2

      @@fair-korea 05학번인데 뭔소리하는거냐 ㅋㅋ 그당시 선배들도 스펙 다 쌓고 지원해도 나가리였다

    • @fair-korea
      @fair-korea 6 днів тому

      @@qman7182 지금보다 훨씬 쉽고 개꿀빨았음

  • @user-vx2of6yy7o
    @user-vx2of6yy7o 13 днів тому +5

    참 시골은 기사 자격증 시험 보러 가기도 힘들구나. 예산에서 홍성까지 시험을 보러가니. 06년도 위험물산업기사 그리고 12년도 위험물기능장이라 젊은 처자가 위험물 공부하는 모습이 눈에 들어오네요. 세연씨가 좋은 기업에 들어갔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papepopojuju
      @papepopojuju 10 днів тому +1

      홍성이면 가꺄운 거예요...저도 인서울 졸업하고 예산에서 2년 취준했는데 무역영어 1급 치러 평택 간 적 있음.....ㅋㅋㅋㅋㅋㅋㅋ대전도 있는데 평택이 자리도 더 많고..

  • @user-wo6bt9bu3b
    @user-wo6bt9bu3b 8 днів тому +3

    세연씨 인스타엄나요 걍 카리나시네

  •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15 днів тому +7

    이제는 아예 공채도 거의 없어졌지....

  • @Guyul
    @Guyul 8 днів тому +1

    졸업하자마자 취업하는 사람들은 진짜 대단한거구나..

  • @gbcszcfdcvc001
    @gbcszcfdcvc001 7 днів тому +2

    회사 입장에서 공채는
    ' 시험 잘 보고, 전공/스펙 많은 사람이 남들보다는 일 잘하겠지'라는 기대로만 사람 뽑는 것이다.
    그래서, 업무수준이 높아 질 수록 경력과 자세한 면접을 통한 수시 채용으로 갈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 @kangsojung3185
    @kangsojung3185 8 днів тому +1

    요즘엔 공채만 바라보면서 1년이상 준비하면 안됨..

  • @ahahwgqye12
    @ahahwgqye12 10 днів тому +2

    이렇게까지해서 대기업 가려는 이유가 뭐지.. 저는 IT직종이라 그런가 대기업 욕심은 딱히 없는데.. 오히려 대기업이 일에 대한 자유도도 없고 수직적이고 기술도 레거시하더라구요.. 반대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인데 비즈니스모델 탄탄한곳은 일의 자유도나 기술도 트렌디하고 내가 무언가하면 회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보니 성취감이 있음..

    • @user-fk4im2bo8z
      @user-fk4im2bo8z 7 днів тому +1

      그쪽 직종이라 그럴듯 거기는 중소여도 돈 많이 받잖

    • @ahahwgqye12
      @ahahwgqye12 6 днів тому

      @@user-fk4im2bo8z 음.. 다른 직종은 아예 상황이 다른가요?? 잘 몰라서,,

    • @tonkatsu_8227
      @tonkatsu_8227 5 днів тому +2

      문과는 대기업공채 없으면 진짜 멸종이라 그래요 경영 나오면 머함 인문사과대애들 전부 복전 경영하고 경영학과자체가 딱히 공대처럼 전공 비전공자 실력차이가 없어요. 그래서 사실 문과는 문과인원 전체와 경쟁을 해야되고 회사 들어와도 전문기술이 없으니 정말 특출난 사람 아니면 이직하기도 힘듭니다. 그나마 첫 단추를 대기업으로 들어가야 커리어라 할만한게 쌓이기 때문에 아득바득 공채로 들어가려고 하는거죠.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수직적이고 레거시적인측면 엄청 심한거 인정하는데 문과직군으로 it업종 만큼 받으려면 대기업 말고는 선택지가 없습니다.

    • @ahahwgqye12
      @ahahwgqye12 5 днів тому

      @@tonkatsu_8227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래서 비전공이지만 IT쪽 오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네요.

  • @user-hz9ez1jr4i
    @user-hz9ez1jr4i 10 днів тому

    수영을하거나 피아노치는데도 기본 2~3년잡고 그 이 후부터 잘 하게되는거지 처음부터 경력을 원하면 신입을 뽑는게 아니라 경력직을 뽑는거지

  • @elementkim9150
    @elementkim9150 9 днів тому +6

    저는 일본에서 대학다니고 일본 자동차 기업에서 컨설턴트 업무를 했었거든요.. 프로젝트 매니저도 담당하고 4-5년 경력채우고 지금은 한국 대기업 왔는데, 신입분들 준비하실때 무조건 히스토리에 일관성이 있어야 취업이 잘될거같아요. 물론 상위권 대학출신은 당연한거구요. 저는 상경계라 자동차 좋아하지도 않았는데 대학시절때부터 주식 좋아했어서 자동차랑 배터리만 팠거든요.. 그래서 학회활동이랑 졸업논문도 관련한것만 쓰고..뭔가 지금은 제네럴리스트보다 스페셜리스트가 더 중요한 시대가 된거같아요 ㅠ 물론 학력미달이거나 업무능력 유추라도 되는 스펙없이 대기업 바라는건 양심 없는거지만..

    • @dominion8998
      @dominion8998 9 днів тому

      일관성도 사정이 맞아야 할만합니다. 한국에서 대학다니다 일본 취준하니 코로나터지더군요;

  • @user-nh3ww8vb7t
    @user-nh3ww8vb7t 9 днів тому

    숲TV에서 당신의 유능한 인재를 기다리겠습니다. 완벽합니다♡
    춤 스팩만 가져오시면 됩니다.

  • @KKN-gm8ww
    @KKN-gm8ww 5 днів тому

    지거국 공대정도 나오면 괜찮은곳에 취업 잘됩니다😊

  • @user-ce8vv2vk2f
    @user-ce8vv2vk2f 8 днів тому +5

    결국엔 중소건 어디건 가서 경력 쌓고 이직 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저는 중소 가서 2400으로 시작해서 3년차에 이직해서 현재 4600받고 있음ㅇㅇ지금 총 경력은 5년 되었구

  • @user-pt3ye6bv5d
    @user-pt3ye6bv5d 15 днів тому +3

    전기자전거배달만해서 거의 돈만 모으고 있는 난 할말이 없다.

  • @user-zl9zt7dn1m
    @user-zl9zt7dn1m 7 днів тому

    사기업 공채보다 공기업 추천해요 진짜좋아요 ! 특히 금융쪽

  • @papa-ln6cy
    @papa-ln6cy 10 днів тому +4

    다큐는 모르겠고 너무 이쁘다.. 그런데 취준을 위한 노력까지... 1등신부...ㅇ

  • @user-fd8ht7fg7w
    @user-fd8ht7fg7w 10 днів тому +8

    놀랍게도 2024년 기준 이거 방송되던 시절은 파라다이스 수준이다

  • @jisookim9002
    @jisookim9002 15 днів тому +42

    그냥 이 좁은 땅에 인간이 너무너무 많음

  • @qwertyuiopzxcvbnm9966
    @qwertyuiopzxcvbnm9966 10 днів тому +4

    이분은 진짜 까페 하나만 차려도 손님들 줄을설듯,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0 днів тому +1

    10. 어휘력을 많이 기르는 것도 잘 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11.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이 말은 열심히 노력한다고 해서 다 되는 게 아니라는 뜻이다.
    12. 사실을 부정하려는 게 사람 본성이다.
    13.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4. 매몰 비용의 오류 - 도중에 포기하는 것이 손해가 가장 적다고 판단되면 빨리 포기해야 한다.
    15. 살의로 이어지는 감정은 모두에게 있다.
    16. 무지는 죄
    17. 성추행, 성폭행, 살인을 한 자는 그에 맞는 나라별의 징역이 내려진다.
    18. 전쟁터에 다녀온 아들이 자기 대신 친구가 지뢰를 밟아 팔, 다리가 1개 사라졌다고 부모님에게 말했는데 알고보니 친구가 아니라 자기가 지뢰를 밟아서 팔, 다리가 1개 사라졌다.

  • @IIEarlymorningII
    @IIEarlymorningII 9 днів тому +10

    박세연씨 지금 쯤 뭐하고 계실지 근황이 궁금하네요

    • @arthurkim1364
      @arthurkim1364 7 днів тому +1

      아직도 구직하고 있지않을까요

    • @user-cv5zu7hy5v
      @user-cv5zu7hy5v 5 днів тому

      취집하지 않았을라나.. 보통 여자가 저러면 취집했던데.

  • @user-tg6un3kl8k
    @user-tg6un3kl8k 14 днів тому +4

    어쩌다 7번째 회사.. 모두 화이팅
    대기업 2곳
    중견기업 2곳
    중소기업 2곳
    공공기관 1곳

  • @raylee062
    @raylee062 14 днів тому +30

    제발 5년전 다큐는 올리지 맙시다. 역사 다큐면 모르겠지만... 그 참

  • @kyungjoopark2898
    @kyungjoopark2898 15 днів тому +15

    나는 취준생도 기업도 이해가 가는데, 그냥 무의미하게 경쟁률 올려주는 친구들은 하루빨리 본인하고싶은거 찾아 하는게 방법인데 포기를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것도 문제인것같다.. 반박시 님말이맞음

    • @user-ce8vv2vk2f
      @user-ce8vv2vk2f 8 днів тому

      ㅆㅇㅈ. 경쟁률 100대1 이어도 80은 허수로 봐야함. 80대20 법칙은 어디서나 동일하고 내가 기본기가 있다면 80은 걱정 할 필요 없음ㅇㅇ

  • @user-wd4yi2vf3e
    @user-wd4yi2vf3e 12 днів тому

    자격증은 대학 다닐때 했어야지.. 공대인데 취업안되면 요즘 핫한분야 대학원가라.

  • @su_a1227
    @su_a1227 15 днів тому +20

    같은학교 졸업 후 첫 취업 후 돈과
    복지혜택이 다릅니다.
    1. 공채연봉 : 4000
    2. 연봉 : 2,800짜리 소기업 신입
    1년 후 진급, 인센티브- 다음 연봉협상
    계속 차이납니다.
    돈이 목표면 공채가 맞음…
    근데 요즘 제가 느끼는건~
    돈을 적게 받더라도 내가 배우고 싶었던 기술! 같이하고 싶은 사람들과
    작은 가게라도 내가 사랑하는 브랜드에서 일하면 돈을 적게 받아도 만족하는 삶이라 봅니다.
    지금 사회는 너무 돈으로만 따지는게 문제라 봅니다.

    • @bongbongfather
      @bongbongfather 15 днів тому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과 자산을 추종하는게 문제는 아니죠. 다만 선진국이라 부르는 국가들과의 차이가 나는게, 중소/대기업 임금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졌다는 게 문제죠. 거기에 나라가 내수 시장이 작다보니 수출 제조업 중심에서 변화를 못하는게 문제죠. 일자리/직업의 변화가 없으니까 말이죠.

    • @melidream
      @melidream 15 днів тому +6

      돈도 돈이지만 연봉이 문제가 아니에요. 최소한으로 누려야 할 복지, 하다못해 야근수당이나 연차를 눈치 안보고 쓸 수 있는 기업을 원하는 거에요. 공채는 그게 보장되고 일반 중소는 그거마저 안지켜지는게 대부분이니까요

    • @su_a1227
      @su_a1227 15 днів тому

      @@melidream 하다못해 야근수당 연차요?ㅋ
      야근수당 주는 회사 대기업 포함 생각보다 없어요. 그리고 연차 휴가는 회사 자체가 단체생활 인데~시즌 지나고 팀 전체가 한가할때 맞춰 쉬어야죠~ 회사 다녀보면 연차 어쩔 수 없어요.
      삼성이고 맥이고 핸드폰/ 전자제품도 해마다 나오는데…
      그래서 다들 돈으로 보상 받으려 하고!
      연봉보다 상반기 하반기 ‘인센티브’에
      목매는거구요.

    • @melidream
      @melidream 14 днів тому +1

      @@su_a1227 공휴일을 연차로 쓰는 기업을 예시로 든거긴 해요 ^^..

  • @user-wm4uc9pc3j
    @user-wm4uc9pc3j 13 днів тому +3

    이분 어디취업했는데요 5년전 영상인데

  • @suguson2511
    @suguson2511 15 днів тому +56

    취직하면 끝인줄 알겠지?

    • @aklaa-fo7hu
      @aklaa-fo7hu 14 днів тому +11

      이제시작임 ㅋㅋㅋ

    • @user-pn9ps4gb1z
      @user-pn9ps4gb1z 14 днів тому +5

      ㅋㅋㅋㅋ반년하고 때려치는사란30프러

    • @user-ys8km2zg5f
      @user-ys8km2zg5f 11 днів тому +1

      이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휴우....

    • @andykim5175
      @andykim5175 10 днів тому +3

      @@user-pn9ps4gb1z남아읶는 게 30프로임 ㅇㅇ

    • @booybje
      @booybje 10 днів тому

      ㄹㅇㅋㅋ

  • @h9ewh13wmu
    @h9ewh13wmu 15 днів тому +5

    공채는 스펙 경쟁으로 가게 되고, 사교육 경쟁, 학군 경쟁 이런 것들과 같이 연쇄적으로 부조리를 만듥게 됨.
    정작 공채로 들어가더라도 그게 기득권이 되어 버려서 회사로서는 비효율이 발생함.
    삼성도 공채로 잘 뽑아놓고도 정작 부서 배치는 뺑뺑이 돌려서 해버리니까.
    한참 가르쳐서 일을 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함 (똑똑하긴 하지. 근데 일시키긴 힘듬)
    수시로 가더라도 저런 일자리가 무한정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가 성장시켜서 일자리를 많이 생기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고.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병패인 재벌/족벌 경영, 그리고 불합리한 하청구조, 대기업의 기술 탈취 이런 것들을 막아야 함.
    특히, 국내 기업들 고혈을 좀 덜 빨아도 중소기업이나 벤쳐에서 더 좋은 보상을 해줄 수 있을 듯 함.
    수시와 같은 형태가 좋은 방향이겠지만, 근본적인 부조리를 바로잡지 않으면, 수시조차도 무한 경쟁이 될 수 밖에 없음.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0 днів тому +1

    19. 흥분과 분노로 자제심을 잃으면 예상하지 못한 결말에 도달할 수 있다.
    20. 상대방이랑 대화하면서 될 수 있는한 상대를 여러 번 네하게 만들어라.
    21. 성폭행을 당했을 때, 즉시 증거수집에 힘 써서 바로 고소해야 한다.
    22.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있을 때 운명을 바꿀 수 있다.
    23. 자신의 패를 한 번에 다 보여주지 마라.
    24. 다른 사람이 봐도 ㅡ 화술
    25. 내가 볼 때, 제가 볼 때 ㅡ 화술
    26. 잘나보이고 싶으면 색다른 관점을 드러내라.
    27. 사물을 깊이 생각하는 습관을 몸에 익혀라
    28. 성범죄를 당해도 정상적으로 생활을 못하지만 너무 아픈 기억이 있어도 정상적으로 생활을 못한다.
    29. 과유불급: 뭐든지 과하면 독이 되는 법이다. 이건 독서, 종교, 운동, 게임도 마찬가지다.
    30. 드라마, 영화, 만화도 하나의 책이다.

  • @user-tr7rs5ui3w
    @user-tr7rs5ui3w 12 днів тому +1

    신입인데 무슨 엄청난 경험이며 경력이있겠냐... 학벌 스펙은 개인이 얼마나열심히살았나의 증거지만 진짜 양심 ㅈ도없다ㄹㅇ
    그래도 적당히 타협하고 중견에들어가서 일하는것도 좋은데 대기업 위주로 전부가려고하는게 문제가있는거같기도함 2:31

  • @user-dextest
    @user-dextest 10 днів тому +2

    5년전 영상이 왜이리 슬플까…

  • @user-xg3kw9zl5p
    @user-xg3kw9zl5p 5 днів тому

    박세연씨 취업했는지 근황 궁금하네요

  • @user-mo2su6xu1k
    @user-mo2su6xu1k 10 днів тому

    좋소라 별 감흥이..

  • @k_jint.2705
    @k_jint.2705 14 днів тому +12

    스팩보다 한수위인건 경력&경험 자격증은 그저... 면접용이고... 인정받을려면은... 취업이 우선이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