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 표가 더 많아도 결국엔 패한다? 특이한 미국 대통령 선거제도 총정리 / 14F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лют 2024
  • 올해는 세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선거가 치러지는 이른바 ‘슈퍼 선거의 해’죠. 그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쏠리는 건 역시 오는 11월에 치러질 미국 대선입니다. 미국 선거제도는 우리나라처럼 유권자들이 직접 대통령을 뽑는 게 아니라, 주별 선거인단을 뽑고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요. 각 주마다 경선 방식과 규칙도 달라서 복잡합니다. 그렇다면 미국의 대통령 선거는 어떻게 진행되고, 왜 이러한 선거 방식을 계속 유지해오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미국 #선거 #대선

КОМЕНТАРІ • 239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3 місяці тому +86

    평론가님 목소리 톤이 너무 좋아요 내용도 진짜 도움되고..오늘도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ㅎㅎ

  • @user-tq4cb8fo8m
    @user-tq4cb8fo8m 3 місяці тому +17

    유튜브에서 본 영상들 중 제일 유익했다. 선거인단이란 단어는 자주 접하면서 왜 관심이 없었을까

  • @yjk92
    @yjk92 3 місяці тому +101

    선거단원이 인구많은 주가 더 많이 받는건 사실이지만 인구비례하면 알래스카같은 작은주의 시민의 투표가 캘리포니아 시민 3명의 투표와 맞먹는 현상이 일어나죠. 승자독식제도때문에 후보가 이길것이라고 확신하는 주와 질게뻔하다고 생각하는 주에는 관심안쓰고 경합주에만 신경쓰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 @tonykim5285
      @tonykim5285 3 місяці тому +1

      오히려 주안에서는 직접민주제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redracing95
      @redracing95 3 місяці тому +13

      미국에서 10년 넘게 살았지만 이 방식은 많이 잘못된것 같아요. 법이 잘못되면 수정할 줄도 알아야하는데 미국 한국 이 두나라는 법을 고치는걸 너무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3 місяці тому

      ​@@redracing95미국에서 오래 사셨는데 왜 미국이 그런 선거제도를 도입했는지 모르시네요 미국의 건국역사를 알아야 선거제도를 이해할수 있습니다
      애시당초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건국할때 13개 주가 전부 따로 국가를 세우려 했어요 종교적 자유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신대륙에 건너온 사람들이라 하나의 국가로 세우면 하나의 정부와 법 아래 결국 자신들의 목적이나 자유를 침해당할까봐 각기 다른 나라를 세우려 했지만 신대륙에는 아직도 영국 프랑스 등 강대국들이 건재했기 때문에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외교 군사는 하나의 국가로 하지만 입법 사법등은 주마다 따로 하기로 협의하고 나라를 세운거고 그래서 미국의 각 주는 국가로서의 모습도 하고 있습니다 결국 각 주는 서로 다른 국가이기 때문에 그 주 안에서 어떤후보가 표를 더 많이 받는다면 그 주 전체는 다수결에 따라 그 후보를 지지하는것으로 보는겁니다 예를들어 캘리포니아주를 한국과 같은 하나의 국가로 본다면 한국에서도 1표차라도 다수표가 유효처리 되는거고 나머지는 무효처리 되는것처럼 캘리포니아도 다수표가 유효처리 돼고 나머지는 무효처리 되는겁니다 이게 승자독식제도입니다 미국의 각 주를 국가로서도 인정하기 때문에 생겨난 제도죠 미국은 하나의 국가가 아닌 50개 국가가 합쳐진 연방 공화국입니다

    • @lastwhisper1210
      @lastwhisper1210 3 місяці тому

      @@redracing95 그래봤자 트럼프가 유리하도록 선거제도 바뀔일 없으니 걱정마셈

    • @user-nv9bf5yz6l
      @user-nv9bf5yz6l 3 місяці тому +4

      근데 시골 일수록 백인 우월주의가 강하고 우리가 못사는 것은 이민 정챡 + 미국이 너무 다른나라에 퍼준다 생각 하는 분들이 많아서
      확실히 트럼프에 유리한 구조인듯

  • @bkhbjh
    @bkhbjh 3 місяці тому +22

    미국의 투표방식이 이래군요 처음알았습니다!! 유익한 영상 좋아요!

  • @user-yf7pu9mx3h
    @user-yf7pu9mx3h 3 місяці тому +36

    이승원_님
    진짜 명쾌하지 않나요?! 똑부러진
    말투라 🎉내용전달이 잘되는것 같아요. 최고임

    • @fortuna-sn8hs
      @fortuna-sn8hs 2 місяці тому +1

      공감해요 이승원님의 질문 진행 참 좋아요

  • @xoox1001xoox
    @xoox1001xoox 3 місяці тому +19

    앞으로 미국 대선이 어떻게 흘러가게 될지 지켜봐야겠읍니다

  • @mrp8086
    @mrp8086 3 місяці тому +11

    선거방법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 @luansen0
    @luansen0 3 місяці тому +3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재밌는 방식이네요
    지역구에 대한 통치자를 뽑는 것이지 국민을 대표하는 대통령을 뽑는게 아니었군요
    그래서 주가 가지고 있는 힘이 세고 각 주가 하나의 나라라는 말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것의 장점을 보자면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를 당선시키고 싶으면 인구가 적은 지역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투표를 행사 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진짜 한표한표가 소중해지겠네요
    우리나라도 해봄직 한것 같기도 하고..
    어차피 누가 뽑히든 그게 그거 같은데 몰아주고 당겨주고 지역감적은 여전하고 이런 바에야 내가 지지하는 후보를 위해서라면 거처를 옴겨서라도 최선을 사람도 나올 수 있겠죠
    의미가 없으려나?

  • @sanyushkaryu
    @sanyushkaryu 3 місяці тому +3

    질문 있습니다~ 영상으로 봤을 땐 코커스와 프라이머리에서는 대의원만 선출하는 거 아닌가요? 근데 왜 그 때 이미 “트럼프 압승” 같은 얘기가 나오는지요? 최종 후보 지명도 양당이 7~8월 전당대회에서나 끝내는 거 같은데ㅠ

    • @joey.k1247
      @joey.k1247 3 місяці тому +5

      공화당 후보들 중 경선에서 트럼프가 압승을 거두었다는 뜻입니다. 자막에도 ‘유력 대권주자’라고 나왔어요. 그러니 대표적 공화당 지역인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도 바이든이 압승을 거두었단 말이 나오는 겁니다. 거기에도 민주당 지부는 있으니까요. 차피 민주당 내부에서만 뽑든 당원+일반 시민들이 뽑든 각 당의 후보 중 대선후보를 결정하는 것이 경선이니까요.

  • @user-or6rn5uq1w
    @user-or6rn5uq1w 3 місяці тому +2

    잼따

  • @Vinoi
    @Vinoi 3 місяці тому +51

    바이든 썸네일 광기네😂

    • @Window11908
      @Window11908 3 місяці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ㅋㅋ😂

    •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3 місяці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h-ur2ov
      @yh-ur2ov 3 місяці тому

      더 보이즈 ㅋㅋㅋ

    • @dagger6527
      @dagger6527 3 місяці тому +2

      홈랜든 ㅋㅋㅋㅋㅋ

  • @user-no5rp4lg1v
    @user-no5rp4lg1v 3 місяці тому +49

    저 선거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이 무섭네요😅😅

    • @GooGoo_ll
      @GooGoo_ll 3 місяці тому +1

      뭐 핵실험하면 됨

    • @HOLYPALADIN82
      @HOLYPALADIN82 3 місяці тому

      핵무장이 애들 장난처럼 쉬운건줄 아나
      한국처럼 수입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에서
      미국등 서방세계에서 제재당하면 어떻게 살려구 하는지
      그렇다고 한국이 중국, 러시아, 북한처럼 반미 국가들이랑 동맹을 할수 있는것도 아니고
      남은것은 제 3세계 국가들이랑 무역 하는 방법인데 그놈들이 제재당하는 한국한테 자원을 참 정가에 팔아주고 한국산 물건을 정가에 사줄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그사람은 생각이 없는 사람이죠.
      그리고 몰래 만들면 된다는 어수룩한 사람도 없기를 바랍니다.

    • @maple4801
      @maple4801 3 місяці тому +2

      @@GooGoo_ll 할 수는 있고?

    • @GooGoo_ll
      @GooGoo_ll 3 місяці тому +2

      @@maple4801 ㅇㅇ 원자력발전소 만들 기술있으면 핵무기는 껌임

    • @maple4801
      @maple4801 3 місяці тому +2

      @@GooGoo_ll 누가 그럼? 핵실험이 무슨 알코올 램프에 불 붙이는 것도 아니고 시설 건설부터 시작해서 핵탄두 폭발까지 성공 시켜야 완성이다.그리고 한국은 핵실험 함과 동시에 바로 풀뿌리만 캐먹고 살아야 한다

  • @Dohan06
    @Dohan06 3 місяці тому +2

    미국은 연방제 국가이기 때문에 각 주가 나라처럼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거죠. 그렇게 생각하시면 미 연방의 선거제도가 합리적일 수 밖에 없죠

  • @goldpak4081
    @goldpak4081 3 дні тому

    이승원 기자님 최고❤❤

  • @camelhan
    @camelhan 3 місяці тому +1

    또람뿌 형이 당선할거 같은디 그것보다 다음 대선이 궁굼하구먼

  • @seonbi6353
    @seonbi6353 3 місяці тому +17

    미국은 연방국가로서 하나의 주를 국가로 보면된다. 우리주는 선거결과 누구에게 투표한다라고 선거인단 뽐는다고 생각하면 됨. 미국전체 득표수가 많아도 선거인단숫자로는 질 수 있는 경우가 생긴다.

    • @user-cc1qw1ut2f
      @user-cc1qw1ut2f 3 місяці тому +1

      그럼 국가가 쪼개지고 분열되고 아메리카 라는 이름도 사라지고 현재 usa로 불리던데 이것도 사라지겠네여 ㅋㅋ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3 місяці тому +7

      ​@@user-cc1qw1ut2f미국은 건국부터 13개 국가가 연합하는 연방 국가로 세워져서 현재는 50개 국가가 연합하는 연방 국가 형태가 잘 유지됐고 지금까지 수백년간 분열 안되고 승승장구 했는데 뭘 분열되고 쪼개짐

  • @andykal2947
    @andykal2947 3 місяці тому +22

    한국도 세대별 선거인단 제도 가야됨. 예를 들어 2060년쯤 되면 노령인구가 전체인구 절반이니 2030세대에 소득세 80%때려서 은퇴자들 주겠습니다를 공약으로한 사람이 나오면 이를 막을 방법이없음. 지금 23년 출생아가 25만도 안되는데 베이비븀은 100만이 넘은. 4대1.. 그때가서 젊은층 표는 전혀 중요하지 않거든
    근데 20대 선거인단이 10명 60대 선거인단이 13명 이정도라면.. 20대 표를 완전 무시하는 정신나간 공약은 최소한 못들고 나올거임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민주주의가 다수의 폭력에 의해서가 아니라..무지한 인간에 의해서가 아니라...절대권력에 부패하지 않기 위해서..
    인간을 그대로 믿을수 없기때문에 선거인단 & 상하원 으로 미국 민주주의를 설계한거임
    사람은 믿을수 없다. 시스템을 믿어야된다.

    • @maple4801
      @maple4801 3 місяці тому

      지금 인구 비례로는 20대 선거인단 10명 60대 이상 선거인단 13명이 나올 수가 없다. 20대 선거인단 4명 60대 이상 14명이면 모를까

    • @CaspianExpert
      @CaspianExpert 3 місяці тому +1

      ㅇㄱㄹㅇ
      조선보면 직선제는 하는거 아님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3 місяці тому +1

      지난 우리나라 대선보면 미국이 선거인단 제도를 왜 하는지 이해할수 있음
      여가부 폐지 이거 두단어 sns에 올렸다고 혹해서 표 주는 머저리들한테 투표권 주면 나라 망한다

    • @liberalinternational2088
      @liberalinternational2088 3 місяці тому +2

      그러면 세대별 뿐만 아니라 성별, 소득별, 지역별, 학력별로 도 선거인단하지 그러냐ㅉㅉㅉ

    • @maple4801
      @maple4801 3 місяці тому

      그리고 미국도 어느 주는 직선제임.

  • @San-gr3vl
    @San-gr3vl 2 місяці тому

    직접선거로 개헌해야.
    현재의 간접선거는 인터넷이 발달한 현재 시대에 도입취지 자체가 무색해짐.

  • @sunbonnetblu
    @sunbonnetblu 3 місяці тому +9

    1. 굳이 선거인단으로 하는 이유: 직접 투표를 하면 인구 많은 주가 유리해짐. 미국의 정체성이 주 연합이라는걸 보여주는 것
    2. 선거인단은 누가 됨?: 각 당의 믿을만한 정치인들이 됨
    3. 선거인단이 배신하면 어떻게 함?: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음. 같은 당 출신 후보가 너무 싫어서 배신을 해도 경쟁 당의 인물이 아닌 같은 당의 다른 사람을 써버림

  • @San-gr3vl
    @San-gr3vl 2 місяці тому +1

    이번 영상이 미모 절정이신 거 같습니다

  • @drmphy
    @drmphy 3 місяці тому +17

    미국은 일반적인 국가가 아니라
    연합국이기 때문에 저런 복잡한 선거제도가 있는 거다
    다수결은 의사선택을 하는 한가지 방법일 뿐 다수결이 항상 옳은 결정이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이런 상식을 이해할 수 있으면 표가 많아도 패한다는 것을 맹목적으로 비난할 수 없다

  • @Brand6791dl
    @Brand6791dl 3 місяці тому +19

    하지만 중국같이 이중국적을 가진자들이 미국이 아닌 자들이 본국의 이익을 위해 몰표를 던지는 경우를 막을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간접 선거제라고 할수있죠.

    • @user-vo6ct6rg5e
      @user-vo6ct6rg5e 2 місяці тому +1

      중국은 이중국적 안되는걸로 알고있는데용?

  • @user-zg4cs4mb5r
    @user-zg4cs4mb5r 3 місяці тому +5

    미국도 제3당이 절실히 필요하네

    • @overcome496
      @overcome496 3 місяці тому +2

      반대로 나는 3당아닌 2당독재체제였기에 미국이 이 자리까지 왔다고 생각함

  • @olivialee257
    @olivialee257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의 투표는 사실상 직선제의 가까운 간선제라고도 말합니다. 선거인단 때문에 헷갈리실텐데 형식적인거에 불과하죠. 선거인단이 맘대로 국민이 정한 당선자를 바꿀수있는것도 아니고 다수의 주는 반란표도 즉각 무효화 가능하며 그렇지 않은 주들이 반란표를 던저 당선자를 교체할 가능성도 국민의 모든 공감을 얻는 국가반란급 후보가 아닌이상 불가한거라고 봅니다. 그게 아닌데 반란표로 후보를 교체할정도면 내전이 일어날지도 모르는일이기에 할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즉 선거인단은 국민이 뽑은 후보에 그대로 뽑는 요식행위에 불과한거죠. 단 캘리포니아 같이 대형주나 그보다 작은 소형주가 갖고있는 선거인단수도 적절히 배치하는거지. 정비례로 한다면 그건 전체득표로 결정하는거나 다름없는거죠. 미국은 미합중국이라고도 합니다. 한국처럼 경기도 이런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하나의 국가가 50개+DC 이렇게 이루어지는 나라라고 봐도 무방하죠. 각주의 주지사급은 한국의 도지사보다는 위, 거의 미국의 주의 대통령이라고 봐도 될정도로 그 권한이 엄청 세죠.. 주방위군을 소집하며 범죄자 사면권도 있는게 주지사 입니다. 그러한 각각의 개성있는 주들중 소형주가 소외되지 않고 의견을 내기위해서는 미국같이 적절한 선거인단 배율 제도 투표가 저는 올바르다고 생각합니다. 선거인단 제도가 아닌 전체득표로 뽑는다면 이민자를 받는 미국 민주당의 장기집권이 되므로, 부시때부터 20년간은 민주당이 전체득표는 이겼으므로 민주당 장기 독재화가 됩니다. 그렇다고 선거인단 제도에서도 최근까지 민주당이 더 여러번 이겼기 때문에 불리한게 아니고 공화당 민주당 번갈아 가면서 할수있는 어떻게보면 공정한 투표제도 일수도 있습니다. 즉 쉽게 생각해서 경합주에서 누가 더 많은 국민의 득표를 받았느냐 이렇게 생각하면 미국의 선거제도를 쉽게 이해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경합주들도 단기간 장기간에 걸쳐 바뀔수도 있습니다.

  • @polyommatusicarus208
    @polyommatusicarus208 3 місяці тому

    썸네일 바이든 폼 클렌징 미쳤다.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3 місяці тому +6

    미국 선거인단 제도의 장점 설명
    민주주의 개념을 사람한테 주는거처럼
    같은 개념을 주연방마다 선거인단 개념을 통해서
    각연방들 한테도 그민주주의 권리를
    적용했다고 보면 이해하기 편할듯요
    미국은 연방들이 모인 합중국이니까요 각각의
    연방들이 유럽eu처럼 하나의 나라같은 개념들 이라서
    각각의 연방들의 발언권들이 최대한 소외받지 않도록
    하는 배려또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될듯요
    연방별로 인구비례대로 선거인단 숫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1인1표 적용하는 국민직접 투표선출 방식보다는
    그나마 선거인단 방식이 인구수가 많이 작은주들 한테도
    더많은 발언권이 제공되는 공평한 방식이거든요
    일례로 알래스카주는 선거인단 배정수가 3명인데
    만약에 1인1표가 적용되는 국민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면 인구가 많이적기에 선거인단 투표때
    제공되는 저3표보다 훨씬더 적은 투표영향력이
    발생하거든요 즉 미국의 선거인단 방식의
    간접투표 대통령 선출방식은 수십개 연방들의
    공평한 권리행사와 균등한 민주주의 시스템 유지를
    통해서 연방들의 결속력을 유지할려는 의도가
    담겨져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수정헌법에 명시된 총기무장 자유나
    시민들의 합법무장이나 시민들의 민병대
    조직허용 합법이나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이나
    상하원 의회제도를 만든 이유도 서로 상호 견제와 균형
    그리고 감시와 방어를 통해서 영국이나 또다른 독재
    세력들이나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 독재자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할려는 미국건국의 아버지
    들의 고뇌와 지혜가 담겨져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런게 바로 미국식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공화국 시스템입니다
    한국사람들은 모든걸 직접뽑거나 그걸 통해서 뽑힌 사람들이
    의석수로 밀어부치는 것조차도 대의민주주의라고 착각하는데
    그리고 시민들이 다수결로 뽑았으면 그사람이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을 선동하거나 선언해도 그조차 대중들이
    뽑았으니까 민주주의 방식이라고 착각들 하는데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그런 대중영합주의 포퓰리즘도
    대중을 선동한 독재방식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저런 상하원제도나 삼권분립을 통해서 그런 독재마저
    방지할려고 했습니다 히틀러가 좋은 예이죠 대중선동의 1인자
    그도 국민들의 인기에 힘입어서 민주주의 직접투표제도로
    국민들이 뽑은 정치인이죠 헌법개정도 독일국민들이
    한거고요 결과는 ? ㅋㅋ
    그래도 안되면 최후의 수단으로
    시민들의 무장까지 허용해둔겁니다 최후의 보루인거죠
    그래서 미국에서의 총기허용이나 무장허용은 단순한
    총기소지 여부의 합법문제가 아니라 저항주의와
    자유주의 그자체의 정신이 담겨져있는 미국의 자유주의
    정신의 상징 그자체입니다 미국의 상징 그자체인거죠

    • @shs8915
      @shs8915 2 місяці тому

      인정입니다. 만약 미국에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빙식을 도입하면 미국은 그대로 공중분해됩니다.
      우리나라일 경우엔 (사실상) 단일민족에 단일국가라서 직선제를 해도 부작용이 적을 뿐더러 과거 박정희, 전두환의 간선제 악용에 의해 우리나라에서는 간선제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미국은 우리나라하고 (사실상) 정반대의 사례로 인해서 직선제가 오히려 불공정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 @Demacia365
      @Demacia365 2 місяці тому

      근데 이젠 민병대나 자경단 꾸리는거 테러방지법에 의해 금지까진 아니더라도 감시대상 될수 있지 않나요?
      만약 백악관에서 포퓰리즘을 난발해서 지지율 떡락하고 혁명할려고 혁명단을 꾸릴려고 하는데
      테러방지법을 적용해서 감시도청해서 초기진압할 수 있지 않나요?

  • @user-dq5me4vm6a
    @user-dq5me4vm6a 3 місяці тому +2

    2016년 힐러리가 가장 큰 피해자이지요.
    득표율에서는 앞서지만 낙선한 케이스

  • @user-tp4vj8py2q
    @user-tp4vj8py2q 3 місяці тому +3

    너무 야위신거 같아요 그래도 목소리는 여전히 또렷하시네요😊

  • @user-zw6hq5le5c
    @user-zw6hq5le5c 3 місяці тому +3

    썸네일에 이끌려 시간 순삭 당하고 갑니다

  • @user-ud4wc9tm2c
    @user-ud4wc9tm2c 3 місяці тому +3

    다수결은 언제나 틀린 의사결정을 내린다. 민주주의의 맹점임. 그래서 자유가 빠진 민주주의는 망국의 지름길이다.

  • @amhw5742
    @amhw5742 3 місяці тому +17

    ㅋㅋ 누가되든 미국이 한국에게 요구하는 내용은 크게 안바뀜. 다만 얼마나 ㅈ같이 말하느냐 그 차이지.

    • @JK-xy3zn
      @JK-xy3zn 3 місяці тому +1

      당연한거 아닌가??개인간의 거래도 마찬가지임

  •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3 місяці тому +6

    평소 미 대선방식 복잡하고 문제 많다고 생각했었는데
    영상 다 보고나서도 여전히 복잡하고 문제 많다 생각되네요.
    바이든/트럼프 리턴매치 살짝 지겨우니, 미 대선 후보에 뉴페이스 좀 나타났으면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3 місяці тому

      민주주의 개념을 사람한테 주는거처럼
      같은 개념을 주연방마다 선거인단 개념을 통해서
      각연방들 한테도 그민주주의 권리를
      적용했다고 보면 이해하기 편할듯요
      미국은 연방들이 모인 합중국이니까요 각각의
      연방들이 유럽eu처럼 하나의 나라같은 개념들 이라서
      각각의 연방들의 발언권들이 최대한 소외받지 않도록
      하는 배려또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될듯요
      연방별로 인구비례대로 선거인단 숫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1인1표 적용하는 국민직접 투표선출 방식보다는
      그나마 선거인단 방식이 인구수가 많이 작은주들 한테도
      더많은 발언권이 제공되는 공평한 방식이거든요
      일례로 알래스카주는 선거인단 배정수가 3명인데
      만약에 1인1표가 적용되는 국민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면 인구가 많이적기에 선거인단 투표때
      제공되는 저3표보다 훨씬더 적은 투표영향력이
      발생하거든요 즉 미국의 선거인단 방식의
      간접투표 대통령 선출방식은 수십개 연방들의
      공평한 권리행사와 균등한 민주주의 시스템 유지를
      통해서 연방들의 결속력을 유지할려는 의도가
      담겨져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수정헌법에 명시된 총기무장 자유나
      시민들의 합법무장이나 시민들의 민병대
      조직허용 합법이나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이나
      상하원 의회제도를 만든 이유도 서로 상호 견제와 균형
      그리고 감시와 방어를 통해서 영국이나 또다른 독재
      세력들이나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 독재자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할려는 미국건국의 아버지
      들의 고뇌와 지혜가 담겨져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런게 바로 미국식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공화국 시스템입니다
      한국사람들은 모든걸 직접뽑거나 그걸 통해서 뽑힌 사람들이
      의석수로 밀어부치는 것조차도 대의민주주의라고 착각하는데
      그리고 시민들이 다수결로 뽑았으면 그사람이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을 선동하거나 선언해도 그조차 대중들이
      뽑았으니까 민주주의 방식이라고 착각들 하는데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그런 대중영합주의 포퓰리즘도
      대중을 선동한 독재방식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저런 상하원제도나 삼권분립을 통해서 그런 독재마저
      방지할려고 했습니다 히틀러가 좋은 예이죠 대중선동의 1인자
      그도 국민들의 인기에 힘입어서 민주주의 직접투표제도로
      국민들이 뽑은 정치인이죠 헌법개정도 독일국민들이
      한거고요 결과는 ? ㅋㅋ
      그래도 안되면 최후의 수단으로
      시민들의 무장까지 허용해둔겁니다 최후의 보루인거죠
      그래서 미국에서의 총기허용이나 무장허용은 단순한
      총기소지 여부의 합법문제가 아니라 저항주의와
      자유주의 그자체의 정신이 담겨져있는 미국의 자유주의
      정신의 상징 그자체입니다 미국의 상징 그자체인거죠

  • @San-gr3vl
    @San-gr3vl 2 місяці тому +1

    선거인의 배신투표는 보다 강하게 처벌해야할듯.
    주민들의 민의를 저버리는 것인데 그럴 자격이 없음

  • @user-ec1qz2pi1n
    @user-ec1qz2pi1n 3 місяці тому

    승자독식 - 맥락없지만 미국 역사를 돌아보면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부터 승자가 되었으니 / 로 인식해도 되나

  • @ahmedbrown4439
    @ahmedbrown4439 3 місяці тому +5

    승자독식제도를 고집하는건 아집같은데.. 승자독식제도가 갖는 이점이 전혀 없어보임. 결국 선거인단 수가 많은 지역에 더 집중하게 하는 제도임

    • @junchun2424
      @junchun2424 3 місяці тому +1

      선거인단 수가 결국 인구비례인데 선거인단제도로 하나 안하나 지역차별은 똑같음. 캘리포니아 뉴욕같은데가 중간 시골지역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인구숫자가 많으니 개인투표건 선거인단이건 인구많은곳에 집중하게 되는건 똑같은거임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3 місяці тому +1

      민주주의 개념을 사람한테 주는거처럼
      같은 개념을 주연방마다 선거인단 개념을 통해서
      각연방들 한테도 그민주주의 권리를
      적용했다고 보면 이해하기 편할듯요
      미국은 연방들이 모인 합중국이니까요 각각의
      연방들이 유럽eu처럼 하나의 나라같은 개념들 이라서
      각각의 연방들의 발언권들이 최대한 소외받지 않도록
      하는 배려또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될듯요
      연방별로 인구비례대로 선거인단 숫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1인1표 적용하는 국민직접 투표선출 방식보다는
      그나마 선거인단 방식이 인구수가 많이 작은주들 한테도
      더많은 발언권이 제공되는 공평한 방식이거든요
      일례로 알래스카주는 선거인단 배정수가 3명인데
      만약에 1인1표가 적용되는 국민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면 인구가 많이적기에 선거인단 투표때
      제공되는 저3표보다 훨씬더 적은 투표영향력이
      발생하거든요 즉 미국의 선거인단 방식의
      간접투표 대통령 선출방식은 수십개 연방들의
      공평한 권리행사와 균등한 민주주의 시스템 유지를
      통해서 연방들의 결속력을 유지할려는 의도가
      담겨져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수정헌법에 명시된 총기무장 자유나
      시민들의 합법무장이나 시민들의 민병대
      조직허용 합법이나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이나
      상하원 의회제도를 만든 이유도 서로 상호 견제와 균형
      그리고 감시와 방어를 통해서 영국이나 또다른 독재
      세력들이나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 독재자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할려는 미국건국의 아버지
      들의 고뇌와 지혜가 담겨져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런게 바로 미국식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공화국 시스템입니다
      한국사람들은 모든걸 직접뽑거나 그걸 통해서 뽑힌 사람들이
      의석수로 밀어부치는 것조차도 대의민주주의라고 착각하는데
      그리고 시민들이 다수결로 뽑았으면 그사람이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을 선동하거나 선언해도 그조차 대중들이
      뽑았으니까 민주주의 방식이라고 착각들 하는데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그런 대중영합주의 포퓰리즘도
      대중을 선동한 독재방식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저런 상하원제도나 삼권분립을 통해서 그런 독재마저
      방지할려고 했습니다 히틀러가 좋은 예이죠 대중선동의 1인자
      그도 국민들의 인기에 힘입어서 민주주의 직접투표제도로
      국민들이 뽑은 정치인이죠 헌법개정도 독일국민들이
      한거고요 결과는 ? ㅋㅋ
      그래도 안되면 최후의 수단으로
      시민들의 무장까지 허용해둔겁니다 최후의 보루인거죠
      그래서 미국에서의 총기허용이나 무장허용은 단순한
      총기소지 여부의 합법문제가 아니라 저항주의와
      자유주의 그자체의 정신이 담겨져있는 미국의 자유주의
      정신의 상징 그자체입니다 미국의 상징 그자체인거죠

  • @sekyungkim9499
    @sekyungkim9499 3 місяці тому +1

    각 주의 대표를 뽑는 시스템이니까 저게 맞죠. 한주가 몰표를 준다고 해도 그건 그 주의 특성이지 다른주는 동의 안한거니까

  • @user-ym5xv2vz3m
    @user-ym5xv2vz3m 3 місяці тому

    정말 둘다 싫지만 지금 어쩔수 없이 트럼프 ㅜㅜ😢😢😢 미국너무 어수선하고 힘듬

  • @Boboraccoon
    @Boboraccoon 3 місяці тому

    썸넬 바이든ㅋㅋㅋ 홈랜더가 됐네ㅋㅋㅋㅋ

  • @user-yz6bn5of3x
    @user-yz6bn5of3x 3 місяці тому +1

    바이든을 뭔 홀랜더로 만들어놨네 ㅋㅋㅋ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11 днів тому

    😢😢😢 ok

  • @gamelgar1679
    @gamelgar1679 3 місяці тому

    A 뽑겠단 선거인단이 B를 뽑는 일도 일어날 수 있나?
    선거인단은 그냥 공개적으로 대통령 이름 적는건가

    • @gaedol
      @gaedol 3 місяці тому

      8:34

  •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3 місяці тому +9

    썸네일의 조 바이든 눈이 빨간 빛 나는 걸 보고 미드 "더 보이즈"의 홈랜더랑 비슷해
    한국에선 홈랜더 관련 밈인줄 아는 분들 많은데, 미국에서 "Dark Brandon" 이라 불리는 유명한 밈임
    왜 다크 바이든이 아니라 "다크 브랜든"이냐면
    2021년 공화당 지지자들 좋아하는 스포츠로 유명한 나스카 경기장에서 "퍽 Joe Biden"이라 욕 했는데
    마침 나스카 레이싱 우승자 Brandon Brown과 인터뷰 하던 리포터가 "Let's Go Brandon이라 응원한다"고 잘못 보도하면서
    Brandon이 바이든 돌려까는 밈 되어버렸음. (한국으로 치면 "날리면"이랑 비슷)
    원래는 미 공화당 지지자들이 만든 부정적인 밈이지만
    바이든은 부정적인 밈 붙을거면, 치매 노인보다 이쪽이 더 낫다 생각했는지 오히려 저걸로 열심히 선거 캠페인中.

  • @user-uj5qr5sb2e
    @user-uj5qr5sb2e 2 місяці тому

    😢😢😢god order know ok

  • @choop1989
    @choop1989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이라는 나라는 참 희안하다 가장 혁신적이면서도 개방적인 초일류 강대국인데 정치는 또 너무 보수적이라 말이지 지금 타이밍에는 젊고 스마트한 대통령이 필요할꺼 같은데 언제쩍 바이든이랑 언제쩍 트럼프냐 ㅡㅡ

  • @tony20162
    @tony20162 2 місяці тому +1

    미국의 선거제도는 원시적 이고 후진적인 선거제도 입니다.

  •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이라는 나라가, 50개의 국가(스테이트)가 연방을 맺어서 만들어진 국가니까요

  • @user-ed9bv9fs4p
    @user-ed9bv9fs4p Місяць тому

    God meet ok

  • @user-nr1lr6gj4e
    @user-nr1lr6gj4e 3 місяці тому +2

    썸네일 보고 들어왔으면 개추

  • @user-em8ev4bn2w
    @user-em8ev4bn2w 3 місяці тому +1

    바이든 말고 다른 후보는 없는가

  • @qkrtntjdalsrks
    @qkrtntjdalsrks 3 місяці тому +1

    선생님들 왤케 안광을 좋아하세요
    이러다 자유-빔 나가겠읍니다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24 дні тому

    Okok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3 місяці тому

    이분보다는 김지윤님이 더 설명도 잘하시고
    입체적으로 분석 잘하시는듯 ㅜㅜ

  • @user-kh8ul5xo3l
    @user-kh8ul5xo3l 3 місяці тому +2

    트럼프냐 바이든이냐

  • @user-ed9bv9fs4p
    @user-ed9bv9fs4p Місяць тому

    ,엘렌 재무부 장관 싸인각 100 오케이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Місяць тому

    Special in out C~5수송기 out ok

  • @user-xx6fo6qm9r
    @user-xx6fo6qm9r 3 місяці тому

    가만보면 총기.선거제도 등 개판5분전 나라가 제일 잘사는 아이러니한 천조국~

  • @CME-qn7lp
    @CME-qn7lp 3 місяці тому

    젤렌스키는 3월에 선거 안하고 자기가 계속 대통령 안하는 이유가 계속 슈킹 해먹으려는 건가?

  • @4spikespiegel47
    @4spikespiegel47 2 місяці тому

    이런거 보면 미국도 중공처럼 5호 16국으로 쪼개놔야돼

  • @minjune4097
    @minjune4097 3 місяці тому +1

    직접 민주주의가 한표라도 더 받기위해 노력하지 않을까요

    • @tonykim5285
      @tonykim5285 3 місяці тому +1

      미국은 여러주가 합쳐진 미"합중국"입니다 만약 직접민주제로 가면 당연히 모든 정치세력들은 인구가 많은 켈리포니아 뉴욕 플로리다주들에게 집중을 할테고 유타, 네바다, 알레스카주등 인구가 적은주들은 소외되겠죠. 예를들면 아시아의 모든국가가 아시아 조약기구를 만들었는데 모든 이권이 인구가많은 중국과 인도에게 넘어가고 한국의 의견이 묵살당하는게 공정하다고 볼순없죠. 미국의 주들은 엄연이 자치권이있는 미국의 구성원들입니다.

    • @mist670
      @mist670 3 місяці тому +1

      미국은 애초에 태생이 국가들의 연합이었어요. 단일 주권국가에선 표가 많은 쪽이 이기겠지만. 국가들의 연합체인 연방은 어디까지나 각주들의 내부사정인거고. 선거 결과 대표를 선출한 각 주들이 다시 표결을 해서 연방 대표를 정하는거죠.

    • @paultommy2753
      @paultommy2753 3 місяці тому +1

      직접이든 간접이든 더 많은 표를 받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둘 다 똑같아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간접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yz4ql5mp9r
      @user-yz4ql5mp9r 3 місяці тому +1

      직접 민주제를 하는 나라는 없습니다
      고대 아테네에서나 가능했던 제도입니다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3 місяці тому

      민주주의 개념을 사람한테 주는거처럼
      같은 개념을 주연방마다 선거인단 개념을 통해서
      각연방들 한테도 그민주주의 권리를
      적용했다고 보면 이해하기 편할듯요
      미국은 연방들이 모인 합중국이니까요 각각의
      연방들이 유럽eu처럼 하나의 나라같은 개념들 이라서
      각각의 연방들의 발언권들이 최대한 소외받지 않도록
      하는 배려또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될듯요
      연방별로 인구비례대로 선거인단 숫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1인1표 적용하는 국민직접 투표선출 방식보다는
      그나마 선거인단 방식이 인구수가 많이 작은주들 한테도
      더많은 발언권이 제공되는 공평한 방식이거든요
      일례로 알래스카주는 선거인단 배정수가 3명인데
      만약에 1인1표가 적용되는 국민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면 인구가 많이적기에 선거인단 투표때
      제공되는 저3표보다 훨씬더 적은 투표영향력이
      발생하거든요 즉 미국의 선거인단 방식의
      간접투표 대통령 선출방식은 수십개 연방들의
      공평한 권리행사와 균등한 민주주의 시스템 유지를
      통해서 연방들의 결속력을 유지할려는 의도가
      담겨져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수정헌법에 명시된 총기무장 자유나
      시민들의 합법무장이나 시민들의 민병대
      조직허용 합법이나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이나
      상하원 의회제도를 만든 이유도 서로 상호 견제와 균형
      그리고 감시와 방어를 통해서 영국이나 또다른 독재
      세력들이나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 독재자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할려는 미국건국의 아버지
      들의 고뇌와 지혜가 담겨져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런게 바로 미국식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공화국 시스템입니다
      한국사람들은 모든걸 직접뽑거나 그걸 통해서 뽑힌 사람들이
      의석수로 밀어부치는 것조차도 대의민주주의라고 착각하는데
      그리고 시민들이 다수결로 뽑았으면 그사람이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을 선동하거나 선언해도 그조차 대중들이
      뽑았으니까 민주주의 방식이라고 착각들 하는데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그런 대중영합주의 포퓰리즘도
      대중을 선동한 독재방식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저런 상하원제도나 삼권분립을 통해서 그런 독재마저
      방지할려고 했습니다 히틀러가 좋은 예이죠 대중선동의 1인자
      그도 국민들의 인기에 힘입어서 민주주의 직접투표제도로
      국민들이 뽑은 정치인이죠 헌법개정도 독일국민들이
      한거고요 결과는 ? ㅋㅋ
      그래도 안되면 최후의 수단으로
      시민들의 무장까지 허용해둔겁니다 최후의 보루인거죠
      그래서 미국에서의 총기허용이나 무장허용은 단순한
      총기소지 여부의 합법문제가 아니라 저항주의와
      자유주의 그자체의 정신이 담겨져있는 미국의 자유주의
      정신의 상징 그자체입니다 미국의 상징 그자체인거죠

  • @user-yl2ss6ed2t
    @user-yl2ss6ed2t 3 місяці тому +9

    투표방식 괜찮은거 같은데? 저런 방식이면 인구수로 밀어버리는 짓 못하니까 젊은 세대나 사회적 약자 계층도 외면 안받을듯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місяці тому +7

      그 반대 현상도 나타나요. 알래스카 주민 1명의 표가 캘리포니아 주민 3명의 표와 맞먹는 일도 발생하니까 오히려 민의가 왜곡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거든요.

    • @hamheejun3978
      @hamheejun3978 3 місяці тому +1

      @@humanplusscience4449그럼 수도권 집중 현상도 해결할수있는거아님? 지방의 목소리가 쌔지는거잖아

    • @user-mw9bz6ge6s
      @user-mw9bz6ge6s 3 місяці тому

      민주주의 개념을 사람한테 주는거처럼
      같은 개념을 주연방마다 선거인단 개념을 통해서
      각연방들 한테도 그민주주의 권리를
      적용했다고 보면 이해하기 편할듯요
      미국은 연방들이 모인 합중국이니까요 각각의
      연방들이 유럽eu처럼 하나의 나라같은 개념들 이라서
      각각의 연방들의 발언권들이 최대한 소외받지 않도록
      하는 배려또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될듯요
      연방별로 인구비례대로 선거인단 숫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1인1표 적용하는 국민직접 투표선출 방식보다는
      그나마 선거인단 방식이 인구수가 많이 작은주들 한테도
      더많은 발언권이 제공되는 공평한 방식이거든요
      일례로 알래스카주는 선거인단 배정수가 3명인데
      만약에 1인1표가 적용되는 국민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면 인구가 많이적기에 선거인단 투표때
      제공되는 저3표보다 훨씬더 적은 투표영향력이
      발생하거든요 즉 미국의 선거인단 방식의
      간접투표 대통령 선출방식은 수십개 연방들의
      공평한 권리행사와 균등한 민주주의 시스템 유지를
      통해서 연방들의 결속력을 유지할려는 의도가
      담겨져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수정헌법에 명시된 총기무장 자유나
      시민들의 합법무장이나 시민들의 민병대
      조직허용 합법이나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이나
      상하원 의회제도를 만든 이유도 서로 상호 견제와 균형
      그리고 감시와 방어를 통해서 영국이나 또다른 독재
      세력들이나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 독재자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할려는 미국건국의 아버지
      들의 고뇌와 지혜가 담겨져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런게 바로 미국식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공화국 시스템입니다
      한국사람들은 모든걸 직접뽑거나 그걸 통해서 뽑힌 사람들이
      의석수로 밀어부치는 것조차도 대의민주주의라고 착각하는데
      그리고 시민들이 다수결로 뽑았으면 그사람이 인기영합주의
      대중 포퓰리즘을 선동하거나 선언해도 그조차 대중들이
      뽑았으니까 민주주의 방식이라고 착각들 하는데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그런 대중영합주의 포퓰리즘도
      대중을 선동한 독재방식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저런 상하원제도나 삼권분립을 통해서 그런 독재마저
      방지할려고 했습니다 히틀러가 좋은 예이죠 대중선동의 1인자
      그도 국민들의 인기에 힘입어서 민주주의 직접투표제도로
      국민들이 뽑은 정치인이죠 헌법개정도 독일국민들이
      한거고요 결과는 ? ㅋㅋ
      그래도 안되면 최후의 수단으로
      시민들의 무장까지 허용해둔겁니다 최후의 보루인거죠
      그래서 미국에서의 총기허용이나 무장허용은 단순한
      총기소지 여부의 합법문제가 아니라 저항주의와
      자유주의 그자체의 정신이 담겨져있는 미국의 자유주의
      정신의 상징 그자체입니다 미국의 상징 그자체인거죠

    •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3 місяці тому

      실은 저게 정상임. 대부분의 선진국은 의회와 총리 내각제 기반이기 때문에 대통령제에 의한 독재가 나오지 않는것이고 미국도 의회기반에서 대통령을 뽑는게 선거인단이라는제도로 구현된거임. 그걸 모르는 사람들은 당장 선진국 타령 그만두고 정치시스템부터 확인하고 오셈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23 дні тому

    Meet out ok

  • @yickkim
    @yickkim 3 місяці тому

    50개의 나라가 모여서 미국이라는 연합정부를 만든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 @Kang_X20930
    @Kang_X20930 3 місяці тому

    트럼프 바이든

  • @sgpark8784
    @sgpark8784 3 місяці тому

    핵무장이 답

    • @youone3584
      @youone3584 3 місяці тому

      그래서 NPT도 탈퇴하고 IAEA도 탈퇴하고?

    • @youone3584
      @youone3584 3 місяці тому

      그럴 바에 차라리 한반도가 없는 지구를 꿈꿔야.

  • @user-uj5qr5sb2e
    @user-uj5qr5sb2e 3 місяці тому +1

    😢😢😢 biden 270 ok

  • @yolo1428
    @yolo1428 3 місяці тому +1

    트럼프가 또 될것 같단 말이지..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25 днів тому

    Trump ok

  • @LinksArc
    @LinksArc 2 місяці тому

    암흑바이든좀 어떻게 해봐 ㅋㅋㅋ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місяці тому

    [트럼프 할아버지] 정치 그렇게 하는거 아니에요. 지금 언론 다 뒤집어졌자나. 당신의 극단적인 [직설화법 협박]으로.
    안먹히자나 뭐하는거야.
    20세기 인간아.

  • @user-nr6xs4os7h
    @user-nr6xs4os7h 3 місяці тому +1

    240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22 дні тому

    God //meet time over not meet

  • @sunsun9263
    @sunsun9263 2 місяці тому

    올해라고 하지말고 정확하게 2024년도라고 말해라 이거 내년에도 볼수 잇고 그런유투브인데 골떄리네 올해라고 표현하지말고 2024로 정확하게 말해라 어휘력이 후달리니 아니면 뭐가 문제라서 그걸 말못하고 올해 내년 글피 등등 기준점없는 표현은 오류난다 정확하게 해라 쫌쫌

  • @JS-ov6eu
    @JS-ov6eu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에 얼마나 인재가없으면 80줄 노인네 둘이서 재선경합하노... 미국도 갈때까지간듯

  • @aacksa
    @aacksa 3 місяці тому +1

    TRUMP 2024 가즈아~~~~~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6 днів тому

    God//barron up okokok

  • @user-gq3jr4qg3h
    @user-gq3jr4qg3h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 투표는 매번 설명을 해줘야되냐 ㅋㅋ

  • @_jisoo96
    @_jisoo96 3 місяці тому

    트럼프가 되지않을까?? 바이든은 진보성향이라 그동안 마약범죄도 많아지고 경제도 휘청거렸고
    인종,성별,소수자한테 기회 줬지만 오히려 독이됐고

    • @youone3584
      @youone3584 3 місяці тому

      그럼 한국은 2027년엔 이명박이나 박근혜 복귀?

    • @youone3584
      @youone3584 3 місяці тому

      2007년에 진작 이회창이가 이겼으면
      이명박이는 계속 현대그룹에서 일했을 것이고
      박근혜랑 문재인이는 바로 정계은퇴했을 것이고
      윤석열이는 대형 로펌 대표가 됐을 것이고
      천안함과 세월호가 침몰하지 않았을 것이고
      위안부합의도 사드보복도 코로나도 없었을 테니까.

    • @byeong_woo
      @byeong_woo 3 місяці тому

      @@youone3584너 좌파인것같긴 한데 이회창 이겨야했다눈 말엔 동의한다 개구라 군대기피 헛소리때매 한국의 정치가 역변했다

  • @user-sh1qf8xy8r
    @user-sh1qf8xy8r 3 місяці тому

    썸네일 무근일

  • @ronaldo3915
    @ronaldo3915 3 місяці тому

    근데 mc 너무 얼굴 땡긴듯ㅋ 나이만 더 들어보임ㅋ

  • @skdvvxhu
    @skdvvxhu 26 днів тому

    바이든하고트럼프나오지마

  • @jungmanyoon4904
    @jungmanyoon4904 Місяць тому

    도람프의 승리를 위하여!!! 도람프의 승리에 야앙키의 미래가 달려있다!!! 백퍼 도람프의 승리가 확정적이다!!! 바이동이 도람프를 감방에 넣지 못하면 바이동은 감방간다!!! ㅋㅋㅋ

  • @user-uj5qr5sb2e
    @user-uj5qr5sb2e 3 місяці тому

    😢😢😢😮😢😮.ok god white house meet 실험실연구소 건설공사추진ㅡok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25 днів тому

    T/w and va/w.h ok

  • @user-ed9bv9fs4p
    @user-ed9bv9fs4p Місяць тому

    Pm2time 서천재단미팅 ok

  • @user-uj5qr5sb2e
    @user-uj5qr5sb2e 2 місяці тому

    😢😢😢 trump winner ok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Місяць тому

    😢😢😢//god 사전 약속후 미팅 가능ok

  • @Park-vm9bl
    @Park-vm9bl 3 місяці тому

    할배들싸움

  • @user-wt9oz7fc4o
    @user-wt9oz7fc4o 3 місяці тому

    그냥 직접선거 하지 무슨 뻘짓거리냐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Місяць тому

    Trump Y/소개로 이전 meet want 식사제공 ~ sleeping ok 인천 서구 심곡로 132번길 22 ok meet ok

  • @inmikay8859
    @inmikay8859 3 місяці тому

    부땡선거 ㅎㅎ

  • @user-uj5qr5sb2e
    @user-uj5qr5sb2e 2 місяці тому

    Trump.up road money pressure god pull give ok

  • @user-uj5qr5sb2e
    @user-uj5qr5sb2e 3 місяці тому

    Trump money pull pressure short time trump 100 give god order sign ok.ok

  • @user-ed9bv9fs4p
    @user-ed9bv9fs4p Місяць тому

    God///trump white house entry winner ok

  • @user-oe2bt4lu2s
    @user-oe2bt4lu2s 3 місяці тому

    승원이누나 겁나 이쁘시네ㄷㄷ

  • @user-vy7pm2ec4q
    @user-vy7pm2ec4q 25 днів тому

    😢😢😢God/T/american 50/100 ~vanca/w.h and global powell/yellon and god and china 🇨🇳 xijinping going ok

  • @user-ed9bv9fs4p
    @user-ed9bv9fs4p Місяць тому

    God/trump ok

  • @user-ps3gi8mv5b
    @user-ps3gi8mv5b 3 місяці тому +1

    걍 한국처럼 1인 한표로 가면 미국은 인구가 너무 많아서 힘들려나 ?

    • @johnb8319
      @johnb8319 3 місяці тому +1

      개념이 우리랑 달라서 그럼. 각 주가 하나의 나라고, 미국은 그런 나라들의 연합이라고 보면 쉬움. 그래서 각 주마다 경찰이 있고, 서로 다른 세금을 가지며, 혜택도 다름.

    • @maple4801
      @maple4801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도 심심하면 직선제 나오긴 함. 근데 직선제를 하려면 헌법을 뜯어고쳐야하고 그러려먼 건너야 할 산이 많음.

  • @user-ed9bv9fs4p
    @user-ed9bv9fs4p 14 днів тому

    Obama secret ok

  • @youthful-ambition
    @youthful-ambition 3 місяці тому

    나토 협박하는 그의 정신 세계를 다시 마주하니
    확률이 높아서 더 두렵네요. 우리나라를 우대하긴
    커녕 최악의 외교력을 가진 노래방 마니아를
    얼마나 휘두르며 우리나라 세금 털어 먹을지...

    • @youone3584
      @youone3584 3 місяці тому

      그래서 그냥 "한반도가 없는 세계"를 꿈꾸자고?

  • @San-gr3vl
    @San-gr3vl 2 місяці тому

    코커스는 참정권 위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