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의 시작 - 탈레스와 물의 우주발생론(feat. 태일생수, 공자, 창세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сер 2022
  • #아르케 #탈레스
    탈레스의 아르케는 '물'이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와 관련된 철학사적 의미를 설명하며,
    특히 중국에서 발굴된 고대 문헌 중 '태일생수'와 관련된 내용을 함께 살펴봅니다.

КОМЕНТАРІ • 71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2

    철학이 최초로 태어난 곳의 지리문화적 배경에 대한 강의는 ua-cam.com/video/DFCOu5_KSXs/v-deo.html를 시청하세요~!

    • @ays2693
      @ays2693 Рік тому +3

      이 영상보고 이거보니 이해가 더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ays2693 감사합니다

    • @user-dd2rp8sf4w
      @user-dd2rp8sf4w Рік тому +1

      항상 수준 높은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 @ma-uh2ow
      @ma-uh2ow Рік тому

      밀레투스 학파의 아르케에 관한 사유는 기본적으로 (이집트랑 메소포타미아를 매개로 한) 고대 근동 신화들의 창조론에서 연결된다고 저는 보는데, 학계에서는 어떻게 보나요?

  • @whitegrapes007
    @whitegrapes007 Рік тому +4

    서양 철학의 시작..
    탈레스와 물의 우주 발생론..
    지혜의 빛님 반갑습니다.
    듣다보면,, 빠져서 몰입하게 되네요.
    오늘도 귀하고 소중한 강의말씀,,
    감사함으로 경청하고 갑니다.
    🤔🤔😗😗
    철학은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서양 철학사
    (실재를 찾아서)
    실재를 찾고자 하는 지혜~~~
    전달력도 훌륭하시고, 내용도 너무 좋으십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 @M.Atelier
    @M.Atelier Рік тому +5

    👍94
    태생일수, 만물의 근원인 물..
    물이 있어야 우주의 생명이 자랄 수 있다.
    깔끔하고 유익한 강의 감사히 즐감했습니다.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

  • @user-yu8ml8mv3q
    @user-yu8ml8mv3q Рік тому +5

    97번째 좋아요 드립니다 제가 너무 나도 좋아한 학문 입니다 우주에 물이 있을지 물의 시작으로 생명이 시작되고 인류가 함께하는 과정 천문학과 사상 철학 모두 일맥상통하는 과정이 정말 경이로와요^^♡

  • @open-1004
    @open-1004 Рік тому +5

    서양철학의 시작~ 고대 철학자 탈레스와 우주 발생론 즐청으로 머물러 유익한 정보 담아가면서 살며시 손잡고 까만종으로 색칠하고 갑니다. 소중한 유친으로 함께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vpoemandrecitation2931
    @tvpoemandrecitation2931 Рік тому +5

    우주 발생론
    멋진 인문학 속으로 젖었다가 끝까지 즐감하고 응원하고 갑니다 오늘도 기쁨과 행복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

  • @user-do4cf6gd9s
    @user-do4cf6gd9s Рік тому +7

    자연의 현상을 자연의 이치로 본 탈레스였네요.
    서양철학사는 '실재'를 찾는 여정이었구요.
    탈레스가 본 우주의 기원이 물이 모든 생명의 실재를
    알려주는 것 같아요. 깔끔한 정리로 말씀해주셔서 언제나
    기분좋게 시청하고 갑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ChannelBooks
    @ChannelBooks Рік тому +7

    동양과 서양의 철학이 모두 물을 다루고 있는 것 흥미롭네요 ^^ 게다가 성경 까지 ㅎㅎ 성경 속 노아이야기에도 물로 생명을 리셋하는 부분도 나오지요. 물과 생명은 연결고리가 있는 것 같아요 ~ 오늘도 재미있게 업그레이드 되어 갑니다 ~ 늘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동서문명 모두에서 물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고대철학과 신화, 그리고 종교에 대한 영역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답니다. 영상 재미있게 보셨다니 감사하네요~

  • @sharonjo8787
    @sharonjo8787 Рік тому +12

    그동안 제가 탈레스를 넘 가볍게 봐았네요…
    물의 우주발생론이 가진 함의가 엄청납니다.
    태일생수에서도 물, 창세기에서도 빛보다 먼저 있었던 물이라면
    물에 대한 저 고대인들의 생각이 여간 깊은게아니었네요.
    경이를 느끼고 무지를 자각하고 탐구로 나아가는 길이 철학의 길이다!
    이 말씀도 무척 와닿았답니다.
    감사합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탈레스, 결코 가볍게 볼 철학자가 아니죠.
      물의 우주발생론이 가지는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셨기를 바랄게요~

  • @sikmul-TV
    @sikmul-TV Рік тому +7

    물의 우주발생론에 대해 배워가네요
    영상 잘 보고 응원하고 갑니다~~

  • @gamsungchiro
    @gamsungchiro Рік тому +7

    만물의 근원인 아르케는 '물'이다! 탈레스를 비롯해 동양에서도 '태일생수' 물에 기초한 우주 발생론을 주장했군요. 물이 있어야.. 모든 우주의 생명이 나고 자랄 수 있으니 맞는 것 같아요. 지혜의 빛님, 오늘도 소중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새삼 물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네요 ㅋㅋ
      영상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nttoCochon_AjoommaMokgong
    @AnttoCochon_AjoommaMokgong Рік тому +6

    사고가 깊어질수록 물에 대한 신비로움이 더 커집니다~ 오늘 영상이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감사히 보고 갑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흥미롭게 보셨다니 감사하네요~

  • @user-iw9fv7qd8u
    @user-iw9fv7qd8u Рік тому +3

    선생님 강의만 잘 들어도 반은 철학자가 될것 같아요 철학은 재미 없는 학문 ? 이라 생각 했는데 정말 우리 가까이 있고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 너무 재미 있어요 덕분에 제가 유식해지고 있네요 즐거운 추석명절 보내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

  • @-LuckyQuiz
    @-LuckyQuiz Рік тому +3

    어려운 얘기를 잘 설명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엄지척 올리고 👍 응원합니다🌹

  • @user-yn8bv3tq3s
    @user-yn8bv3tq3s Рік тому +8

    퇴근하고 왔더니 이렇게 흥미로운 영상이 올라와 있네요. 너무 재밌게 봤고요, 실제로 과학 채널 등에서 탈레스가 물을 만물의 근원이라고 얘기했던 것을 언급하면서 과학이 없던 시절의 어리석은 판단 정도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던데, 그거야말로 좀 경솔한 판단인 것 같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3

      말씀하신 것처럼 탈레스의 아르케를 다소 가볍게 보는 견해가 있죠. 정말이지 이것은 문제인데요, 앞으로는 제대로 의미를 찾고 분석하는 작업들이 많이 이뤄져야겠습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yejeon-art
    @hyejeon-art Рік тому +7

    이성적 추론을 통해 보편적인 지식을 얻는 지적태도를 가진 탈레스 마음에 드네요
    단순하게 생각해 봐도
    만물의 근원은 물이 맞는것 같아요
    물이 없다면 만물이 생존할 수 없으니까요
    철학 수학이 따로 없다니 더욱 깊고 복잡하고 심오하군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버트런드 러셀은 철학이 본시 수학과 한몸이었다고 말한 바 있답니다.
      영상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photolover6128
    @photolover6128 Рік тому +8

    와... 탈레스에 이렇게 중요한 의미가! 그냥 모르고 지나쳤었는데 새롭게 깨닫게 됐네요 명강의 감사드립니다! 오늘 강의가 저에겐 경이^^ 태일생수 정말 궁금하네요!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2

      이 강의로부터 경이를 느끼셨다니 저에게는 큰 영광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ky2hm6vo6k
    @user-ky2hm6vo6k Рік тому +7

    열심히 설명을 해 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감사해요.

  • @TheScarfeFamily
    @TheScarfeFamily Рік тому +4

    This is so informative video!

  • @gamseong_channel
    @gamseong_channel Рік тому +7

    어려운 탈레스의 철학을 이해가 쏙쏙 잘 되게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지혜의 숲님 덕분에 철학의 깊이가 좀더 깊어지는거 같아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 @aphilos262
    @aphilos262 Рік тому +10

    물을 우주의 시원으로 보는 견해가 폭넓게 발견된다는게 흥미롭네요. 태일생수와 탈레스의 아르케의 공통점이 신기하면서도 무언가 밝히지 못한 비밀이 있는건 아닐까하는 호기심도 생깁니다. 다음에 태일생수는 따로 한번 다뤄주세요. 잘 봤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태일생수도 꼭 다뤄볼게요
      감사합니다

  • @klogos2282
    @klogos2282 Рік тому +7

    경이에서 무지의 자각으로 그리고 탐구의 길로 가는게 철학의 길이다.
    이것을 꼭 기억해야겠네요.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강의를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감명깊게 보았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철학의 발단으로 경이를
      꼽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를 우리는 잘 기억해야겠습니다.

  • @San_ddul_baram
    @San_ddul_baram Рік тому +6

    탈레스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는데 유익한 이야기들 알려주셔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유익한 시간이었다니 감사하네요~!

  •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 Рік тому +4

    철학공부에 필수가되는 내용이네요.

  • @yogilmyway
    @yogilmyway Рік тому +6

    놀랍습니다. 탈레스뿐 아니라, 동양의 고대 철학자들도 물에 기초한 우주 발생론을 제기했군요. 실재를 찾는 여행, 철학의 묘미를 느낍니다. 오늘 강의도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늘 재미있게 봐주시고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Ace-kv3qj
    @Ace-kv3qj Рік тому +10

    와 탈레스 책을 얼마전에 봤는데 너무 어려웠거든요 그런데 영상보고 이해가 되는부분이 있네요 우선 너무반거운 주제입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 @vvk6681
    @vvk6681 Рік тому +4

    영상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 @mreverything1844
    @mreverything1844 Рік тому +6

    감사 합니다~♡♡♡

  • @TV-jesus0191
    @TV-jesus0191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ays2693
    @ays2693 Рік тому +10

    세 번째 봤는데 진짜 공부가 많이됩니다.
    서양철학은 보편적 지식을 추구하는 지적 추론의 길을 걸었고 중국철학은 도덕적 성격의 지혜를 추구했다는거 중요한 포인트네요.
    서양철학사만의 특징이 잘 들러나는 명강의였습니다.
    참 태일생수는 도교 경전으로 보면 되는건가요? 궁금하네요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태일생수를 물을 숭배했던 도교의 한 분파가 받들었던 경전으로 보는 견해가 있답니다.
      물론 이런 견해는 앞으로도 더 검증이 필요한 것인데요, 다음에 이 주제를 따로 다룰 때 상세히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jhjoo383
    @jhjoo383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항상 잘 보고 있어오. 고맙습니다.🥰

  • @lightinmind
    @lightinmind 9 місяців тому +1

    탈레스에 공자, 아리스토텔레스를 덧붙여 좀더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셨네요. 어려운 작업을 재밌고 자세하게 한 점 잘봤습니다.

  • @j823
    @j823 Рік тому +6

    와 고대 동서문명권 모두에서 공통점이 보이다니 신기하네요, 😮 다르지만 서로 공통된 부분도 있는거 아닌가 싶은...
    깊이 있게 연구되면 좋겠는데요!!! 오늘 강의 특별히 (영상미도 최고)더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1

      정말이지 지금보다 저 시절 사람들이 더 폭넓게 지적인 교류를 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답니다.
      통신망 연결이 아무리 잘 되어 있어도 마음을 닫고 있으면 소통은 불가하죠.
      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이집트까지 다녀왔던 탈레스의 열린 마음이 외려 인터넷보다 더 빠른 속도로 자료를 수집하게 만든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곤 한답니다.
      감사합니다~!

  • @kimws33
    @kimws33 Рік тому +7

    과학 문명과 첨단산업이 최고조인 지금보다 2000년 전에
    저런 깊이 있는 철학자들을 보면
    이 시대와 저 시대가 이해 불가이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저 시대에는 오직 사고로 과학적 증명을 하고 있으니 , 참 난해하군요
    지수화풍으로 만들어 졌다는 동양철학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 그리고 불이다
    그 분 선견자들은 우찌 과학과 실험 도구도 없이 이런 정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는지 . .

    • @philosophy1
      @philosophy1  Рік тому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로나가 요즘 재유행이라는데 늘 조심하시고요~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Рік тому +1

      지수화풍이 서양이고 동양은 오행 아닌가요

    • @kimws33
      @kimws33 Рік тому

      @@macsungminson3583 오행 목화토금수 상생.상극도 동양철학, 지수화풍도 동양철학으로 보고 있습니다만. 물론 서양 탈레스도 도 물은 만물의 근원이라고 하지요.🙇🙇‍♂

  • @CHOOSANG
    @CHOOSANG Рік тому +2

    오늘도 제 비좁은 인식의 확장을 경험하는 충만함과 더불어 아쉬움이 강하게 남는 부분이 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를 쓰시는 것 같아 보입니다.
    트랜지션과 무빙과 같은 요소들을 의도와 용도에 맞게 쓰는 기술적 능숙함은 너무나 잘 보이지만 그것을 아우르는 스타일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많습니다.
    구성을 능숙히 다루는 선생님의 능력에 비추어 비주얼라이징에 조금만 더 신경을 쓰신다면 더욱더 많은 사람들에게 선생님의 내용이 도달하지 않을까 합니다.

  • @javaxerjack
    @javaxerjack 3 місяці тому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생명의 기원이자 근원'이 물 이니 모든 것의 기원이 '물'이라고 생각했으며 동시에 '에너지'가 흐르니 이걸 흐르는 가장 흔한 물질인 '물'이라고 표현했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 분은 하늘을 보며 걷다가 종종 우물에 빠졌다는 이야기가 있는걸 보면 단순히 물에 자주 빠져서 그랬을 수도 있구요.

  • @user-ry5mj6vp1m
    @user-ry5mj6vp1m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강의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 탈레스가 물을 물질적으로 보았던 근거에 대해 알아보고 싶네요. 또 물을 비물질적으로 생각했던 철학자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궁금해요.

  • @dxalmont
    @dxalmont Рік тому

    저도 1번 하겠습니다~~

  • @user-oy7re7nh9h
    @user-oy7re7nh9h Рік тому

    서양에서 그리스 철학이 끊김 없이 계속
    되었더라면 우리 인류에게 더 좋았을 터인데 어쩌다가 종교에 먹힌 인류문화사가 아쉽네요
    선생님 강의 고맙습니다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Рік тому +1

    성경의 창세기에도 태초에 수면 위에 하나님의 영이 운행했다고 하죠. 물이 만물과 우주의 근원이란 것은 고대인의 보편적 직관이었던 것 같습니다. 현대인인 우리로선 그 결론에 다다르는 이유를 명확히 알기 어렵지만요.

  • @ImjuwonDordt
    @ImjuwonDordt Рік тому

    창세기 1장 1절에서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즉 천지가 창조되었고
    그후 2절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는 무에서 유로의 창조는 이미 이루어진 상태이지만 사람이 거주하기에 적합하도록 조성된 상태는 아닌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