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몇마리씩 찾아오는 왜가리들, 요녀석은 조금 다릅니다.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왜가리랑 비교를 해보고 싶었는데 둘이 같이 있을 일이 없었네요 😅
공원에서 짧게 머물고 갔습니다. #붉은왜가리
------------------------------------------------------------------------------------------------------------------------
✅ 이 영상은 뮤팟이 제작한 배경음악을 사용했습니다🐱
🎵 기분 좋은 햇살에 눈 뜬 아침 - Download: www.mewpot.com
🎵 Butterfly Harmony - Download: www.mewpot.com
04:40 아 붉은왜가리 나는 모습 왜케 웃기죠ㅋㅋㅋㅋ 다리 덜렁덜렁ㅋㅋ
영상 잘봤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세욧!!
나는 거 보고 아이고 멀리 못가겠네 생각 들었는데, 적응하고 바다까지 건넜다니 다행입니다.
04:4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덜렁덜렁
Hooo😮 muy bien
thanks. 😊
추적기 어느 제품인가요? 처음보는데 신기하네요
중국산을 썼다 문제가 생겨 바꾼건데 저도 정확히 기억이 안납니다😅
헉…야생동물수의사가 장래희망인 고등학생입니다..! 이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려운 길을!… 응원합니다!!🙂👍👍
중국까지 무사히 갔다니 다행이네요^^ 저도 딱 한번 붉은왜가리 보았어요~
우와 벌써 중국 갔군요. 건강하게 방생 성공했네요.
왜가리가 목을 뒤로 뺀건 활시위를 뒤로 당긴것과 같다고 함.만질때 절대조심
고도님 인터넷이나 자료를 찿아보니 왜가리, 백로를 왜가리과 라고 하는데도 있고 백로과라고 하는데도 있던데 왜 그런가요?
중백로 이상부터는 왜가리속으로 분류 하고 그 이하 크기 애들은 백로속으로 분류할거에요. 크게는 전부 왜가리과로 보고 있습니다. 중백로 이상의 새들과 왜가리는 유전적으로 아주 가깝습니다. // 정정합니다. 저희측 도감에서도 백로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해소 됐어요.
왜가리는 백로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있는건가요??
나무위키랑 도감이 다르게 나와 있어요.
@@최태식-z1f 도감에 나와있는 것이 정확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