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NF소나타가 급발진이 일어났는데 급발진 원인을 찾았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гру 2019
  • 샵에서 대차용으로 준비한 현대 NF소나타
    갑자기 일어난 엔진 회전수 상승확인
    그런데 원인을 찾았다
    동일차종의 비슷한 증상이 많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비예약.상담 1544-2287
    1번 하남점 (카닥터모터스) 경기 하남시 샘재로 107-1
    2번 남양주점 경기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로 77 가동 101호
    3번 광주점(기계 고치는아저씨) 광주 북구 연양로95번길 9 1층
    4번 부산점(케이티모터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1로 6
    5번 동탄신도시점(오토리페어)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1156번길 9 (병점동)
    🟩장용석의 네이버블로그 [기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Авто та транспорт

КОМЕНТАРІ • 624

  • @user-cg3px6vj3n
    @user-cg3px6vj3n 4 роки тому +372

    현직 정비사입니다. 저도 똑같은 경험 하였습니다.
    원인도 동일 합니다.
    리콜 해주어야 될듯합니다.

    • @user-xh8pt8hd9n
      @user-xh8pt8hd9n 4 роки тому +4

      전문가의 의견을 존중해 야 될텐데

    • @user-eo4tm8rz8k
      @user-eo4tm8rz8k 4 роки тому +4

      현대는 당장 리콜하랏....

    • @brother0715
      @brother0715 4 роки тому +2

      꼭 현대 본사에 건의부탁드려요

    • @leee2447
      @leee2447 4 роки тому +4

      현대에서 하는말:이차 단종된지 오래되서
      리콜 안되요.
      진실:최근에 나온 소나타 리콜 점검
      지금 타고계신차 증상 말씀하신후 확인후
      중고차 단가 보상처리 해드리겠습니다.

    • @d.k.k1383
      @d.k.k1383 3 роки тому +1

      원인이 동일하다고 하셨는데 그 원인이 무엇인지요?

  • @iamtrust
    @iamtrust 4 роки тому +241

    현차형들 이거 절해라
    고마우신분이다
    여러사람 살린영상이다

  • @user-ki5no1gv1s
    @user-ki5no1gv1s 4 роки тому +196

    좋은 영상이네요. 현대에서 이분께 상줘야할듯.. 급발진은 반드시 원인이 이겠지요. 이런씩으로나마 하나하나씩 개선되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992GTS
      @992GTS 3 роки тому +10

      흉기차는 은폐할라들지 상따윈 안줍니다

    • @buledog777
      @buledog777 3 роки тому +7

      상주는게 아니라 고소하겠죠
      명예훼손죄 또는 사실적시죄 또는 영업방해죄

    • @soocheolyoon6524
      @soocheolyoon6524 3 роки тому +1

      상이 아니라 코렁탕 올지도 모르니까 조심해야 될것 같은데

    • @ksl3035
      @ksl3035 3 роки тому +1

      현대에서 자객을 보낼지도 모릅니다

    • @user-vy1um6fj6r
      @user-vy1um6fj6r 3 роки тому +1

      과연 상을줄까요? 고소미먹일듯 지들 이미지나빠졋다고. 현기는 그런 색이들 입니다.

  • @user-uk3xc5pn1z
    @user-uk3xc5pn1z 4 роки тому +9

    참 좋은 정보 주셨네요.
    진정한 엔지니어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 @user-fj7ev2qu3l
    @user-fj7ev2qu3l 4 роки тому +19

    자동차관련 영상중 최고의 영상입니다 구독 꾸욱~

  • @user-xt6ds4ct9o
    @user-xt6ds4ct9o 4 роки тому +97

    자동차업계에 큰발견 큰공을 세웠네요 제조사는 장용석 사장님의 말씀을 귀기울려야할뜻

  • @papafishing1987
    @papafishing1987 4 роки тому +32

    어우 같은차량 운행중인데 겁나내요.
    바로 확인해봐야 겠네요.
    이영상 정말 도움이 되었내요.
    나와 내가족에 목숨이 달려있는 차량인데 휴~

  • @user-sb5jf1wm2u
    @user-sb5jf1wm2u 4 роки тому +4

    대단하세요!!!!!원인규명에 설계해결 까지 !!!!최고입니다

  • @nabel0330
    @nabel0330 4 роки тому +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Memento_mori_9
    @Memento_mori_9 4 роки тому +54

    설계의 잘못이 맞네요.
    여러명의 목숨을 살리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qo9lt5vt3i
    @user-qo9lt5vt3i 4 роки тому +113

    설계자가 실수 했네요. 케이블도 급발진 된다. 헐입니다.

  • @user-ug6zu6pr8n
    @user-ug6zu6pr8n 4 роки тому +17

    엄청난 발견입니다!!!!

  • @SN0WBOLL
    @SN0WBOLL 4 роки тому +64

    이야~~~대박 영상입니다!!!급발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설계상 허점을 찾아내시다니!!!이런 영상들이 모이면 설계도 더 안전한 방향으로 변경되겠지요!!영상 감사합니다!!

    • @fastend300
      @fastend300 3 роки тому +2

      현대 쓰레기가 아니라 개 쓰레기 입니다...
      그뿐만 아닌 부식장난아님
      뼈대도 약해서 사고나면 골로갑니다 팔아먹고 사고나면 알빠 아닌거죠...손털면 그만인거고~

  • @wonjunpark3011
    @wonjunpark3011 4 роки тому +15

    오래된 비엠에서 케이블 조정을 해서 리스폰스 향상을 꾀하는 경우는 있는데 진짜 말씀대로 저런 상황을 상상하지 못하고 설계했을터인데 ㄷㄷ 소름돋는군요.. 원인 하나를 멋지게 잡아내셨습니다

  • @d.k.k1383
    @d.k.k1383 3 роки тому +2

    정보공개 정말 감사합니다.

  • @JK-gm5wg
    @JK-gm5wg 3 роки тому +3

    좋은 영상및 설명 감사합니다♡

  • @user-dm6nd7hq2b
    @user-dm6nd7hq2b 3 роки тому +1

    조은 정보 감사 합니다~~
    나도 정비 하면서 유심히 봐야 겠네요~~

  • @whatprice3027
    @whatprice3027 4 роки тому +1

    정말 좋은 정보네요. 널리 알려야 하겠네요.

  • @kos7313
    @kos7313 3 роки тому +2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d1jt9pg9q
    @user-wd1jt9pg9q 4 роки тому +43

    와 무섭네요 ㄷ 케이블 주변에는 간섭이 안생기게 여유공간을 둬야 하는게 당연한거 아닌가;;

  • @user-xo2xy2gu3u
    @user-xo2xy2gu3u 4 роки тому +27

    ㅋㅋㅋ 테스트 하시면서 진짜 무서웠겠습니다.
    개인적 생각으론 오토에도 수동의 클러치 패달과 동일한 기능의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뭔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ll2sh7rt2b
    @user-ll2sh7rt2b 4 роки тому +45

    저게 아래서 위로 바라보면 수분침투시 수분이 고여있게되고 배출이 안되어 녹슬겠죠.. 겨울은 아침되면 얼어버릴테고요 녹슬면 답은 나와있지요. 며칠 지나면 녹이생겨서 붙어 버려요.. 당겨졌다가 복원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할수 있어요. 끝까지 밟은 상태로 고착되면 저 상황보다 더 위험한 상황이 생길수 있지요. 케이블 방식 일반 자전거 타보신분들 아시겠지만 비오는날 방치했다가 브레이크 잡으면 복원이 바로 안되는 상황이.. 그냥 마개를 제거하고 타는게 좋을듯 합니다.

    • @user-nr8lm8bj9s
      @user-nr8lm8bj9s 3 роки тому +1

      저도 똑같은 현상으로 그냥 카센터가서 교환 할려고 하니 그냥 마개만 없애주시더라구요 ㅋㅋ 돈 굳었죠

  • @user-uc2qn7mn3k
    @user-uc2qn7mn3k 3 роки тому +1

    훌륭합니다
    감사한영상이네요~~^

  • @user-ng8tz5kn7s
    @user-ng8tz5kn7s 4 роки тому +42

    이영상을 알려야합니다.

  • @user-ws4mz9qh9t
    @user-ws4mz9qh9t 4 роки тому +370

    이영상을 현대가 싫어합니다.

    • @user-xf8dx9jz4v
      @user-xf8dx9jz4v 4 роки тому +16

      왜 싫어 하는지 아시나요??
      사고 나야 새차 구입 하니깐 싫어 하는거 겠죠?? 맞죠?

    • @Seulgi_jonyedang
      @Seulgi_jonyedang 4 роки тому +7

      @@user-xf8dx9jz4v 사고나서 소비자가 원인 찾아낼수 있으면 법정에서 항상 이기던 현대가 질 가능성이 커지고 그렇게되면 심할때 해당차량 리콜까지 갈수 있는데 그러면 현대가 망하기때문 아닐까요?

    • @Stopdragon164
      @Stopdragon164 4 роки тому +2

      @@user-xf8dx9jz4v 오히려 새차를 사니깐 더 좋아하죠ㅋㅋ

    • @user-dn9jh7im9k
      @user-dn9jh7im9k 4 роки тому +2

      싫어하긴 죽일놈들 고맙다고 상을줘도 모자라고만. 암튼 쓰레기들

    • @user-uc1fn3kf1k
      @user-uc1fn3kf1k 3 роки тому

      rr R 새차를 사주겠져?

  • @k-3030
    @k-3030 3 роки тому +8

    수 많은 급발진 원인중의 하나를 찾으셨네요. 👏👏

  • @AR-ne3fs
    @AR-ne3fs 3 роки тому +1

    훌륭한 발견이네요~~~♡

  • @kimyun72
    @kimyun72 4 роки тому +5

    이런.........정보 감사합니다.

  • @traviatoil6650
    @traviatoil6650 3 роки тому +1

    좋은 주장이십니다.

  • @user-jh8ff7yw4n
    @user-jh8ff7yw4n 3 роки тому +2

    진짜 대단한 발견하셨네요 와..

  • @ksc3276
    @ksc3276 4 роки тому +162

    이 영상을 국토부에 보내주세요....오래된 차량도 리콜받을수있게요...

    • @user-kg6fb9yk7t
      @user-kg6fb9yk7t 3 роки тому +1

      엔진을통째로교환해줘야할싱황입니다^^

    • @cplus1004
      @cplus1004 3 роки тому +8

      @@R5JQoAaNy7ZYjJ_n5LrQtg m.blog.naver.com/mltmkr/222033302215
      이번달 국토부 리콜조치 내역입니다. 명박기 바그네때 국토부는 대기업 문제 묵인하고 모른척했죠. 지금은 다릅니다.

    • @user-he4qr4se2q
      @user-he4qr4se2q 3 роки тому +2

      공무원은 역시 돈과 권력의 개군요.
      잠정개 아니면 현재개 개새들!

    • @plli9977
      @plli9977 3 роки тому +2

      국토부는 이미 먹혔어요 소용없습니다

    • @user-li7on6dk6s
      @user-li7on6dk6s 3 роки тому +3

      @@cplus1004 ㅂㅅ새낀가

  • @user-rr6cj7dw4m
    @user-rr6cj7dw4m 4 роки тому +139

    전 급출발 격어본자입니다
    뉴프라00 휘발유모델이었으며
    시동걸자말자 rpm 최대로올라갔었구요
    다행이 파킹모드로되어서 앞으로는안갔구요 차키를뽑아도 30초정도후에 꺼지더군요
    아 이게 급출발이구나 생각하게만들더군요 급출발안격어보신분은 모르세요
    더충격적인거는 5분후 다시 시동걸었는데 정상알피엠이더군요

    • @user-xh8pt8hd9n
      @user-xh8pt8hd9n 4 роки тому +5

      다행입니다

    • @user-ol5fq5gj2k
      @user-ol5fq5gj2k 4 роки тому +2

      다행요 주변무조건 박아야 삽니다 피하믄 더살기어려움

    • @user-ms2sn1kv1x
      @user-ms2sn1kv1x 3 роки тому

      그때 증거영상으로 찍어두시지 아깝

    • @user-co2rq8pv1u
      @user-co2rq8pv1u 3 роки тому

      올뉴프라이드 1.6휘발류타는데 제차도 저럽니다 제 채널에 영상도 올려두었고요 스로틀센서 교환했는데도 똑같네요 진짜 무섭고 ㅂㅅ같아서 못타먹겠네요

  • @cic7548
    @cic7548 4 роки тому +8

    장인정신 좋아요

  • @shouting1590
    @shouting1590 4 роки тому +4

    27만 타셨으면 정비 하시는게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 @song-lab
    @song-lab 3 роки тому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말씀대로 설계를 잘못한게 맞는것 같습니다.

  • @NX_F_Sport
    @NX_F_Sport 4 роки тому +8

    동생 이전차가 로체 이노베이션이었는데 비슷한 상황이었는데 스로틀밸브 청소해주니 괜찮아지더라구요 ㅎㅎ

  • @user-li2jf8mn1l
    @user-li2jf8mn1l 3 роки тому

    와 드디어 좋은영상 입니다

  • @user-yg5es2sh2z
    @user-yg5es2sh2z 4 роки тому

    진짜 좋은영상이네요

  • @user-pc2lb2bo3l
    @user-pc2lb2bo3l 4 роки тому +30

    같은 엔진쓰는 뉴카렌스동호회엔 몇년전에 이슈화되어 순각접착제 한방씩 놨습니다.

    • @d.k.k1383
      @d.k.k1383 3 роки тому

      그렇군요ㅜㅜ

  • @go1voice
    @go1voice 3 роки тому

    오...정말 중요한 포인트 잡으셨네요~!!!

  • @user-kg6fb9yk7t
    @user-kg6fb9yk7t 3 роки тому

    감사드리면서, , 케이블의고무가마모되면서그사이에게이블이들어가잡고있는상황이되는것이군요좋은영상감사드립니다^^

  • @erialalpha
    @erialalpha 3 роки тому +8

    위로꼽는 방식은 비 많이오거나 하면 수분이 케이블 금속와이어 따라서 악셀케이블안에 물이찹니다. 그래서 날씨가 추워지거나 하면 물이얼어서 악셀을 놔도 알셀이 안놔지거나 부식으로 케이블이 고착되어서 위에서 아래로 한거죠. 물론 악셀케이블은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줘야 한다고 제조사에서 지원을 해줘야하겠네요.

  • @sskim1555
    @sskim1555 4 роки тому

    정말 대단한 발견을 했습니다.

  • @user-nj3tu2kf7x
    @user-nj3tu2kf7x 4 роки тому +8

    헐...앞으로 엔에프 급발진 사고는 저기부터 확인해보면 되겠네요 케이블 부분은 캡이 있다해도 수분이 흐르는 구조라 위로 한거 같습니다

  • @user-hh1lm8qh9i
    @user-hh1lm8qh9i 4 роки тому +4

    저 현상 저도 겪었던 현상입니다
    그때 얼마나 놀랫는지 지금도 후덜덜하네요 ㅠㅠ

  • @user-uq6uw7zj4d
    @user-uq6uw7zj4d 3 роки тому +1

    장인정신에 박수를 드립니다

  • @user-zc6ul3ri7c
    @user-zc6ul3ri7c 4 роки тому +6

    저걸재현...영상까지...훌륭하십니다!!

  • @user-et4qi9us2c
    @user-et4qi9us2c 3 роки тому

    오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 @user-po6qv7ds5n
    @user-po6qv7ds5n 3 роки тому +1

    이런분들이 진정한 정비인 입니다.

  • @user-pk9ut5yf1d
    @user-pk9ut5yf1d 3 роки тому

    대단하십니다 원인을찾고
    박수

  • @18SHG
    @18SHG 4 роки тому +97

    저도 케이블방식은 절대 급발진은 없다!!라고 생각했는데 아니군요

    • @user-sb5jf1wm2u
      @user-sb5jf1wm2u 4 роки тому +4

      스로틀바디 안에 공기를 주입시켜주는 판을 케이블로 당겨 열었다닫았다하면 케이블 기계식 방식이고 전자식으로 여닫음을 하면 전자식입니다

    • @user-zj5mb8ni3l
      @user-zj5mb8ni3l 3 роки тому

      문제는 스로트밸브 가 안쪽에있었을때는 옆에서갔는데 앞으로(정비하기좋게라는데 그럼다른회사는ㅋㅋㅋ 웃기지요 그러니 45도각도 위에서 아래로 되있으니 또 사고시 위험성도 많은데 대림교수님이 현기만 앞에 있어요 그전차는 안쪽에있어서 이상없었는데 앞으로 온디 흉기차가되있지요 지금은 전자식이지만 믿으이 안가는회사라 아직도 전자식있데 급발진많은데ㅋ 좋은주말되세요

  • @user-kn7fe3cj6b
    @user-kn7fe3cj6b 3 роки тому +1

    내일바로 가서 고무없애야지. ㅠ 너무나 감사합니다. 소중한 내생명

  • @joopyeongkim1314
    @joopyeongkim1314 2 роки тому

    훌륭하십니다.

  • @tttmoon7891
    @tttmoon7891 4 роки тому +7

    아 ㅠ 저 nf소나타인데 체크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d.k.k1383
      @d.k.k1383 3 роки тому

      무조건 부품 교환하세요ㅜㅜ

  • @user-ko8co3br7e
    @user-ko8co3br7e 4 роки тому +1

    헐..저도09년식 nf lpg차량인데 몇달전부터 이런증상이 몇번있었는데 원인을 못찾거든요ㅠㅠㅠㅠ 꼭 확인해봐야겠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heraolive
      @heraolive 4 роки тому +1

      이준혁 전 트로틀 바디 교체 했어요 NF 트랜스폼 LPG인데 케이블이 원인이라는것도 여기서 알았네요 지금은 잘 타고 다니지만 언제 케이블이 걸릴지 모르니 무섭네요 ㅡㅡ

  • @user-id5om2wd7g
    @user-id5om2wd7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해요... 저도 동영상 보고 제 차 보니 같은 증상에 같은 원인 이었네요.. 그 캡이 걸려서 그랬어요.. 일단 자르고 때어냈더니 완전 정상이네요.

  • @JK-bm6im
    @JK-bm6im 3 роки тому

    최고십니다

  • @user-pf8zc1xu8c
    @user-pf8zc1xu8c 3 роки тому

    소름~~ 운전할때마다 걱정되네요 기계식도 저러니.. 설계까지 짚어주시다니 ㅇ와우~ 이건뭐 복불복도 아니구 겁나서 차끌것나

  • @user-hs3vl5jh8g
    @user-hs3vl5jh8g 3 роки тому

    엄지 척!
    와우 정말 멋져요

  • @user-xk8nv8qk3n
    @user-xk8nv8qk3n 2 роки тому

    와우 ㅡ 정확한 지적입니다.

  • @mikelee4188
    @mikelee4188 4 роки тому +12

    선생님 카페에 영상 링크공유좀 하겠습니다 , 출처는 반드시 밝히겠습니다.

  • @user-xj2lf7ey9g
    @user-xj2lf7ey9g 4 роки тому

    꿀같은정보 감사요

  • @user-cw7uo2yf5e
    @user-cw7uo2yf5e Рік тому

    멋있습니다.

  • @user-ez7lc7dz5q
    @user-ez7lc7dz5q 4 роки тому

    대단하십니다

  • @user-pi6zj4le5c
    @user-pi6zj4le5c 4 роки тому

    대박이네요 .

  • @BB-yt3mi
    @BB-yt3mi 3 роки тому

    와.. 이걸 몰랐네요. 같은증상이어서 흡기쪽통으로 교환했었는데 이거부터 확인해볼껄 그랬네요

  • @luckymelody8076
    @luckymelody8076 3 роки тому

    좋은 발견하심요. 전자식악셀위주인 요새차들은 급발진이 덜 하겠네요.

  • @simje429
    @simje429 4 роки тому +57

    엔지니어로서 휼륭합니다. 모든 불량은 디자인에서 시작됩니다.

  • @pinkzia
    @pinkzia 4 роки тому +1

    엊그제 2015년식 레이 고속도로에서 주행중 급발진일어나고 속도제어가 안 되서 온 가족이 황천길 갈 뻔한 영상을 보고 너무 놀랐는데..
    와~~유튭 알고리즘이 나를 살려주었네! 2004년식 LPG NF소나타라, 차량도 노후한데..헐..
    당장 현대써비스센타가봐야겠네요.

  • @user-uz8kj6sq7f
    @user-uz8kj6sq7f 4 роки тому +2

    와/...이렇게 디테일하게 급발진 원인을..와

  • @user-rk4ud1su2u
    @user-rk4ud1su2u 3 роки тому

    와 대단하십니다

  • @spica1475
    @spica1475 Рік тому

    와 이건... 엔진 본넷열어서 바로 확인해봐야겠네요 급발진 원인이 이거였다니

  • @hut4159
    @hut4159 4 роки тому

    케이블이 위에서 아래로 체결방식인데. 아래에서 위로체결하면 중력에의해서라도 찡기지 않으니 그나마 피할 수 있을거같아요

  • @richardrhee57
    @richardrhee57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BravoBlueBear
    @BravoBlueBear 3 роки тому +1

    이거 아주좋은 영상인것같습니다.
    혀기차 와서 보고기던지.저차사가서 개선방안 찾으셔야할듯

  • @charmhum6665
    @charmhum6665 3 роки тому

    이렇게 사소한 게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니.. 놀랍네요

  • @USGD2868
    @USGD2868 4 роки тому +134

    실제로 11년전인 2008년에 아버지 nf소나타 개인택시 뽑은지6개월만에 급발진 증상으로 내차와 담벼락을 박고 난후 멈춰섬
    나도 출근준비하고있었는데 차에타고있었으면 죽었음
    새차라 억울했지만 현다이를 이길 방법없음

    • @user-xh8pt8hd9n
      @user-xh8pt8hd9n 4 роки тому +12

      다행입니다 하늘이 도왓군오ㅡ

    • @park5178
      @park5178 4 роки тому +3

      현대 쓰레기네. 저당시 차량 싼타페1세대더 급발진으로 사고 사망사건 있었죠 ㅠㅠ

  • @killerwhale3331
    @killerwhale3331 3 роки тому

    저도 기계식은 급발진이 일어날수 없디고 생각했는데 이영상을 보니 생각이 바뀌었네요

  • @zenjang
    @zenjang 3 роки тому +1

    고무캡 걸리는부분 조금더 넓게 설계했더라면 안떨어지게...사장님말씀처럼 아래에서위로하면 물이 상시침투될위험이 있어 조금더 고려해봐야겠습니다 ㅎㅎ 저도 여러차량을 접하다보면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사장님영상 항상 잘보고 응원합니다. 번창하십시오

  • @manstriker1546
    @manstriker1546 4 роки тому

    현재 케이블 조건과 반대인 거꾸로하면 수분이 타고 틈새 스며들어 와이어 내부에서 얼어버리면 주행중 복귀가 안돼 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지요.
    저건 캡과 씰을 일체형으로 설계했어야 맞겠네요. 경화되어도 고무캡이 떨어지지 않는 구조..

  • @sobang08
    @sobang08 Рік тому

    이 영상 다시 이슈가 되서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네요~~~

  • @user-nj8pd5ls6m
    @user-nj8pd5ls6m 4 роки тому

    ㅎㅎ 저도 예전에 투카탈때
    저런적이 있어서 통으로 갈았었습니다.

  • @user-io3hw7hx7q
    @user-io3hw7hx7q 4 роки тому +11

    세상에 이런일이

  • @sydccie
    @sydccie 4 роки тому +4

    5년전 쯤 외제차에서 이와 비슷한 증상이 있었는데 녹센서 고장으로도 이렇게 되더라구요.

  • @user-eo4tm8rz8k
    @user-eo4tm8rz8k 4 роки тому +1

    현대자동차는 생명과 안전을 의해 만들어갑시다...

  • @user-jd9kz6bv6g
    @user-jd9kz6bv6g 4 роки тому +1

    공익을 위해 대기업을 상대로 이런 사실을 말할수 있는 용기에 박수를 드리며, 혹여 이런걸로 고소당하지않을지 걱정이네요

  • @gsb6483
    @gsb6483 4 роки тому +7

    차 참 잘만들얼네 ㅋㅋㅋ

  • @user-kq2vx5bp4u
    @user-kq2vx5bp4u 3 роки тому +1

    저도 경험 했었던 똑같은 현상이네요

  • @os8668
    @os8668 4 роки тому +3

    저도 NF소나타 08년씩 lpg 급발진 이영상이랑 똑같아요

  • @yukong9137
    @yukong9137 4 роки тому +6

    개인 생각입니다만 저 수분 방지용 커버가 이탈됐을때 케이블 작동에 영향을 고려해서 윗쪽 설계를 하면 차량 운행중에 바닥에서 튀는 빗물이나 다른 고인물들이 케이블을 타고 스로틀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합니다. 저 커버가 이탈 됐을때를 고려해서 케이블에 돌기등을 만들어 주면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저정도는 급발진까지 가는 알피엠이 아닐거 같아요. 왜냐면 브레이크로 제동 가능한 수준이고 그간의 급발진들은(제동등의 cctv나 내부 블랙박스 음성등등을 확인해 보면) 브레이크를 넘는 급가속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 @car123
      @car123  4 роки тому +1

      그러고 보니 케이블의 형식이 반대면 그러한 문제가 발생되겠더라구요
      말씀처럼 케이블에 기둥을 만들어서 주면 될것 같아요
      좋은 의견입니다

  • @user-ds3bg6ln6q
    @user-ds3bg6ln6q 4 роки тому +1

    와우 이런경우도 다 있군여

  • @xlhsxl8895
    @xlhsxl8895 4 роки тому +1

    전자장비는 완벽한게 아닌데도 점점전자장비가 늘고 있는 추세니뭐~~~수동 사려해도 아예 만들지 않으니 ㅠㅠ

  • @changminoh1
    @changminoh1 3 роки тому

    와 진짜 대박이다

  • @MyEyeSand
    @MyEyeSand 3 роки тому

    이건 그나마 다행이죠.
    그냥 브레이크를 밟으면 멈출 수 있으니까요.
    전자계통 오류 급발진의 경우는 브레이크 자체가 단단하게 굳어서 밟히지 않죠.
    물론 시동도 끌 수 없고 기어도 못바꾸고 파킹도 먹통이고..

  • @user-me4iq7bi6r
    @user-me4iq7bi6r 3 роки тому +1

    예전에 스쿠터 겨울에 타다 케이블이 얼어서 멈추기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수동기어식은 클러치 잡고 세우면되는데 스쿠터들도 조심하세요

  • @user-vn1pc1dj1y
    @user-vn1pc1dj1y 3 роки тому

    엔진 세차등으로 물 빠짐 방향을 고려하니 그런 설계로 되었을거고
    캡이 분리되는 생각은 못한듯하네요

  • @user-oo5cg5fg9z
    @user-oo5cg5fg9z 3 роки тому

    시간이 되시면 초기형 싼타페도 확인 해주시면 좋을꺼 같아요.

  • @lovefromm
    @lovefromm 4 роки тому +10

    옛날 토요타도 위에서 당기는데 그건 케이블과 연결된곳에 공간과 모양, 각도등으로 저런일이 안생기게 되었는데..잘 모르는 상태에서 걍 따라하다 저런 설계 실수가 나온거 같네요...

  • @user-zh6cm8ze3b
    @user-zh6cm8ze3b 4 роки тому +1

    이분 현대에서 스카웃해가셔야 합니다!

  • @user-hm2bd4kx2h
    @user-hm2bd4kx2h 4 роки тому +19

    와..저런경우도 있네요.. 무섭다 진짜...
    차 진짜 막 만들었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