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Newton and Leibniz understood curves?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19

  • @mygrnu
    @mygrnu 3 місяці тому +1

    쉬운 설명과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미적분에 대해 다시한번 정리하는 느낌이네요.

  • @ytrewq134
    @ytrewq134 2 місяці тому +1

    5:06 에서 왜 +5Oa는 사라지나요???

    • @jh_math
      @jh_math  2 місяці тому

      양변에 리미트 취해서 오미크론을 0으로 보낸것과 비슷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오미크론은
      무한히 작아져 0으로 수렴하는 값으로 간주됩니다

  • @sesame-t5d
    @sesame-t5d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처음들어보는 스플라인곡선.. 자동차에 적용이 되는 아주 유용한 미분원리네요. 영상의 퀄리티가 매우 높습니다.

  • @대흥민
    @대흥민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 퀄리티가 어마무시 합니다 선생님 ㄷㄷ 구독할게요

  • @sesame-t5d
    @sesame-t5d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 많이 기다렸습니다. 역쉬 기대를 충족시키는 훌륭한 퀄~~~

    • @jh_math
      @jh_math  6 місяців тому

      기다려 주셨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

  • @junghoroh
    @junghoroh 6 місяців тому

    Very gooooooood👍👍👍👍

  • @khrlove0515
    @khrlove0515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정확히 1000명째 구독자라 영광입니다 🎉

    • @jh_math
      @jh_math  6 місяців тому

      앗 네! 저도 영광입니다 ^^

  • @jasonkim7772
    @jasonkim7772 6 місяців тому

    미분적분의 방법으로 몸의 움직임을 시각화 할 수 있을까요? 수학의 수자도 몰라요😢

    • @jh_math
      @jh_math  6 місяців тому

      몸의 움직임을 구현한다면, 3D 애니메이션으로 가능합니다.
      제가 확인한 바는 아니지만,
      블랜더와 같은 3D 애니메이션 제작도구의 작동 원리도
      당연히 그 안에 미분을 이용한 계산이 있을 것입니다.
      그것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자가 쉽게 부드러운 곡선의 형체를 만들고, 움직임도 만들어 내는 것일꺼예요.

  • @융순이-s5y
    @융순이-s5y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래프 확대 영상 짱이네요 ㅎㅎ
    고퀄 영상 정말 훌륭합니다!!

  • @user-guitar-melon
    @user-guitar-melon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런건 무슨 프로그램으로 만드시는건가요??

    • @jh_math
      @jh_math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매님이란 코딩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

  • @sang-jinri7491
    @sang-jinri7491 4 місяці тому

    발명이자 발견이기도 합니다.

  • @allesmine
    @allesmine 6 місяців тому

    오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옛날에 미분 배웠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ㅋㅋ 그때도 이렇게 배경지식이나 흥미로운 주제를 학교샘이 곁들여 설명해주셨다면 훨씬 재미나게 수업 들었을텐데 😢 영상 잘봤습니다

  • @냐옹이-o1r
    @냐옹이-o1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잘봤습니다.미분 기호만 보면 분수처럼 생겼는데 설명을 들으면 분수로 보이기도 하는데 분수로 이해해도 문제가 없는 건가요?

    • @jh_math
      @jh_math  6 місяців тому

      네 기호가 분수의 형태입니다.
      그러니 분수는 아닙니다.
      하지만, 기호가 정의를 그대로 본 떠 만든 상형문자? 같은 모양이라
      미분방정식을 계산하거나, 치환적분을 통해 변수를 바꿀 때 등
      복잡한 계산에선 분수처럼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