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 "제발 보지마라" 호소하는 이유 | "숏폼만 봤더니 집중력 47초로 뚝" | SBS 이슈라이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5

  • @ggoggosu
    @ggoggosu 4 години тому +2

    숏폼 중독자라 30분짜리를 다 못보겠어요 30초로 만들어주세요..

    •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2 години тому

      숏폼을 도파민 중독으로 설명해 왔는데 이번 연구로 수동적 자극 반응에 활성화 되는 뇌와 유사해진다는걸 알아서 숏폼은 집중력 부족을 유발하고 그 틈을 파고들었다고 본답니다.

    •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2 години тому

      저는 게임 중독인데 아마 비슷한 맥락이겠죠. 운동부 애들이 공부할 때 애먹는 이유도 이 연구로 설명가능할 듯 합니다.

  • @byeonggug
    @byeonggug 4 години тому +1

    방송들 중간에 광고 나오는 것 그래요 집중력이 떨어지죠
    뉴스는 집중해서 보는데 중간에 광고 나오면 이후 영상은 집중해서 보기 어려워요
    유튜브는 짦게 넘겨 버릴 수 있어요
    고객 맞춤형으로 오늘 기자님 말씀 그리고 고객들의 필요와 니즈를 연결해서 생각한다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겠죠?
    kbs는 광고를 많이 줄였더라고요. 요즘 많은 언론사에서 중간에 광고를 줄여주신 부분은 좋은데 여전히 일부 나오면 집중력 떨어져서 넘기고 과학적 설명 가능한 거죠.
    저는 이전에 방송 보는데 광고 중간에 뜨기 시작한 게 미친 영향도 상당히 크다고 생각해요. 중간 광고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시간을 줄이든지 아예 이전처럼 끝나고 넣거나 시간표 등을 알려주시는 것도 유튜브나 이런 곳을 통해서 한 방법일 수도 있죠 tv를 다시 찾아서 보는 문화가 생길지 모르잖아요.
    다른 한 편으로는 사람들이 점점 바빠지고 사회가 다변화 되면서 짧은 시간에 대응해야 할 일이 늘어나는 것 일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앞에 이야기 한 것도 하나 일 거고 다른 하나는 그런 상황에서 숏폼의 시초가 광고고 미국이 먼저 그렇게 방송 하지 않았나요? 너무 돈 논리로만 생각해도 적절하지 않다. 좋은 컨텐츠에 대한 고민은 한류처럼 이어지기도 한다
    좋은 방송에 대한 고민은 필요합니다. 너무 돈 논리에만 빠지지 않기를 바라요. 돈은 도구일 뿐 입니다. 정부는 방송 탄압 하지 말고 방송은 좋은 사회 함께 고민 해 가 보아요. 항상 감사히 시청하고 있어요. 그래도 바쁜 세상에 소통 창구 아니겠어요. 생각보다 주변 상황이 영향을 많이 미치더군요. 이웃이 되어 주시는 방송인 분들 감사드리고 우리 몸 같은 분들이니 서로 아껴드리고 사랑하기를 바랍니다.

  • @현우빈-q8l
    @현우빈-q8l 4 години тому +1

    그럼 법으로 막던지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