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는 왜 이슬람의 상징을 사용하지 않는 걸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이슬람의 상징인 초승달과 별, 사우디아라비아는 왜 사용하지 않는 것일까?
    #이슬람 #적신월 #적십자 #월성기 #오스만 #사우디아라비아

КОМЕНТАРІ • 14

  • @farmerfuture2734
    @farmerfuture2734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식 한 스푼 또 얻고 갑니다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istory-Road
      @History-Road  11 місяців тому

      네~ 자주 놀러오세요!^^

  • @잠자는토끼-w9v
    @잠자는토끼-w9v 11 місяців тому

    유익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History-Road
      @History-Road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

  • @gamal-nasser
    @gamal-nasser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샤하다도 이슬람교의 상징이고, 이슬람교는 애초에 상징성을 가진 기호 하나를 대표로 채택한 적이 없는데, 도대체 사우디가 이슬람의 상징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제목을 왜 단 건지...

    • @벽을뚫는포신
      @벽을뚫는포신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월성기가 제일 유명한데 왜 안쓰는지 그걸 말하고 싶어하는 거임. 녹색, 검은색, 흰색도 이슬람의 상징인데 그런 국기로만 되어있는 게 아니듯이. 뭐 별로 문제될 건 없는 거 같음.

  • @wiley-spy
    @wiley-spy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원래 달모양이 투르크족이 지배층을 형성한 국가들에서나 사용되었지요.

  • @june_joy
    @june_joy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터키 이슬람 vs 아랍 이슬람

  • @박희수-t8d
    @박희수-t8d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마지막 멘트는 좀 아니네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깃발은 항상 앞으로 보면서 그 방향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집니다.
    앞뒤 모양이 반대인데도 같은 해석을 하는 경우가 예외적 특이 케이스지요, 욱일기와 낙일기가 의미가 반대인 것처럼 사소한 것에 목숨 걸던 시절부터 의미의 해석 방법은 큰 분쟁의 단초였습니다.

  • @옛미치것다
    @옛미치것다 11 місяців тому

    고조선 이전시대의 상징 샤머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