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름 줄줄 새는 휴폐업 주유소..'방치' 이유는 (뉴스데스크 2024.06.27 광주MBC)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6 чер 2024
  • (앵커)
    문을 닫고 영업을 하지 않는 휴폐업 주유소,
    우리 주변에서 더는 낯설지 않은 익숙한 풍경이 되고 있죠.
    환경 오염과 화재 등 사고 위험이 높지만
    철거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데요.
    무슨 이유인지 안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여 년 동안 이어온 영업을 정리하고
    지난해부터 휴업에 들어간
    전남 영암의 한 주유소입니다.
    한 켠에는 소주병과 먹다 버린 음식물 등
    각종 쓰레기들이 널려있고
    녹이 슨 자동주유기 아래는 기름이
    새어나와 까맣게 변해버렸습니다.
    주유소 건물 옆 세워진 기름통 역시
    오래된 폐기름들이 새어나오는 상황.
    폐기름을 채취해 물 위에 섞어보니
    기름 때가 둥둥 떠다닙니다.
    휴업한 채 방치된 주유소 곳곳에는
    이처럼 폐기름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 영암군청 관계자
    "휴업 사유는 손님이 점점 줄다보니까..
    2년 간 연장 신고해놨습니다.."
    30여년 간 운영을 이어온
    목포의 한 주유소도 올해 초부터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 목포시청 관계자
    "운영 자금 부족이 (휴업)사유고요..
    영업이 잘 안돼서 운영자금이 부족하다.."
    현재 전남에 있는 주유소 1천여 곳 가운데
    휴폐업에 들어간 주유소는 170여 곳으로
    전체의 15%를 넘겼습니다.
    주유소 업계는 알뜰주유소로 인한 가격 경쟁과
    고속도로 신설로 인한 국도 이용 감소가
    휴폐업의 주된 이유라고 말합니다.
    * 이상환/한국석유유통협회 실장
    "(신설)도로가 직선화 될 경우가 있잖아요,
    일반 국도가 사도가 되잖아요, 그 다음에
    알뜰주유소 경쟁에서 밀려가지고 운영이 어려워져서.."
    문제는 이처럼 방치된
    휴폐업 주유소들이 화재 등 각종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해남의 한 폐주유소에서는
    공터에 폐목재를 대신 쌓아놨다
    인근 주민이 쓰레기를 소각하던 불이
    크게 번지기도 했습니다.
    * 나광국/전라남도의원
    "(휴폐업주유소는) 폭발이나 화재,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산재하고 있는데요, 문제는 이런 휴폐업 주유소를 철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철거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입니다."
    주유소 철거 과정에서 필요한
    석유 저장탱크 및 토양 정화 등 작업에는
    억 대에 달하는 비용이 필요한 상황.
    경영 악화와 재정난을 호소하며
    폐업한 주유소들이 철거를 엄두내지 못하는
    주된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도시 미관을 해치고, 오염과 범죄,화재 위험 등
    각종 문제를 안고 있는 만큼 폐업 주유소 문제를
    단순히 업체에만 맡길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 노귀석/전라남도 자원개발팀장
    "대부분이 재정난으로 휴폐업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감안해
    전기차 충전시설 혹은 물류시설을 갖춘 복합주유소 등
    활용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중입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3천 4백 곳 이상의
    주유소가 휴폐업에 들어간 가운데
    경제에너지연구원은 2040년까지
    전국 만 1천여 곳의 주유소 가운데
    약 70% 가량인 8천여 곳의 주유소가
    문을 닫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MBC 뉴스 안준호입니다.
    #폐기름 #휴폐업 #주유소 #방치 #철거

КОМЕНТАР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