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두 줄 후등자 확보시에는 카라비너를 위 처럼 끼워도 무방하지만, 한 줄 후등자 확보시에는 카라비너를 와이어 안과 위와 같이 밖을 같이 걸어야 유사시 후등자 줄과 제동줄이 돌아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열심이 가르켜 주시는데 아는 체 해서 미안합니다.
"와이어 안과 위와 같이 밖을 같이 걸어야" 이 부분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말하려는 의도는 짐작이 됩니다. 정확한 지적이고 중요한 지적입니다. 처음 설치한 상태에서 윗줄과 아랫줄이 바뀌면 제동이 안됩니다. 튜브와 똑같아요. 특히 자일이 얇을 때는 위 아래 줄이 뒤집힐 가능성이 큽니다. 제가 보조 자일로 여러 번 연습해본 결과 직접 확인한 사실입니다. 필드에서 굵은 주자일을 쓰면 위험도는 더 줄어들긴 하겠죠.
사용법 설명 잘 들었습니다.
다만, 너무 멀리서 찍어서 장비 설치 장면이 잘 안보이는 게 아쉽네요.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처음 등반 입문시 초보자에겐 안전을 위해 구입하여야한다고 해서 구입한 장비인데 경사가 심하거나 오버행 하강시 왼손에 부하가 너무 커서 하강하기 힘들어서 기존 것으로 재구매했네요.
반대로 끼워 하강해도 되는걸로 압니다
아! 확보기가 그런 의미였군요!
안전을 확보한다는...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두 줄 후등자 확보시에는 카라비너를 위 처럼 끼워도 무방하지만, 한 줄 후등자 확보시에는 카라비너를 와이어 안과 위와 같이 밖을 같이 걸어야 유사시 후등자 줄과 제동줄이 돌아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열심이 가르켜 주시는데 아는 체 해서 미안합니다.
"와이어 안과 위와 같이 밖을 같이 걸어야" 이 부분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말하려는 의도는 짐작이 됩니다. 정확한 지적이고 중요한 지적입니다.
처음 설치한 상태에서 윗줄과 아랫줄이 바뀌면 제동이 안됩니다. 튜브와 똑같아요. 특히 자일이 얇을 때는 위 아래 줄이 뒤집힐 가능성이 큽니다.
제가 보조 자일로 여러 번 연습해본 결과 직접 확인한 사실입니다. 필드에서 굵은 주자일을 쓰면 위험도는 더 줄어들긴 하겠죠.
인수봉에서 두줄 하강하는데, 아무리 고리를 들어도 줄이 너무 안빠져서 고생한 적이 있습니다. 9.8 로프였습니다. 그 이후 아예 사용을 안하고 쳐박아두고 있습니다. 두줄 하강 60미터 할 경우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비슷한 두께로프로 두줄하강하는데 하도 안빠져서 고생한적이... 작은 비너구멍에 비너걸고 제껴도 하강이 잘안되더라구요. 그냥 하강시엔 자동잠금모드말고 반대로껴서 일반튜브방식으로 하는게 나은거같습니다
저도 동일 경험... 오버행 하강시 마찰이 너무 세서 아무리 고리를 들어도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