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50에도 육아는 계속됩니다ㅣ김경일ㅣ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ㅣ자녀와 잘 지내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тра 2024
  • 📚 도서 [50이면 육아가 끝날 줄 알았다]
    👉🏻 책 구매하기: bit.ly/4dyl2zG
    💜 교보문고가 만든 책으로
    세상을 이야기하는 도서 커뮤니티, 보라 VORA
    보라 인스타그램
    bit.ly/3FXfLSJ
    보라 네이버 카페
    bit.ly/3FZlAz8
    * 출연자를 향한 무분별한 비난의 내용은 별도의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김경일 #심리 #관계 #자녀관계 #부모관계 #인간관계

КОМЕНТАРІ • 51

  • @tigerlily5507
    @tigerlily5507 Місяць тому +77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강의네요. 아이들에게 이런 점이 나와 다르구나를 인정하는 것.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 @user-ft1kk8vo6q
    @user-ft1kk8vo6q 7 днів тому +6

    내 나이 50~ 아직도 저와 제 아들들 앞에서 오직 본인 자식들 자랑만 하시는 시어머니와 완전 멀어지기로 결심했습니다~ 그건 저에대한 공격이라고 느꼈습니다~ 저는 저를 공격하는 사람과 멀어질 자유가 있습니다

  • @user-qf1kq5fo2t
    @user-qf1kq5fo2t Місяць тому +24

    맞네요 가족은 안정감을 주는 존재

  • @user-vo2zy6hc9x
    @user-vo2zy6hc9x Місяць тому +12

    교수님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감동입니다♡

  • @user-ni1kq3mj1j
    @user-ni1kq3mj1j Місяць тому +21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lj9hk7if6t
    @user-lj9hk7if6t Місяць тому +14

    교수님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imhonggeol
    @kimhonggeol Місяць тому +11

    책을 빨리 사보고 싶네요. 배울점이 참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ksl1944
    @ksl1944 Місяць тому +18

    교수님 감사합니다 ❤

  • @soyeonkang4335
    @soyeonkang4335 Місяць тому +13

    아.. 너무 재밌는 강의였어요!

  • @changlee1643
    @changlee1643 Місяць тому +4

    감사합니다 많은것을 생각해보고 갑니다

  • @1610-lm1sy
    @1610-lm1sy Місяць тому +5

    매번 정성스럽게 만든 콘텐츠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어요. 이렇게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당신의 영상 하나하나에서 느껴지는 진심이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계속 응원할게요. 힘내세요!

  • @rich_table_u
    @rich_table_u Місяць тому +2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 @user-wr3cd7xf8j
    @user-wr3cd7xf8j Місяць тому +4

    오늘 대구강연 보고 왔는데 진짜 잼 있으면서 의미있는 최고였습니다

  • @user-ek4rz2bf1b
    @user-ek4rz2bf1b Місяць тому +22

    요즘 아이랑 사이가 안 좋은데 잘 듣겠습니다.

  • @user-hs1zz9no6r
    @user-hs1zz9no6r Місяць тому +2

    최근 들은 강의 중에 가장 좋아요!

  • @user-yc7vu6dz5f
    @user-yc7vu6dz5f Місяць тому +15

    풀영상 보고싶어요~~~

  • @queenkongworld
    @queenkongworld Місяць тому +43

    나와는 다른 인격체라는 것은 알겠는데 그 속모습은 거울 속 나를 보는것 같이 놀랍도록 똑같다는 것이 다른 사람이라는 인식을 하기 어렵게 하는 큰 이유가 되더라구요...😂

  • @green6753
    @green6753 Місяць тому +18

    책을 사러 가야겠어요
    꼭 읽어 보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 @user-tb8tk6fx8l
    @user-tb8tk6fx8l Місяць тому +2

    와~~~~~~~~~~엄청난 유익한
    강의네요!!!!!!!!!!!!!!!♡♡♡♡♡

  • @user-su5hu9oi7j
    @user-su5hu9oi7j 28 днів тому +2

    교수님 강의 너무 좋네요^^

  • @naturehaha1756
    @naturehaha1756 Місяць тому +4

    김경일교수님 강연 듣고싶었는데요 ㅜㅜ 또 초대해주세요

  • @user-mh9vm5oo1x
    @user-mh9vm5oo1x Місяць тому +5

    가족 위로 공감 안전 편안 휴식 정신적지지

  • @Missyun0049
    @Missyun0049 Місяць тому +13

    잘 들었어요~~^^

  • @user-ek4rz2bf1b
    @user-ek4rz2bf1b Місяць тому +30

    다름을 인정하는게 정말 힘드네요.ㅠ ㅠ

  • @bear_4865
    @bear_4865 Місяць тому +63

    김경일 교수님 강연을 가고싶었는데 못가서 아쉬웠건만 . 이렇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버스안에서 듣고있는데 신보다 엄마가 무섭다는말에 빵터졌네요 ㅎㅎㅎ🤣🤣

  • @rose0337k
    @rose0337k Місяць тому +1

    교수님.교수님 영상 볼때마다 반성을 하는데 실천을 못하네요.ㅜㅜ 교수님.강의 한번이라도 가보고싶어요

  • @Missyun0049
    @Missyun0049 Місяць тому +22

    와~~~ 김경일교수님이다~~^-^
    교수님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들어볼게요~~^0^😊

  • @user-qz4ss7lp4g
    @user-qz4ss7lp4g Місяць тому +12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애착이 깊어서 애도기간이 길다는 해석은 동의가 안되네요. 불완전애착유형이라고 해석해야할듯요.

  • @user-qm3yi2ik7q
    @user-qm3yi2ik7q Місяць тому +6

    13:53 애착의 역할

  • @user-dy7me9vc9r
    @user-dy7me9vc9r День тому +1

    사랑의 노래!
    황혼의 노래!
    노래ㅡ이종득

  • @user-ep1lr2fc1c
    @user-ep1lr2fc1c Місяць тому +2

    자식도 나와 다르구나!

  • @sarahkim1058
    @sarahkim1058 Місяць тому +14

    그렇게 입양된 아이가 성인이 돼서 foster 부모 살인률 20%... 굉장하면서 끔찍하네요.. 그럼 어렷을때부터 학대받은 아이들은 어떻겠어요.. 휴...

  • @jieonyie
    @jieonyie 28 днів тому +5

    남편은 성인을 말도안된다고 하지만 티안나게
    20살된 딸 하나 성인육아 하고싶어요 딸에게도 안들키게
    이게 자녀 교육 잘 못했다는 저를 인정하고싶지않은 마음도있지만 97세
    돌아가신 친할니머니가 저에게 자주
    사람은 열두번된다. 라고하셔서
    중고등땐 잔소리가 나가게 되고 싸웠고 상처 주고받고ㅠ
    성인이 되어 자녀도 좀 순해진거 같고
    자녀가 먼저 물어본다면 현상에 대하여 잔소리와 한숨보다. 현재가 부족해도 세상떠날때까지
    감사하고 부정적인 말을 긍정으로 바꾸는 고 기쁘게 사는 것과 선택의 경계를 지키는것 을 자녀에게ㅠ 보여주고싶어요 자녀를 밝게 사랑하고 싶어요 ㅋ

  • @user-vp6yp6pt1s
    @user-vp6yp6pt1s 4 дні тому

    전 아들이 둘입니다 하나20살 대학생 하나는 중3 몇년째 넘 힘드네요 다름을 인정하지 않아서 힘든가요 어찌 다들 사춘기가 끝나지 않은건가요

  • @user-qy7tr5lm9y
    @user-qy7tr5lm9y 14 днів тому +1

    옛날 우리어머니 시대땐 아이를 많이 낳아서 많이 못 안아주고 아버지들은 권위적이라 자녀들을 거의 안 안아준걸로 알고 있는데 그건 어떻게 설명하실건지요?
    따지는게 아니라 진심 궁금해서요

    • @user-pk2um5gt3d
      @user-pk2um5gt3d 12 днів тому +3

      아이를 키우는 데는 한 마을이 필요하다는 격언이 있는 것처럼 옛날은 대가족 사회라서 어머니 아버지가 바빠도 할아버지 할머니 삼촌 이모 형제들과 다 어울러져 살았답니다..꼭 어머니 아버지가 안아주지 않아도 주변에 안아줄 사람들이 많았다는..

  • @user-pd3su5nv9r
    @user-pd3su5nv9r 13 днів тому +1

    한국의 사춘기가 더 문제가 되는 이유.
    어설픈 전문가들이 설치면서 사춘기때 발생하는 문제를 이해하는것을 넘어 사춘기를 너무 옹호하는데서 발생.

  • @user-uh5im5vd9o
    @user-uh5im5vd9o 19 днів тому

    마지막에 논리전개가 좀 이상한데??

  • @songiyoon1541
    @songiyoon1541 Місяць тому +15

    많은 싸이코패스가 미국으로 갔군요.... 😅

  • @user-kj9qn1qr7g
    @user-kj9qn1qr7g Місяць тому +14

    어부바

  • @user-eq7iy1ew5k
    @user-eq7iy1ew5k Місяць тому +3

    전통적인 조선시대에서 부모초상을 3일정도 치르고 부모 무덤옆 에서 3년동안 지켰던 것이 현대에 와서 그 의미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Місяць тому +6

    만저주지 않는것. 이것이 후천적 사이코페스를 만든다. ? 교수님? 물론 스킨접촉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정신적 관계도 영향도 주고 관계도 있지요. 그런데 그 영향과 관계를 분리해서 보며는, 신체적 접촉이 그렇게 결정적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 접촉이 없으면 정신적 영향도 끊어진다는 것이 문제지요. 만일 신체적 접촉을 끊더라도 생활에서 친밀한 대화로 이어지면 정신적 상처를 입지 않습니다. 물론 유아시기에 접촉은 대화보다 더 중요하기에 이 시기에서의 신체적 접촉은 중요합니다. 단지 언어를 배우고 두뇌를 발달시키는 시기에 들어가면 오히려 신체적 접촉을 줄이는 것도 나쁘지만은 않습니다.

  • @Mission-rj8qw
    @Mission-rj8qw Місяць тому +2

    포스트모더니즘 병폐 심리학

  • @user-ld8vr6qu9j
    @user-ld8vr6qu9j Місяць тому +6

    학생들 강의나 열심 하시길

  • @user-qm3yi2ik7q
    @user-qm3yi2ik7q Місяць тому +5

    13:53 애착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