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후임이 lg에 지명된 언더투수가있는데 야구를 잘몰라서 정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지명이 뭐 자기가 만족못하는수준? 이라서 한양대 다니다가 4년때쯤 군대온애인데 공던지는거 타석에섰었는데 그냥 개무서움.. 언더투수라 그런거 공이 밑에서부터 내얼굴쪽으로 올라오는데 다 스트라고하더군요 그때부터 야구 타자들 대단하다고 생각했음.. 스크린야구랑은 그냥 무브먼트가 다름
시끄러워지기 좋은 떡밥 투척.ㅋㅋㅋㅋㅋ 프로 레벨의 공을 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보통은 패스트볼에 타이밍을 맞춰 출발하다가, 변화구 타이밍을 잡습니다. 그렇게 되면 커브가 제일 치기 힘듭니다. 우선 속도 차가 커서 타이밍이 너무 빠르게 되죠. 거기에 더해 낙차가 제일 커서 히팅 포인트를 잡기도 어렵죠. 이상 원론적인 사례. 느리지만, 아직까지 커브라는 구종이 살아남아있는 이유죠.
남자가 빨리죽는이유:떨어지는커브를 잘못던지거나 돌직구로 잘못되거나 타자가 잘못스윙하여 배트에 머리를 맞는것
포크볼이요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공이 들어올때 가장 치기 어려움
볼배합질 안하고
하나만 픽해서 치면
야구 좀 한 사람들은 10타석중에 한번은 칠수있음
나 첨에 커브가 cb 라고 되어있어서 ㅅㅂ인줄
체인지업이랑 스플리터가 헛스윙률 제일 높은 걸로 아는데
그냥 제가 타석에 들어간다고 상상해보면
수직무브먼트 좋은 하이패스트볼이 제일 어렵지 않을까 ㅋㅋ
구종 모르고 치면 체인지업이 제일 어려울것같은데
@minorleg 실제로 해봐도 하패보고 떨공보면 흠칫하게 되더라구요
@minorlegㅇㅈ ㅋㅋㅋ 거기에 체인지업도 섞으면 개빡셈
@@jinunp7236죄송한데 현역 야구선수신가요? ...ㅋㅋ
@@davedave8540사회인 야구 하시겠죠
난 모든 브래이킹볼이 어려운데😅😅😅😅
직구 하나 보여주고 타이밍 뺏으면 그냥 다 삼진
타석에서 운좋게 프로의 커브를 상대해 본적이 있다.(대학 교양수업들을때 마지막 수업에서 교수가 불러왔음) 정확히 커브를 던질거라고 알려주고 던졌는데 이 선수가 내 머리로 공을 던져서 주저 앉았는데 공이 미트에 꽂혀있었다. 야구는 미친운동이야...
개인적으로 슬라이더
싱커
군대후임이 lg에 지명된 언더투수가있는데 야구를 잘몰라서 정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지명이 뭐 자기가 만족못하는수준? 이라서 한양대 다니다가 4년때쯤 군대온애인데 공던지는거 타석에섰었는데 그냥 개무서움.. 언더투수라 그런거 공이 밑에서부터 내얼굴쪽으로 올라오는데 다 스트라고하더군요 그때부터 야구 타자들 대단하다고 생각했음.. 스크린야구랑은 그냥 무브먼트가 다름
직구가 최고의 마구
커브랑 체인지업을 던지는 투수가 젤 어려움 커브같이 보였는데 안떨어지니 헛스윙 확률이 높아짐
진짜 떨공삼 당하지말라고 해도 본능적으로 떨공삼 엔딩이긴해.
야구게임할때 체인지업이 진짜 힘든듯
체인지업은 직구라고 생각하고 칠려는데 낚이는 느낌이라 뭣같음
무슨 게임한걸로 아는척하는거 왤케 어이없냐ㅋㅋ아무리 비슷하다고 해도 게임이랑 진짜 야구랑 비교가됨?
@@서-x5k 님 시비충임?
그냥 그렇다는 말인데 왜 태클검?
@@user-abcde12345a 아니 실제로 저런공 한번도 못봤으면서 어떻게 쳐야된다 아는척 하는게 웃겨서요ㅋ
@@서-x5k 니가 이상한거임
@@서-x5k더쇼 해보셈 당연히 진짜 치는 거랑은 다르겠지만 실제 타석에서 어떤 느낌일지 상상이 감
프로에서 나 이거 던진다 칠수 있으면 쳐봐라 하는 공은 페스트볼 너클볼 밖에 없음
의외로 커브 잘떨어지는거 만나면 진짜 아무것도 못하겠더라
150 조또 칠수 있을것 같은데?
근데 실제 타석에서는 120 정도가 저렇게 보임
160km 싱커
투구 플레이트 3루쪽 밟고 우타 기준 몸쪽에서 복판으로 들어오는 슬라이더..
일반인 기준 배트 스피드 느려서 직구가 가장 힘들듯. 맞아봤자 앞으로 안나감
프로2군 언더핸드투수 상대로 타석에 서는데 싱커 개 지림... 몸에 맞을것 처럼 휘어옴...
프로2군 언더핸드면 특정도 가능한데
그리고 2군이면 더더욱 만날일이 없을텐데ㅋㅋㅋ
키보드만 잡으면 구라질이 아주 ㅋㅋ
@@nananana0099 04군번인데 군대있을때 후임으로 들어옴 고참들 궁금해서 몇번씩 경험해봄... 싱커 개 지림
@@nananana0099 특별한 경험 했구나 그런갑다 하면 되지, 왤케 꼬였음?ㅋㅋㅋ
공에 대한 공포가 제일 힘들듯
일반인에겐 빠른 공.
프로에겐 읽기 어려운 투구폼, 볼배합, 볼끝이 살아있는 공.
다 치긴 어려울 것 같음
무슨 공인지 알려주고 치라고 하면 패스트볼이 가장 힘들 듯
시끄러워지기 좋은 떡밥 투척.ㅋㅋㅋㅋㅋ
프로 레벨의 공을 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보통은 패스트볼에 타이밍을 맞춰 출발하다가,
변화구 타이밍을 잡습니다.
그렇게 되면 커브가 제일 치기 힘듭니다.
우선 속도 차가 커서 타이밍이 너무 빠르게 되죠.
거기에 더해 낙차가 제일 커서 히팅 포인트를
잡기도 어렵죠.
이상 원론적인 사례.
느리지만, 아직까지 커브라는 구종이 살아남아있는 이유죠.
뭔소리야 커브는 기껏해봐야110km인데 그걸왜못쳐
@@주루야다이아가자 느리니까 치기 힘들다고요
@@주루야다이아가자 원문 다시 읽어보세요~~~~. 패스트볼과 속도차가 크기때문에 치기 힘들다고 씨부려놨어요.
하나 더 풀자면,
승삽이형(이승엽)이 56개 홈런 친 시즌에 커브를 받아쳐 넘긴 게 1~2개라는 썰도 있어요.
체인지업이지 당근
경험자 입장에선 페스트볼이 가장 치기어려움 변화구는 알고치면 진짜 맛도리임 변화구타이밍에 페스트볼 들어오면 답없음 그래서 페스트볼타이밍에 변화구 쳐야해서 변화구치기가 어려운거임
니가 무슨 경험자임 ㅋㅋ 프로냐?
@@CARDIOK1NG아마 내가 야구로 번 돈니 니년이 평생 번 돈보다 많을껄요ㅎㅎ
"프로선수의 공"이...맛도리라구요? ㄷㄷㄷ 선출이심? 그런 식이면 알고 치기 가장 쉬운 공이 패스트볼 아님? ㅋ
사야 한 3부쯤 뛰어보고 하는말아니죠?ㅋㅋ
맛도리는 너무 과하게 얘기한거긴 하지만 프로 공중에 패스트볼이 제일 힘들긴 하죠 ㅋㅋ 일반인이 치려면 스윙이 아니고 갖다 맞추기 급급할꺼에요 몸의 회전이 반응을 못할테니😅
커브는 CU인지 알았던 나😢
Curve 맞긴 함. 다만 메이저리그에서 줄여서 표현할때 CB라 표현함. 커브 볼
안알려주면 체인지업이 제일 치기 힘들지 커브나 슬라이더는 손에서 나올때부터 직구랑 다르지만 체인지업은 직구랑 똑같이 나와서 프로 레벨일수록 다르지ㅎ
직구가 짝데기면 맛도리고 더러운볼에 구속까지 있으면 치기가 까다롭긴한데 특급선수들을 보면변화구가 좋은 투수들이 그 반열에 오름
하도 야구중계에서 작대기,작대기 하니까 너도나도 치는줄 아나본데, 일반인들은 120km작대기만 봐도 찔끔 하는 수준입니다.
슬라이더 아닐까?
체인지업임. 패스트볼은 아 빨라서 안맞는구나 싶은데 첸졉은 때렸다 생각해도 헛스윙임.
프로리그에서 확율상 홈런이 제일 많이 나오는건 패스트볼...!!!
그건 표본이 적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커브볼. 생각보다 치기 수월함. 변화각이 눈에 보이는 정도는 됨. 다만 빠른 폭포수 커브가 생각보다 더 치기 어렵고
@@music_is_sports커브볼이 치기 쉬워서가 아니라 프론트 스핀으로 타자에서 날아오기 때문에 치면 백스핀이 걸려서 그렇습니다
빠른공 보고 난뒤에 체인지업이지
직구.
빠른 직구는 그만큼 대처 시간이 짧으니깐.
투수의 첫번째 재능이 구속인 이유.
싱카~
싱커가가장어렵습니다
포크볼인듯
너클볼이 제일 치기 어려움
싱커,체인지업 아닐까연
전 포크볼이 어려워보여요 게임할때도 치기어렵더라구요
커브가 젤 어려운듯
일반인이면 변화구고 뭐고 빠른공에 반응도 못함 사회인 야구단 투수 직구 130짜리 직접 경험했는데 절대 보고 못치고 예상해도 배트 스피드가 느려서 헛스윙임
수 싸움이지 개소리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