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데없는 메모 3위 '많이 쓴 메모' 2위 '보고 쓴 메모' 1위는..." 25년 기록학 전문가가 말하는 메모 '제대로' 하는 법 | 김익한 교수 | 빅퀘스천 30회 ​⁠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958

  • @hihinaduri4606
    @hihinaduri4606 Рік тому +3913

    1. 일상을 기록하기 : 행위가 끝나면 바로 기록
    2. 구상 기록 : 업무시작 5분전 구상
    목표 -> 키위드 -> 성과까지
    3. 플래너 : 아침에 중요한 업무만 기록, 오전1개 오후 2개 정도
    계획 속의 자유가 있음
    4. 독서 기록 : 유투브 책 등 읽고 내 생각을 기록, 그때그때 적지말고 1단원 단위로 요약해서
    5. 기록을 통해 생각을하고 내 삶을 주관할 수 있다
    영상에서 말했듯 유툽 본 후 요약해보았어요! 실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덜렁이 탈출ㅠ

    • @tunacant9106
      @tunacant9106 Рік тому +90

      아 20분 아꼈다. 감사합니다

    • @ssoul9122
      @ssoul9122 Рік тому +19

      메모 감사합니다

    • @DSJ-dz2rt
      @DSJ-dz2rt Рік тому +14

      요약 정말 감사합니다

    • @therapyhouse6693
      @therapyhouse6693 Рік тому +8

      감사합니다 ❤❤❤

    • @hhyaz
      @hhyaz Рік тому +3

      우욱 벌써부터 토 나와요

  • @dongukkim839
    @dongukkim839 Рік тому +831

    내용을 기록하지 말고 내용을 본 나의 생각을 기록하라.

    • @김종민-e2k
      @김종민-e2k Рік тому +1

      a-

    • @seomelong
      @seomelong Рік тому +2

      오., 다른사람들은 그렇게 안했었구나

    • @christmassongs9457
      @christmassongs94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ㄹㅇ 그대로 적어야 하는 순간이 더 많음. 그래서 지문 기록과 자기 생각 기록을 합친게 교수님이 말씀하신 두쪽보고 책 안보고 기억나는 단어를 적고 단어들을 이어줄 생각을 첨부하는거라함

  • @고승현-p4i1n
    @고승현-p4i1n Рік тому +760

    요약
    1. 최대한 적게 쓰고, 나를 한번 거쳐서 나오도록 하라
    2. 하루를 시간 단위로 요약하라 (하루복습)
    3. 하루의 대략적으로 시뮬레이션하라
    4. 책을 읽고 자기화한 내용을 output 하는 습관을 들여라
    5. 어떤 업무나 공부를 하기전에 대략적 계획과 핵심성과 목표를 떠올려라

    • @한준희-t1u
      @한준희-t1u Рік тому +13

      요약이 중요하다는 영상을 읽고 바로 요약하는 실천을 하셨네요!

    • @cutegwackgyu
      @cutegwackgyu Рік тому

      기록. 2024 나의 키워드

  • @이상훈-i9p3o
    @이상훈-i9p3o Рік тому +1563

    1. 메모하기; 극단적 요약, 키워드 메모, 내 것으로 소화시켜 메모
    2. 하루 일기; 하루 1~2시간 마다 한 줄 정도 메모, 하루 일기 작성
    3. 플래너; 오전 2개, 오후 1개, 저녁 2개 할 일, 시간 단위로 나누면 안 하고 자책한다
    4. 일을 시작하기 5분 전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 생각, 1, 2, 3단계 나누어서 결과를 엮기
    5. 이것을 내가 왜 하는지, 왜 하고 싶은지 알기
    내 것으로 이해하고 각인하고 주관적으로 행동하기

    • @videoswildanimalsworld8237
      @videoswildanimalsworld8237 Рік тому +9

      개인적으로 1, 4, 5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함

    • @respicefinem6743
      @respicefinem6743 Рік тому +34

      이게 쓸데없는 메모아님?ㅋㅋㅋ

    • @cheesekiller
      @cheesekiller Рік тому +8

      에휴 쓸데없네 영상 똑바로 안봤꾸만

    • @신유준-e6h
      @신유준-e6h Рік тому +4

      감사합니다

    • @2g4vksiw5wgdu
      @2g4vksiw5wgdu Рік тому +20

      영상에서 속기사처럼 하지 말라는데. 요즘 회사에 이상한 빌런들이 많아져서 했던말 안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음. 녹음기까지 써야할 판인데. 저런 조언은 예전에나 가능하고 좋은 조언이지. 요즘같이 이상한 빌런들이 많아진 때에는 속기사 꼭 필요함. 녹음까지도.

  • @omong_mvt.workshop
    @omong_mvt.workshop Рік тому +499

    [메모의 3요소]
    1.키워드 중심
    2.자기화 필터링
    3.상황(독서,대화,시청) 종료 후.
    [기록의 종류]
    1.일상기록
    2.구상기록
    3.지식기록
    [구상기록의 3요소]
    1.목적
    2.핵심성공요소(CSF)
    3.단계화

    • @kfreethinker
      @kfreethinker Рік тому

      /8"₩6=;÷
      -ㅏㅏ

    • @라랄라-i1q
      @라랄라-i1q Рік тому +4

      정리 👍

    • @moothing2
      @moothing2 Рік тому

      근데 저는 구상기록의 목적을 생각 하는거랑 핵심성공요소를 생각하는 거랑 약간 비슷한 것 같아요

    • @코코팜-z2b
      @코코팜-z2b 16 днів тому

      메모 주의 3가지 (영상보고 메모연습)
      1.극단적 요약 - 핵심만
      2.내용을 자기화해서 메모
      3.나중에기억x 지금 내머리에 각인o
      메모 기록
      1.일상기록 - 했던일 간략정리
      (지나갔던 시간을 현재와 가깝게 느낄 수 있음)
      2.플래너 - 계획실행전 구체적으로 과정 결과값 메모
      (하루 오전오후 나누어 중요한일 2-3개 정해서 플래너 작성하기)
      tip 책을읽고 단원마다 이해,생각하고 생각이음을 해봐야한다 (내생각이 중요)

  • @연수당-s6x
    @연수당-s6x Рік тому +382

    기록을 무언가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했던 사람인데, 메모를 내 생각을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하라는 말이 인상적이었어요. 나이가 들면서 왜 나는 계획을 못세우지, 생각이 깊지 읺지를 많이 고민해왔는데 교수님이 제안한 생각기록, 구상 기록을 실천해서 주관적이고 지적으로 확장되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보겠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해요😊

  • @seungukj
    @seungukj Рік тому +25

    역으로 '잊기 위해' 세세하게 기록하는 것도 테크닉이라고 생각해요. 포인트만 기억하고, 그 포인트를 에워싸는 디테일을 '외장하드'에 넣고, 머리 속엔 그 '외장하드'의 검색 키워드만 넣으면서 때때로 되찾는 식으로요.

  • @Saka0338
    @Saka0338 Рік тому +183

    1. 핵심 키워드+흐름+ 짧게요약하기
    2.특정한 주요시간대에 내가 행동한 이벤트 기록하기 + 시간의 흐름을 몸으로 느끼기
    3. 내가 수행할 단순한 목표를 3-4개씩 써주기

    • @happyhappyday64
      @happyhappyday64 Рік тому +14

      극단적 요약 지렸다

    • @benedictus5905
      @benedictus5905 Рік тому +14

      이 컨텐츠를 그대로 적용한 요약이네요. 다른 분 요약보다 훨씬 눈에 잘 들어옵니다.

    • @cirius.v_v
      @cirius.v_v Рік тому +1

      ㅇㄱㄹㅇ..

    • @이경돈-v4u
      @이경돈-v4u Рік тому

      이걸보니 이해가 확와닫네..

  • @다독거림
    @다독거림 Рік тому +53

    이 강의가 어떤 가치를 갖고있는지 아는 사람이 더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봉샘-n8w
    @봉샘-n8w Рік тому +182

    - 메모법 -
    1. 극단적인 요약(50쪽 정도 되는 한 개의 장을 다 읽고 메모)
    2. 자기화(내 속에 들어온 후 인출)
    3. 지금을 기억하고 각인한다는 생각으로 메모(열심히 보고 듣고 그 후 기록)
    - 구상기록(무언가를 하기 5분 전 하려는 것을 미리 기록, 하루의 플랜을 크게 5가지 정도 미리 적기)
    - 지식기록(생각의 이음, 웬만하면 다시 보지 말고 생각해내서 기록)
    감사합니다^^

  • @nandayogorega4219
    @nandayogorega4219 Рік тому +287

    제 경험상 메모가 효과적이였던건 둘 다 쓰는거였습니다.
    요약을 먼저 한 문단을 적고
    나중에 생각이 안날것을 대비해서 긴 문장으로 부가설명을 써놓은게 확실히 도움이 많이 됬습니다.
    기억이 나는건 그냥 쉽게 넘어가지만 까먹은건 요약으로 기억이 안나거든요. 그럴땐 긴 설명문을 한번 읽으면 다시 기억이 돌아오더라고요.

    • @밤-w9o
      @밤-w9o Рік тому +14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게 중요. 극단적 요약을 하기위해 훈련도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지적능력의 정도에 따라 안맞을 수도 있다고 생각함

    • @야수-g3t
      @야수-g3t Рік тому +1

      근데 저 방법도 시간투자가 많이 되야 됨 시간이 넉넉하면 다써도 무방함

  • @newbie2898
    @newbie2898 Рік тому +69

    운동, 식단, 기록 이 3가지만 실생활에 적용시켜도 내외적으로 많은 발전이 있을 것 같은데 어렵네요
    좋은 강의 잘 듣고 가요

    • @mykoomi-h3t
      @mykoomi-h3t 10 місяців тому

      오 굿 아이디어네요

  • @clairecord83
    @clairecord83 Рік тому +13

    1. 극단적으로 요약하기(행위가 끝나면 바로 기록)
    2. 나를 거쳐서 나오게 이해하기(자기화)
    3. 일상 기록(하루 한시간 단위로 기록하기)
    4. 독서 기록(유튜브, 책 읽고 바로 하지 말고 1단원 단위로 요약하기)
    5. 생각기록(책을 읽고 자기화해서 아웃풋하기)
    5. 업무나 공부를 하기 전에 체계적인 목표 설정 하기 핵심적인 내용 찾기

  • @ooodol
    @ooodol Рік тому +22

    이런 명강의를 무료로 들을수 있어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메모/기록의 역할,의미,방법 모두를 시원하게 알려주셨네요.
    내일부터 실천하겠습니다.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 @bori12370
    @bori12370 Рік тому +11

    메모광인데 정말 좋은 인사이트네요 어느정도 잘 해내고있던 부분도 있어 뿌듯하기도 하고 피드백할 부분도 있네요!
    확실히 기록을 잘하는 법을 체득하면서 메타인지를 더 잘하게 되었고 더 나은 성취를 해낼 수 있구나 자기효용감도 항상 느끼고있는 것 같아요 ㅎㅎ

  • @딱지-k1w
    @딱지-k1w Рік тому +45

    1:20 메모기록중요한것 1,2,3 적게쓰고, 내재화한 것을 쓰고, 기억하기 위한 메모가 아님
    5:30 3줄 요약/메모의 목적
    11:45 일을 시작하기 전에 쓰는 메모(구상기록)
    16:50 지식기록 지속적인 자기생각

  • @illumina2883
    @illumina2883 Рік тому +13

    어쩐지 메모한건 정말 많은데 장기기억으로 넘어가는건 너무 없어서 메모를 해도 소용이 없나 느낀적이 종종 있는데 이런 이유였단걸 깨닫게 되네요 극단적으로 요약하고 자기화해서 메모에만 오롯이 집중해서 기록하는게 효과적이라는거 꼭 기억하겠습니다

  • @hymnforyou5625
    @hymnforyou5625 Рік тому +53

    1. 강의, 회의 등 종료 후 극단적인 요약
    2. 먼저 자기화
    3. 각인되는 것 느끼기
    1. 일상기록 : 1~2시간마다 요약, 자기전 돌려보기
    2. 구상기록 : 큰 시간단위 핵심할일 1~2개, 목적, 단계별 시뮬레이션
    3. 지식기록 : 목적, 생각의 이음, 자기생각 독서카드
    1. 인생이 현재화
    2. 전략적 사람
    3. 자기 주관적 사람

    • @mykoomi-h3t
      @mykoomi-h3t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g0og0o._.
    @g0og0o._. Рік тому +146

    역시 기록학자이신만큼 영상 내용이 군더더기 없이 핵심을 짚어주시네요.
    메모를 평소에 아주 많이하지만 효과적으로 하진 않는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영상이 큰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jeju7
      @jeju7 Рік тому

      ㅛㅛ
      😅

      7
      ㅗ.8ㅗ 8

  • @leegyuhyun
    @leegyuhyun Рік тому +93

    매번 속기사처럼 쓰면서 메모에 집착했는데, 핵심을 파악하며 극단적 요약이란 부분에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jihun100
    @jihun100 Рік тому +12

    04:35 현실과 많이 맞지 않은 내용이 조금 있는데, 가장 공감 되지 않는게, 대부분 회의록을 쓰는 이유가 갑을간의 미팅에서 추후의 다툼을 정리시키는데 사용하는것입니다. 이해하고 중요한 내용만 썼다간 을회사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

  • @jy-1907
    @jy-1907 Рік тому +53

    2010년부터 현재까지 딱 5일 제외 하고 매일 일기를 손으로 직접 쓰고있는데요 08:17 에 말씀하시는 내용이 정말 너무나 잘 이해가 가네요. 자기전에 일기쓸때마다 하루를 돌아보면 정말 하루가 빨리감기처럼 쫙 보여요. 일상이 현재와 딱 붙어있는 느낌도 어떤 말씀이신지 공감이 잘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ong2rang
    @dong2rang Рік тому +4

    나중에 보려고 메모를 하지만 결국 그렇게 다시 적으면서 각인되는 효과도 있어서 메모 안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 기억되더라고요.
    그리고 일기를 감상만 적는게 아니라 일상기록처럼 적는 것으로 부담을 줄였는데 그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최윤-w4o
    @최윤-w4o Рік тому +7

    재밌어요 이런 생각은 해본적이 없네요

  • @100tong
    @100tong Рік тому +101

    메시아적 시간관이라는 개념은 흥미롭네요.
    압축된 시간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잘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부분이 예전에 제가 봤던 유튜브 영상에서, 아주대 김경일 교수가 설명한 심리학 용어인 메타인지와도 닿아 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내 안에 인식된 것을 다시 인출해서 기록한다는 부분은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갈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작용하고 있는 부분도, 이전에 어디선가 봤던 내용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네요.

  • @무으님
    @무으님 Рік тому +1

    조그만한 메모장에 일상기록을 적는것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매일 매 순간 적지않고 그냥 생각날때 쭉 하루 일과를 공간단위로 적어보니 그 공간에서의 느낌과 경험이 점점 생생해집니다. 기억에 힘이 생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송미송-p1s
    @미송미송-p1s Рік тому +7

    나중에 다시보기 위해 기록하지 말고
    지금을 기억하기 위해서 기록하자
    감사합니다

  • @김현주-p9f6n
    @김현주-p9f6n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 님 영상 보고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기록의 중요성은 알고 있었지만 실천하지 못한 1인 입니다.
    진작 왜 실천하지 못했을까요? 이제야 마음에 와 닿았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당장 실천해보려 합니다. 제 인생의 변화와 생각의 힘을 길러보겠습니다. 구독해서 다른 영상을 통해 저라는 사람을 탄탄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kek8956
    @ekek8956 Рік тому +3

    항상 공부 하기 전에 구상기록 처럼 플랜을 짠다 그게 아주 좋은 습관이라는 것을 오늘 인정 받은 느낌이다 요즘에는 플랜을 안 짜면 공부를 시작하지 못한다 다른 친구들은 이해를 못하지만 나는 나만의 플랜을 세우고 해내면서 공부에도 재미와 성취를 느끼면서 오래 공부 할 수 있게되는 것 같다 내가 항상 내 삶을 주도하는 느낌의 원천이 이런 플랜인 것 같다 되도록 매일 일기를 쓰려고 노력한다 오늘 하루를 정리하는게 너무 즐겁고 뿌듯하다

  • @yj3621
    @yj3621 Рік тому +5

    메모는 생각정리다. 보고 배운 것에 대한 나만의 생각을 기록하고 축적하면 성장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메모는 기록하는 형태에 따라 기능을 달리 활용할 수 있다. 일상 메모를 하면 과거를 돌아볼 수 있고, 미래를 생각하는 구상 메모를 하면 전략를 세울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메모를 통해서 내가 하고자 하는 것들을 정리하고 인지하는 것이다!

  • @lieo9044
    @lieo9044 Рік тому +3

    기록을 통해서 업무에 대한 것 뿐 만아니라 내 삶에 대한 성찰 및 계획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한달 기록하고 복기해보고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unmilim1444
    @eunmilim1444 Рік тому +1

    이 강의를 본 오늘 이후로 제 다이어리는 달라질 것 입니다. 진짜 노력해볼게요. 흘러가는 허무한 일과가 제 자신에게 만큼은 특별해질 수 있도록.

  • @숯기없는숭끼
    @숯기없는숭끼 Рік тому +24

    기존에 메모하던 습관보다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메모법을 쓰는 게 더 효율적으로 보이네요. 이 영상을 지금이라도 봐서 참 다행입니다 ^^ ;;

  • @wolsegye
    @wolsegye Рік тому +21

    1. 길게 메모x, 극단적인 수준으로 짧게 하기
    2. 자기 안으로 들어갔다 나와야 함. 인식(내 방식 이해/자기화) 후 생각을 노트하기
    3. [독서 노트] 한개의 챕터를 한번에 읽고 그 다음에 메모하기 (2번의 방법으로)
    [일상 기록]
    "한 줄"로 "일지"처럼 쓰기 -> 일상기록을 수시로 쓰는 사람 -> 하루 일과(자신의 일상을 영화 보듯 2분에서 5분 동안 생각함)를 주르륵 보고 마지막에 일기를 쓸 것 ->
    나의 지나간 여러 감각, 노하우, 읽은 책 등등...이 소모되고 날아가는데 일상 기록을 쓰고 보면서 되뇌어 주면 과거가 현재에 착부는 느낌으로 살 수 있음
    "지적으로 풍요, 생각이 깊어지는 사람" -> 이점: 수행성 (나 자신을 나로 느끼면서 살 수 있음)
    이제까지 해왔던 걸 선명히 기억해서 뭘 좋아하는지 바라는 게 뭔지
    자신을 바라보는 눈이 좋아짐
    [생각 기록], [구상 기록]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플래너 쓰기
    촘촘하게 세운 계획x
    [계획 기록]을 쓸 땐 크게 크게
    "오늘 하루를 보내는데 제일 중요하고 멋지게 하고 싶은 것" -> 오전 1개, 오후 1개, 밤(중요) 1-2개 / 하루 5가지
    자기가 생각한 것을 시간을 미래로 가서 시뮬레이션 할 것 => 생각 능력이 발전된다.
    "계획 안에 자유있다."
    계획이 있는 사람은 마음 속에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
    내 삶을 주관하는 사람
    일 시작 전에 노트를 피고 "목적"을 상기할 것
    단계를 나눈 다음에 아웃풋... 삶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을 왜 보지? 그 저자의 이야기에 대해 내 생각은 뭔지 생각할 것.
    "생각"
    생각의 이음. -> 노트를 펴서 자기가 이해한 내용을 머릿속으로 상기하면서 (다시 돌아가거나 보거나 하지 않기 / 기억 안나면 살짝 보는 것 정도만 허용) -> 생각의 이음이 완성되면 노트를 펴고 "핵심 키워드" 위주로 메모
    독서 카드에 자기 생각을 써보기.
    액기스를 다시 자기 생각을 버무리고 정리해서 '기록'화 하기. -> 지식적으로 유용한 사람이 될 수 있음
    "기록형 인간" = "전략형 인간"
    우리 인생을 주관하고 누적적으로 살아갈 수 있음.

  • @OO-ey8sc
    @OO-ey8sc Рік тому +54

    오 저도 대학와서 노트정리할때 진짜 극단적으로 최종정리노트를 만드는데 거의 100페이지 분량당 한장으로 요약하는데 정말 좋더라구요 그렇게 요약하는과정에서 어떻게하면 더짧게 적을수있을까 생각하면서 더 기억에 잘남고 이후 노트를 볼때도 핵심키워드 하나를 보면 그 줄거리가 줄줄 나오게 되서 암기의 시발점이 되는 단어수도 적어서 금방 외우는거같아요 대신 시간은좀 걸리지만..

  • @한여름밤의꿈-r8j
    @한여름밤의꿈-r8j Рік тому +2

    기록이 나중에보기 위함이아니라 내머릿속에 각인시키기 위함이다 생각의 생각의 이음으로 책을 읽고 영상을 보아 내속에서 소화된 것을 정제해 딱 한줄로 요약해 보아라
    중간에 일상 기록이나 계획하기?등은 생각조차 잘안난다 이좋은 강의도 그냥 흘여들으면 아무것도 남지 읺는구나. 나이것도 들어봤어 생각도 안나 이해도 안돼 그러니 실천하는것조차 안돼 백날 이런 강의들어도 변화 되지 않았구나 . 더치열하게 집중해서 들어야겠다 생각하며 듣기 기억에 남게 임팩트있게 정제해 기록하기!! 해봐야겠다 감사합니다

  • @seki7245
    @seki7245 Рік тому +5

    가르치심대로 실천하면 지금보다
    생산성높고 자기주도성도 높아지고
    무엇보다 자존감도 보다 좋아질거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알림설정하고 아침부터 꼭 기록을 실천하겠습니다. 유익한 교육 감사합니다.^^

  • @bokreykim2348
    @bokreykim2348 Місяць тому

    인생에 늘 고민이었던것들이 메모였다는걸 알았네요.발전하고싶고,생각이 깊어지고 싶고,나름 있는자리에서 인정받고자 한 부분들을 놓치고 있었다는 생각이들어요.
    좌절감이 느껴질때마다 방법을 알려주시는 교수님덕분에 저는 든든한빽이 생긴거같아 이제는 걱정을 덥니다.덕분에 감사합니다.

  • @룰루랄라발랄
    @룰루랄라발랄 Рік тому +3

    유투브 영상인데도 불구하고 몰입도가 너무 좋아서 카페에서 음료먹고 있는내내 엄청 집중해서 봤네요👍🏻너무 유익하고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yopyop61304
    @yopyop61304 Рік тому +1

    1.일상기록. 흘리지 않고 수행한 일 각인. 메시아적 시간관. 메타인지.
    2. 구상기록. 미래를 시뮬레이션. 5가지 이내 플랜. 계획 안의 자유. 삶을 주관. 목적에 따른 전략
    3. 지식기록. 내 지식으로 각인+내 생각의 이음. 독서카드.
    기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처음으로 배워서 속시원해요. 플래너나 기록에 대한 의무감만 있었지 한번도 제대로 못 해봤는데 이제 할 수 있을것 같아요

  • @krdorkjfi
    @krdorkjfi Рік тому +682

    저는 게을러서 수업시간에 집중해서 듣고 극단적으로 요약해서 메모했습니다. 열쇠만 남겨놓고 나름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사용했어요. 모든 학기 4.5학점 받은 방법입니다.

    • @리오네메시
      @리오네메시 Рік тому +58

      게으르면 요약도 못하죠 ㅋㅋ

    • @후레시박
      @후레시박 Рік тому +74

      집중력이 어마어마했네요 👍

    • @user-em7ft2ec9u
      @user-em7ft2ec9u Рік тому +150

      그런데 왜 교수님은 핵심을 벗어난 찌끄레기들만 모아서 시험을 내시냐구요.....

    • @bronjang581
      @bronjang581 Рік тому +12

      ​@@user-em7ft2ec9u점수 안줄라고 ㅋㅋ 다 에이 못주니까 아니면 조교형이 낼 수도...

    • @묭묭myong
      @묭묭myong Рік тому +17

      그냥 똑똑하신거잖아요,,,,,,,,

  • @junhyunpark2585
    @junhyunpark2585 Рік тому +1

    정말 좋은글 감사합니다, 누적되는 삶이 없는 느낌이였는데 깨달음이 찾아왔어요

  • @세연정-g6v
    @세연정-g6v Рік тому +4

    1. 메모는 아주 짧게 키워드 중심으로(나중에 보기 위한 용이 아닌 기억하는 용이라고 생각하기)
    2. 하루의 마지막엔 일상 기록(시간 단위로 짧게 하루를 복기)
    3. 하루의 시작엔 4-5가지 목표 세우기(아침 2개 오후 1개 저녁 2개 정도로)
    4. 무엇이든 시작 전 간단한 구상하기(프로세스 단위)
    5. 책 읽을땐 내용에 빠지지 말고 일부 읽고 요약하고 하는 과정을 거치기

  • @mryang3185
    @mryang3185 Рік тому +2

    기록에 대해서 막연한 생각과 두려움이 있었는데 교수님 강의 듣고 기록에 대한 개념이 체계화되고 기록을 하고싶은 실천욕구가 커졌습니다. 멋진 말씀 감사합니다.

  • @캘리앤통기타
    @캘리앤통기타 Рік тому +3

    기록이 이렇게 큰힘이 있는줄 몰랐습니다. 그저 사실만 기록하고 계획만 기록하며 많이 쓰는게 좋다고 생각했는데 너무 잘못하고 있었네요. 강의해주신 대로 천천히 실천해볼게요~ 기록형 인간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좋은 강이 감사합니다~~❤❤❤

  • @체체-p5f
    @체체-p5f 4 дні тому

    메모중독자로서 잘 듣고 공감하고 갑니다. 메모 의지하다보니 기억력 너무 떨어졌어요
    메모를 위한 메모가 아니라 기억(전두엽각인)을 위한 메모!

  • @yourly8666
    @yourly8666 Рік тому +165

    전반적으로 지당하신 말씀인데
    중간에 훅 지나가는 너무 위험한 내용이 있어서요.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회의록은 내용이 많은 속기로 누가 어떤 이야기를 했는가 전부 적어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로 합의했다고 생각하는 내용이 다 다른채로 회의가 끝나고 돌아가기 때문에,
    회의록 적는 한 사람이 주관적으로 회의를 해석해서 남기게 되면 나중에 재검토가 필요해서 다시 봤을 때 아무런 도움이 안될 수 있어요.
    누가 어떤 구체적인 이야기를 했는가 안했는가, 그것에 대한 그 날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은 어떠했는가 가 남아야 합니다....

    • @calientakabezas
      @calientakabezas Рік тому +9

      와... 이거 정말 중요하네요 업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말씀하신 경우가 대부분일 것 같습니다

    • @yhycho6865
      @yhycho6865 Рік тому +12

      회의록과 별개로 기지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매우 중요한 회의는 토시하나 안 틀리게 설사 구어체이기 때문에 문서로 남기기 어려운 감정과 제스쳐까지 적는 것이 기지록인데 중요한 회의라면 기지록을 쓰는 것 도 방법입니다. 회의록은 간략 명료하게 하되 서로 오해없는 합의도 포힘되어야합니다.

    • @a2036555
      @a2036555 Рік тому +2

      그렇게 중요한건 회사 막내한테 안 맡기지 않나요?

    • @추츄-t9d
      @추츄-t9d Рік тому +7

      그런건 녹취를 하는게~좋습니다

    • @swl7997
      @swl7997 Рік тому +5

      그건 회의록이라고 해서 회의내용의 공식 기록본이고 영상에서 말하는건 회의 참가자 개개인이 사적으로 하는 메모를 말하는거예요
      ....설마 회의록 담당자 아닐때는 회의내용 메모 안하시는건 아니죠? 모든업무에서 메모는 필수입니다

  • @geumsoonkim1350
    @geumsoonkim1350 Рік тому +1

    많이 배우고 갑니다 행복한 시간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 @Spacebioaging
    @Spacebioaging Рік тому +5

    평소에 이런 저런 매체들을 다수 시청하면서 막상 정리하지 못해 흘려보내는 생각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자기화 기록법을 실천해봐야겠습니다.

  • @fire_on_earth
    @fire_on_earth Рік тому +2

    머리속 헤이해진다싶을때마다 김익한 교수님 영상 돌려봅니다!!!

  • @irene-lx5qi
    @irene-lx5qi Рік тому +3

    저는 학생때부터 해년마다 수첩을 사서 스케줄이나 중요내용을 메모했는데 지금도 늘 모든 계획과 실천을 기록하고 수정하고 아이디어를 적고.. ㅎㅎ 머릿속에 제가 단기 장기..시간순서대로 어떻게 진행해가야하는지 정리가되어 있어요 저는 핸드폰의 노트기능과 달력, 알람기능을 필수로 이용하고있습니다. 피곤하게 산다고 할지모르는데 저는 안정감을 느끼고 성장하는걸 느낀답니다.
    근데 이런 성향은 타고나는것 같아요 제 가족들은 공감하지 않거든요 참고로 intj입니다.

  • @개딱따구리
    @개딱따구리 Рік тому

    이 영상을 만들어주신 모든분들과 영상에 나온 선생님께 감사의말씀을드립니다.
    너무 좋은내용 감사히 잘 봤습니다.

  • @xero0130
    @xero0130 Рік тому +25

    저도 매번 공부하며 모든 내용을 기록하려고 힘썼던 것 같습니다.
    이 강의를 보고 앞으로는 요약 기록하며 생각하는 힘을 길러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재우-z8x
    @김재우-z8x Рік тому

    메모라고 하면 잊지 않기 위해 잘 기록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잘 이해해서 내 것으로 소화한 다음에 메모를 해야 소중한 의미있는 메모가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God_dead8
    @God_dead8 6 місяців тому +131

    저는 어마어마한 계획적인 인간입니다. 하지만 직장 생활 하면서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무계획형들인 상사분들 덕분에요.. 직장을 다니고 계획을 짜도 단 한번도 계획이 이루어진적이 없습니다.. 직장의 모든 분들이 아무 계획이 없다가 갑자기 즉각적으로 이거 하자! 이러고 있고, 계획들이 완전, 하루가 완전히 산산조각 나는 일들을 여러번 경험해 보면, 더이상 기록을 안하게 됩니다. 지금의 저는 이런 것들이 다 부질 없어 보입니다...

    • @Lil-y9j
      @Lil-y9j Місяць тому +31

      계획형 인간이라기 보다는 통제욕구가 높은 분이네요 유연성을 좀 키워보세요

    • @God_dead8
      @God_dead8 Місяць тому +14

      @Lil-y9j 즉흥적인게 유연성이 있는건 아니지 않나? 친구끼리 놀러 가는 것도 아니고, 직장에서 모든 일을 즉흥적으로 하는 문제에 대해 말하는 건데.. 유연성..? 혹시 직장에서 일하는데 갑자기 즉흥적으로 휴가 쓰고 회사 알아서 하라거나, 즉흥적으로 일 떠넘기고 하는 사람인가요? 그건 유연성이 아니라 미×놈이라 부른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민폐 끼치면서 살지 마세요.. 주변 분들이 불쌍하네요..

    • @YoonseongChoi
      @YoonseongChoi Місяць тому +28

      ⁠​⁠​⁠@@Lil-y9j 통제-유연, 계획-무계획
      위 개념들은 각각 대조되는 개념이 있고,
      언뜻보면 개념 간 유사성이 있어보이긴 하지만.... 계획형 인간이라고해서 무조건 통제성향이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통제성은 첫 계획 그대로 반드시 실행시켜야만 납하는 성향이고
      유연성은 기존 계획에서 변수가 생겨도 변수를 적절히 반영해서 계획을 수정하는 성향을 의미하니, 이 둘은 결국 계획이 있다는 전제 하에 나뉘는 것이거든요....
      무계획은 정말 아무 계획도 상태를 말하는거고
      주춧돌 삼을 기본적인 목표조차 없으니
      변수가 없어도 정말 자기 마음따라 아무렇게나 판을 뒤엎는게 가능하죠
      즉 유연성은 최소한 기본적인 계획이 잡혀있다는 전제 하에서나 발휘할 수 있는 것인데....
      원댓글작성자분이 처한 상황상
      아무리 유연성을 길러봤자 상사분들 기분에 따라 모든게 뒤엎어질게 뻔하니 유연-통제를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듯합니다
      많이 괴로우시겠어요ㅠ 힘내십쇼

    • @gossipgirl6388
      @gossipgirl6388 Місяць тому +4

      너어무 공감. 계획해놓은거 하려면 자꾸 다른업무 , 당일 보고, 퇴근전까지 오더 들어오는 순간.. ㅂㄷㅂㄷ

    • @PYoon-ct3vf
      @PYoon-ct3vf Місяць тому +6

      당해본 사람만 알지^^ 진짜 너무 공감합니다 한두번도 아니고.... 계속 반복되면 포기하게 돼요

  • @zuzu100
    @zuzu100 Рік тому +1

    속이 편안... 감사합니다!옳은 말씀 😊

  • @rosaria5185
    @rosaria5185 Рік тому +27

    이제까지 전 다 잘못하고 있었네요~ 일단 지금부터 일상기록시작하고, 낼 플랜짜기 전에 시뮬레이션 돌리고 책보고 노트도 메모를 잘 해야겠습니다.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haeyu-n4t
    @haeyu-n4t Рік тому +1

    맞는말이라서 더욱 와닿는것 같아요. 하루하루를 헛되지 않게 열심히 공부하고 운동하며 살아가겠습니다!

  •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 Рік тому +21

    내인생이 당신덕분에 바뀐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역시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구요. 제 아들놈도 그렇게 키웠는데 교수님께서 얘기해줘서 너무 감사할 뿐 입니다. 더욱 연구하시어 이 나라에 어린 아이들 도와주세요.
    특히 노트 정리법등. 노하우 개방하시고 때론 과학적으로 응용하시고 한국의 아이들 똑똑하게 만들어 주세요.ㅜ

    • @불편한진실-o5w
      @불편한진실-o5w Рік тому +2

      ㅋㅋㅋㅋㅋ 이 댓글보고 존나 쓸모없었음을 깨닫게 됨

  • @user960-n2l
    @user960-n2l 24 дні тому

    1. 극단적 요약하기 2.내 안에 들어온것을 기록 3.키워드 메모 4.행위 후 기록(시간,내용) 5.구상기록 목적기록해보기 6.저자에 대한 생각

  • @오즈몬
    @오즈몬 Рік тому +18

    김익한 교수님 얘기듣고 제가 제대로 메모를 하지 않았단 생각이 드네요~ 거인의 노트 꼭 사서 제대로 읽고 실행 해보려 합니다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 @0-0a.
    @0-0a. 11 днів тому

    오 감사해요 이 영상을 보니까 제 글쓰기 단계를 한단계씩 더 업그레이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CounterFire_
    @CounterFire_ Рік тому +11

    D.P 대대장님 보직해임 당하시더니 그사이 기록학 전공 교수님 되셨다니 폼 미쳤따.

  • @고민지-g7j
    @고민지-g7j Рік тому +2

    진짜 잘 보고 갑니다 최근에 본 영상 중에 제일 유익하네요

  • @브레인빛
    @브레인빛 Рік тому +17

    핵심을 빼서 메모해서 내꺼화 하는것도 능력이죠. 보통 사람 들은 어렵습니다.

  • @xhxh009
    @xhxh009 Рік тому +1

    점점 내 안에 쌓이지 않고 발전이 없는 하루가 자속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는대 한번 시도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Jowondy
    @Jowondy Рік тому +9

    당장 이 영상부터 화두로 알려주신 세 가지 기록이 가능해지네요. 뇌와 삶이 탄탄해질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ddanguri
    @ddanguri Рік тому +2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기록적삶, 주도적삶, 전략적삶을 사는 인간이 되겠습니다!😊

  • @뀨-r2v4k
    @뀨-r2v4k Рік тому +341

    요약해서 메모가 얼마나 효과가 있냐면
    전공 교수님이 a4 한장에 시험 때 볼 컨닝 페이퍼를 만들어 오라고 하셔서 깨알 글씨로 최대한 요약을 해서 전날 밤을 새워가며 a4에 컨닝 페이퍼를 빼곡하게 채웠음
    그랬더니 다음날 시험 시간에 모든 내용이 다 생각이 나서 컨닝 페이퍼를 볼 필요도 없었음

    • @lilililililili-c2l
      @lilililililili-c2l Рік тому +96

      ㅋㅋㅋㅋㅋ 이게 ㄹㅇ임 커닝페이퍼 만들라고 나만 알아볼 수 있게 극한으로 핵심 키워드랑 요약해서 적다가 다 외워짐

    • @뀨-r2v4k
      @뀨-r2v4k Рік тому

      @@lilililililili-c2l 교수님이 학생들한테 꼼수 허용해주는듯 하면서 실제로는 강제로 애들 공부시키는 꼼수

    • @아무개-r4c
      @아무개-r4c Рік тому +20

      그거시 컨닝페이퍼 공부법

    • @domisol2023
      @domisol2023 Рік тому +6

      나도 그런 경험 있어요 ㆍ 이름하야 컨닝페이퍼 공부
      ㆍ법이네요

    • @운운-c3i
      @운운-c3i Рік тому +1

      와 저도 그런 경험이 있었네요 신기

  • @조이-d7r
    @조이-d7r Рік тому +1

    뭘 보시고 말씀 하시는 건가요? 생각이 체계적으로 정리 돼있으셔서 그런지 정말 물 흐르듯이 말씀하시네요

  • @없음알수-b1h
    @없음알수-b1h Рік тому +5

    삶을 주도적으로 바꾸는 계획&방법
    1. 오전마다 계획하기 : 오전 2개/ 오후 1개 / 밤 2개 정도의 할 일
    2. 생각 날 때마다 현재 무엇을 했는지 간략하게 메모(시간 포함)
    3. 자기 전에 일기 쓰면서 하루 종일 메모한걸 보기
    ->> 계속 생각하게 된다. 나 뭐했더라? 이거 했지. 이런 생각이 들었지. 하고 생각하고 돌아보는게 습관이 된다 + 계획적인 하루하루를 통해 삶을 전략적으로 나에게 집중할 수 있게 됨
    +지식을 잊지 않는 메모법
    나의 생각과 함께 메모하기 ex) 항상 ~가 궁금했는데 찾아보니 어디에서 이런 얘기를 하더라. 그럼 ~~(또 다른 궁금증이나 이에 대한 감상)!

  • @kmdpjmw
    @kmdpjmw Рік тому +1

    저도 메모하는 걸 좋아하는데요 저는 속에있는 제 마음속이야기를 글로 씁니다. 엄마가 하시는 말씀이 너는 무슨 글을 쓰길래 술술 긴 장문을 잘 쓰냐고 저는 글로 제마음을 표현해요.어둠과 기쁨 그러면 기분이 좋아요. 그런데 사람들에게 말 하기싫은 이야기 그리고 단어들 노트에 적으면 마음이 편해집니다. 메모는 정말 좋아요..

  • @oms649
    @oms649 Рік тому +3

    와 진짜 유익하다……..감사합니다

  • @zelomy123
    @zelomy123 Рік тому

    이런 좋은 강의 들을 수 있어서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체적이고 주관이 있는 삶! 지금의 저에게 정말 필요한 내용이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큐큐-f9e
    @큐큐-f9e Рік тому +35

    반은 맞고 반은 틀림.
    일상의 내용은 단순화된 메모가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전문적 분야에서의 기록은 전문용어나 복잡한 프로세스로 진행되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가능한한 당시의 정확한 워딩으로 메모해놔야 다음 동일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일처리가 쉬워집니다.

    • @hjn1503
      @hjn1503 Рік тому +3

      이거죠. 케바케죠 ㅋㅋㅋ

  • @김해리-l7c
    @김해리-l7c 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가 너무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이 예시와 설명이 쏙쏙 귀에 꽂혀요....교수님을 뵈니 저도 한번 해보고 싶네요

  • @rnlcksgrpgkspWmt
    @rnlcksgrpgkspWmt 20 днів тому

    17:13 이런 지식콘텐츠 영상을 보면서 기록하지 않았더니 지식이 휘발되는 것 같아 메모를 하면서 보고 있었는데, 교수님께서 딱 메모를 남기는 게 좋다고 말씀하셔서 조금 뿌듯하네요ㅋㅋㅋ

  • @blackheadcat
    @blackheadcat Рік тому +6

    법적 책임에 대한 방어나 증거 수집을 위한 녹취나 기록과는 구별해서 이해해야겠군요

    • @칠성-i8g
      @칠성-i8g Рік тому

      맞아요 예외가 있는 것 같습니다

  • @tessometimes
    @tessometimes Рік тому

    1차적으로 일상을 짧게 기록, 목적 되새기고 그 목적에 도달하는 전략 단순 거칠게 짜고 피드백, 인풋에 대한 내 생각을 키워드로 적고 다시 전체를 한 번에 쭉 이어 생각.
    자발적으로 찬 족쇄에서 풀려나 매일 매순간 나를 더 드넓게 아우를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kacej4818
    @kacej4818 Рік тому +7

    1. 조금쓰기 - 극단적인 방식으로 요약 / 많이 쓰는 습관 x
    2. 보고 쓰지 말기 - 안보고 나의 생각을 쓰기
    3. 2-3쪽 읽고 메모하지 않고, 한 챕터를 읽고 메모 -> 내 속에 들어온걸 메모
    4. 회의록: 속기처럼 다 쓰지 말고 맥락을 파악. 키워드를 메모
    유능한 사원은 회의가 끝난 후 키워드를 보고 논의 중인 것, 해결이 된 것을 분류해서
    짧게 요약
    5.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메모하면 잊어버린다 지금 기억하기 위해 메모한다고 생각
    1. 일상기록 - 1~2시간 텀으로 한 행동을 한줄로 일지쓰기 (많이 걸려야 1분)
    밤에 보면 하루가 영화처럼 쭉 생각남 / 나의 일상이 나에게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듬
    내가 무엇을 잘하고 좋아하는지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눈이 생김
    2. 생각기록 - 아침에 일어나서 플래너쓰기
    오늘 하루를 보내는데 나에게 제일 중요하고 하고 싶은 일이 뭘까? 하고
    크게 크게 생각해보기
    오전에 1-3개 오후에 1-2/3개 씩 가볍게 한다 생각하고 5가지 정도만 써보기
    3. 구상기록 - 일을 하기 전에 목적을 상기하기
    CSF
    Critical Success Factor 핵심 성공 요인
    일을 1,2,3 단계로 나눈 다음에 단계별 결과를 생각해보기
    3가지의 결과를 모아서 최종 아웃풋을 생각
    4. 지식기록 - 맛집을 찾았으면 여기 가야지! 하는데
    책을 볼때도 내가 이 책을 왜보지?
    내가 궁금해 하는 걸 찾고 생각
    인강을 들을때도 이 내용이 재밌네? 이건 나에게 유익하네?
    하면서 생각을 이음
    내가 이해한 내용을 적기
    독서카드에 나의 생각을 쓰기 _ 이 생각이 쌓이면 지식적으로 유익한 사람이 됨
    생각한 걸 또 정리하면 생각이 깊어짐

  • @Euler_formula
    @Euler_formula Рік тому

    오후 6시경 김익한 교수의 기록법을 보고 일상기록을 하기로 실천했다. 교수님의 강연을 잊지 않기 위해 기록했습니다. 내가 내 삶을 주관하는 전략적인 사람이 되려고요.

  • @BLACK_PEARL_
    @BLACK_PEARL_ Рік тому +44

    먼저는 누군가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이 모든 걸 잘 실행하고 있던 나 자신에게 기특하다고 칭찬해주고 싶고, 해오고 있던 걸 한번 더 점검하고 되짚어볼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인터넷이 발전해서 이런 유익한 내용들을 무료로 배울 수 있다는 점이 늘 놀랍고 감사할 따름입니다.

    • @akim3355
      @akim3355 Рік тому +2

      저도 이 모든걸 배우지 않고 잘 하는 제 자신을 칭찬해요 ㅎㅎ

    • @tara3353
      @tara3353 Рік тому +3

      자랑과 감사 그리고 질투(나)-메모

    • @shuya3679
      @shuya3679 Рік тому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솜히-j5y
    @솜히-j5y Рік тому +14

    너무 유익한 영상이에요!
    맨날 강의 듣고 열심히 필기해도 기억도 안나고 너무 멍청해진 느낌이었는데... 요약해서 자기화 시키는걸 노력해봐야겠어요!😊

  • @효니효니-c3z
    @효니효니-c3z Рік тому +1

    너무감사한 영상입니다 ㅠ ! 진짜 도움많이됬어요❤

  • @bori12370
    @bori12370 Рік тому +6

    회의록같은 경우에도 키워드 위주로 마인드맵 기능 사용해서 기록하는데 플로우나 주제 파악하기 정말 좋더라고요!

  • @석다빈-v2e
    @석다빈-v2e Рік тому +2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너무 제게 필요한 내용이에요 보길 너무 잘했어요!

  • @isp2758
    @isp2758 Рік тому +7

    일단 좀 지능이 높아야 요약도 하고 자기 언어화, 화자의 의도 파악도 가능한 거라서...

  • @찐-i1i
    @찐-i1i Рік тому

    와우.. 유튜브의 순기능이네요 심심해서 클릭했다가 각잡고 메모 하면서 들었어요
    기록의 중요성은 알지만 어떻게 해야하는지 막막했는데, 새해는 이런 기록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어요!

  • @helookscool
    @helookscool Рік тому +23

    에너지를 많이 쓰는 방식으로 메모를 해야 남는다. 고통스러워야 한다. 하...자기 발전이 쉽지 않구나.

    • @user-xu7sh4qs7o
      @user-xu7sh4qs7o Рік тому

      진짜 고통없이 얻는건 없는거 같네요

    • @Tonggueri
      @Tonggueri Рік тому +1

      이 말이 맞나? 에너지를 적게쓰며 스트레스 받지말고 핵심만 기록하는 습관이 누적되면 큰 성과를 낳는다가 영상의 포인트인데

  • @astronomer.Y
    @astronomer.Y Рік тому +1

    압축기록-나만의 언어로 극단적 압축(다시보지않음)
    생활기록-한시간마다 내가 한 행동 간단히적고 마무리 일기때 하루를 돌아보기
    업무기록-일하기전에 성공할 방법 고민하고, 그 단계를 3단계를 나누고 그로 인한 아웃풋까지 생각
    지식기록-책 읽고(책을 안읽는데..) 아하! 싶었던 생각을 쭉 이어 적기 (처음엔 한 장-> 한 권)
    근데? 내가 글씨체가 나빠서 손으로 쓰면 다시 보고싶지 않기때문에..
    어플로 써도 될지 궁금

  • @조용현-x5v
    @조용현-x5v Рік тому +14

    삶을 자기 주관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익한 선생님

  • @제이-f4p
    @제이-f4p Рік тому

    선생님의 인생, 일을 하시면서 쌓아오신 인생의 노하우를 이렇게 듣게 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말씀 처럼 일상을 기록하는 일을 습관처럼 행해보겠습니다

  • @litelite5621
    @litelite5621 Рік тому +5

    이 영상을 통해 컨닝페이퍼 만들다 암기되는 이유를 알겠네요

  • @catzwhite601
    @catzwhite601 Рік тому

    이제야 본게 아쉬울 정도로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대황젠__12
    @대황젠__12 Рік тому +4

    나도 너무 많이 메모하는 습관 생겨서 극단적으로 아예 안쓸려고 노력하는데 적응하기 힘들고 금단증세 옴 ㅋㅋ 물론 내가 젤 중요하게 생각하는걸 못써서 더 그렇긴한데 안쓰는거뿐인데 이렇게 힘든건가 싶음 ㅋㅋ

  • @이영현-c7q
    @이영현-c7q Рік тому +2

    >메모방법
    1. 극단적 요약
    2. 옮겨적듯이 하지말고, 쭉 읽고 내 머리속에서 정리하여 요약
    >일상요약
    일정 시간 동안 했던 일들을 기록
    >플래닝
    큰 단위로 계획 및 결과 예상
    >지식학습
    핵심 내용을 이어가며 학습(마인드맵 처럼?)

  • @조오렌지향기
    @조오렌지향기 Рік тому +5

    제가 메모 하고 왜 그 사실조차 잊었는지 알겠네요

  • @boardersnow7822
    @boardersnow7822 Рік тому

    쓸데없는 메모라고해도,생각만해도, 도움됩니다. (메모+생각) 이
    영상의 내용은 보지 않음. 썸내일이 너무 자극적이라 글 쓰고 갑니다.
    뭐든잊지말고 습관적으로 생각을 많이하면 도움 됩니다

  • @clive9835
    @clive9835 Рік тому +3

    기술사 시험 준비 할때 이렇게 하면 어려운것 같아요 ㅜ 그러나 수학,물리 적인 부분이없으면 유용한것같아요.

    • @유유서울
      @유유서울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도 정보를 나만의 해석으로 적는다는 건 이과성향 공부에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 @freedomgotsally
    @freedomgotsally Рік тому

    한해를 마무리하는 밤과 새해를 맞이하는 사이에 중요한 정보를 만나게 되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