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MASY로 로스팅 하기 전 이거 꼭 보고 하세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бер 2024
  • #카페마시 #cafemasy #홈로스팅
    카페마시CCR--1209R2 로스팅기의 온도변화 체크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76

  • @cf_wonsiin
    @cf_wonsiin  20 днів тому +1

    ************ I post machine translations of what I mentioned in the video for foreign viewers as below *****************
    Hello, I'm a primitive man who roasts coffee.
    Today, I brought a new home roaster. I bought the big one on the left because the Café Masi CCR-305D model on the right side seems to have a small capacity. The left side is the Café Masi CCR-1209R2 model... It's a 300g roaster, and the right one is a 100 gram roaster.
    Since it's my first time, let's take a quick look at how to use it first...
    When you turn it on, it looks like the picture... The left is the time dial, today's temperature control dial, and you can control the air volume in three steps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and holding still. In this state, the default mode of 230 degrees, 15 minutes, is executed. You can control the time from 1 minute to 20 minutes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and turning the time dial, and the temperature can be set from 150 degrees to 240 degrees. Setting the temperature and time and pressing the power button starts roasting… …
    First, let's compare the noise with 100 grams of cafe marsh. This is the sound of 300 grams of cafe marsh when the wind power is 3… This is the sound when the 100g air volume is 1.
    How do you hear it? I heard that a small pepper is spicy, so a 100 gram one is much louder. I think 300 gram air volume level 3 noise is similar to or a little smaller than 100 gram air level 1.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a 100g weight and a 300g weight device is that the small one adjusts the power to eight levels, which adjusts the temperature. The small one is that if you place the power at a constant level and measure the temperature, the inside of the roasting chamber continues to accumulate heat and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Of course, it won't go up forever, but as you can see in the graph, the temperature kept going up when you did it up to eight minutes.
    A 300-gram piece is supposed to set the temperature, not the power. I checked first to see if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50 degrees if it was set at 150 degrees. This device needs to drill a hole in the lid to point out a thermometer probe… There is a hole in the lid of the 100g cafe marsh equipment, so I put a probe on the lid and covered it with the lid as shown in the picture to measure it. But when I measured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kept coming irregularly, and I thought the thermometer was broken, so I ordered a thermometer again. But the temperature wasn't constant either. I was thinking about returning it due to a problem with the equipment, and a week later, I drew a graph and this picture came out. As soon as I saw this graph, I thought, "Oh, it's originally set like this." If the temperature changes due to something wrong with the machine, I don't think it will change like this regularly.
    The graph you're looking at is set at 150 degrees Celsius, air volume 1 and measured for 10 minutes. The temperature goes up and down periodically… Does this equipment set the temperature? However, if the power is constant, the temperature will continue to rise like a 100g device, so it seems that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the power is reduced to set the temperature constant.
    According to the manual, it says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is set to thermistor 3950 100k... This thermistor means that the resistance changes with temperature… It seems that if you read the temperature with a thermistor and cross the upper limit, you reduce the power, and if you cross the set lower limit, you increase the power and adjust it to a certain temperature. The upper and lower limits are almost constant except for the first peak, if you look at the graph. And although the cycle of this graph is similar because the power change is controlled by reading the temperature rather than by a fixed time, it does not come out constant.
    I set the temperature at 150 degrees, set the air volume at 1 and 3, and measured the temperature for 10 minutes… The blue is the air volume 1, and the red is the air volume 3.
    In the graph, there are 5 vertices when the air volume is 1 and 6 vertices when it is 3? In other words, if the air volume is large, it often goes back and forth between cold and hot baths… I think this is because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drops mainly affects the cycle. It takes more time to lower the temperature than to raise the temperature, but if the air volume is large, does a lot of cold wind come in and the temperature drops quickly? I think that's why the cycle is accelerating because we reach the lower limit quickly.
    And the manual says that after 6 minutes, motor power will decrease by 20%, and when cooling after roasting, it will return to 100%… Actually, after 6 minutes, the noise decreased... But I don't think there's much difference before and after 6 minutes. The difference is that after 6 minutes, the air volume is a little bit low, so does the cold wind come in less, so it doesn't cool well when you have to lower the temperature? That is, the temperature drops for a long time. You see in this figure, right? If you look at the temperature drops after 6 minutes, you can see that it gets longer after 6 minutes, right? I don't know what effect this has on roasting... And I'm not sure why I have to reduce motor power after 6 minutes...
    And if the 100g cafe marsh equipment keeps the power constant and increases the air volume, a lot of cold air comes in, the temperature drops, and the beans cook slowly. There's a clear difference in air volume… In fact, since it adjusts the temperature constantly regardless of the air volume, the temperature is likely to remain constant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air volume, and as shown in the graph, there seems to be little difference 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air volume.
    The next graph is to set the temperature to 150 degrees and 200 degrees, set the air volume to 1 and measure it for 10 minutes… Does the temperature change cycle get much faster when it's set at 200 degrees? This means that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e temperature drops significantly when a cold wind comes in. So, I think the cycle gets faster because it reaches the set lower limit faster. If you mix 100 degrees water and 0 degrees, you get 50 degrees, so 50 degrees, but if you mix 50 degrees water and 0 degrees water, you get 25 degrees, so the drop rate is the same, but does the absolute value increase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It's the same logic.
    And, it's the same in the previous graph, and the first vertex is exceptionally high... For example, if we set the temperature at 200 degrees, this equipment would be set to increase its power when it reaches 150 degrees, but if we start roasting for the first time, would the temperature be about 25 degrees? This temperature is much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150 set by this equipment, so this equipment is in big trouble. I think the temperature is too low. I raise the power very strongly, so I guess that inertia will raise the temperature very high.
    This time, we started with 150 degrees and measured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roasting chamber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by 10 degrees every minute... It's like the temperature goes up and down, but you can see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goes up.
    If so, this equipment roasts the beans inside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cold and hot water... I don't know if there is any commercial equipment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cold and hot water like this... And I wonder what the taste will taste like if I roasting it while coming and going back and forth..
    So I put 150g of PNG blue mountain and roasted it to taste it. Uh... It's better than I thought. I'll have to test it out a little more, but I think it'll taste pretty good, too.
    That's all for today, Thank you.

    • @ahmednasser4106
      @ahmednasser4106 8 днів тому

      dear, i have the big one 300 grams, i did two roasts so far, i use colombian beans, i mentioned the seconed time i put 220 grams in 200 degress temp, it wen't well, but in the last two minutes suddenly the noise decreased of the machine and the air too, so what is that means, please help

    • @cf_wonsiin
      @cf_wonsiin  8 днів тому

      ​@@ahmednasser4106I'm sorry but I can't understand exactly what you say. What's the total time for roasting? And what's the meaning of last two minutes?

    • @ahmednasser4106
      @ahmednasser4106 8 днів тому

      @@cf_wonsiin total time is 8 minutes

    • @cf_wonsiin
      @cf_wonsiin  8 днів тому

      @ahmednasser4106 The user's guide says that the motor power decreases by 20% after 6 minutes from the start of roasting. I don't know the reason why the motor power decrease, but maybe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oasting.

  • @iruka41
    @iruka41 2 місяці тому +2

    합리적인 추론과 깔끔한 측정방식에 마음이 엄청 편안해집니다. 잘 보고 갑니다.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별말씀을.. 감사합니다

  • @LCKLCK777
    @LCKLCK777 2 місяці тому +1

    새로운 친구의 영입을 축하합니다^^.
    실험정신도 엄청 투철하시고...다른분들은 걍 굽기만 하는데 온도계로 실험까지..대단하십니다^^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기본부터 하는게 나중엔 시간을 절약해준다는 개똥철학이 있엉서요 ㅋㅋ

  • @littleprince3287
    @littleprince3287 2 місяці тому +2

    그래프상에는 100그램짜리 로스팅이 샘플 로스터기 그래프랑 비슷하네요
    둘중에 어는것을 살까 고민인데 이런ㅇ비교영상 넘 감사하네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00g 짜리는 소음이 생각보다 심합니다~~300g 짜리는 아직 맛을 평가안해바서... ㅠㅠ

  • @user-it3it6zb9y
    @user-it3it6zb9y 2 місяці тому +2

    카페마시 300g짜리 최근에 사서 집에서 되는 대로 로스팅하고 있는데 아는 게 하나도 없어서 맛을 보면서 이렇게 저렇게 볶고 있었어요. 아 생각보다 로스팅이 너무 어렵네요 영상 계속 올려주시면 제게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2

      시간되는 대로 올릴게요~~^^

    • @user-it3it6zb9y
      @user-it3it6zb9y 2 місяці тому +2

      예가체프와 게이샤 생두를 샀는데 몇그램씩을 어떻게 세팅해서 볶는게 좋을까요? 쿨링은 별도로 했는데 그냥 머신에다 해도 괜찮을까요?파핑이나 크랙이 일어난 걸 어떻게 아나요?(저는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파핑이나 크랙이 왜 중요한 건가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user-it3it6zb9y 이걸루는 거의 안해봐서요.. ㅠㅠ 1차 크랙 후 보통 1~3분 내에 로스팅을 끝내고 그 끝내는 시기가 맛을 거의 결정합니다. 1차 크랙이 올때 소리가 팍팍팍 들리는데 이건 잘 들릴지는 몰겠네요..인터넷서 판매하는 원두와 색깔 비교해서 그 색 나오면 중단해보세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이번에 테스트한거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150도로 시작해서 1분마다 10도씩 230도까지 올렸구요.. 예가체프는 총 16~17분, 게이샤는 15~16분 정도하면 될 것 같아요~~그냥 한번 테스트해본 건데 맛이 괜찮았어요 ~~

    • @user-it3it6zb9y
      @user-it3it6zb9y 2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 @hiyo456876
    @hiyo456876 2 місяці тому +1

    저는 저런 독특한?특성이 있는지도 모르고 사용하고 있었나봐요.
    제가 상업용 로스터기는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비교는 못하겠지만 이장비도 맛은 괜찮게 로스팅 되는거 같더라고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좀 더 테스트해봐야겟지만 느낌이 괜찮아보입니다... 100그람 짜리 카페마시보다 나을것 같은 생각이 살짝 드네요 ㅎ

    • @hiyo456876
      @hiyo456876 2 місяці тому +1

      @@cf_wonsiin 100g짜리랑 맛 비교해보면 재밌겟네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그러게요.. 재밋겠네요~~

    • @hiyo456876
      @hiyo456876 2 місяці тому +1

      @@cf_wonsiin 요즘 날씨는 모르겠는데 한참 추울때 예열안하고 로스팅 진행하면 언더 잘나더라고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열풍 방식의 문제점 같아요~~열풍으로만 구우니~~

  • @user-dv1dt2uq9u
    @user-dv1dt2uq9u Місяць тому +2

    안녕하세요
    저희도 쿠팡서 구매해서 사용한지 한달정도인데
    많이 사용하지도 않았는데 팬이 망가졌어요ㅠ
    사자말자 팬이 안돌아가서 한번 바꾸고 또 그렇네요
    다양한 스페셜 생두를 볶는데 맛은 아주 좋습니다
    오늘 기계가 사망하여 이런경우가 있나하고 찾아보는중에 글을 보게되었네요~^^

    • @cf_wonsiin
      @cf_wonsiin  Місяць тому

      아.. 이런.. 아쉽겠네요.. 고치느니 새로 사는게 낫겠네요 ㅠㅠ

    • @user-dv1dt2uq9u
      @user-dv1dt2uq9u Місяць тому +1

      @@cf_wonsiin 네~As도 진행해보고 어떻게 처리 되는지 남길께요

    • @cf_wonsiin
      @cf_wonsiin  Місяць тому +1

      @@user-dv1dt2uq9u AS가 가능한가보네요~~~ㅎ

    • @cf_wonsiin
      @cf_wonsiin  Місяць тому

      오 ~~~그래요? ㅎㅎ

    • @user-dv1dt2uq9u
      @user-dv1dt2uq9u Місяць тому +1

      @@cf_wonsiin 7일이 경과하여 AS가 안된다고하네요
      몇번 사용 안했는데 또 같은 제품 구매 그렇네요
      사용감은 넘 좋았네요
      국산이 아니라 As가 안되는게 아쉽습니다
      즐거운 커피타임 되세요~^^

  • @honeystein
    @honeystein 2 місяці тому +2

    오.. 그렇군요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1

    150 도까지 낮출 수도 있게 로스트가 만들어진 것은 베테랑의 경우 입맛에 맞게 조절하라는 의미인 것이고, 저는 아무리 낮춰도 180 도 정도는 되어야 적당하다고 생각하고요. 이 로스터와 비슷한 열풍식인 에어프라이어의 경우 기본이 180 도죠. 원두도 결국 콩인 것이고 240 도로 시작해서 6 분후 부터는 각자 취향 따라 조금씩 낮추다가 1 차 크랙 발생하고 나서 2 차 크랙도 생길 때쯤 180 까지 낮춰서 뜸들이는 정도가 적절한 것임. 물론 맛 조절에 자신이 없다면 끝까지 240 도 유지 추천.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온도를 낮춰서 뜸들인다는건 생각도 못 해봣네요ㅎ 테스트해 봐야겠네요~~감사합니다~^^

  • @bilanciatore
    @bilanciatore Місяць тому +1

    좋은 아침입니다. 죄송합니다만 한국어를 못해서 번역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ccr-1209r2와 ccr-305d 중 어떤 것을 추천하시나요? ccr-1209r2에서 온도가 유지되지 않고 온도가 오르락내리락 한다는 영상을 봤는데(아쉽게도 한국말을 못해서 잘 이해가 안됐지만) 온도가 몇도씩 오르락내리락하는데도 몇 분 안에(그리고 너무 많은 진동이 있기 때문에 로스팅 프로필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ccr-305d에도 이런 온도 문제가 있나요? 정말 고마워요, 좋은 하루 되세요

    • @cf_wonsiin
      @cf_wonsiin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ccr-305d는 온도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지 않고 꾸준히 올라갑니다. 단점은 소음이 너무 크고 볶는 양이 적습니다. 둘다 모두 열풍식이라 커피 맛은 비슷합니다.
      둘다 비슷하지만 굳이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면 ccr-1209r2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 @bilanciatore
      @bilanciatore Місяць тому +1

      답장을 보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 모델에 대한 동영상을 더 많이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 @hiyo456876
    @hiyo456876 2 місяці тому +1

    로스팅 해보셧어요? 게이샤 워시드 80g 정도 처음 볶아 봤는데 워시드라 그런가 내추럴에 비해 시간이 좀 늘어지는거 같네요!
    워시드는 195~200도로 시작해도 괜찮을거 같고 그러네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아네 감사합니다. 아직 로스팅은 못해봣어요 ㅠㅠ

    • @hiyo456876
      @hiyo456876 2 місяці тому +1

      @@cf_wonsiin 쿨링뒤 확인해 보니까 10분 40몇초대 종료에 중약배전보단 좀더 진하게 로스팅 됐네요!
      이벤엔 2분 예열 190도 4분 210도 2분 240도 풀로 진행 했어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네 감사합니당 ^^

    • @hiyo456876
      @hiyo456876 2 місяці тому +1

      @@cf_wonsiin 아~ 맞다! 로스팅 하실때 2분~3분 예열 하면 몇도까지 올라가나 온도 체크 좀 해주세요!
      감으로만 하니까 온도가 궁금하네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hiyo456876 네.. 근데 몇도로 놓고 예열하시는데요?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1

    생두에 열을 가하면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와서 가벼워집니다. 풍량이 동일할 경우 커피콩이 위로 더 많이 떠서 허공에 돌아다니게 되고 온도가 낮은 위쪽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서 열이 제대로 전달이 안 되며, 은피(껍질)이 분리된 것이 뚜껑위로 날아가서 분리되는 것을 약간이나마 방해하게 되겠고요. 그런 이유로 6 분 지나면 풍량을 약간 낮춰주는겁니다. 이 시간이면 수분이 충분히 날아갔고 은피 분리가 이미 시작되었기 때문이죠. 즉 커피콩은 아래쪽에 머물러서 열을 계속 받고 은피는 위에서 맴돌다 뚜껑위로 안착됨.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아 그런 깊은 뜻이 있군요~감사합니다~~^^

  • @user-de3sg1le6e
    @user-de3sg1le6e Місяць тому +1

    구매가격이 어떻게 되는지요? 그리고 어디서 구매 하셨는지요? 사고 싶네요.60댄데 늦게 커피를 알게 됐네요.

    • @cf_wonsiin
      @cf_wonsiin  Місяць тому

      알리에서 12만원대였고 쿠팡에서 13만원대 였습니다. 쿠팡에서 샀습니다~~

    • @user-de3sg1le6e
      @user-de3sg1le6e Місяць тому +1

      @@cf_wonsiin 감사합니다.즐거운 커피생활 되세요.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4

    테스트를 위해서이긴 하겠지만 처음부터 150 도로 낮춰서 로스팅해서는 안 됩니다. 상품설명을 보면 약배전이든 강배전이든 240 도 기준으로 몇 분 하라고 나와있죠. 간단히 말해서 시작하는 것은 무조건 240 도로 해야 합니다. 크랙 발생하기 전에는 생두 내부에 있는 수분을 끓여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되거든요. 찌개 끓일때 국물이 졸아들지 않는 이상 불 세기 얼마로 하든 물 끓는 온도보다 올라가지 않잖아요. 240 도로 빠르게 익히고 내부 수분을 끓게 해주면 수분이 껍질을 깨고 나오죠. 일단 이쯤되면 생두가 익기 시작해서 맛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고기를 예로 들면 고기의 단백질이 변성되서 맛이 나기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아 감사합니다. 근데 상품설명서를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동봉된 책자에는 간단한 내용만 있어서 ㅠㅠ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1

      @@cf_wonsiin 판매페이지에 나온 내용인데요. 상품설명서는 저도 따로 구할 수 있는 것이 없고요.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LeeSangHoon-bg8ed 아 감사합니다~~^^

  • @ahmednasser4106
    @ahmednasser4106 20 днів тому +1

    hello, i'm trying to understand what you are saying, can you help me? i just understand arabic and english

    • @cf_wonsiin
      @cf_wonsiin  20 днів тому +1

      Maybe it can be heard with an automatic translation, If it doesn't work out, please leave a comment or question. Thank you

    • @cf_wonsiin
      @cf_wonsiin  19 днів тому

      In the first comment, I put a machine translation of what I mentioned in the video.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2

    240 도로 시작해서 누렇게 변하고 로스터의 풍량이 낮아지는 6 분후부터는 굳이 240 도를 유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내부의 수분이 끓어서 그 증기의 힘으로 껍질이 깨지는 크랙이 발생한 다음에는 너무 고열일 경우 생두가 지나치게 빨리 익어서 겉은 타고 속은 덜 익는 일도 발생할 수 있는데 열풍식인 경우 계속 콩을 위/아래로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고온과 저온 사이를 왔다 갔다 합니다. 그러니까 겉과 속이 익는 차이가 열풍식이 아닌 것에 비해 적죠. 그래서 초보자라면 그냥 끝까지 240 도로 하고 생두 표면의 색상이 변하는 정도를 봐가면서 중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상업용 열풍식 장비도 그렁 냉탕 온탕을 왔다갔다 하나요? 좀 상상을 못해본 방식이라서 의아하네요 ㅎㅎ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2

      @@cf_wonsiin 이 로스터의 경우는 히터 ON/OFF 로 냉탕/온탕 사이 온도 차이가 심한 것인데요. 100g 짜리 로스터는 히터가 계속 켜져있는 것이라서 이런 온도 차이는 없죠. 이게 상업용 열풍식 장비와 비슷하달 수 있습니다. 상업용 장비에서는 히터 ON/OFF 가 아니라 히터에 들어가는 전력제어로 온도 제어를 하니까 300g 짜리 로스터처럼 온도 차이가 심하지 않고요.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2

      @@cf_wonsiin 그런데 온도 센서를 한 곳에 설치해서 쟀잖아요. 이건 히터에서 나온 열이 생두에 전달되고 남은 잔열의 온도를 잰 것입니다.
      상업용이든 아니든 열풍식 장비에서는 열풍을 처음 맞는 생두에는 높은 열이 한참 뒤에 맞는 생두에는 (다른 생두가 열기 다 흡수해버리고 남은) 낮은 열이 전달되는 것이라서 생두에 가해지는 열은 계속 냉탕/온탕 왔다 갔다 합니다. 물론 위 로스터처럼 온도 차이가 심하지는 않겠고요.

    • @LeeSangHoon-bg8ed
      @LeeSangHoon-bg8ed 2 місяці тому +1

      @@cf_wonsiin 그리고 온도 차이는 그리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온도 센서로 잰 온도가 뚝 떨어졌다고 해서 생두의 온도까지 뚝 떨어지는 것은 아니죠. 프라이팬에 콩을 넣고 뒤섞어가면서 콩 볶을 경우에도 콩에 가해지는 온도는 위 로스터 저리 가라 할 정도로 냉탕/온탕 왔다 갔다 하죠. 그래도 문제는 없죠.

    • @cf_wonsiin
      @cf_wonsiin  2 місяці тому +1

      @@LeeSangHoon-bg8ed 아 네 감사합니다. ~^^

  •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Місяць тому +1

    지켜보고 있던 로스터기라 보러왔습니다. 혹시 로스팅 총 타임이 보통 얼마나 나오나요?

    • @cf_wonsiin
      @cf_wonsiin  Місяць тому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략 10분 내외가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