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으로 불안했던 파고라 다시 만들기 ♡♥시골아낙네와 여섯 개님들 이야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1년전 혼자서 만들었던 파고라가... 사실 흔들거려서 불안했어요.
    바람이 세게 부는 지형이 아니라 잘 버티겠지 하고 미루다
    결국 다시 만들었어요.
    기둥과 지붕 뼈대를 잇는 뭐라고 부르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부분을 반드시 하세요.
    흔들거리지 않고 튼튼하게 지지해 준답니다 ^^
    --------------------------------------------------------------------------------------------------------------
    여섯 개님과의 시골생활
    이유없이 사람을 좋아하는 개와
    이유없이 개를 좋아하는 사람의 이야기예요.

КОМЕНТАРІ • 62

  • @sscissoring
    @sscissori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안전장구와 툴 사용법은 충분히 공부하시고 정확하게 사용하시는게 좋아요. 한번 사고나면 돌이킬수없는데 그게 설마하는 순간 일어납니다. 전동공구의 힘은 상상이상으로 쌥니다. 인간이 이길수가 없어요
    혼자하기 힘든걸 해내시는게 대단하시네요!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10 місяців тому

      무식이 용감한 거라고 ^^; 사용할 수록 위험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사용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 @unastro3017
    @unastro3017 2 місяці тому

    대단 하십니다 ~👍

  • @데데파
    @데데파 2 роки тому +7

    감으로 금방 아시게 되겠지만 영상에 나오는 공구 위주로 사용 팁 몇가지만 드릴게요.
    1. 각도절단기 사용시 톱날이 나무에 먹히는 만큼 같은 세기의 적당한 힘(?)으로 쓰윽~누르세요. 팔로만 누른다기보다 팔에 체중을 살짝 실어서요. 특별한 하드우드가 아니고, 톱날 팁이 살아 있다면 한번에 쓰윽 자른다는 기분으로요. 아주 강하게 누르지만 않는다면 보통 각절기 부재의 절단면이 크지 않기 대문에 톱날이 물리거나 기계에 무리가 갈 염려는 별로 없을 것입니다.
    2. 아무래도 가장 손에 많이 들게 되는 공구가 드릴인데요.
    - 드릴도 그렇고 모든 전동 수공구는 가능하면 두손으로 잡고 사용하세요. 한손 사용시에는 작업의 정확도도 그렇고 특히 여성분의 경우 팔목의 피로가 누적되어 인대 등이 다칠 수 있고 한 손이라 힘을 제대로 쓸 수 없으니 집중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 그리고 시선은 가능하면 드릴 척(기리)과 같은 방향에 있어야 합니다. 드릴 척의 측면을 보고 작업하시면 공구에 힘을 싣기도 어렵고, 기동하는 공구가 흔들리고, 그러면 원하는 방향으로 곧게 홀을 내기도 어렵습니다. 드릴과 같은 방향으로 시선을 두세요.
    - 드릴은 모터가 기동중일 때 가장 힘(토크)가 강합니다. 드릴 비트가 홀에 물려서 돌아가지 않을 때 스위치를 계속 잡고 있으면(ON 상태) 모터가 타서 망가질 수 있습니다. 물려서 드릴이 안돌면 일단 비트를 홀에서 빼낸 다음 다시 기동시켜서 뚫기를 반복하는 식으로 작업하세요.
    - 원하는 깊이만큼 홀을 낸 다음 모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빼려고 하면 홀에 물려서 잘 안빠지게 될 수 있습니다. 까딱하면 비트를 부러뜨리기도 하구요, 모터가 가볍게 기동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에서 빼내세요.
    3. 모든 공구의 사용은 가능한 몸에 밀착하여, 그러니까 공구와 몸통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사용하세요. 팔을 뻗을수록 공구에서 몸이 멀어지게 되고, 그만큼 팔이 힘들고, 작업의 정밀도도 떨어집니다.
    4. 위 3번과 같은 얘기인데요. 작업은 손이 아니라 어깨나 허리 등 몸으로 한다는 느낌으로 하세요. 손으로는 공구를 몸에 장착한다는 느낌으로요. 그래야 힘을 제대로 쓸 수 있고 그만큼 힘이 덜 들게 됩니다.
    5. 마지막으로 진짜진짜 가장 중요한 것은,,,
    - 작은 드릴류는 크게 문제가 안되지만 대부분의 전동공구는 적절히 다루는 법을 모른 채, 공구별 작동시의 특성을 모르고 사용하면 매우 위험합니다. 사고는 모르는 순간에 일어나구요. 사고가 나면 상상 이상으로 다칠 수 있어요. 겪어보면 이런 도구들이 얼마나 위험성을 갖고 있는지 절감하게 되지요. 사용법을 항상 숙지하시고 사용시 꼭 리마인드해 두시기 바랍니다.
    - 아주 기본적인 안전장비를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인 안전장비란 눈, 귀, 코(폐)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즉 보안경, 마스크, 귀마개이고요, 작업화도 필수적인 안전장비에 속합니다.(쓰레빠는 노노노~ 절대 안돼욯) 그리고 더운 한여름에는 쉽지 않지만 피부를 작업물에 직접 노출시키지 않는 작업복도 중요합니다.
    유튜브에는 수많은 고수분들이 많지만 이 영상을 보시는 분들은 아무래도 초보분들이 많을 것 같고, 이런 기초적인 문제들을 가볍게 지나치는 것 같아 몇가지만 말씀드렸습니다.
    쓰다보니 좀 길어졌네요. 그럼,, 행복한 메이커 생활이 되시길요~~~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2 роки тому

      어쩜 이렇게 친절하게 알려주실까요... 감동 먹었어요, 배부릅니다~~ 잘 숙지해서 최소한 운동화, 두 손으로, 보안경, 공구는 시선과 일직선으로 가까이 팔 힘이 아닌 어깨나 상체 힘으로~~ 쏙쏙 들어오네요.정말 고맙습니다~ ^^

    • @롯데로이스터
      @롯데로이스터 2 роки тому

      고맙습니다. 읽는 사람이 임자라고 도움 감사합니다.

    • @동동이네-i9l
      @동동이네-i9l Рік тому

      진짜 친절하게 알려주시네요~~^^

    • @tv-gt6zn
      @tv-gt6zn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렇게 사람을 감동시키기 없기 있기 님 멋지십니다.

    • @nansulhyun
      @nansulhyun 5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왜 자를 재는 것 마다 길이가 다를까요? ㅎㅎㅎ. 삐뚤빼뚤... 그래도 도전했으니 해 보려고 손목 인대가 늘어났어요. ㅠㅠ

  • @힐링타임-y8o
    @힐링타임-y8o Рік тому

    멋져요 대단하십니다.

  • @kirapa603
    @kirapa603 2 роки тому +1

    가녀린 몸으로 그 무거운 기둥을....
    쨋든 파고라 너무 예뻐요~☺️

  • @soony58
    @soony58 2 роки тому

    아낙님!
    존경스럽습니다
    나도 도전해보고 싶은 의지가
    생기네요

  • @롯데로이스터
    @롯데로이스터 2 роки тому

    아, 대단합니다. 공구를 다루시는 것도 그렇지만 스스로 하시는 모습. 대박입니다.
    금년 귀촌해서 집 주위 파고라를 두 곳 만들고 있는데 도시 바보라서 옆집 형님(마침 같은 백수라서)구슬러 짓고 있는데 공구부터 부품, 나무, 지붕 렉산하러다 함석으로 하는데 힘듭니다. 나는 보조만 하는데... 이제 주문한 함석만 오면 끝날 듯 합니다.
    정말 박수와 감탄을 격렬하게 보냅니다.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2 роки тому

      칭찬 감사드려요~ 전문가가 보기에는 엉망이래요 ^^;; 무튼 완성했으니 스스로 만족하고 있어요~

  • @시그너스-q2h
    @시그너스-q2h 2 роки тому +1

    결과물이 잘됬고~ 못됬고~ 를 떠나서
    저걸 여자 혼자 도전한다는 그자체가 대단 하네요.
    내나이 57살 먹도록
    주변에서든~ 유튜브영상에서든~
    또는 소문으로든~
    이나이 먹도록 저런걸 혼자 만들었다는 여성을 처음 봅니다.
    정말이지~ 대단함을 인정합니다.
    저 충북 사는데 울집 근처면 가서 도와드리고 싶네요. ㅠㅠ
    존경심의 마음으로 구독 해드리고 갑니다.
    제가 60 번째 구독자 인듯요~
    좋아요는 21번째~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2 роки тому +1

      칭찬 감사드립니다~ 빨리빨리 못해서 그렇지 느긋하게 하면 되더라고요 ㅎㅎㅎ

    • @시그너스-q2h
      @시그너스-q2h 2 роки тому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손 필요 하시면 연락주세요.
      가서 도와드릴게요~

  • @똥꼬발랄-d6t
    @똥꼬발랄-d6t 4 місяці тому +1

    고생하셨네요
    한가지 경사가 좀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그게 좀아쉽네요
    화이팅입니다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4 місяці тому

      하아... 비만 오면 괜찮은데 지난 겨울에 눈 폭탄이 내려 렉산이 구부러지고 엉망이 되어서 지금 현재 다시 만들고 있어요. 말씀대로 더 기울여서 하고 있습니다. 뭐... 다 경험이죠 ㅎㅎㅎㅎ

  • @Alexanderbeen
    @Alexanderbeen 8 місяців тому

    세계관이 대단하십니다 .

  • @한가빈-i4x
    @한가빈-i4x Рік тому

    응원해요

  • @동동이네-i9l
    @동동이네-i9l Рік тому

    아낙혼자 대단하세요 우린 더 허술한 데크위에 파고라와 겨울에 달 문짝만드는데 부부가 몇일을 낑낑대고 힘들었는지 ㅋㅋ

  • @데데파
    @데데파 2 роки тому +2

    스프레이 락카를 칠할 때 번거롭지만 될수록 얇게 전체적으로 도포하고 마른 후에 다시 덧씌워 도포하듯이 작업하세요. 한번에 새까맣게 칠하면 락카의 흡착력이 떨어져서 잘 벗겨진답니다.

  • @옴므파탈-u5x
    @옴므파탈-u5x 2 роки тому

    하...이러니 우리 집사람이 남자가 저런것도 못하냐고 구박을...ㅠㅠ
    도전하시고 실천하시는게 감동이네요...

  • @JheoGuevara
    @JheoGuevara 2 роки тому

    나무에 볼트 박는게 일반 드릴로는 어려워서 임팩드라이버로 박아야 쑥쑥잘들어가요.
    아마도 자가로 파고라 뿐 아니라 이것 저것 DIY하실텐데, 이왕하는거 공구는 잘 갇추고 일하심 10배는 편해질거에요 ㅎㅎ
    파고라 앞으로든 살짝 비스듬히 물 잘 흘러내리게 하셨겠죠? 이거 수평으로 하면 나중에 물이 고이고해서 엄청 피곤해져요
    상판 올리시는거 보면 저보다도 힘이 쎄보입니다 ㅎㅎ
    땀 흘리면서 일하고 마무리 되었을때 엄청 뿌듯하죠^^, 저도 타운하우스에 살아서 이것저것 다 할 줄 알아야 겠더라구요.
    난간등(w 타이머)도 설치하고, 전지도 해야하고 잔디도 깍아야 하고 ㅎㅎ 틈틈히 수리도 해야하고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2 роки тому

      안 그래도 공구 살림이 자꾸 늘어요 ㅎㅎㅎ 있으면 편하겠다 싶어 하나씩 업어오고 있어요. 저희 동네 건재상 단골이랍니다 ^^

  • @annie412
    @annie412 2 роки тому

    정말 대단하십니다.
    저두 웬만한 툴은 다 사용가능 하지만 감히 파고라를 도전은 못했습니다.

  • @nansulhyun
    @nansulhyun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떻게 5일만에 완성했어요? 저도 하시는 것 보고따라 해 보려고 시도하고 있는데 아직도 진행중. 7월 29일부터.....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 당시에는 백조여서 쉬엄쉬엄 했어요. 너무 더울 때 하지 마시고 선선해지면 하시길.. 어설프지만 혼자 해냈다는 만족감이 큽니다 ^^

    • @nansulhyun
      @nansulhyun 5 місяців тому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보조 사람들을 불러서 일을 하고 있는데... 도면없이 하다보니 했던 일이 잘못되어 다시 풀어서 하고... 이제 기둥 수평을 잡기 위해 실을 매었습니다. 만드는것을 좋아하다보니.. 저도 시도하긴 하는데 한국가면 한옥스쿨을 꼭 수강신청하고 싶네요. ㅎㅎㅎ

  • @만사오케이-l4l
    @만사오케이-l4l Рік тому

    임팩이 있어야 편합니다

  • @머물바당
    @머물바당 4 місяці тому

    이미 원인을 아셨을지도 모르지만 지나가다 영상을 보고 혹시나 싶어 설명드립니다. 나무 내부에 옹이부분이 밀도가 강하고 송진이 몰려있어 그 부분이 톱날이 지날때 마찰과 열에 의해서 연소되는 과정이니 그냥 자려셔도 됩니다.

  • @hhk5995
    @hhk5995 4 місяці тому

    연기는 톱날문제인거 같은데요 목재톱날 맞았나요?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4 місяці тому

      네 목재톱날 그대로 한 번도 바꾸지 않았어요. 사실 알미늄 원형 톱으로 자르라고 하면 저는 아직 거기까지는 못하겠어요. 불꽃 튀는거 좀 두렵습니다 ^^; 감사합니다~

  • @남종tv
    @남종tv 8 місяців тому

    공구 사용하시는게 대단합니다. 쉽지 않은 공구들인데~!!! 영상 초반 컷터기 날을 반대로 끼우신게 아닌지? 연기나면 부하가 걸린다는 얘긴데~!! ^^;;;😢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7 місяців тому

      전문가 같으신데.. 제 작업하는 걸 보고 답답하셨겠어요 ^^;; 저는 관심은 많지만 많이 해보지는 못해서 하면서 깨우치고 있습니다 ^^ 전문가 분들의 여러 당부 잘 새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데데파
    @데데파 2 роки тому

    짐작하시겠지만 연기는 톱날과 나무의 마찰로 생기는 것입니다.
    톱날이 무뎌져서 절삭력이 떨어지거나, 나무가 너무 단단하여 잘 잘리지 않거나 해서 어느 지점에서 마찰시간이 길어지면 타는 것이죠.
    보통 탄다고 해서 별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구조적으로 문제가 생길만큼 나무가 숯이 되는 건 아니니까요.^^;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2 роки тому

      네.. 기계치가 처음 기계를 다루다보니 당황했었음요 ^^;
      친절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 @기쁜오늘-d3r
    @기쁜오늘-d3r Рік тому

    락카왜뿌리는거예요?

  • @남김선달
    @남김선달 4 місяці тому

    데크에 고정하는건 안하니만 못한겁니다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4 місяці тому

      저희 집 데크가 기초가 튼튼하고 두께도 두꺼운 방부목이라 어느 정도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yoopp4273
    @yoopp4273 Рік тому

    남자 혼자도 파고라 만들기 어려워요 공구에 투자를 좀 해야 결과물이 더 좋아 질 것 같아요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Рік тому

      아~~ 그렇군요 ^^ 다음에 또 하게 되면 실외지만 실내같은 공간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 @에픽하이-w6y
    @에픽하이-w6y Рік тому +1

    아니 저 얇은 데크바닥에 저 무거운 방부목을 피스박아 세우시다니 매우 불안정스러워 보입니다.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Рік тому +1

      저도 처음엔 걱정을 했으나 기초 아연각관을 촘촘히 잘 만들어 두셨더라고요.. 아직까지 무사히 잘 있습니다 ^^

  • @OctPSfever
    @OctPSfever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 실력으로 혼자 만들었다고요? 남자가 뒤에서 다 도와줬겠지..

  • @검은별-b3l
    @검은별-b3l 2 роки тому

    태풍에 좀 불안합니다

    •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시골아낙네와여섯개님  2 роки тому

      안 그래도 올 여름 태풍 바람에 지붕이 날아갔었는데... 산 옆이고 잣나무, 전나무가 우거져서 안 그래도 그늘이 오래 머무는 위치라 빛을 가리기는 싫고 그래서 투명한 지붕 자재를 선택하게 되었고 대신 피스를 여기저기 많이 박았어요.. 날아가면 또 올리거나 더 두꺼운 자재로 다시 한 번 도전해 봐야죠 뭐.. 관심 감사드려요~

  • @tkha8538
    @tkha8538 2 роки тому

    연기는 자재 절단면과 톱날의 마찰로 나무가 타면서 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