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바꿀 혁신 '핵융합', 상용화는 언제쯤?(ft.남용운 공학박사) /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5 бер 2023
  • ■ 주요 내용
    * ‘핵융합 에너지’는?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닮아‘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에너지는 탄소 배출이 없는 청정에너지입니다. 연료로 사용되는 중수소와 리튬은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고 1,500만 년 정도 쓸 수 있는 무한한 양이라고 합니다.
    * 핵실험이 위험하듯, 핵융합도 위험할까?
    핵융합에서도 중저준위의 폐기물은 발생하지만, 모든 반응은 핵융합로 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사고가 나더라도 핵융합로가 꺼져 방사성 물질이 퍼져나갈 수는 없다고 합니다.
    * 한국의 인공태양 KSTAR, 플라즈마 세계 최장 기록!
    KSTAR는 '자기 가둠 방식'의 핵융합 장치입니다. '1억℃'의 플라즈마를 오래 유지하는 방법을 찾는 실험인데,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붙잡아 놓는 것이 핵심 기술입니다. 한국은 1억℃의 플라즈마를 장시간 유지하는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2030년대 후반에 핵융합 반응의 검증 실험을 마치고, 2050년까지는 전력 생산을 실증하는 실증로를 건설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제작진
    총괄 : 손승욱 / PM : David / 라이브 PD : 유규연 / 작가 : 정지윤, 지선영 / 영상취재 : 이재영, 김현상, 서진호, 이승환, 김태훈, 양현철 / 디자인 : 임지윤 / 오디오: 하지윤 / 인턴 : 안지원
    ■ 본 콘텐츠에 포함되는 투자 정보는 참고 만을 위해서 전해드립니다.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SBS 경제자유살롱 커뮤니티 [경자클럽] 오픈★
    함께하기 ▶ premium.sbs.co.kr/board/63ec4...
    #SBS #경제자유살롱 #핵융합 #아이언맨 #플라즈마 #남용운

КОМЕНТАРІ • 80

  • @sbsnews8
    @sbsnews8  Рік тому +6

    ★SBS 경제자유살롱 커뮤니티 [경자클럽] 오픈★

  • @Daniel-tl5qb
    @Daniel-tl5qb Рік тому +24

    우수한 대한민국인 세계지투국가로 고고 핵융합 연구원님들 화이팅

  • @feelssogood4011
    @feelssogood4011 Рік тому +18

    한국을 이끌어갈 인재들.

  • @malyun3443
    @malyun3443 Рік тому +7

    우리나라를 번영할 수 있는 길은 법이 아니고 과학이다.

  • @user-no2jt6pl6m
    @user-no2jt6pl6m Рік тому +2

    대단합니다 박사님

  • @user-wi2tt3tm8c
    @user-wi2tt3tm8c Рік тому +3

    아나운서분들이 궁금한걸 콕콕 찝어서 질문을 잘해주시네

  • @user-sb2ll6yu7c

    아주 좋은정보입니다

  • @acularin
    @acularin Рік тому +4

    RE100 현재 선진국들이 기업이 모든 전력을 백프로 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한다는데 우리나라같이 중공업 제철 화학공업이 비율이 큰나라는 불가능한 일이고 이를 해결할 유일한 살길은 핵융합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핵융합이 개발되기를 간절해 바랄뿐입니다.

  • @son-namgi

    엄밀히 말하자면 양자의 세계는 인간이 범접할 경우 죽음을 초래합니다 이런 것들은 용의 힘이 가해져야 사실상 가능합니다 용은 우주의 지배자, 신이라고 할수 있죠 양자컴퓨터도 인간은 그 전단계까지만 준비하게 되며 그 완성은 역시 용이 이 땅으로 내려와서 완성하게 될 것입니다 감사해요

  • @user-zu4nw7vh5x
    @user-zu4nw7vh5x Рік тому +7

    감사합니다. 이런 고급 지식을 공짜로 배우게...

  • @user-xu5tg3zj9j
    @user-xu5tg3zj9j Рік тому +2

    핵융합박사님! 한가지 연구제안을 드립니다. 전세계적으로 산불이 믾이 발생하는데 불을 제압하는 방법이 물 외에는 없는듯 합니다 불꽃없이 연결된 가연성 물질을 미리 태워 제거할 수 있는 그런 도구를 만든다면 많은 도우이 될듯 합니다.

  • @fuga9
    @fuga9 Рік тому

    기술적인 문제를 너무 디테일하게 물어보는게 마음 쓰이네요 쓰임새 용도 면 충분한데 혹시…..

  • @hook3351
    @hook3351 Рік тому +2

    김혜민 기자님은 스포츠부, 경제부 떠블 뛰시는건가요?ㄷㄷㄷ

  • @homidayo

    5000도만 잘관리해도 대박이다,,,,발전소를 돌릴수가있다,,,

  • @jan-yu7rh
    @jan-yu7rh Рік тому

    그냥 이건 내 생각인데 그냥 코어 두개 쓰고 번갈아가면서 돌리면 유지가 가능하지 않을까? 온돌 돌리 듯이 두개를 이어 붙여서 더 저온에서 안정성을 높일 수 만 있으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봄 근데 태양을 가두는 박스만드는 것은 너무 힘들다고 봄

  • @user-wb6mv3ew7i
    @user-wb6mv3ew7i Рік тому +1

    과학자와 경제인

  • @hjl5785
    @hjl5785 Рік тому +4

    융합로 내부는 강력한 전자기장으로 가득차므로 내부의 구조가 대칭이되지 않으면(혹은 자기장을 보다 잘 만드는 물질을 찾아서 균형을 맞춰주지 않으면) 한쪽으로 프라즈마가 쏠리는 현상이 나타날 듯(고자기장 상태는 무조건 철,금속이 더 강하다고 말할 수도 없을 듯)

  • @G80G70
    @G80G70 Рік тому +1

    38:45

  • @user-zp2tm8xl7x
    @user-zp2tm8xl7x Рік тому +1

    핵융합에 필요한 초전도 조건은 .. 극저온이고 .. 영하 170 ~ 200도 범위 낮은 온도 ..우주공간에서 당연한 것이지만 ..지상에서는 .. 핵융합 조건을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렵죠 .. 항성이 핵융합을 할수 있는 것은 초전도 가능한 조건에서 핵융합을 하는 것일꺼고 .. 지상에서 ..상자 안에 .. 태양을 넣는 것은 어려운 것이라 생각해요.. 작은 상자 안에 태양을 넣는다는것이 말이죠 ..

  • @user-vl6ef7gb6h
    @user-vl6ef7gb6h Рік тому +2

    AI 인공지능으로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