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This is amazing
awesome work
Nice modeling
안녕하세요 혹시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제작을 하셨나요??
기존 4단가속의 센싱은 아두이노 나노를 사용했고, 차지샷 3단가속은 고전압 아날로그 회로를 설계해서 사용했습니다. 포탑제어는 FreeRTOS를 올린 esp32, 객체인식은 리눅스 기반 데스크톱입니다
@@1211als 혹시 아두이노는 독학으로 공부하셨나요? 독학으로 공부하셨다면 어떻게 하셨는지 알려주세여
@@1211als 안녕하세요 제작 문의 드리려고 하는데 연락 할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메일 주소 부탁드립니다.
@@spacekingkong 1211als@naver.com 으로 부탁드립니다
@@spacekingkong 유튜브가 이메일주소를 달아도 계속 삭제를 하네요. 제 채널명 + 네이버닷컴으로 메일 주세요
안녕하세요.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이게 코일이 탄자에 가하는 힘만큼 코일도 탄자한테서 힘을 받으니 코일의 보빈이 파괴되거나 에나멜 선이 한 쪽으로 (탄자가 나가는 반대 방향) 치우치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러면 코일에 에폭시 등을 이용해서 에나멜 선을 고정하고 보빈을 더 튼튼한 소재로 바꾸어야 할 것 같은데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셨너요….
@@영민공수 전 보빈은 기본적으로 3d 프린터를 사용해서 뽑습니다. 보빈의 위아래에 선 굵기만큼 구멍을 뚫어서 시작선과 끝선의 위치를 고정하고, 보빈은 키레스 척에 물려서 전동 드라이버의 힘으로 최대한의 빡빡한 텐션을 줘서 감습니다.
@@영민공수 결국 감아있는 선이 풀리는건 코일 사이사이에 유격이 크다는 소리이고, 지속적인 충방전으로 충격을 받으면 보빈이 망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선들을 최대한 잘 고정시켜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코일을 감는 층층마다 잠시 힘이풀려 텐션이 풀어지면 말짱도루묵입니다
@@영민공수 말씀드린 에폭시를 사용하는것도 결국은 경화되는 과정에서 코일을 층층마다 강하게 결합 시켜주는것이 목적인거죠. 경화과 완료되면 망치로 두들기는 충격을 주지 않는 이상 절대로 유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정도 강도(텐션)을 코일감을때마다 유지해주셔야 합니다
텐션이 풀려지면 처음부터 다시 감아야 하는거죠
너무 멋있는데요??
충전 할 때 지잉 소리는 뭔가요?
트랜스(변압기)에서 발생하는 발진음입니다.
This is amazing
awesome work
Nice modeling
안녕하세요 혹시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제작을 하셨나요??
기존 4단가속의 센싱은 아두이노 나노를 사용했고, 차지샷 3단가속은 고전압 아날로그 회로를 설계해서 사용했습니다. 포탑제어는 FreeRTOS를 올린 esp32, 객체인식은 리눅스 기반 데스크톱입니다
@@1211als 혹시 아두이노는 독학으로 공부하셨나요? 독학으로 공부하셨다면 어떻게 하셨는지 알려주세여
@@1211als 안녕하세요 제작 문의 드리려고 하는데 연락 할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메일 주소 부탁드립니다.
@@spacekingkong 1211als@naver.com 으로 부탁드립니다
@@spacekingkong 유튜브가 이메일주소를 달아도 계속 삭제를 하네요. 제 채널명 + 네이버닷컴으로 메일 주세요
안녕하세요.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이게 코일이 탄자에 가하는 힘만큼 코일도 탄자한테서 힘을 받으니 코일의 보빈이 파괴되거나 에나멜 선이 한 쪽으로 (탄자가 나가는 반대 방향) 치우치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러면 코일에 에폭시 등을 이용해서 에나멜 선을 고정하고 보빈을 더 튼튼한 소재로 바꾸어야 할 것 같은데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셨너요….
@@영민공수 전 보빈은 기본적으로 3d 프린터를 사용해서 뽑습니다. 보빈의 위아래에 선 굵기만큼 구멍을 뚫어서 시작선과 끝선의 위치를 고정하고, 보빈은 키레스 척에 물려서 전동 드라이버의 힘으로 최대한의 빡빡한 텐션을 줘서 감습니다.
@@영민공수 결국 감아있는 선이 풀리는건 코일 사이사이에 유격이 크다는 소리이고, 지속적인 충방전으로 충격을 받으면 보빈이 망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선들을 최대한 잘 고정시켜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코일을 감는 층층마다 잠시 힘이풀려 텐션이 풀어지면 말짱도루묵입니다
@@영민공수 말씀드린 에폭시를 사용하는것도 결국은 경화되는 과정에서 코일을 층층마다 강하게 결합 시켜주는것이 목적인거죠. 경화과 완료되면 망치로 두들기는 충격을 주지 않는 이상 절대로 유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정도 강도(텐션)을 코일감을때마다 유지해주셔야 합니다
텐션이 풀려지면 처음부터 다시 감아야 하는거죠
너무 멋있는데요??
충전 할 때 지잉 소리는 뭔가요?
트랜스(변압기)에서 발생하는 발진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