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기계공학 전공한 회사원입니다. 내실을 다져 실력을 키우고자 디테일한 부분 종종 찾아보고있습니다. 돈으로 살 수도 없는 이런 핵심 알맹이들만 모아주시니 저같은 사람들에게 너무나 큰 은혜입니다. 다시 한번 감사 말씀 드립니다..
좋은 강의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보고 열심히 하겠습니다
수고 많으십니다상기 그림에서 하중 P가 작용하면 A점에서의 모멘트는 P×팔길이(힘의작용선까지 연직거리)이므로 P × l × sin(쎄타)이지않나요?
왜냐하면 하중이 계속 가해지면 B는 반지름이 l인 원운동을 하므로
@@김용준-y9i 좌굴이 일어나는 시점에서는 쎄타값이 워낙 작기 때문에 sin(쎄타)=쎄타로 두어도 무방합니다.
단면에서의 회전반경 K 값의 개념을 보의 굽힘 모멘트에서의 로우 값(중립축까지의 반경)으로 봐도 되나요?
최석진 그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다음 동영상 2:40 부분을 참고하세요. ua-cam.com/video/3vkYPdTY1Ew/v-deo.html
@@wiuofmech5678 링크까지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수월하게 공부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9:00에 Mc의 방향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박원범 C점에서 모멘트 평형을 이루려면 P에 의한 우력 Py의 방향과 반대로 M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체역학도 올려주시면 안되나요..???
향후 계획 중입니다.
좌굴하중의 발생은 소성역인가요?
비탄성좌굴인 경우 과도한 힘을 받는 부분이 소성영역으로 들어갑니다.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기계공학 전공한 회사원입니다. 내실을 다져 실력을 키우고자 디테일한 부분 종종 찾아보고있습니다. 돈으로 살 수도 없는 이런 핵심 알맹이들만 모아주시니 저같은 사람들에게 너무나 큰 은혜입니다. 다시 한번 감사 말씀 드립니다..
좋은 강의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보고 열심히 하겠습니다
수고 많으십니다
상기 그림에서 하중 P가 작용하면 A점에서의 모멘트는 P×팔길이(힘의작용선까지 연직거리)이므로 P × l × sin(쎄타)이지않나요?
왜냐하면 하중이 계속 가해지면 B는 반지름이 l인 원운동을 하므로
@@김용준-y9i 좌굴이 일어나는 시점에서는 쎄타값이 워낙 작기 때문에 sin(쎄타)=쎄타로 두어도 무방합니다.
단면에서의 회전반경 K 값의 개념을 보의 굽힘 모멘트에서의 로우 값(중립축까지의 반경)으로 봐도 되나요?
최석진 그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다음 동영상 2:40 부분을 참고하세요. ua-cam.com/video/3vkYPdTY1Ew/v-deo.html
@@wiuofmech5678 링크까지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수월하게 공부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9:00에 Mc의 방향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박원범 C점에서 모멘트 평형을 이루려면 P에 의한 우력 Py의 방향과 반대로 M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체역학도 올려주시면 안되나요..???
향후 계획 중입니다.
좌굴하중의 발생은 소성역인가요?
비탄성좌굴인 경우 과도한 힘을 받는 부분이 소성영역으로 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