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지도를 잘 살펴보면 우리 나라에도 운석충돌구라고 생각되는곳이 여러곳 보입니다. 전남 나주, 경기도 양주,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강원도 춘천,인천 계양구, 대전 ,금산 , 충북 음성 대소면 등 자세히 살펴보면 흔적들이 조금씩 남아 있습니다. 달이 저정도의 운석 충돌구를 가지고 있다면 지구도 그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자잘한 것들은 지구의 지질활동과 풍화작용으로 흔적이 많이 사라지긴 했어도 말이죠.
호기심이 생겨 위성지도를 살펴봤습니다. 나주는 그냥 전형적인 하천에 의해 생긴 분지같네요. 경기도 양주.. 도락산을 중심으로 반경 8 km정도 원형 분지가 있네요. 가운데 산이 솟아있어 특이하긴 하지만 하천도 없이 분지가 있는것도 신기합니다. 해안면은 정말 깔끔한 모양이네요. 놀랍습니다. 실개천이 분산되어있긴 하나, 분지를 형성하긴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춘천도 사실 충분한 크기의 하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천 계양은 뭐를 말씀하신건지 모르겠네요. 대전은 금강과 갑천 등이 흐르기 때문에 운석충돌이 아닌 자연적으로 생긴 분지입니다. 금산도 하천이 있고 뚜렷한 특징이 안보입니다. 비슷해보여도 명확한 특징이 없으면 안되니까요. 음성도 하천이 있어 평지를 만들기엔 충분해 보이나 가로지르는 산맥이 눈에 띄게 선명하긴 하군요.
합천군 적중면 초계분지 지형은 다른 운석 충돌구랑 전혀 다르게 정방형 지형이 아닌 전형적인 산맥 지형인것에 대한 설명이 되면 좀더 신빙성이 있을것 같아요. 운석 충돌 이후 130미터 높이로 퇴적토가 쌓였다고 하기엔 주변 산맥에서 유입될 토사량이 충분한지도 의문이구요. 나레이션에서도 바위가 녹고 산과땅이 한순간에 증발 했다는데... 반경 50km 초토화 됬다고 하는데 바로 주변 산맥 지형이 그냥 산지 산맥인것이 설명이 안됩니다. 200미터 크기의 운석이면 1차 정방형 충돌 파형 이후 2차 3차 흔이 있어야 하는데, 초계분지 주변 산맥지형은 이런 출동 파형이 보이지 않습니다. 깊이 130미터 아래 지층에서 운석 충돌구의 암석이 발견 됬다는데 그건 지구 생성 초기 당시에 암석층이 발견 된걸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번 검토해보세요. 주변 산지 지형 파형이 운석 충돌구라고 보기엔 해석이 안됩니다.
위성지도를 잘 살펴보면 우리 나라에도 운석충돌구라고 생각되는곳이 여러곳 보입니다.
전남 나주, 경기도 양주,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강원도 춘천,인천 계양구, 대전 ,금산 , 충북 음성 대소면 등
자세히 살펴보면 흔적들이 조금씩 남아 있습니다.
달이 저정도의 운석 충돌구를 가지고 있다면 지구도 그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자잘한 것들은 지구의 지질활동과 풍화작용으로 흔적이 많이 사라지긴 했어도 말이죠.
지구는 대기권이 있어 대기권에서 운석이 대부분 사라집니다. 그래서 지구가 달보다 크레이터가 더 많은건 있을 수 없습니다
호기심이 생겨 위성지도를 살펴봤습니다. 나주는 그냥 전형적인 하천에 의해 생긴 분지같네요. 경기도 양주.. 도락산을 중심으로 반경 8 km정도 원형 분지가 있네요. 가운데 산이 솟아있어 특이하긴 하지만 하천도 없이 분지가 있는것도 신기합니다. 해안면은 정말 깔끔한 모양이네요. 놀랍습니다. 실개천이 분산되어있긴 하나, 분지를 형성하긴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춘천도 사실 충분한 크기의 하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천 계양은 뭐를 말씀하신건지 모르겠네요. 대전은 금강과 갑천 등이 흐르기 때문에 운석충돌이 아닌 자연적으로 생긴 분지입니다. 금산도 하천이 있고 뚜렷한 특징이 안보입니다. 비슷해보여도 명확한 특징이 없으면 안되니까요. 음성도 하천이 있어 평지를 만들기엔 충분해 보이나 가로지르는 산맥이 눈에 띄게 선명하긴 하군요.
최고의 프로그램~!!!
강원도 DMZ 부근에도 운석 구덩이 있습니다.
한국도 저런곳이 있군 ㄷㄷㄷ
해남에도 충돌구가 있지.
합천
자세히 찾아보면
국내에도 더 있을 듯
단지 모르고 살아갈 뿐
합천군 적중면 초계분지 지형은 다른 운석 충돌구랑 전혀 다르게 정방형 지형이 아닌 전형적인 산맥 지형인것에 대한 설명이 되면 좀더 신빙성이 있을것 같아요.
운석 충돌 이후 130미터 높이로 퇴적토가 쌓였다고 하기엔 주변 산맥에서 유입될 토사량이 충분한지도 의문이구요.
나레이션에서도 바위가 녹고 산과땅이 한순간에 증발 했다는데... 반경 50km 초토화 됬다고 하는데 바로 주변 산맥 지형이 그냥 산지 산맥인것이 설명이 안됩니다.
200미터 크기의 운석이면 1차 정방형 충돌 파형 이후 2차 3차 흔이 있어야 하는데, 초계분지 주변 산맥지형은 이런 출동 파형이 보이지 않습니다.
깊이 130미터 아래 지층에서 운석 충돌구의 암석이 발견 됬다는데 그건 지구 생성 초기 당시에 암석층이 발견 된걸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번 검토해보세요. 주변 산지 지형 파형이 운석 충돌구라고 보기엔 해석이 안됩니다.
니가 해라
@@밍밍밍-y8n 저거 개뻥이라고 말하는 지질학자들도 있더라 저렇게 몰아가는것 보고 어이가 없었데 누가 카더라카문 그대로 믿는건 과학이아니라 종교야 광신 또는 맹신
@@kihojoa 어쩔
@@밍밍밍-y8n무지식
불덩어리 연료로 쓰면 되겠네
소행성 충돌구는 나주 노안면이 제대로지..
운 석 😂😂😂😂😂😂
5만년 전에는 일본열도랑 한반도랑 연결되어있지 않음?
그건 2천만년전이고요!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