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서도 끄떡없는 합금 만든다 수입의존 항공우주·발전기 소재 국산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тра 2023
  • 수천℃서도 끄떡없는 합금 만든다
    수입의존 항공우주·발전기 소재 국산화
    #나노및소재기술개발사업 #항공우주 #금속소재 #내열소재 #열팽창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릴레이 인터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휘준 박사
    -
    ASSIC 2023
    Single Event Effect Testing Growing Needs & Timely Solutions
    (단일 이벤트 영향 평가: 늘어나는 요구에 때 맞는 해결책)
    : 2023년 05월 25일(목) 10:00 ~17:00 온라인 콘퍼런스 (ASSIC2023 페이지, 와이일렉 페이지 동시 송출)
    사전링크 페이지
    yelec.kr/product/assic-2023-s...
    [행사 개요]
    ◦ 행 사 명 : ASSIC 2023(Advanced Semiconductor Safety Innovation Conference)
    ◦ 주요 주제 : Single Event Effect Testing: Growing Needs & Timely Solutions
    ◦ 행사 날짜 : 2023년 05월 25일(목) 10:00 ~17:00
    ◦ 행사 위치 : 온라인 콘퍼런스 (ASSIC2023 홈페이지, 와이일렉 세미나 페이지 동시 송출)
    ◦ 등록 비용 : 무료
    [ASSIC 행사 문의]
    ◦ Tel : 010-3125-3188
    ◦ Email : assic@qrtkr.com
    [발표 주제 안내] - *주제 및 연사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항공 우주 응용 분야에 대한 반도체의 SEE 평가 요구 사항
    ◦ 대기 중성자 대한 반도체의 SEE 평가 요구 사항
    ◦ ISIS 방사선 평가 시설을 이용한 시스템 및 반도체 소자 방사선 평가
    ◦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위한 태양 입자 방사선 환경의 요건
    ◦ 국내 초소형 큐브셋 위성 개발 동향
    ◦ 국내 우주 산업 동향과 로드맵
    ◦ 쉽고 효과적으로 표준에 맞는 가속 방사선 평가를 실행하는 방법
    ◦ 최신 SDRAM 소자의 선진 방사선 영향의 평가 기술
    ◦ NTF 근본 원인 완화를 위한 QRT의 고장 분석 기술 소개
    ◦ 큐알티의 비교 도시메트리 보드를 이용한 양성자-중성자 상관 관계 도출 및 상호 보정 기술
    ※ 디일렉 멤버십
    멤버십 안내 ( • 디일렉 유튜브 멤버십 개설했습니다. )
    멤버십 가입 ( / @theelec9812 )
    ※ 디일렉 멤버십 혜택
    [디일렉 영상 하루 빨리 보기]
    디일렉 영상은 기본적으로 모두 '무료'이지만, 후원해주시는 분들께는 영상을 하루 빨리 볼 수 있는 혜택을 드립니다.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174

  • @Trianon1
    @Trianon1 Рік тому +93

    신소재 개발이야말로 미지의 분야를 개척하는 파이오니어 정신이 더욱 더 필요로 하는 선구자적 분야입니다 ! 관련 과학자 및 엔지니어 여러분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 기초 과학분야에서 오늘도 묵묵히 연구개발에 전념하시는 모든 분들이 대한민국의 힘이며 자랑입니다 !

  • @user-mt8ug3yu7m
    @user-mt8ug3yu7m Рік тому +168

    생산성 없는 스포츠보다 과학자 및 이공계들을 대우해줘야 한다

    • @user-wl3ke2hb9k
      @user-wl3ke2hb9k Рік тому +8

      너무 자세하게 말씀하시는데 기술 유출 우려는 없는지요

    • @user-yq2gc7mt3e
      @user-yq2gc7mt3e Рік тому +1

      😅😅
      ##😅😅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3 місяці тому +3

      사실 스포츠는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국위를 선양할 수 있습니다. 1억이상 연봉이 많은 선수들만 제외하면 대부분 가난합니다.

    • @myungheungchoi5301
      @myungheungchoi5301 Місяць тому +4

      문제는 40년 이상 연구자금을 쏟아부었지만..성과가 미미하다는 점입니다. 생기연 이니 머니하는 국책연구기관들 정말 한심합니다. 오로지 대학으로 튈거에만 관심갖고 있지요. 차라리 대학교 교수들 품질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것들은 연구자금 횡령에만 관심있죠....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입니다... ㅡ.ㅡ

    • @user-iu2kc1xb2c
      @user-iu2kc1xb2c Місяць тому

      .

  • @arehunkim6971
    @arehunkim6971 Рік тому +76

    당신들이 진정한 애국자 들이십니다

  • @arcturians1510
    @arcturians1510 Рік тому +64

    와~~~ 이런 분들이 진짜 애국자이시고 최고 최상의 대우와 존경을 받아야 합니다. 저도 항상 공상을 해 보는 분야입니다. 그리고 그 공상도 너무 재미있습니다. 그러나 박사님은 공상이 아니라 현실에서 이루어 내고 계십니다. 존경합니다.

  • @bon2kil
    @bon2kil Рік тому +112

    대단한 일을 하시는 기초과학 과자분들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는 더욱더 이런 과학자분들을 더 대접해주는 나라가 되어야겠습니다.

  • @user-nb7tp6go4n
    @user-nb7tp6go4n Рік тому +5

    국회의원의 과다한 연봉을 몰수하여 과학자들에게 줘라.

  • @user-rd8os8kb5q
    @user-rd8os8kb5q Рік тому +107

    항상 국가 발전을 위하여 노력해 주시는 과학자 여러분께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 @user-kp6jd1lw8j
    @user-kp6jd1lw8j Рік тому +21

    한국의 과학자들을 존경합니다. 정부가 과학자및 연구교수 그라고 석박사들의 대접하고 모든 조건을 올려 줘야 합나다.

  • @user-uw2pi3cz2l
    @user-uw2pi3cz2l Рік тому +24

    감사합니다
    자기와 자기들만의 이익을 쫒는 정치인과는 달리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묵묵히 연구하시는 과확자 여러분들에게 감사들입니다

  • @user-oq2sd7vv2u
    @user-oq2sd7vv2u Рік тому +28

    전투기배기노즐뿐 아니고 극초음속 엔진노를도 기대됀다니
    근간에 당장급한 전투기엔진을 우선 기대해봅니다.

  • @padoelec
    @padoelec Рік тому +34

    와 가슴이 다 웅장해 지네... 이분 대통령 표창이라도 수여해야 할듯..... 애국~~.

  • @user-yf4os4ko6s
    @user-yf4os4ko6s Рік тому +25

    정마로나라를위해서 일해주시니감사합니다

  • @user-wo8qp3dr3y
    @user-wo8qp3dr3y Рік тому +15

    박사님 같은분들이 진정한 애국자이며 나라의 보배입니다 미래를 책임질 우수한 인재들이 의대로 몰리는 지금의 암울한 상황에서 한줄기 빛이되는 내용입니다 지금도 앞으로도 기술패권이 더욱 중요한 시대에 나라의자원을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qp9xm6oy8c
    @user-qp9xm6oy8c Рік тому +42

    박사님 설명이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분말 학회라는 것도 처음 들어봅니다. 금속분말을 서로 섞어서 합금을 만드는 거군요. 액체상태에서는 서로 안 섞이기 때문에...

  • @user-hu2ky3ck1p
    @user-hu2ky3ck1p Рік тому +29

    연구하시는 모든 분들이 애국자십니다.김박사님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botwindy3752
    @botwindy3752 Рік тому +41

    박사님과 관련 연구자분들의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고 많은 성과들과 결실이 가득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user-xc9hi9ro5y
    @user-xc9hi9ro5y Рік тому +86

    김박사님 같이 묵묵히 기초과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이야 말로 진정 애극자이십니다 존경합니다

  • @DltptkddldnldpsirkdlTek
    @DltptkddldnldpsirkdlTek Рік тому +24

    90년대만해도 금속소재에 대한 물리, 화학적 데이타가 없어서 금속은 일본, 독일제를 썼죠

  • @user-gh9ek3wp5d
    @user-gh9ek3wp5d Рік тому +28

    소재 산업에서도 한국이 글로벌 리더가 되기를 응원합니다! 기술명장님들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jayk3784
    @jayk3784 Рік тому +16

    대단한기술임니다

  • @user-sp9ol7sv6o
    @user-sp9ol7sv6o Рік тому +12

    박사님 화이팅 대한민국 ....

  • @doublefoxhead3493
    @doublefoxhead3493 Рік тому +62

    박사님 교수하셨을진 모르지만 강의력도 아주 좋으셨을듯요 ㅋㅋㅋㅋ 말을 조리있게 참 잘 전달 하시네요. 특히 소재 관련해선 관심 가지고 지켜봤는데 좋은 성과 기대합니다. 이번에 무인기용 추력 5500파운드급 엔진 국산화 한다던데 이거 바탕으로 2만파운드 이상 쭉쭉 개발 되길...

  • @romeoalfa1598
    @romeoalfa1598 Рік тому +43

    와~~ 존경합니다. 어려운 분야를 이렇게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다니.. +_+)

  • @user-fg6ug9uc9v
    @user-fg6ug9uc9v Рік тому +13

    연구에 몰두하시는 모든 분들을 사랑합니다 고된 연구였을 텐데 성공하셨다니 축하드립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user-wg9ur2vm7i
    @user-wg9ur2vm7i Рік тому +19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ll2kp7rm3s
    @user-ll2kp7rm3s Рік тому +11

    누구보다도 이나라 최고
    대우를 오직 연구에만 몰
    입하겠금 해주세요😊😊😊

  • @user-iu2pi7ft1g
    @user-iu2pi7ft1g Рік тому +18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 @jkim4339
    @jkim4339 Рік тому +19

    멋진 인터뷰와 강의 입니다!

  • @victorna2486
    @victorna2486 Рік тому +6

    우리 항공우주산업과 첨단산업발전에 아주 필요한 기초과학을 하시는 분이시군요. 응원합니다

  • @user-zb9ze7yk1z
    @user-zb9ze7yk1z Рік тому +7

    우리나라가 살길은 인재 양성

  • @user-zg8fn3he1y
    @user-zg8fn3he1y Рік тому +6

    박사님. .고생 많으셨습니다.ㅡ.. 국가는 충분히 .보상을. 해주시기 바랍니다.ㅡ..

  • @349lkdeiur2
    @349lkdeiur2 Рік тому +10

    우리나라는 손을안대서 그렇지 손만되면 못하는게없어..

  • @olirontruth1741
    @olirontruth1741 Рік тому +7

    핵심 소부장 국산화율 제고가 화급한 상황이지요

  • @user-tu8tq2uo4e
    @user-tu8tq2uo4e Рік тому +7

    이제...나라의 미래를 위한 인재 육성의 일환으로 젊은 인재들을 이공계로 유도해야한다 이공계 학생들의 등록금면제와 숙식제공 용돈지급 취업보장 취업 후 성과에ㅂ따른 강력한 인센티브를 보장함으로써 인재확보에 정부와 대기업이 앞장서야한다

  • @user-or6kv5xq1f
    @user-or6kv5xq1f Рік тому +9

    항상 응원합니다. 과학자 대한민국에 보배들 이세요~

  • @user-wk3ht3zm7d
    @user-wk3ht3zm7d Рік тому +16

    넘 멋지네요!😊

  • @alphago410
    @alphago410 Рік тому +21

    F135 엔진이 폭발적인 추력을 기록할수 있는 근원이 레늄합금량을 늘려 터빈 입구온도를 극한으로 높일수 있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레늄은 매우 희귀하여 금보다비싼건 물론 구하기가 쉽지않죠

  • @leekwanhee3825
    @leekwanhee3825 Рік тому +5

    훌륭한 한국인에 감사를 표합니다

  •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Рік тому +27

    강의력, 설명력이 정말 최고입니다.
    흡인력, 음색, 음량, 요약, 내용 모든 게 최곱니다.

  • @diablo34739
    @diablo34739 Рік тому +5

    교수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응원하는 사람 많다는것도 잊지마시구요~

  • @khl4185
    @khl4185 Рік тому +4

    가슴이 웅장해지는 인터뷰네요. 감사합니다

  • @BhangRonBooks
    @BhangRonBooks Рік тому +18

    16:52 한국 산업화 과정 특징을 엿볼 수 있는 얘기라고 봅니다. IMF 사태 때 급하게 그동안 해 오던 일본경제 추종 정책에서 벗어나 곧바로 미국의 닷컴 웨이브, 디지털 경제로 방향 전환한 것이 신의 한 수 였다고 봅니다. 아직까지 G7 국가들이 선점한 기초과학, 특히 소재산업은 뒤쳐져 있지만 일단은 돈을 벌 수 있는 응용 분야에서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거기서 번 돈으로 거꾸로 소재에 투자할 수 있는 것이죠. 앞으로도 이런 기조는 계속해서 밀고 나갈 수 밖에 없는 처지라는 것이 어쩌면 더 다행이라고 봅니다.

  • @bos9737
    @bos9737 Рік тому +5

    말씀에 동의 합니다 기술력 가진분야가대우를 받아야 하는데 정부와 정치권과
    국민들이 이제 적극적인 지원이 되어야지 과학자 분들이 더
    열의 갖고 두뇌급분야에 진출 할것입니다 지금은 검판사 의료계로 이분보다 과학자분들이 대우를받아야 무기뿐이 아니라 말로 해아릴수 없이 많이 있기에 무궁무진 하게 많이 있습니다

  • @user-od2wj2bh8h
    @user-od2wj2bh8h Рік тому +41

    국가의 암적인 존재들 정치 ,법하는 놈들보다 직접 나라의 미래를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시는 이공계 연구자 엔지니어 여러분들께 무한한 감사 감사 올립니다 .

  • @user-zq2rb6ff1b
    @user-zq2rb6ff1b 2 місяці тому +2

    모든 비행체 엔진의 국산화 일등 제일을 위하여!!!♥

  • @myeongcheolsin4552
    @myeongcheolsin4552 Рік тому +21

    획기적인 산업물질인데 항공 우주 방산 등에 광범위 하게 적용하면 경쟁력을 높이는 획기적인 일이 일어 날것이다!

  • @bae9678
    @bae9678 Рік тому +12

    존경합니다 ..

  • @user-ey9zw7ok6o
    @user-ey9zw7ok6o Рік тому +8

    수고하시네요. 그런데 아직도 미국,일본같은 곳을 따라가려면 한참 멀었군요.
    전투기 엔진 같은 것을 만들기에는 현재 목표치 보다 약 200도는 더 높아야 하는 것으로 아는 데,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fe9pw3nv5n
    @user-fe9pw3nv5n Рік тому +8

    존경합니다

  • @kopura4055
    @kopura4055 Рік тому +3

    와!!! 말이 필요 없습니다 ~~~~~ 존경!!!!!! 존경!!!!!!! 존경!!!!!!!!! 우리의 미래입니다 ~~~~~~~

  • @user-fk4sc5vb3z
    @user-fk4sc5vb3z Рік тому +4

    자동차 항공기 정밀기계류 등등~ 품질의 원천이 바로 합금이죠~

  • @user-po2nk3nu6j
    @user-po2nk3nu6j Рік тому +7

    이런 구체적 기술은 발표를 할 필요가 없는데...경쟁국에 넘어가지는 않는가? 항상 비밀은 유지해야한다.

  • @chal-woongkim8911
    @chal-woongkim8911 9 місяців тому +3

    바로 그렇습니다.그겁니다.노고가많으십니다.든든해지는 마음입니다.❤😮😊

    • @chal-woongkim8911
      @chal-woongkim8911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연구실 작업을 하다보면 뭐 저런걸갖고 씨름들을 하나싶어었지요.

  • @JS-kz4wi
    @JS-kz4wi Рік тому +15

    설명을 잘 하시네욥 굿굿

  • @subbuilder3563
    @subbuilder3563 Рік тому +4

    어려운 토픽을 간략하게 설명해 주신데 감사드립니다.

  • @tsolidus1
    @tsolidus1 Місяць тому +2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과학분야 인재들이 편안하게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복지 등 국가차원에서 아낌없이 지원해야 한다.법복착장의 이념적인 철밥통들의 비생산적인 소위 사자 공화국에서 벗어나야 대한민국이 진정한 선진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 @user-xu7vg9bj4m
    @user-xu7vg9bj4m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경의를 표합니다.

  • @bangmo7
    @bangmo7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우리는 자신의 잠재성을 실감하지 못 할 때가 많습니다. 박사님 말씀대로, 시스템 통합에서, 부품으로, 부품에서 소재로.... 세계 최첨단 수준까지 진행 중입니다. 전세계에서 금속분말을 누가 가장 잘, 누가 가장 경제적으로 만드나? 전세계에서 적층성형-소결 프로세스를 누가 잘 진행하나? 무냉각, 무코팅 조건에서, 기계구조적 특성을 주변온도 몇 도까지, 자체온도 몇도까지 유지하나? 이런 극한 게임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좀 겁납니다...

  • @leehis8617
    @leehis8617 Рік тому +4

    과학자 1명 이 인류
    수많은 인종을 구원한다

  • @user-oe1wb7kb8w
    @user-oe1wb7kb8w Рік тому +3

    멋진사람

  • @user-vz8nx9ur1b
    @user-vz8nx9ur1b 3 місяці тому +4

    요즘 금속 소재 및 제트 엔진 기술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언론에 나오면서 정말 열심히 노력하시는 과정을 들으면서 저도 힘을 얻습니다..
    꼭 성고 하시길 바랍니다.. 몇 개월간 생각날때 마다 5번은 본듯하네요.. 제작자 분들도 이런 이야기 많이 방송 바랍니다..

  • @glee8072
    @glee8072 Рік тому +5

    세상을 바꾸는 것은 과학자들입니다.^^

  • @user-kd6yd7ql2k
    @user-kd6yd7ql2k Рік тому +3

    다공성금속에 세라믹코팅을 하면 수축에도견디고~~~ 강도도 유지하고~~~ 온도에서도 견디고~

  • @hongkim1225korea
    @hongkim1225korea Рік тому +4

    이런분이 많아야 됩니다.중국은 이런분이 몇십만 단위로 많고요 중앙정부에서 최고의 대우를 해준답니다.
    한국은 이분야가 고달픈 직업 이며, 정부는 무식해서 이들을 돕지도 못해요, 다 대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죠, 이 열악한 환경에서 안타/홈런이 나오니 기막힌 기적 입니다. 방위청이 삥이나 안챙기는지 모르겠어요, 군인들도 부정부패가 말도 못할정도로 심해요. 하나님이 한국을 도우니깐 이런 인재가 탄생 하죠, 박사님 힘내세요! 당신이 진정한 애국자 입니다.

  • @sungjojeong2396
    @sungjojeong2396 Місяць тому +1

    박사님이나 사회자님이나 모두 대한민국의 미래기술에 대한 진솔하고 귀중한 대화에 깊은 감동받았습니다. 우리나라의 첨단 기술의 수준과 미래기술에 대한 방향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미래 과학 기술과 선진 사회 발전을 위하여 헌신하고 계신 과학자 여러분들과 각계 각층에서 헌신하고 계신 모든 분들에게 고마움과 감사함을 전합니다.

  • @user-nh6ql6xw5q
    @user-nh6ql6xw5q Рік тому +6

    전문가 이네요...

  • @hasselp2688
    @hasselp2688 Рік тому +18

    백금도 녹는점이 1800도 가량인데...
    워낙 전문가급 분들이 보는 채널이라 그럴수 있지만...
    일단 무겁고 기계적 특성이 안나오거나 가공이 어렵거나 한 소재를 제외하고...
    라는 전제를 깔아줬으면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쉬웠을듯 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

  • @touchmr2388
    @touchmr2388 Рік тому +5

    오 금속과 세라믹을 분말로 만들어 섞을 수가 있는 거군요. 주조보다 훨씬 좋다. 일반인 입장에서는 처음 듣는 얘깁니다. 잘 들었습니다.

    • @user-wd4iu1nt1q
      @user-wd4iu1nt1q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써맷 이라고 부르지요. 백열전구 나 진공관의 도입의 유리와 접합되는 부분에 쓰이기도 하지요. 근래 시티즌의 고급시계 케이스 둥에도 이런걸 사용한다고 자랑 하더군요.그리고 전자부품에도 사용합니다. 써멧 저항기 가변저항기 등.

  • @user-zj1wg7zh9y
    @user-zj1wg7zh9y Рік тому +3

    하나님의 오묘한 솜씨 입니다
    주여 하나님 이십니댜

  • @user-mz7cj8fw6x
    @user-mz7cj8fw6x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어디선가 묵묵히 최선을 다해 큰결과물을
    만들어주고 고생 많으셨다는 말을 남깁니다
    어디선가 흥청망청 나라말아먹는 lh공사직원 국회의원
    국토부 검사 고위공직자 군장성 특히 사단장 이젠 정신좀 차리길

  • @trinity1203
    @trinity1203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런 과학기술의 핵심코어 인재들은 국가 유공자로 지정해야 됨. 훈장도 주고 세금 면제도 해줘서 자긍심을 올려줘야됨. 그런거라도 해야 늑대같은 중국 공산당 놈들한테 푼돈으로 팔려가는 일이 적어지지

  • @user-et8se3od1p
    @user-et8se3od1p Рік тому +12

    말씀하시는데 구라, 뻥 이런 것들이 흔적조차 안 느껴지네요. 그냥 정확한 과학적 FACT를 논리 정연하게 설명하시네요. 그것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발음도 정확하게요. 머리가 충분히 좋아야만 가능한 것이겠지요. 이런 분들이 존경 받아야 합니다.

  • @youngsiklee4836
    @youngsiklee4836 Рік тому +4

    KF-21엔진 국산화가 가까워진 것 같습니다

  • @user-so5dj1ln8b
    @user-so5dj1ln8b Рік тому +8

    SUPERALLOY MASTER HEAT 사다 쓰면 되는데 왜 개발 하려는지? 미국회사제품을 능가하는 SUPERALLOY 개발은 경제성 없고 매우 어려운 과제. 중요한 엔진핵심부품 설계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

  • @user-nh6ql6xw5q
    @user-nh6ql6xw5q Рік тому +6

    바이트 에도 적용 돼요 쇄를 깍는 깔이 온도하고 싸움이조 고경도 열처리 된 hrc70정도 가공할수 있는 바이트 만들면 문제해결 하면 돼겼네요(설명 잘하시네요 pvd cvd ).......

  • @user-gg8xq9ks4t
    @user-gg8xq9ks4t Місяць тому

    국방과학자는 물론이고 나라의 진정한 힘이 되어 주시는 과학자들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 @yhnam61
    @yhnam61 Рік тому +3

    👏👏👏👍👍👍

  • @user-nh6ql6xw5q
    @user-nh6ql6xw5q Рік тому +4

    press 가공 소재하고 철강 야금 분야를 더욱더 노력헤야갰지요 부품운 금형업채 하고 대기업 보다 소기업 하고 상생 해보세요 저렴하개 실험할수 있으요

  • @skid631
    @skid631 Рік тому +3

    과학자들이 실컷 기술개발을 해 놓으면 정치인들이 앞길을 말아먹고 있네요
    서로 다른 분야들을 접목 시켜서 또 다른 기술화를 꾀할 수 있도록 중계역할을 하는 전문체계가 있으면 좋겠는데 그런데는 죄다 내부정보로 투기나 하고 있으니

  • @Jeleetube
    @Jeleetube Рік тому +3

    엄지척~

  • @user-wf5nf5fk3j
    @user-wf5nf5fk3j 9 днів тому

    사랑합니다
    존경합니다
    과학자의 길
    의학도보다 더 물질적
    대접을 받아야 합니다

  • @user-li4zd1yd6h
    @user-li4zd1yd6h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게 유튜브 이지

  • @ChunYun-hh8kl
    @ChunYun-hh8kl Рік тому +6

    예 몇 천도?
    와 대박 👍
    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대단 하십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휴스턴 텍사스 에서

  • @user-ry6dj8zz4k
    @user-ry6dj8zz4k 20 днів тому

    생기원 김휘준 박사님. 개괄적인 설명 쉽게 이해 시켜줘서 감사 합니다.
    초딩들도 이해 하도록 설명하라! 이것이 평소 주변 사람들께 주장하던 바 입니다.

  • @josephpark7141
    @josephpark7141 3 місяці тому +2

    참 잘 했어요!

  • @user-bz5ft5qf6n
    @user-bz5ft5qf6n День тому

    이런 극비에 해당하는 중요한 정보를 공공스럽게 하는데ᆢ

  • @user-sp6eh7cr1f
    @user-sp6eh7cr1f 4 місяці тому +3

    지금 정부가 과학기술 분야에 예산도 깍았지요 점점 늘려왔는데 미래에 과학을 연구자들을 투자를 많이해야 대한민국이 위대해집니다

  • @sangminhong1804
    @sangminhong1804 Рік тому +5

    너무 국가기밀을 사회자분이 박사님께 여쭤보는거 아닌가요 우리 유능한 과학자들을 보호해야하는데 이거 보안이 걱정되네요

  • @user-nh6ql6xw5q
    @user-nh6ql6xw5q Рік тому +4

    초경 이요 뭔가 좀아시내 대한중석 한국 코로이

  • @ssajtv0516
    @ssajtv0516 Місяць тому +1

    전투기 엔진 브레이드 날개 와 특수 소재 고온을 견뎌 야 하는 금속에 딱 이네요.

  • @user-yz4xe3zj4h
    @user-yz4xe3zj4h Рік тому +2

    엔진 브레이드는 단조나 소결로 만들어야 될것 같은데 3D 프린트로도 금속조직 형성에 결함이 없나

  •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Рік тому +4

  • @SKProgressives
    @SKProgressives Рік тому +2

    세라믹이랑 합금 사이 팽창틈을 둬서 공냉. 수냉. 유압 틈으로 자동 복원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될꺼 같은데?

  • @jongheonjeong3055
    @jongheonjeong3055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제발 R&D 예산좀 깍지 맙시다....

  • @suhyunkim3581
    @suhyunkim3581 Рік тому +3

    합금 생산 가공은 어디서하나요?? 일반가공업체들도 할 수 있나요?

  • @beshuah99
    @beshuah99 Рік тому +4

    머리 좋은 사람들이 과학계로 들어가서 나라를 살리고 인류를 살려야 하는데 돈이 된다고 죄다 의사 되고 법조인 되려고 하니

  • @user-py8pc1wx9m
    @user-py8pc1wx9m Місяць тому +1

    수천 도씨에 끄떡 없는 합금을 만들려면 이 세상에서 볼 수도 없고, 개발하지 못한 상상을 초월한 우주에서도 버티는 초고압 기술과 초고압에 버티는 재료를 우선 개발해야 가능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초고압 밀도로 만들어지는 재료는 뜨거운 온도가 재료로 들어 갈 수 없도록 하여야 합니다.

  • @user-tp5tq9ue8q
    @user-tp5tq9ue8q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인코넬718 특수 금속은 극온 몇도 까지 견딜수가 있는지가 궁금을 하군요!!~~ 옛날에 회사 에서 전기로 로심관 인코넬 재질로 만든 로심관 관리를 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 @user-do8vn3hh2t
    @user-do8vn3hh2t 29 днів тому

    소재와 소결방법에 획기적인 발전이 있기를...

  • @ACB12347
    @ACB12347 2 місяці тому +2

    불에탄 숯, 탄소 다이어몬드, 흑연, 그라파이터는 고온특성 없을까요.그래파이터 연구하는 사람들이 산소와 결합안되는 특성 만들면 좋을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