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전 드라이버에서는 내장 그래픽을 통해서 출력을 되는 과정에서 성능 저하가 크게 발생 2. 드라이버가 개선 되면서 이 부분이 크게 개선됨 400번대 드라이버와 500번대 드라이버의 갭 차이 큼. 3. 예전에는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게임마다 고성능으로 지정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그 부분이 개선되어서 드라이버 설치 및 게임 실행이 훨씬 편해짐. 4. P106-090, P106-100에서는 16배속이 유지 되고 있는데, P104, P102, CMP 30HX 이상은 16배속보다 낮은 4배속 이하이기 때문에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음. 1060 3GB 용량과 6GB 용량은 단순히 메모리 용량만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쿠다프로세서 갯수에서 10% 차이가 있음.
안녕하세요, 영상 보고 드라이버 잘 입혀서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제 모니터가 144hz 를 지원하는 모니터임에도 불구하고 64hz로 동작하는데, 이는 왜 그럴까요...?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의 B450M-DS3H 이고 시피유는 4650G 입니다. HDMI 2.0 케이블로 연결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 고 1 이제 기말보는 학생입니다,, 뜬금없지만 요즘 진로에 관해 고민중입니다.. 남 컴퓨터를 보면 성능부터 궁금해할 정도로 컴퓨터를 좋아하고 잘 다룹니다 그래서 컴퓨터 관련 쪽으로 진로를 정했는데 남 시키는대로만 하는 코딩 노예인 개발자가 되고싶진 않습니다 어떤 직업이 좋을까요?
일단 댓글 쓰신분의 댓글 스타일을 보고 느꼈지만 코딩은 적성이 안 맞을 것 같습니다. 코딩은 누가 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본인이 회사에서 퇴근 하고도 공부 해야합니다. 그런데 지금 댓글은 본인의 진로를 추천을 받고 계시죠, 적어도 코딩 적성이 맞는 사람이였다면 직접 관심있는 직업을 검색해서 그 직업의 관련된 질문을 했을거라 봅니다. 수동적인 사람이 하기 좋은 직업은 공무원이 가장 좋고, 경영학과 가셔서 사무직 하세요, 코딩 이외에 할 수 있는 컴퓨터 분야는 컴퓨터 가게 외에는 없다고 봐야합니다. 코딩의 범위가 본인이 쓰고 있는 휴대폰 조차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걸 잊지마십쇼.
11세대 12세대 13세대 모바일cpu 납땜해서 나오는 메인보드 리뷰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알리에서 팔고 있고 erying이라는 중국 회사네요 20~30만원대 컴퓨터 만들때 사용하면 좋을거 같네요 11세대 es버전 사면 10만중반대에 구매가능합니다(행사할때는 10만초반)
"이런 거 너무 재밌는데" ㅋㅋㅋ 저도 그렇습니다. 10대때부터 너무 조아라해서 문제...ㅎㅎㅎ 출력포트가 없어서, 드라이버 패치까지 해야하는 거면 일반인들은 사실상 불가...근데 여러가지로 응용해서 꽤나 재밌는 조합을 할 수 있겠네요. 이런 거 잘 모르는 분들이 보면 하는 말, "키덜트세요?" 헐~~~
궁금한 점이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혹시 저런 거 내장 그래픽단에서 출력을 해야 된다는게, 내장 그래픽과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충돌 같은 건 걱정 안 해도 되는건가요? PCIe 1.1이라고 하는데 프로토콜 판을 업하려면 뭐가 있어야 하는건가요? 보니까 P102-100 중에는 레인만 그대로 4레인이고, 판은 3.0인 것도 있던데...
P106-100으로 서브용 컴퓨터 만들기에는 너무 가성비가 좋습니다. 단, 인텔 2~3세대는 뭔 짓을 해도 인식이 제대로 안됐고 4세대 이상부터는 문제없이 잘 되더라구요. 4세대 i5에 p106 100로 구성하면 10만원이면 서브컴 구성 가능합니다. 또 msi에프터버너로 언터볼팅+오버클럭 시키면 온도도 70도 이하로 되면서 타스가 얼추 1060 6g점수까지 올라가더라구요. 저정도 성능이면 배그, 오버워치, 디아4에서 FHD는 충분히 메리트 있습니다.
알리에서 rx580 2048sp 45000원대에 팔길래 2개 사다 쟁여 놨는데 영상에서 같은 글카도 구해서 손좀 봐서 쓰면 가성비 구성으로 괜찮겠네요 아니면 하스웰 cpu 중고로 만원대에 팔던데 그걸로 출력 해도 괜춘할듯 더 높은 사양 세팅하려면 3400g 써도 괜춘(5만원대)
이것도 이제 인텔과 AMD의 차세대 APU/XPU가 출시되면 진짜 IT괴짜들의 장난감 정도에서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는 거지요 참고로 이거 인텔기준 최소 4세대 부터 가능합니다. (메인보드 기능에 따라 3세대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저 기준 이하에서는 이래저래 RX570이나 GTX1050 채굴 붙이는게 그냥 속편하지요
글카 이야기가 나왔는데... 궁금한거 및 재미있는 실험좀 해주세요.. 라이저 카드 3.0 및 4.0 비교좀.. 그리고 요즘 1번 슬롯에 꼽고 1번 m.2에 NVME 꼽으면.. 1번 슬롯이 8배속으로 바뀐다는데.. 그것도 속도나 성능 비교 같은거 하면 재미있을것? 같아요. 궁금하거든요.. 4.0 16배속과 3.0 16배속. 4.0 8배속과 3.0 16배속 등등..
최근에 요것도 많이 돌아다니던데 바로 소개해주는군요!
AI나 채굴 성능은 1080ti 급이지만 대역폭 때문에 게임은 1050ti 수준이라 실망했었던..
오호 AI그림 출력하는데도 사용하면 좋겠네요?
마자요 ㅋㅋ 막상 롤 돌려보면 프레임 40 이렇게나와서 깜짝놀랐씀..
1. 예전 드라이버에서는 내장 그래픽을 통해서 출력을 되는 과정에서 성능 저하가 크게 발생
2. 드라이버가 개선 되면서 이 부분이 크게 개선됨 400번대 드라이버와 500번대 드라이버의 갭 차이 큼.
3. 예전에는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게임마다 고성능으로 지정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그 부분이 개선되어서 드라이버 설치 및 게임 실행이 훨씬 편해짐.
4. P106-090, P106-100에서는 16배속이 유지 되고 있는데,
P104, P102, CMP 30HX 이상은 16배속보다 낮은 4배속 이하이기 때문에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음.
1060 3GB 용량과 6GB 용량은 단순히 메모리 용량만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쿠다프로세서 갯수에서 10% 차이가 있음.
p106... 몇주전에 이방식으로 설치해봤는데 바람의나라에서 gtx750ti보다 프레임이 안나와서 그냥 바꿔버림 ㅠㅠ 한 gtx1050 960수준으로만 프레임 나와도 쓸랬는데..
동영상지원(nvenc)은 아예 안돼서 파섹이랑 유튜브가속도 못써먹고
4090이랑 rx6600을 동시에 쓰는 글을 퀘이사존에서 봤는데
약간 그게 생각나네요. dlss연산 따로 afmf출력 따로...
나중에 그것도 한번 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레인을 다 못쓴다면 nvme 에다 eGPU로 달아 쓰는 게 그나마 써볼만한 시나리오네요.
이거 재미있겠다 ㅋㅋㅋㅋㅋㅋ
앞면을 뜯으신건 온도때문인듯 하네요 저도 뜯어보았는대 깨끝 한건좋은대 뜯어서 서멀 새로해도 온도잡는게 쉽지않습니다. 자신없으면 안하는게좋아요 저거 하자고 패드새로 사는것도 오바이고 ㅎㅎ
우리도 재밌어서 쳐다보고 있는거임~🎉
개조 DIY 하시는 분들 손에 들어가면 이거 재밌는 장난감이 되겠군요 1080ti 에 10기가램이라 ㅋㅋ
이런 신기한 영상들, 너무너무재밌어용ㅋㅋ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pass-through 를 이용해 외부 단자가 필요없는 가상머신용 그래픽카드로 적절히 이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PCI-E 슬롯 여러개 있는 메인보드로 가상머신 서버 구축해서 사용하기에 딱일듯.
그러기엔 pcie 버전이...
@@iamcsyt 머신러닝이나 마이닝 등에서 대역폭이 중요하지 않은 연산에는 pcie 버전은 중여하지 않습니다. 고퀄의 그래픽 렌더링만 생각하신다면 가상서버도 적절치 읺습니다만?
@@terrayi 아니 아무리 그래도 이건 좀 너무한것같음
Pcie 버전을 일부러 낮은걸....
@@iamcsyt일부러가 아니라 상황에 맞춰 하는거죠. 대역폭이 굳이 넓을 필요가 없는 용도에도 일부러 대역폭 넓은 곳에 꽂을겁니까?
@@iamcsyt 고전게임 한다고 1070을 달 필요는 없잖습니까
영상 잘 보고 감니다.
지금 영상을 보고 든 생각인데 혹시 1080ti에 듀얼로 장착해서 (슬라이 사용하구요) 보조 그래픽카드로 이용하면 어느정도의 성능향상이 있을수 있을까요?? 그전부터 듀얼그래픽 카드에 관심이 많아서 댓글 달아봅니다.
알고는 있었지만 두려워서 접근 못하는 그 카드군요
후속작인 cmp30hx, cmp40hx도 궁금하네요
더 궁금한 건 중국산 rx vega56 (jginyue)이지만요
드라이버 버전이 낮아서 최신게임에서 약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장난감용으로 몇 번 가지고 놀았었는데 실사용으로는 오류도 많고 딱 장난감용으론 제격이었습니다.
궁금한게 이거 프레임 고주사율로 나오려면 인텔 내장 그래픽이 지원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E-GPU 장비가 지원만 한다면
그래픽카드 없는거만 사다가 돌리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이네요….
두번째로 소개해주신 건 장난감으로 쓰기 괜찮아보이네요 ㅋㅋㅋ
집에 남는 5600g 시스템 하나 있는데 거기 달아도 괜찼을 것 같아요
납땜하실줄 알았는데 쿨하게 하나 더 사셔서 놀랬어요
서버에 달아서 트랜스코딩용으로 쓰기 괜찮아보이네요
완전잘보고 갑니다..이런거 너무 재미있는데요
기존 써멀 패드와 두꼐가 다르면 코어가 들뜨게 될텐데... 써멀패드 두께 똑같이 맞춰주셨는지 궁금하네요.. 중간에 테스트하실때 팬도는 소리 들리고 온도 84도 넘어가는거보이는데...
역시 병약미소년 민선생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Rx글카는 없는 포트 마개조로 썻는데 p시리즌
설계에서 막아서 옵티머스로 밖에 안되더라구요
항상 흥미로운 영상 감사해요
그래픽 드라이버도 같이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저도 그거 하나가지고있어서 설치해보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영상 보고 드라이버 잘 입혀서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제 모니터가 144hz 를 지원하는 모니터임에도 불구하고 64hz로 동작하는데, 이는 왜 그럴까요...?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의 B450M-DS3H 이고 시피유는 4650G 입니다. HDMI 2.0 케이블로 연결했습니다.
저게 옵티 노트북이랑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픽카드를 갈구는 거기도 해서 4배속이어도 기본 성능이 꽤 깎일겁니다 ㅎㅎ 영상에 말씀하신 것처럼 내장그래픽에서 깎아버리죵... ㅋㅋ
10기가 메모리면 리사이저블 바도 효과 클거 같습니다. (리사이저블 바 용도가 게임용으로 한정된게 아쉽지만)
이런거 너무재밌는데 ㅋㅋㅋㅋ 민티저님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역시 신박한 민티저님! 영상 지루할 틈이없음. 잘보고 있습니다^^
1. 1:23 그래픽카드로는 안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2.암드 내장으로는 안되구요 인텔도 4세대 이후 내장만 사용 가능합니다
4세대는 사용가능한건가요?
암드 내장도 됩니다. 3200g 5600g로도 잘 됩니다. 오히려 메인보드에서 내장 출력 선택에서 어려움은 있었으나 다 성공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 고 1 이제 기말보는 학생입니다,,
뜬금없지만 요즘 진로에 관해 고민중입니다..
남 컴퓨터를 보면 성능부터 궁금해할 정도로 컴퓨터를 좋아하고 잘 다룹니다
그래서 컴퓨터 관련 쪽으로 진로를 정했는데
남 시키는대로만 하는 코딩 노예인 개발자가 되고싶진 않습니다 어떤 직업이 좋을까요?
일단 댓글 쓰신분의 댓글 스타일을 보고 느꼈지만 코딩은 적성이 안 맞을 것 같습니다. 코딩은 누가 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본인이 회사에서 퇴근 하고도 공부 해야합니다. 그런데 지금 댓글은 본인의 진로를 추천을 받고 계시죠, 적어도 코딩 적성이 맞는 사람이였다면 직접 관심있는 직업을 검색해서 그 직업의 관련된 질문을 했을거라 봅니다. 수동적인 사람이 하기 좋은 직업은 공무원이 가장 좋고, 경영학과 가셔서 사무직 하세요, 코딩 이외에 할 수 있는 컴퓨터 분야는 컴퓨터 가게 외에는 없다고 봐야합니다. 코딩의 범위가 본인이 쓰고 있는 휴대폰 조차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걸 잊지마십쇼.
감사합니다@@dierjonh2104
11세대 12세대 13세대 모바일cpu 납땜해서 나오는 메인보드 리뷰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알리에서 팔고 있고 erying이라는 중국 회사네요 20~30만원대 컴퓨터 만들때 사용하면 좋을거 같네요 11세대 es버전 사면 10만중반대에 구매가능합니다(행사할때는 10만초반)
사실 요즘 환경에서는 방송용 보조 글카를 따로 쓸 필요는 거의 없겠지만 이론적으로 방송 송출용 보조글카로도 써볼수는 있겠네요
"이런 거 너무 재밌는데" ㅋㅋㅋ 저도 그렇습니다. 10대때부터 너무 조아라해서 문제...ㅎㅎㅎ
출력포트가 없어서, 드라이버 패치까지 해야하는 거면 일반인들은 사실상 불가...근데 여러가지로 응용해서 꽤나 재밌는 조합을 할 수 있겠네요.
이런 거 잘 모르는 분들이 보면 하는 말, "키덜트세요?" 헐~~~
맞아요ㅋㅋ 너무 재밌어서 문제네요🤣
GPU 카드는 블로워 팬이 진리인데 블로워 팬이 아니라서 아쉽네요
알리서 저가의 무면 고사양 노트북은 드라이브 받는 제조사 없는데요,
현실적으로 업데이트 불가능 하고, 그냥 써야 하나요?
감사합니다 ~^^
그 그래픽카드 10장 있는데..
이리 사용하면 되겠네요,
안녕하세요 3년전에 가성비 컴퓨터 만들어 올려 주셨는데요 지금 따라해 보러고 하니깐 부품에서 많이 달라졌어 어떻게 적용 해야될지 모르겠네요 재온 cpu는 샀는데부품에서 막혀서 다시 한번 부탁 드려 봅니다
오오!! 역시 땡큐맘치킨 가성비킹 민티저님 다운 실험이였다.👍
ㅋㅋㅋㅋㅋㅋㅋ
궁금한 점이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혹시 저런 거 내장 그래픽단에서 출력을 해야 된다는게, 내장 그래픽과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충돌 같은 건 걱정 안 해도 되는건가요?
PCIe 1.1이라고 하는데 프로토콜 판을 업하려면 뭐가 있어야 하는건가요? 보니까 P102-100 중에는 레인만 그대로 4레인이고, 판은 3.0인 것도 있던데...
외장달린 노트북이랑 같은 방식인것으로 압니다 초기세팅만 잘하면 충돌은 안날것같네요
3:52 출력 포트 자리는 있어보이는데, 납땜해도 되지 않을까요?
아마 출력포트는 납땜해도 안된다고 하더군요.
메모리는 될거 같긴 한데...
안녕하세요 민티저 님~
다름이 아니라 깃허브에서 546.17 버전 드라이버를 못찾겠어서 부탁드려요~
혹시 바로가기 링크 하나만 달아 주실수 있나요? 혼자서 해보려는데 어려움이 있네요ㅜㅜ
차원이다른 튜닝이네요
와~ 이걸 이렇게 실사용할수 있군요. 엔비디아가 덕용제품 취급하려고 이래저래 하자를 만든것도 같지만
의외로 활용도가, 있어보이네요. 연구할겸 경험삼아 저도한번 만들어봐야겠습니다.
옛날 노트북의 옵티머스 감성이 느껴지네요. 내장그래픽의 출력을 거쳐서 성능이 답답했던 기억이 나네요
출력이 필요없는 스트리밍 인코딩용으론 어떨지 궁금하네요.
Obs에서 인코딩 해줄 그래픽카드를 지정할수 있던데
크롬북에 윈도우 올린 거 함 드셔 보실라유?
아이셔 R11에다가 올렸는데, 절망 그 자체의 성능이지만 빌려드리요
용산에서 샀는데 생각보다 프레임 잘 나와서 깜놀했어요
써멀패드 두께는 측정안하시고 교체하신건가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내용이네요 ㅎㅎㅎ
P106-100으로 서브용 컴퓨터 만들기에는 너무 가성비가 좋습니다.
단, 인텔 2~3세대는 뭔 짓을 해도 인식이 제대로 안됐고 4세대 이상부터는 문제없이 잘 되더라구요.
4세대 i5에 p106 100로 구성하면 10만원이면 서브컴 구성 가능합니다.
또 msi에프터버너로 언터볼팅+오버클럭 시키면 온도도 70도 이하로 되면서 타스가 얼추 1060 6g점수까지 올라가더라구요.
저정도 성능이면 배그, 오버워치, 디아4에서 FHD는 충분히 메리트 있습니다.
PCI 인터페이스가 PCie 1.1 x4 아닌가요?? PCIe 3.0 지원하지 않을 겁니다.
내장그래픽내장된CPU사서 저그래픽카드달면 개꿀이네요...엄청난 가성비
알리에서 rx580 2048sp 45000원대에 팔길래 2개 사다 쟁여 놨는데 영상에서 같은 글카도 구해서 손좀 봐서 쓰면 가성비 구성으로 괜찮겠네요
아니면 하스웰 cpu 중고로 만원대에 팔던데 그걸로 출력 해도 괜춘할듯 더 높은 사양 세팅하려면 3400g 써도 괜춘(5만원대)
네이밍은 rx580이지만 실제 성능은 rx570급이죠 저도 하나 가지고있습니다. ㅎㅎ
이것도 이제 인텔과 AMD의 차세대 APU/XPU가 출시되면 진짜 IT괴짜들의 장난감 정도에서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는 거지요
참고로 이거 인텔기준 최소 4세대 부터 가능합니다. (메인보드 기능에 따라 3세대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저 기준 이하에서는 이래저래 RX570이나 GTX1050 채굴 붙이는게 그냥 속편하지요
nvidia + ati 연결하면 엄청 좋아지는것 아닐까요?
오... 하드웨어 인코딩용으로 굴려도 되겠는데요?
써멀패드를 저렇게 두께도 안 맞는 걸 붙여 놓으면 코어 온도가 잘 잡힐 것 같나요?
차라리 1080ti랑 sli구성으로 하면 그럴듯 할까요?
역시 점잖은 뻘짓연구소라는게 과언이 아니네요 너무 꿀잼입니다. 이런거 자주올려주세요
부품용으로 적출해서 사용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테스트마다 쓰시는 벤치케이스? 오픈형? 칼도마같이 생긴 제품 혹시 어떤제품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흰색 직사각형으로 생긴 제품으로 보이던데, 혹시 다양한 벤치케이스 를 쓰신다면 추천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투렉스 DOMA A5 watercooler인데 지금은 단종된 것 같네요😅
@@minteger 감사합니다,,안타깝네요,,ㅎㅎ
오늘도 좋아요 꾹
P02-100 1080TI버전
전기를 너무많이먹어서 채굴시장에서 퇴출되었죠...
진짜 이런거 넘 잼어요 하악하악
02:06 극공감....
이그래픽카드 신가하네ㄷ
그르게 이런거 너무 재미있내요 저는일만인이라 해보지는못하지만 이런 약간 뻘짓같은 실험 재미지게 보고 있습니다
플레이신님하고 목소리가
비슷하시네요ㅎㅎ
주문제작도 해주실수 있으신지요?
이게 102는 흔한 글카가 아닙니다. 이건 채굴당시에도 유니콘이라 불릴정도로 많이 뿌려지지 않았어요 그에반해p106은 흔하죠…
아직까지 오래된 컴을 쓰고 있는 저로써는............재밌누~~
2차채굴시대(20-22) 때 한참 쿨엔 퀘이사서공유되던정보.
재밌었어요ㅎㅎ
n100이 잘 뽑혔던데 저전력 사무용 컴퓨터도 보고싶습니다
민티저님 메모리 나 그래픽카드 중고 구하고싶은데 추천해주실만한 사이트 있을까요??
저도 재미있어요 ^^ 저도p106 사서 굴리고 있습니다.
선생님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cpu뭐쓰시는지 알수있나요?
윗댓에서 인텔 4세대 이후씨퓨부터된다해서..
출력단자가 없는 그래픽 카드는 physx 나 opengl 로 쓰면 딱 ! 이겠네요. ~
이거말고도 구형 테슬라 그래픽카드도 이런식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항상 결론이 😂
장난감으로 모으다보니까 x792개 x99 보드 3개를 모았네요 ㅎ
재밌게 보고있습니당
정말 구매해보고 싶은데 인터넷에 검색해도 딱히 보이지가 않네요..
채굴러의 피눈물이 들어가있는 그래픽카드 잘봤습니다
게이밍 용도로 사용하실꺼면 쳐다도 보지말것. 다만 ai 용이나 그래픽작업용으로는 갓성비일듯...
게임용으로도 잘 되는 것 같은데요.
1.1 / 4배속인데 내장쪽으로 양방향 데이터 전송까지 해야되니..
디스플레이 포트만 납땜해서 붙이면 출력도 되겠군요 납땜만 할줄알면 첫번째꺼 개이득같은데
안됩니다 ㅋㅋ 되면 사서 납땜 할려고했는데
@@가제트-k7w 왜 안되까여? 혹시 이유 아시면 덧글좀
@@33a333 저런 채굴용으로 나온것중에 출력포트가 있는데도 연결해 보면 출력이 안됩니다 바이오스도 일반용이 아니라 수정해서 쓰는거라 여기서 부터 막혀있는지 아니면 출력단 회로가 빠져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안된다고 알고 있네요
@@가제트-k7w 아하 자원100퍼를 채굴로 몰빵 했군요 이해 되었습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 출력포트 사용할려면 바이오스 에 출력 포트 값 추가 해줘야겠군요
첫번째꺼 배그 돌릴 때 온도가 86도가 넘어가네요
그럼 핫스팟은 105도 넘어갈겁니다
쓰로틀링 상태네요
가성비왕자 가왕❤
엔비디아 옵티머스 같은건가요?
5600g에 연결하면 가성비 일려나요?
영상코덱때문에 인텔쪽이 나을거에요.
지금 5600g에서 실사용 중인데 제가 하는 게임 중에서는 쓸만하게 느껴집니다.
민티저님안녕하세요 제가 p-106을 영상을보고 구매했는데 도저히 설치를 못하겠어요 도와주세요 ㅎㅎ
잘봤슘돠
그냥 궁금한건데 메모리 2개 붙이면 2G 추가 가능한가요?? ㅋㅋ
왠지 그럴거같았어요ㅋ
배그는 gpu보다 cpu 성능을 많이 타서 그런가보네요
gpu타는 게임에선 바로 성능차이;
글카 이야기가 나왔는데...
궁금한거 및 재미있는 실험좀 해주세요..
라이저 카드 3.0 및 4.0 비교좀..
그리고 요즘 1번 슬롯에 꼽고 1번 m.2에 NVME 꼽으면.. 1번 슬롯이 8배속으로 바뀐다는데..
그것도 속도나 성능 비교 같은거 하면 재미있을것? 같아요. 궁금하거든요..
4.0 16배속과 3.0 16배속.
4.0 8배속과 3.0 16배속 등등..
진짜 재미있는데
저 같이 아직도 옛날 컴터 i5 3세대 쓰는 사람은 해볼만 할 듯 싶내요^^
제가 2세대 i5 2500으로 H61보드로 해보니 안되더라구요. 드라이브 설치까지는 되는데 전역 사용 메뉴가 없어요. 그래서 github에 가보니 인텔 4세대 부터 된다고 하던데요. 라이젠 3200g 5600g에서는 잘 됩니다.
메테오나 AMD 8000 APU 가 내장 그래픽의 미래...
메테오는 1050 정도이고 8000은 기대하는중이고 E 시리즈 35W 제발 풀리면 좋겠다는...
8700G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ㅋ
이렇게 된이상 두개를 붙여서 sli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