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리웃 배우들까지 눈물 왈칵 쏟은 한국 감성, 세계를 정복한 한국 문화의 비결은 무엇일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бер 2024
  • #해외반응 #패스트 라이브즈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wonder0603
    우리나라 및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영미권 소식은 직접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시의성에 맞거나 이슈거리 중 우리 한국인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КОМЕНТАРІ • 57

  • @wonder0603
    @wonder0603  2 місяці тому +15

    백진삼 특별 할인 링크입니다smartstore.naver.com/idyllic_good/products/9221622643
    ✔ 산삼 조직배양기술로 100년 이상 된 산삼과 ‘DNA 99%’ 동일하게 배양(복제) 성공
    ✔ 약 30년간의 산삼 연구로 탄생
    ✔ 나노 공법 기술로 산삼의 ‘유효성분 흡수율 극대화’ (국제무대 금상 수상)
    ✔ 독보적인 기술로 24종의 특허 및 인증서 취득
    ✔ 1포 당 진세노사이드 ‘57mg’ 함량
    ✔여러 개를 구매하실 경우 추가 할인 혜택

    • @j-park6955
      @j-park6955 2 місяці тому

      해외구매는 안되겠죠?

  • @kbguu
    @kbguu 2 місяці тому +35

    불교의 가르침안에 인연이 잇음.스쳐도 인연..전생에 적이든 친구이든.약간 첨밀밀같은..

  • @user-oe7he6ku8r
    @user-oe7he6ku8r 2 місяці тому +4

    인연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지금 이시간에 함께한다는것이 결코 쉽게 이루어질수없다는 사실에 촌각의 시간이나 감정을 낭비할 수없는것이다.

  • @user-ip9ti1ob8k
    @user-ip9ti1ob8k 2 місяці тому +8

    한국은 오래전 슬프게 많이
    울리고 감동
    시키는 영화가 좋은 영화였다. 그후 이제 우리도 울지만말고
    많이 웃으며 행복하게 살자하는 생각도 하게된다.

  • @arvo7091
    @arvo7091 2 місяці тому +6

    이 영화 참 좋았어요. 배우들 연기도 좋았고 아날로그적인 영화 분위기도 좋았어요. 강추합니다

  • @user-bi9qs9le9w
    @user-bi9qs9le9w 2 місяці тому +9

    멋쟁이 마술사님..당신을 영원히 응원합니다~~^^
    (구독합니다 ^^)

  • @user-gb8if6kr5r
    @user-gb8if6kr5r 2 місяці тому +6

    영화봐야겠네요^
    집앞 영화관 바로 예매했어요~^^

  • @sanghyounbahk4951
    @sanghyounbahk4951 2 місяці тому +8

    일본은 사무라이, 중국은 쿵푸... 동아시아의 두 강대국이 세계에 뿌린 대표적 문화 이미지인데요. 이들과 같은 동아시아에 속한 문화권인 한국의 문화는 대단히 복잡하고 심오한 그러면서 서양인들의 가슴 속에도 파고드는 묘한 감성까지 어우러진 뭐 하나라고 특정 지어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이미지로 세계에 퍼지는 것 같네요.

  • @rockseong93
    @rockseong93 2 місяці тому +5

    인연이란 얽히고 설키는 관계같은 것. 중력방정식에 따라 물체들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쳐내거나 하는 것도 물리적 관계성으로 인연을 뜻합니다.
    존재적 개념으로서의 인간(물체)도 있지만 관계성으로 바라보는 인간(물체)도 있습니다. 실존적 개념과 관계적 개념 중 관계적 개념을 인연이라 보시면 됩니다.
    원인에 따라 결과가 오듯 인연이 얽히고 설키면서 운명처럼 결과가 나타납니다.

  • @user-tl5tw1ik1l
    @user-tl5tw1ik1l 2 місяці тому +36

    원더님 유익한 영상 감사히 봅니다^^*

    • @wonder0603
      @wonder0603  2 місяці тому +1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tl5tw1ik1l
      @user-tl5tw1ik1l 2 місяці тому +3

      @@wonder0603 늘 고맙게 시청 합니다^^*

  • @seunghunlee5073
    @seunghunlee5073 2 місяці тому +11

    서양인의 감성이 한국인 감성에 젖어드는 것이지요.
    인연!!!
    우린 너무나도 잘알는 감성이기에 굳이 영화로까지 만들까? 라는 느낌

  • @k.j.h6296
    @k.j.h6296 2 місяці тому +72

    한국 영화를 만들기만 하면 대박나는데 왜 전혀 실감나질 않지... 국내에만 있으니 해외에선 뭔일이 벌어지는지 전혀 알 수가 앖네.

    • @user-yo9fv9rw1e
      @user-yo9fv9rw1e 2 місяці тому +11

      배경만 한국이지 미국인이 미국 자본을 가지고 만든 영화인데 우리가 보려면 외화 버리면서 수입해서 봐야함

    • @user-rh7wp9tl4o
      @user-rh7wp9tl4o 2 місяці тому +8

      그렇게 따이면 손흥민도 똑같지​@@user-yo9fv9rw1e

    • @jamwondong_jiujiteiro
      @jamwondong_jiujiteiro 2 місяці тому +5

      이 영화는 한국 사람이 보면 별로...

    • @Carol-uz9ho
      @Carol-uz9ho 2 місяці тому +8

      한국인들 감정과 외국인들 감정은 많이 다르죠. 전 어려서 이민온 사람인데 한국인들 하는 행동과 마인드가 이해 안될때가 많습니다. 모든지 감정적이고 개인적인 생각과 의견을 말하면 틀렸다 하고 잘못된거라 하는 한국인들 마인드가 이해하기 힘들어요. 모든지 다 같을수는 없는데 한국인들은 자기랑 의견이 다르면 무조건 나쁜걸로 리엑션을 하더군요. 댓글에서 한국인들 마인드가 어떤지 확실히 알게 되었죠. 이성적으로 토론은 없고 바로 싸움으로 이어질때가 훨씬 많죠. 이 영화가 한국에 갔음 여러분들은 별루라고 할수도 있겠네요. 전 좋았어요.

    • @user-il3tm9rx4p
      @user-il3tm9rx4p 2 місяці тому +10

      ​@@Carol-uz9ho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전하고 있다는게 신기하지 않나요?
      매년 달라지고 있어요
      여기 한국에서 살면서도 변화가 느껴질만큼

  • @dabosys2158
    @dabosys2158 2 місяці тому +11

    민들레 홀씨 처럼 날아간 인생. . . 새로운 정체성을 이루는과정. . . 연어처럼 회귀는 아닌듯... .. 언젠가는 한국처럼 새로운 생태계를 이룰듯. . . . 버리고 떠난 이기심 더욱 생겨 한국의 결과물 만큼 더 이기심이 생길듯....버리고 떠날때 남은사람은 떠난 몫 까지 희생했다는거.....물론 후손이야 상관없지만... 과거 우장춘의 아버지는 명성황후 시해후 시간하고 일본여자와 결혼하여 우장춘읗 낳았다 그리고 우장춘은 일본여자와 결혼하여 모두 일본으로 귀화 시키고 자신은 한국에 혼과 뼈를 묻으며 평생 사죄의 삶을 한국 발전을 위해 살다 죽었다 ...참으로 한국인의 한은 기구한 운명이고 최선은 한국 자체애서 죽이 되던 밥이 되던 살아야 된다는것이다 욕심부리지 말고. . ㅋㅋㅋ

  • @user-ps5xi4gz5n
    @user-ps5xi4gz5n 2 місяці тому +2

    나는 뉴질랜드 산다. 작년에 오클랜드에서 영ㅇ화제가 있었고 팜플렛에서 이 영화의 대략 내용을 봤었다, 그때 생각은 그렇고 그런 사랑이야기? 그런데 이 나라사람 누군가가 이 영화 너무 좋다 했을때 그냥 하는 말 인줄....극장에 다시 오른다면 보러갈 생각.

  • @user-ow7jg2bq7n
    @user-ow7jg2bq7n 2 місяці тому

    유태오 배우 인터뷰 너무 잘하네.

  • @jambrota304
    @jambrota304 2 місяці тому +6

    👍👍👍👍👍

  • @user-lq7sd8so9i
    @user-lq7sd8so9i 28 днів тому

    소개팅 잡았는데.. 한번 어그러지고 두번째에 겨우 만났다.. 알고 보니.. 바로 옆 건물.. 1층 편의점에서 오가다 분명 만났었겠지.. 몇년을 말이다.. 인연.. 새삼 새롭게 느껴진다.. 지금은 두아이의 엄마가 되어 주었네..ㅎ

  • @kownwoo4521
    @kownwoo4521 2 місяці тому +26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야 하면
    한국인들은 어디서 개수작이야 하죠

  • @mjzip
    @mjzip 2 місяці тому +1

    Because the Korea has small society as we know all of us. Everybody can be your friends and family.
    Your friend could be my cousin's friend, or your relatives could be my friend. That could be happened in Korea very well.
    Actually, some TV program already had been verified this curios, if you through the human network for 6 persons, you can see everyone in South Korea.
    My friend has another friend, and he has some other friend, and her brother is G-dragon. as this things really happen.
    Even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we have not been meet each other. However we feel close to them, because we know we have same blood root.
    That's the reason that we should always be polite and kind to another persons. Everybody is connected to someone who I might be to know.
    Even you don't realize that connection, you can imagine suddenly you face on your dream person when you are not expected.
    That's also can say 'In-yeon' We are all connected.

  • @htk3342
    @htk3342 2 місяці тому

    중독되면 빠져나오기 힘들지..

  • @shinemebaby
    @shinemebaby 2 місяці тому +1

    일단 어린시절의 대화가 잘 안 들렸고, 한국어 대사가 어색하게 들렸어요. 한국어 대사의 어색함을 언급하는 댓글을 봐서 그레타 리의 대사가 어색한가 싶었는데, 유태오 대사가 더 어색하게 들렸다는 게 놀라운 점이었고요. 외국인들은 자막으로 보니 그 어색함을 못 느껴서 감정적 덜그럭거림이 덜 느껴졌겠지요.
    그렇지만, 마지막 몇 분에서 그 모든 덜그럭거림이 해소됐어요. 저도 나영이었던 노라와 함께 울었어요. 그게 이 영화의 힘인 것 같아요.

  • @user-cx7ui3so4d
    @user-cx7ui3so4d 2 місяці тому +13

    노노노...
    영어 발음식으로 표현하면
    인연에서 인에 액센트가 들어가는게 아닙니다.
    연에 액센트가 들어가요.
    한국인들은 한국단어에 있어
    외국인들이 하는 발음상 액센트 문제를 대수롭게 생각하는것 같은데,,
    실제 미,영 에선 얼마나 중요하게 여깁니까?
    또한
    한국에서 영어단어 배울땐 액센트 위치에 대해 얼마나 세세하게 배웁니까?
    근데
    외국인들이 한국단어 발음할때
    부정확한 한국단어의 액센트 위치를 틀렸다고 알려주지 않아요..
    인연...
    이 한국 단어의 액센트 위치는 연에 있습니다.
    물론 한국단어에 있어 별것 아닌것같이 들릴수 있지만,,,
    가르쳐줄땐 확실하게 하세요.
    인연,,,인보다 연에 약하게 더 발음 강조 체크하세요.
    이젠 한국이 주류이니,
    한국을 중심으로 가르쳐 줘야 합니다.

  • @user-qv2th7ix1l
    @user-qv2th7ix1l 2 місяці тому

    저런 감성이 약간 우리나라에 무라카미 하루키로 대표되는 일본 문학이 소개되거나, 도스토예프스키가 유럽에 소개되었을 때 느낌이랑 비슷한듯. 뭔가 독특하면서도 평소엔 잘 쓰지 않는 보편적 감성을 건드리는…

  • @sinwookdo5083
    @sinwookdo5083 2 місяці тому

    아빠 빼다 박았네요ㅎㅎㅎ

  • @sky_angel2
    @sky_angel2 2 місяці тому

    극찬하지만 오스카는 철저하게 외면했죠 이게 미국인의 본심

  • @user-ru9fp5ec7r
    @user-ru9fp5ec7r 2 місяці тому +1

    놀란형이 놀랐다면 보증이군.

  • @snowcrash418
    @snowcrash418 2 місяці тому

    다음 영화는 악연????? ㅎㅎ

  • @yummy1169
    @yummy1169 2 місяці тому +1

    오징어게임도 뭐...처음엔 반응이 갈렸었는걸~

  • @user-ug2rw2hy3n
    @user-ug2rw2hy3n 2 місяці тому

    인연 因緣 정확한 한자 설명 좀 부탁합니다. 부수를 포함한 글자를 해체해서 하나 하나 설명을 말하는 것임

    • @jangeunmoon1107
      @jangeunmoon1107 2 місяці тому

      님이 보고 있는 인연에 대한 한자는 해서체로 그 의미를 알기 어렵지만 전서로 쓰면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읍니다 전서를 보고 내 나름대로 추론하면 인은 큰 사람이 네모난 상자안에 갇혀서 꼼짝도 못하고 있는 형상이고 연은 짐승이 사슬에 묶여서 역시 자유롭지 못한 상황입니다
      왼쪽은 실 사 변이고 오른쪽은 짐승의 모양입니다

    • @jangeunmoon1107
      @jangeunmoon1107 2 місяці тому

      즉 그 의미는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외부적 조건이 인연입니다

  • @rldjrthr-apffhel96
    @rldjrthr-apffhel96 2 місяці тому +3

    좋은 작품인데 상하나 안준거보면 올해 오스카상컨셉은 인종차별맞네

  • @1180religion
    @1180religion 2 місяці тому +22

    또 어느 고차원적인(?) 중국인이, '인연'의 개념이 중국에서 비롯되었다고 개소리 작렬할 거 같은데.........
    뭐 중국인의 개소리는 인도인이 정리해 줄 수 있을 거 같긴 하다만....

  • @sky_angel2
    @sky_angel2 2 місяці тому +1

    그냥 립서비스임 속으면 안됨 자신들의 조금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용도일뿐

  • @user-uw6vz5mw4w
    @user-uw6vz5mw4w 2 місяці тому

    인연은 fate쪽이 더 맞는거 같은데

  • @suribilee4886
    @suribilee4886 2 місяці тому +5

    솔찍히.. 그닥인데 신기하네

  • @user-vz6vo8hh4t
    @user-vz6vo8hh4t 2 місяці тому

    감독 아버지가 넘버3 감독이라며? 라면은 임춘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