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파이 5분어원] 005 메세지의 본질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세상에서 제일 쉬운 어원학습
    같은 말이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비슷한 말이 각각 다르게 쓰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이런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이런 차이를 넘어서는 방법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언어가 헤쳐 온 장구한 역사를 살피다 보면,
    우리가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도
    그 차이가 티끌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script]
    인도 우화 중에 원숭이의 간을 구하려고 육지에 올라 온, 민물 돌고래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가 스리랑카로 건너 가면 민물 돌고래는 악어가 됩니다.
    스리랑카 사람들은 민물 돌고래보다 악어가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가 중국으로 건너 가면 악어는 용이 됩니다.
    중국 사람들은 악어보다 용이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가 한국으로 건너 오면 원숭이는 토끼가 되고 용은 거북이가 되는데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별주부전입니다.
    이처럼 스토리를 도착지의 문화적 특성에 맞게 바꾸는 작업을 현지화라고 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스토리의 현지화라고 하겠습니다.
    이 그림은 스페인의 성모마리아입니다.
    이 그림은 한국의 성모마리아입니다.
    일본의 성모마리아
    아프리카의 성모마리아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성모마리아
    인도의 성모마리아
    우리는 성모마리아는 단 한 사람, 단 하나의 모습이라고 생각하지만
    세상에는 지역마다 수많은 성모마리아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이미지의 현지화라고 하겠습니다.
    어머니는 영어로 mother라고 합니다.
    라틴어는 mater
    그리스어는 mitera
    독일어는 mutter
    프랑스어는 mere
    구자라트어는 madhara
    펀잡어는 mata ji
    산스크리트어는 matri입니다.
    도착지마다 철자도 다르고 소리도 다르지만
    이 단어들은 모두 어머니라는 말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음성의 현지화라고 하겠습니다.
    --------------------
    지금으로부터 4천년 전에 아리아인들은 첨단 제품을 가지고 인도로 왔습니다.
    이 첨단 제품의 이름은 cakra입니다.
    한국에서는 이것을 cha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car라고 합니다.
    cha, cakra, car,
    도착지마다 철자도 다르고 소리도 다르지만
    이 단어들은 모두 바퀴라는 말입니다.
    인도에서는 불의 신을 agni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불을 지피는 곳을 아궁이(agungyi)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불을 붙이는 것을 ignite라고 합니다.
    agungyi, agni, igni,
    도착지마다 철자도, 소리도, 쓰임새도 다르지만
    이 단어들은 모두 불이라는 말입니다.
    wine은 포도주입니다.
    vine은 포도나무입니다.
    bine은 넝쿨식물입니다.
    wine, vine, bine,
    철자도, 소리도, 쓰임새도 다르지만
    이 단어들은 모두 포도라는 말입니다.
    도착지의 자연적 특성에 따라 등장인물은 바뀔 수 있지만
    메세지는 변하지 않습니다.
    도착지의 인종적 특성에 따라 이미지는 바뀔 수 있지만
    메세지는 변하지 않습니다.
    도착지의 음성학적 특성에 따라 소리는 바뀔 수 있지만
    메세지는 변하지 않습니다.
    지시하는 대상에 따라 소리는 바뀔 수 있지만
    메세지는 변하지 않습니다.
    이처럼 어원학습은 상황에 따라 바뀌는 현상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메세지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www.wordpie.co....

КОМЕНТАРІ • 1

  • @죽고-e6t
    @죽고-e6t 7 років тому

    웬지 빠져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