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이번 편도 좋은 내용이 가득하네요 ㅎㅎㅎ. 특히 '각자는 자기의 세계관에 비춰서 현상을 해석한다'는 말이 인상깊었습니다. 두터운 경영진의 퀄리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크로는 빠질 수 없다는 점도 좋았구요. 너굴맨님은 정말 버핏 전문가 같아요. 거의 했던 말을 줄줄 외우시는?ㅎㅎㅎㅎ. 이정도면 전도사? 아닌가욬 ㅋㅋㅋㅋㅋ
15:30 BEA에서 내는 섹터별 고용(employment by industry항목)을 보면 제조(manufacturing항목)는 작년 말부터 횡보중입니다. 서비스 분야가 증가하면서 고용을 받춰주고 있습니다. 전체고용이 강한 점에는 변화가 없지만, 이렇게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 점은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현재 상황에서 현금 보다 단기채권이 더 매력적인 이유는 금리가 상승하면서 채권의 수익률이 좋아져서 그런건가요? 채권을 사면 금리가 오를 때 채권가격이 하락해서 손실을 볼 수 도 있지 않나요?제가 채권에 대해 얕은지식만 가지고 있어서 정보간에 충돌이 일어나서 혼란스러워요… 왜 현재 단기채권이 단순현금 보유보다 매력적인지 설명 해주실 분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것 같아요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지만 이건 채권을 "팔 때" 입니다. 팔지 않고 보유하면 만기까지 약정이자율을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죠. 은행예금이랑 별다를 바 없습니다. 그래서 버핏은 현금 가지고 있을 바에 이자라도 받을 수 있는 채권을 보유한 거고, 만기가 길면 현금화가 어렵기도 하고 먼 미래에 경제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그중에서도 단기채권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
3부와 4부를 비롯한 홍진채 대표님의 수십 명의 거장에 대한 분석은 www.valley.town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요며칠 버핏 단기채
어쩌구 하길래 유투브 뒤져봤더니 이 영상이 제일 자세하네요 . 채권만 나오면 잘 이해가 안되지만 열공하겠습니다.
😊
이 시리즈 4편(아직 2편까지만 업로드하셨지만) 보고 또 보고하면 진짜 도움 많이 될거 같아요 홍진채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24년 9월입니다. 정확한 예측이었네요 소름..
감사합니다. 지금 올라온 동영상도 보러 갑니당ㅎㅎ
와 오랜만에 백투더 베이직으로 다시 돌아간 느낌, 지금 현 시장상황에서 아주 좋은 영상들인 것 같아요
어마어마한 내용을 공짜로 볼수 있다는거에 감사합니다🧡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mistermea7665 혼자많이보셈
왜 버핏의 회사인 버크셔가 단기국채를 사는지, 가치투자자인 버핏이 왜 인덱스지수 펀드를 추천하는지 이상했었는데 이제 이해가 가네요.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당
행복하네요 길 안내해주셨네요
그러고보니 찰리멍거였나? 언젠가 주총에서 금융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높은 것 같고 미국에 바람직하지 않다 라고 얘기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번편의 맥락에서 명쾌하게 설명이 되는군요...!
감사히 볼게요🎉🎉🎉❤❤❤
지난편보고 2편 기다리고 있었는데 드디어 올라왔군요
와! 내용 정말 좋타!
3부좀요!!
매크로를 봐야하는 이유를 가장 분명하게 깨닫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고!
이해하기 쉽게 참 설명 잘하십니다👍
모든 투자기법의 공통분모를 찾아 자신만의 투자방식을 형성하는게 중요하죠 투자가 무슨 1+1=2처럼 답이 나온고 생각한다면 투자하지마시길
진짜 최고입니다!!
이번 편도 좋은 내용이 가득하네요 ㅎㅎㅎ.
특히 '각자는 자기의 세계관에 비춰서 현상을 해석한다'는 말이 인상깊었습니다.
두터운 경영진의 퀄리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크로는 빠질 수 없다는 점도 좋았구요.
너굴맨님은 정말 버핏 전문가 같아요. 거의 했던 말을 줄줄 외우시는?ㅎㅎㅎㅎ.
이정도면 전도사? 아닌가욬 ㅋㅋㅋㅋㅋ
오늘은 정말 정말 듣기 편하네요. 어떻게 하신건지..
좋은 콘텐츠다
진채형 폼 미쳤다!!!!!!
15:30 BEA에서 내는 섹터별 고용(employment by industry항목)을 보면 제조(manufacturing항목)는 작년 말부터 횡보중입니다. 서비스 분야가 증가하면서 고용을 받춰주고 있습니다. 전체고용이 강한 점에는 변화가 없지만, 이렇게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 점은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감탄만하는중 3탄기다리기 힘듭니다 ㅜ
경기침체가 오는데 어떻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어떻게 경기침체가 발생하면고 스테그플레이션은 오일쇼크 즉 원자재 담합으로 생긴 것인데
현재 상황에서 현금 보다 단기채권이 더 매력적인 이유는 금리가 상승하면서 채권의 수익률이 좋아져서 그런건가요? 채권을 사면 금리가 오를 때 채권가격이 하락해서 손실을 볼 수 도 있지 않나요?제가 채권에 대해 얕은지식만 가지고 있어서 정보간에 충돌이 일어나서 혼란스러워요… 왜 현재 단기채권이 단순현금 보유보다 매력적인지 설명 해주실 분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것 같아요
단순히 단기 채권은 현금과 달리 약정 수익률을 보존해 주니까요. '단기' 채권이기에 채권 가격이 크게 하락 할 일도 없고, 기준금리 상승으로 하락한다고 하더라도 단기간인 약정 기간만 채우면 원금 및 약정 수익률이 보장되어 크게 손해보며 처분할 이유도 없지요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지만 이건 채권을 "팔 때" 입니다. 팔지 않고 보유하면 만기까지 약정이자율을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죠. 은행예금이랑 별다를 바 없습니다. 그래서 버핏은 현금 가지고 있을 바에 이자라도 받을 수 있는 채권을 보유한 거고, 만기가 길면 현금화가 어렵기도 하고 먼 미래에 경제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그중에서도 단기채권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
단기 채권은 이자를 주는 현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진미채 폼 미쳤다
2:00 열번중 두번이 아니라, 두번중 열번이요???
그만큼 맞추기 어렵다 를 농담식으로 한게 아닐까용
@@Rainapril02그런가요..ㅎㅎㅎ 여튼 전체적인 내용은 매우 좋네요
버핏이 현금이나 단기채권 보유안할때도 있었나요? 코로나때나 2021년에도 현금비중은 늘 어느정도 있었는데
진채향은 투자를 기가막히게 잘한다.
가르치는 것 또한 기가막히다.
고로 한국의 벤저민!
재밌게보고있어요~❤
캬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재미있네요
13학번 같은 과 나온 후배입니다. 선배님 존경합니다 >_< 스믹 출신입니다 저두 ㅋㅋㅋ
헝님 3부 출판부터...
목소리 너무 느끼하고 느렸엇는데 빨라져서 좋네요
바텀업으로 기업을 보되 탑다운도 참고하자
지린다..
10번중 2번 정도 틀립니다가 말이 맞지않나요?
다틀린다는 이야기인듯
화폐가 쓰레기가 되어야 경제가 성장되는 자본주의 본질적 구조이기 때문이지
우상향 = 화폐는 쓰레기 = 자산(한정된 가치)는 수요가 꾸준
방구석 현자 등장
우와 그렇군요 대박이네요
24:20 버핏이 국장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 주주환원을 안함
라쿤! 라쿤! 라쿤!
너굴맨 최고
역시 버핏옹은 클래식하다고 해야할까. 널리 알려진 얘기도 많고 어찌보면 당연한 얘기도 많아서 전반적으로 좀 졸린 투자입문서 같은 느낌이네요.
너구리가 말을 참 잘하는군요.
진채횽 유익한 강의 틀어놓고 딴짓하러 옴 2
근본 ...
s/p 하시라 = 브랜드 컴퓨터 사라
논리적
버핏은 경제학석사인데
마크로 안 볼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