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들 잘 보고 있습니다! 작년에 올려주신 백설희 선생의 '물새 우는 강 언덕' 관련해서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ua-cam.com/video/LGDUPonTlZ4/v-deo.html 1960년에 일본에서 나온 소노시트(ソノシート)인데, 5분 1초 경에 "그 무렵 몰래 조선에서 불리던 일본조 유행가"라고 나오는 노래가 '물새 우는 강 언덕'인 줄 알았는데, 다시 들어보니 가사도 '~언덕 위에 그대와 둘이서'라서 뭔가 미묘하게 다른 것 같습니다. 혹시 어떤 가수의 음원인지 알 수가 있을까요? 항상 유익한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흥미로운 자료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에서 소노시트가 많이 활용되었던 걸 알고는 있었지만, 이런 건 처음 들어 봅니다. 게다가 이향란의 목소리라니요. ^^ 노래는 은 물론 아니고, 권혜경 선생의 1957년 곡 입니다. 큰 히트작은 아니지만, 박춘석 선생의 멜로디가(작사도 박춘석) 괜찮은 작품입니다.
@@songcing 와 정말 감사합니다!! 가사를 아무리 검색해도 안 나와서 한참을 헤맸는데, 역시 대단하십니다..!! 이 자료가 여러모로 흥미로운 게, '행복의 문' 앞부분에 나오는 남인수 선생의 '가거라 삼팔선'은 레코드를 못 구했는지 재일조선인 한 명을 불러다가 녹음했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전체 내용 자체도 50년 후(2010) '완전히 할머니가 된(すっかりお婆さんになった)' 이향란이 50년 전(1960년)의 일본과 조선의 불행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내용인데, '도라지'와 '아리랑', '가거라 삼팔선'과 '행복의 문'이 사용된 게 인상적이네요. (그러고보니 이향란 선생은 2014년까지 생존해 계셨네요 ㄷㄷ)
잘 들었습니다. 아리랑 다음으로 중요한 민요가 도라지인데... 아리랑 비해 관심이 너무 적어 안타깝습니다. 그 당시 신나라에는 학문적으로 연구할 인력이 없습니다. 최승이 유성기음반만 살펴보았더라면 이런 실수를 하지 않았습니다. 신나라에서 최승이 음반 한장 구했는데 최승이를 모르니까 이게 최승희가 아닌가 싶어 소리공학자에게 부탁읗 했는데 이런 실수를 했는가 싶습니다.
잘.들엇습니다..감사합니다
흔히 아는 도라지 타령도 첫소절에 백도라지가 나오냐 안나오냐가 다른데 나오지 않는 도라지 타령과도 또 다른 가사의 도라지타령이네요
도라지 하니까 심연옥 선생의 도라지 맘보도 생각이 나네요 ㅎㅎ
초창기 음반에는 오히려 '백도라지'가 별로 등장하지 않습니다. ^^ 세월 따라 노래 가사도 조금씩 바뀌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는 합니다. 는 정말 '라틴 신민요'의 명작이라 할 수 있지요.
안녕하세요.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들 잘 보고 있습니다!
작년에 올려주신 백설희 선생의 '물새 우는 강 언덕' 관련해서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ua-cam.com/video/LGDUPonTlZ4/v-deo.html
1960년에 일본에서 나온 소노시트(ソノシート)인데, 5분 1초 경에 "그 무렵 몰래 조선에서 불리던 일본조 유행가"라고 나오는 노래가 '물새 우는 강 언덕'인 줄 알았는데, 다시 들어보니 가사도 '~언덕 위에 그대와 둘이서'라서 뭔가 미묘하게 다른 것 같습니다.
혹시 어떤 가수의 음원인지 알 수가 있을까요?
항상 유익한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흥미로운 자료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에서 소노시트가 많이 활용되었던 걸 알고는 있었지만, 이런 건 처음 들어 봅니다. 게다가 이향란의 목소리라니요. ^^ 노래는 은 물론 아니고, 권혜경 선생의 1957년 곡 입니다. 큰 히트작은 아니지만, 박춘석 선생의 멜로디가(작사도 박춘석) 괜찮은 작품입니다.
@@songcing 와 정말 감사합니다!! 가사를 아무리 검색해도 안 나와서 한참을 헤맸는데, 역시 대단하십니다..!!
이 자료가 여러모로 흥미로운 게, '행복의 문' 앞부분에 나오는 남인수 선생의 '가거라 삼팔선'은 레코드를 못 구했는지 재일조선인 한 명을 불러다가 녹음했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전체 내용 자체도 50년 후(2010) '완전히 할머니가 된(すっかりお婆さんになった)' 이향란이 50년 전(1960년)의 일본과 조선의 불행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내용인데, '도라지'와 '아리랑', '가거라 삼팔선'과 '행복의 문'이 사용된 게 인상적이네요. (그러고보니 이향란 선생은 2014년까지 생존해 계셨네요 ㄷㄷ)
잘 들었습니다. 아리랑 다음으로 중요한 민요가 도라지인데... 아리랑 비해 관심이 너무 적어 안타깝습니다. 그 당시 신나라에는 학문적으로 연구할 인력이 없습니다. 최승이 유성기음반만 살펴보았더라면 이런 실수를 하지 않았습니다. 신나라에서 최승이 음반 한장 구했는데 최승이를 모르니까 이게 최승희가 아닌가 싶어 소리공학자에게 부탁읗 했는데 이런 실수를 했는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