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트리] 믿을수 있는 식수는? 국내,해외생수,정수기물,수돗물,필터에 거른 물의 미세플라스틱 비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27

  • @레오저장소
    @레오저장소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와 이런게 진짜 잘알려져야하는데 진짜 감사합니다

  • @알파카월드-z7k
    @알파카월드-z7k Рік тому +34

    페트병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수도 유리병 생수와 페트병 생수를 비교해 보는것도 좋을거 같아요

    • @황모씨-h8e
      @황모씨-h8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bright-we그게 아니라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오는겁니다

    • @권캐롤
      @권캐롤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유리병생수도파나요?

    • @수국-x2s
      @수국-x2s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황모씨-h8e 생수 안의 미세플라스틱 원인이 생수 공장의 필터에서 나온거예요. 뭔 뇌피셜들인지.. 뉴스 한번씩 보고 오셈.

    • @user-ve6yf8zf4w7
      @user-ve6yf8zf4w7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리병으로 담아서 먹는게 낫을듯

    • @노닌자-b8d
      @노닌자-b8d 5 місяців тому

      @@권캐롤팝니다. 비싸서 문제

  • @초심이-w5p
    @초심이-w5p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

    정수기회사에서 이실험보고 필수로 해야할듯요.그거보고 소비자들 산택할수있게요

  • @염화미소-f1o
    @염화미소-f1o Рік тому +15

    현대사회에 진짜 필요한 유튜버 이시네요~~!!👍👍👍💯💯💯💯💯구독 하고 갑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aozi-b6n
    @aozi-b6n Рік тому +18

    그럼 물을 받아 놓고 사용 하는게 좋을 거 같은데 그럼 또 세균이 번식하니까 이런 걸 좀 해 주세요
    수도물 받아서 몇시간 지나야 가라 앉는지 .. 세균은 몇시간 지나야 생기는지.. 이런식으로 정수기물 생수병물 등 비교 부탁드리고요..(세균은 온도도 참고해야 겠네요)
    조심히 따라도 물이 출렁 일텐데?? ... 정말 조심히 따르야 하는지... (스포이드로 뜨야하나???)

  • @sunyoppark1716
    @sunyoppark1716 Рік тому +35

    그렇지 않아도 집이나 공장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의 본체나 필터 자체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배출되지 않을까 생각을 했었습니다. 작고 미세한 구멍으로 물만 걸러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입니다. 필터 본체에서도 조금씩 마모되거나 제조 과정에 들러 붙은 잔유물이 유출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정수기 본체를 스테인리스를 사용해도 필터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이나 분진 등은 막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 @christinekim8312
      @christinekim831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6:00

    • @christinekim8312
      @christinekim831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6:00

    • @christinekim8312
      @christinekim8312 11 місяців тому

      ㅇ. 6:00

    • @케이제이영
      @케이제이영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제생각도그래요

    • @트루리뷰
      @트루리뷰 3 місяці тому

      다행히 정수기의 필터는 플라스틱으로 되어있지 않다고 합니다.

  • @Good모니
    @Good모니 10 місяців тому +26

    영상 잘봤습니다! 자연드림에 기픈물이라고 미세플라스틱 고려해서 종이팩에 나온 물인데, 이것도 같이 비교해주세요~~!
    얼마나 차이나는건지 궁금해요

    • @__-zd7oh
      @__-zd7oh 5 місяців тому +7

      오 저도 궁금해요 근데 이거 테트라팩이어서 그 안에 얇게 플라스틱으로 발려져있는거 아시죠?

    • @차이-j4t
      @차이-j4t 3 місяці тому +2

      그래봤자 플라스틱

    • @user-wks8ljnfjk0wnq
      @user-wks8ljnfjk0wnq 3 місяці тому +2

      물에서 실리콘 본드 냄새남…

    • @sujinpark568
      @sujinpark568 22 дні тому

      시약테스트했는데 산성으로 나왔습니다. 충격

  • @유크림-d9z
    @유크림-d9z Рік тому +34

    아침에 2리터짜리 텃다가 남으면 세균번식 이유로 밥 지을때 탈탈 부어 버리는데 결국 플라스틱을 녹여 먹었네요. 아...그것도 10년이 넘었는데 환경 오염에 많이 노출된 듯 하네요

  • @HihiDkssud
    @HihiDkssud Рік тому +13

    정수기에 대한 결과도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좀 알려주세요

  • @vefveflute8019
    @vefveflute80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41

    일단 물을 마시기 위해 기울이는 순간 밑의 물이 아래로 대류가 생길 것이기 때문에, 밑 부분 몇 센티미터를 남기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생각해 봅니다.

    • @hahaha1877
      @hahaha1877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밑바닥까지 모두 다 마시는것 보다는 좋겠다는 말씀이겠죠

    • @하늘사이
      @하늘사이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아무리 3센티를 남긴다고 해도 기울이게 되면 미세플라스틱이 가벼워 움직이기 쉽상인데, 아무리 얌전히 따른다 해도 45도 이상은 기울여야 3센티를 남길텐데 말입니다.

    • @굿럭-q1r
      @굿럭-q1r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제 말이요. ㅋㅋㅋ 남기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 @jhlee3346
      @jhlee3346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빨대로 위에만 빨아먹어야할듯 ㅋㅋㅋㅋㅋㅋㅋㅋ

    • @kvbhjdse
      @kvbhjdse 5 місяців тому

      정정 하셨다고 합니다. 2리터 페트 생수 남은 30cm 버리고 상층부만 먹어야 효과 본다고 합니다.

  • @생존전쟁-k6z
    @생존전쟁-k6z Рік тому +59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자세하게 분석한 영상을 너무 좋아합니다. 요새 브리타 정수기 사람들 많이 쓰고 있는데요. 이런 브리타 정수기는 일반 생수병에 든 물에 비해 미세 플라스틱이 얼마나 나오는지 분석 영상 올려주시면 정말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이 응원하겠습니다!!!!

    • @jinjoo10
      @jinjoo10 Рік тому +18

      브리타 너무 궁금하네요..

    • @gooood724
      @gooood724 Рік тому +9

      브리타 궁금해요

    • @najoeun
      @najoeun Рік тому +9

      브리타처럼 생긴 닥터피엘 에코 피처형 정수기 미세플라스틱 걸러진다고 해서 샀는데 실험 부탁 드립니다.

    • @탑신봉자
      @탑신봉자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생수를 브리타 정수기에 부어 먹으면 과연

    • @t알고리즘-p9y
      @t알고리즘-p9y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타깝지만 정수기로도 못걸러요.

  • @쿠키마이-m5t
    @쿠키마이-m5t 11 місяців тому +23

    요즘 ‘리얼워터 생수필터’ 많이 팔던데요
    더욱이 가격이 싼것도 아니라
    정말 잘 걸러지는지 궁금해서요
    실험 부탁드려요 🙏🏻

    • @ramremram
      @ramremram 3 місяці тому

      흔히 미세플라스틱이라 부르는 플라스틱의 크기와
      언급하신 제품에서 거를수 있다고 인증받은 플라스틱 크기가 너무 차이나서 전혀 쓸모 없습니다

  • @제퍼1
    @제퍼1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물을 끊이면 발생되는 수증기를 한 방울 한 방울 담아서 먹으면 미세플라스틱에서 해방 되겠군요 ㅎㅎ
    증류수를 마시고 미네랄은 음식이나 건강식품으로 대체

    • @cominator11
      @cominator11 3 місяці тому

      플라스틱 같이 녹아서 흡수됩니다

  • @kikiki-yf3bh
    @kikiki-yf3bh Рік тому +9

    수치로 나타내주시면 비교가 더 쉬울거같아용~

  • @aane1887
    @aane1887 Рік тому +8

    생수 병에 들어있는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큰 건 밑에 가라앉고 입자가 고운 건 위에 뜨지 않을까 싶네요 아닐까요?

  • @compassionnow1795
    @compassionnow1795 Рік тому +12

    잘 봤습니다 오랫동안 세웠다 위에만 마시는게 정답이군요~이런 코웨이 미세 플라스틱 필터 정수기 살라고 했는데.....

  • @WellnessAlpha
    @WellnessAlpha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흥미로운 실험이네요 잘 봤습니다.

  • @geo-star
    @geo-star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

    유리병생수, 냉온수용 대형생수통(파란통)도 실험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ㅜㅜ

  • @bboov3157
    @bboov3157 2 місяці тому +1

    정말 궁금 했어요

  • @monono1997
    @monono1997 День тому

    역삼투압정수기는 어떨까요?

  • @NO-SMOKING-Sir
    @NO-SMOKING-Sir 4 місяці тому +4

    마트에서 파는 거의 모든(99.9%) 플라스틱 용기 제품들도 ((간장,소스들, 술, 음료수, 과자, 비닐포장식품들..)) 마찬가지죠~

  • @김평안-j8l
    @김평안-j8l Рік тому +13

    와 이런실험 정말 좋아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입니다.

    • @inst9253
      @inst925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이런 실험 정말 싫어합니다.
      대책도 없는 실험 & 노출 (대책이란게 고작 3cm 드랍?)

  • @호야-n4v
    @호야-n4v 10 місяців тому +14

    헉...........브리타 결국..그냥 염소만 없애는 정도라고만 생각하면 되는건가..영상 감사합니다...

    • @치즈냥-t1b
      @치즈냥-t1b Місяць тому

      염소만 없애도 굿이에요 오래된 아파트에서는. 미세플라스틱 은 물 끓여먹어야

  • @권운구
    @권운구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미세플라스틱걸러주는정수기도측정해주세요.
    현재 삼성정수기한대와청호나이스한대있던데요

    • @소은성
      @소은성 6 місяців тому +2

      Lg 새로 출시 얼음정수기 코웨이

    • @노닌자-b8d
      @노닌자-b8d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세플라스틱 걸러주는 필터로 걸러진물이 다시 플라스틱배관, 고무오링, 플라스틱 탱크나 필터를 거쳐서 나오는거라 결국 플라스틱 나와요

    • @sizmaria7406
      @sizmaria7406 4 місяці тому

      ​@@노닌자-b8d 요즘 정수기들은 대부분 배관이 스텐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 @노닌자-b8d
      @노닌자-b8d 4 місяці тому

      @@sizmaria7406 스테인레스관도 통으로 출구까지 나올수가 없어서.. 중간중간 검정고무패킹, 프라스틱 벨브같은게 연결되있어서 완벽하진 않을거에요.
      그래도 기존 플라스틱 배관보다 훨씬 덜 나오겠네요.

  • @거북이두마리
    @거북이두마리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우리가 플라스틱 안 먹을 수는 없다
    공기 중에도 있고 생선에도 있고
    모든 물에 존재한다.
    다만 적게 먹냐 많이 먹냐 차이만
    있다. 우선 집에 플라스틱 용기는 모두 퇴출하고 수돗물 끓여 먹거나
    올스텐 정수기로 정수한 물을
    먹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싶다.

  • @Hanchi1217
    @Hanchi1217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tomcat1204
    @tomcat12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예전 뉴스에서 국내 천일염 미세 플라스틱 많다는 보도를 본 기억이 나네요 ㅜ

    • @user-dr4ey3ub9v
      @user-dr4ey3ub9v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게 일식 제조법으로 생산(바닷물에도 있지만)해서 더 그렇답니다. 장판 같은 걸 깔아서... 저의 집 실내 요가매트 항상 깔아놓으니 온돌열때문에 그런지 가루가 나오더군요. 요가매트의 색 가루가...ㅠ 그것처럼.

    • @user-dr4ey3ub9v
      @user-dr4ey3ub9v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야 이미 중년초입이지만 아이들. 아기들 생각하면....

    • @호둔-l2i
      @호둔-l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다시 다돌아오네요...

    • @user-im5un8pu3i
      @user-im5un8pu3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모든게 다 바다로 흘러가니까요. 조개류도 먹지 말아야할듯요.

    • @cominator11
      @cominator11 3 місяці тому

      비닐같은거 아래 깔아서 채로긁어요

  • @유비-j9y
    @유비-j9y Рік тому +113

    말이 안되는게 생수병 들어 기울이면 이미 바닥의 것도 같이 따라나오는데 플라스틱을 안마실수가 없겠네요. 결론은 생수든 수돗물이든 다 플라스틱덩어리라는 것임.

    • @난로팍
      @난로팍 11 місяців тому +24

      담배꽁초 필터도 미세 프라스틱이죠
      끽연가들이 하수구에 버리는 어마어마한 담배꽁초 때문에 결쿡 강으로 흘러들고 식수로 우리 몸속으로 들어 옵니다

    • @gaeggottt6766
      @gaeggottt6766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일단 확실한건 마지막에 물은 조금은 남기는게 무조건 좋긴할듯 건더기 있는 음료들 마셔보면 알겠지만 끝부분에 가장 많이 남아있음

    • @maengjeong
      @maengjeong 7 місяців тому +6

      @@jhha6984단순하게 생수와 수돗물이 미네랄 있고 정수기는 보통 싹다 걸러버리니 증류수 같은건데
      또 그중에서 생수와 수돗물 비교하자면 생수는 특히나 미네랄이 풍부한 곳을 수원지로 삼고 관리를 하기때문에 좋은데
      수돗물의 미네랄은 얼마나 풍부할지까지는 모르겠으나 수원지에서 집까지 오는 혹은 내 아파트 수도관 상태를 보면 안먹고 싶어집니다
      뭘먹어도 물은 그냥 물이다 라는 학자도 있으니 선택은 개인의 몫^

    • @wisdomy856
      @wisdomy856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스프링 정수기 미세플라스틱여과 99.9999% NSF미국위생협회 인증
      코웨이 NSF인증있긴하나 ANSI58역삼투압인증도있고 170여가지중 20여가지만거름
      삼성 비스포크 NSF유해물질항목 170여가지중 60여가지 인증획득
      이스프링 NSF170가지 항목중
      170가지 전항목인증통과
      NSF는 직접 시험을 나오는 비영리기관임.자체사내실험으로 인증서안줌

    • @VickyC-135
      @VickyC-135 3 місяці тому +4

      @@gaeggottt6766물병을 가만히 나뒀다가 마시고 2,3센티 남았때 버리는게 좋다고 하더라구요

  • @소은성
    @소은성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의사원장님 물 끓여 먹어라하던데 끓인물 조사도 해주세요

  • @좋은아침-m7r
    @좋은아침-m7r Рік тому +53

    보리차가 중금속을 흡착한다던데 보리차도
    그리고
    야자수필터라는 브라타정수기도 궁금합나다
    여건이 되시면. ^^

    • @user-im5un8pu3i
      @user-im5un8pu3i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차라리 식이섬유가 대부분인 차전자피가 더 나을듯요. 뱃속에 들어가서 수백배로부풀어 장을 청소해주고 항암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이 질경이씨앗 가루는 인도에서 주로 오는데 분쇄기계가 좋지 않아 중금속이 나온다 합니다 ㄷㄷ

    • @ehgg7896
      @ehgg7896 3 місяці тому

      울 농장에 많은데..​@@user-im5un8pu3i

    • @홍석-i6y
      @홍석-i6y 2 місяці тому +1

      브리타필터는 기공이 0.03mm(미리미터)=30um(마이크로미터)
      국내제품 필터는 0.5um~0.01um 또는 더좋은 필터도 있습니다. 브리타 사용하시면 미세프라스틱 다 드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poa.
    @poa. Рік тому +13

    안과에서 처방해주는 인공눈물도 미세플라스틱때문에 첫 방울을 그냥 버리라고 할 지경인데 플라스틱용기의 음료에도 당연히 있겠죠 ㅠ

    • @mornian_
      @mornian_ Рік тому +3

      저도 아차 싶어서 넣기전에 확인해봤는데, 제법 큰 입자가 그대로 보이더군요...입구 주위에 꽤 있어서 손으로 닦으니까 그대로 묻어날정도에요...그걸 모르고 한방울 떨궜다고 안심하고 사용했네요

    • @benzine6620
      @benzine6620 9 місяців тому

      안과에서 처방해주는 인공눈물은 의약품으로 무균시설에서 만드는데 어떻게 미세플라스틱이 들어갈까요? 말도 안됩니다 그리고 그정도 크기 미세플라스틱이라면 우리 안구에 투과 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안약은 주사용수를 쓰는데 이건 물에 어떠한 이온조차 안남기고 끓여서 증기를 냉각시켜서 주사용수로 만들고나 초여과 해서 물만 남게합니다.

    • @poa.
      @poa. 9 місяців тому +4

      @@benzine6620 용기가 플라스틱이니까 비트는 과정에서 당연히 미세플라스틱 가루가 나옵니다 ;

  • @바람의그림자-k6m
    @바람의그림자-k6m Рік тому +11

    어디 시골 산 밑 지하수 좋은 곳으로 가야겠네요. 그러니까 대부분의 병은 도심 생활 그 자체에 원인이 있는듯. 병원도 위험.

    • @tomcat1204
      @tomcat12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시골 지하수도 빗물이 땅속으로 들어가서 생기는건데 빗물에 이미 미세플라스틱이 있어요.. 바닷물도 이미 오염되어서 국내산 모든 천일염이 미세 플라스틱 범벅이라는 뉴스가 나왔었죠.

    • @rileydayvlog
      @rileydayvlog 3 місяці тому +2

      저기 ~~시골은 공장 오염수 발암물질이래요 땅속

  • @그레이스-q8q
    @그레이스-q8q Рік тому +22

    너무 큰충격입니다 생수로 집에서 정수기 대신 10년간 사먹었는데 머리가 멍하고 기억력이 없어져서 머리가 치매가 올까 걱정입니다 미세플라스틱 때문일까요ᆢ
    역삼투압 필터는 걸러준다는 교수님 유튜브를 봤는데 이거 실험해주시면 좋겠어요
    그리고 우리나라 리얼생수필터는 다걸러준다고 실험성적서 걸고 팔든데 그거와 브리타정수기를 실험해주시면 좋겠는데요❤
    오늘부터 당장 물을 어찌 먹어야할지 고민이 심히 되네요 밑바닥물을 버려야ᆢㅜㅜᆢ역삼투압 실험해주세욤 당장 정수기 알아볼라고요😢

  • @오정근-p7g
    @오정근-p7g Рік тому +4

    유익한 영상잘보고갑니다
    다음 영상기대할게요

  • @MCPark-gs8yb
    @MCPark-gs8yb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 진짜 좋은 영상

  • @이시대를살아가다
    @이시대를살아가다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렇다면 역삼투압방식의 정수기는 언급은 있어는데 사실상 안나온 것 같은데요. 이 종류의 정수기가 그나마 나은 걸까요?

    • @노닌자-b8d
      @노닌자-b8d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 정수기 삼투압 필터로 걸러진 물이 프라스틱배관과 플라스틱 부속, 고무재질로된 오링같은걸 통과하고 플라스틱 물탱크나, 플라스틱 벨브로 갑니다. 그물이 최종 나오는거라
      결국 플라스틱 나올겁니다. 오히려 더나올수도요

    • @rainfilm
      @rainfilm 3 місяці тому

      @@노닌자-b8d 플라스틱 모양을 만드는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 하니 생수도 형성 후 깨끗한 물도 한번 행구고 생수물을 받으면 많이 줄어들겁니다. 하지만 이경우 비용증가로 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 @jinulee8173
    @jinulee8173 3 місяці тому

    정수기도 직수형과 RO필터 정수기 구분해서 해주셔야할것같아요. RO 필터는 미세플라스틱를 99% 거의 완벽하게 걸러준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브리타도...일반필터말고 미세플라스틱을 걸러준다고 명시된 Elite 필터로 실험이 되면 더 좋았을듯

  • @sarahhan8042
    @sarahhan8042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정수기 물 실험은 몇 분쯤에 나오나요? 제가 놓친건가요?

  • @HeavenManna4u
    @HeavenManna4u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미세플라스틱이라 물에 뜨는줄 반대로 알고 생수병에 물을 조금 버리고 사용했었는데

  • @dtruIajfwl
    @dtruIajfwl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끔 정수된 물에도 뭔가 뜨길래 찝찝했는데 정수기에도 있네요

  • @이혜원-i7y
    @이혜원-i7y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종이필터 (드립커피용)는 어떤가요? 궁금합니다!!

  • @slee-01
    @slee-01 7 місяців тому +1

    500ml짜리 생수는 3cm를 버리는데 2L짜리 생수는 어떻게 하나요?
    수돗물이나 정수기물은 어떻게 하나요?
    정수기는 역삼투압필터쓰는 정수기인가요?
    보리차처럼 물을 끓여 먹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 @브레인트리생명공학연
      @브레인트리생명공학연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모두 미세플라스틱 가라앉게 기다렸다가 아랫부분은 드시지말고 버리시는게 좋겠습니다
      저희가 실험한 정수기는 나노트랩필터입니다

  • @sinbizoo
    @sinbizoo 11 місяців тому

    물속에 미세플라스틱있는건 예전부터 이미 다 아는 내용이니 시중에 나와있는 어떤 필터 정수기를 써야 미세플라스틱과 다른 유해물질 없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지를 실험해 주시면 좋겠네요

  • @현정장-v3c
    @현정장-v3c Місяць тому

    어떤 미세플라스틱 필터 정수기 쓰시나요?

  • @냠냠-k1j
    @냠냠-k1j 2 місяці тому

    미세플라스틱이 윗부분에 떠 있어서 위를 버리라는 얘길 들었는데 반대로 아래에 많군여

  • @prado2334
    @prado233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PET병때문인가요? 해양심층수는?

  • @ywqka2614
    @ywqka2614 4 місяці тому +1

    유리병 생수도 한번 부탁드립니다~
    국산, 수입 유리병생수요

  • @dsc5524
    @dsc5524 Рік тому +5

    일반 정수기 물도 궁금해요

  • @노닌자-b8d
    @노닌자-b8d 5 місяців тому

    방법은 미세플라스틱 불검출 약수터에 스뎅물통이나 유리통, 항아리 짊어지고 가서 받아오는방법뿐이 없을듯~! 약수터 물 나오는 호스도 플라스틱 엑셀배관이 아닌 약수터 찾아야되겠어요.
    ㅠㅠ

  • @프리미엄리빙
    @프리미엄리빙 Рік тому +18

    박사님 유리병에 든 미네랄 워터 브리타 정수기 얼음정수기 현미경도 꼭 보여주세요~!!!!!!

    • @najoeun
      @najoeun Рік тому +5

      브리타처럼 생긴 닥터피엘 에코 피처형 정수기 미세플라스틱 걸러진다고 해서 샀는데 실험 부탁 드립니다.

  • @진경-m4s
    @진경-m4s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떤게 해야하나 ?

  • @영민-f9w
    @영민-f9w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커뮤니티는 어디서 볼수있나요?

  • @글세-l9t
    @글세-l9t Рік тому +19

    먹는것에 유독 신경쓰는데
    우리는 이미 폐타이어와 생활쓰레기 태운 재가 섞인 시멘트로 만든 콘크리트덩어리 속에서
    중금속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 @user-im5un8pu3i
      @user-im5un8pu3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흙집은 안전할까요? 비염 달고 살고 라듐수치가 있습니다 ㅜ
      농촌지역엔 제초제등 농약을 뿌려대니 주거지로 안전하지 않고 도시의 공기질은 좋지 못하죠.
      공단지역도 만만치 않고 4계절 내내 옆동네 중국에서 불어오는 납,다이옥신, 온갖 중금속이 함유된 미세먼지가 전국으로 불어닥칩니다.

  • @sunnykim5002
    @sunnykim5002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제 생각엔 이미 지하수에 미세플라스틱이 너무 많고 그걸 거르는 필터가 없나 봅니다

    • @user-dr4ey3ub9v
      @user-dr4ey3ub9v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빗물에도 있고요. 히말라야 꼭대기에도 있다고 하니...

  • @johnlee-rv2sx
    @johnlee-rv2sx Рік тому +3

    끌린물은 조사가 없었는지요

    • @tomcat1204
      @tomcat12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플라스틱이 끓인다고 없어지나요..

    • @johnlee-rv2sx
      @johnlee-rv2sx 11 місяців тому

      @@tomcat1204
      플라스틱은 뜨거운 물에 녹으면서, 차가워지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싸이즈에서 뭉치면서 좀더 커지게됩니다, ㄱ
      다음부터는 멍청한 니머리로 생각해

  • @toptop225
    @toptop225 Рік тому +13

    수돗물 정수기 생수중 가장적은 미세플라스틱은 어떤건가요

    • @삼청교육대-g5o
      @삼청교육대-g5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실험하신분도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적은건 모르는거 같아요.

  • @mgyeo2483
    @mgyeo2483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웃긴건 애초에 플라스틱에 안담긴 수돗물에도 미세 플라스틱이 잇음 ㅋㅋ

  • @구리사통
    @구리사통 Рік тому +31

    정수기 현미경 사진은 빠졌네요

  • @o0o-fx9y
    @o0o-fx9y 4 місяці тому

    저 플라스틱들도 열을 가하면 녹을까요? 과학에 대해 잘은 모르지만 필터로 거르는 방식보다 뭔가 다른 방식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해 보이네요... 갈수록 더 많아질텐데...

  • @진경-m4s
    @진경-m4s Місяць тому +1

    정수기도 별루인가요 나노필터

  • @yesican5703
    @yesican570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수도물은 플라스틱병에 담기지 않았는데 미세플라스틱이 있다는 건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 @SGPark-cg3nl
      @SGPark-cg3nl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물오염으로요.인간들이 만든 쓰레기들이 강으로,바다로 순환

  • @후인터
    @후인터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음? 정수기 물은 왜 이렇게 빨리 넘기셨나요? 정수기 물에도 많은게 맞나요?

  • @greentea-latte
    @greentea-latte Рік тому +2

    여기서 말씀하신 필터가 브리타일까요?

  • @hokim4664
    @hokim4664 7 місяців тому

    사무실에서 마시는 대용량 생수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 @jaewon-gv7uf
    @jaewon-gv7u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세플라스틱이 없다해서 자연드림 조합원가입해서 물 사먹고 있는데 진짜 없는지 궁금해요

    • @황모씨-h8e
      @황모씨-h8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리병에 담지 않는 이상 없을수가 없다 봅니다.
      자연드림 용기가 뭔데요?

  • @MeatCreater
    @MeatCreate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수기는요??

  • @유후니-r8b
    @유후니-r8b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왜 정수기결과는 안나오는건가요? 제일 궁금한데 빠졌어요

  • @양지-n8z
    @양지-n8z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코웨이 정수기 부탁드려요

  • @dokpark5547
    @dokpark5547 Рік тому +1

    리사이클한 생수병, 일반 드링크병은 더 심하게 나오겠네요

  • @지니에스타
    @지니에스타 11 місяців тому +24

    물을 안먹고 살순없으니, 그냥 드세요 여러분!ㅠㅠ. 도심에 사시는분들.. 길가면서 차에서 나오는 매연 그냥 먹으면서 사는거랑 똑같아요... 도심 아파트 사시는분들.. 창문열어 놓아도 미세먼지 , 매연 다 들어옵니다 매일매일.. 그게 더 안좋을걸요.. 너무 유난떨어도 더 오래 못삽니다..^^ 저런거 다먹고, 살아도 한국인 평균수명 85세입니다..
    이거 걱정할 시간에, 나가서 30분 런닝 하고 들어오시는게, 몸에 훨씬 좋을겁니다..^^;; 제 말이 자극적으로 들리고 기분 나쁘실수도 있지만
    이게 팩트입니다............ 심지어 미세플라스틱이 실제로 인체에 어느정도의 나쁜 영향을 끼치는지 정확히 연구된것,발표된것도 없습니다...

    • @hahaha1877
      @hahaha1877 11 місяців тому

      ua-cam.com/video/RC9OLHFQVj0/v-deo.htmlsi=qPSW_-PY7Xb9Eirp

    • @seokpacheon11
      @seokpacheon11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말끼 못알듣는자네~85 세까지 사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고통없이 건강하게 살기위해 건강에 신경쓰는거고 매연,미세먼지 평소에도 흡입하니까 미세플라스틱도 괜찮다는식으로 이것저것 다 허용하면 어떻게 되는지?미세플라스틱 유해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안나오긴 했지만 불명확하니 더 유의해야 되질않나? 달리기? 그것도 적당히 해야지 무릎,발바닥 안좋은 사람들은?

    • @지니에스타
      @지니에스타 9 місяців тому +2

      @@seokpacheon11 네 말씀 다맞습니다.^^

    • @뚝딱-k7v
      @뚝딱-k7v 4 місяці тому

      ​@@지니에스타ㅋㅋㅋ대처하는게 똑똑하노

    • @지니에스타
      @지니에스타 4 місяці тому +5

      @@뚝딱-k7v 말귀를. 말끼라고 하는사람하고 대화하면 손해라는걸. 빠르게 파악한것뿐입니다. 감사합니다!!

  • @진용-m2f
    @진용-m2f 4 місяці тому

    주전자에 수돗물을 끊였을때에 어떤지 실험해봐주셨으면 하네요

  • @홋홋-e9f
    @홋홋-e9f 6 місяців тому

    결국은 나노필터까지 다 제거가 안된다는 얘기네요. 역삼투압 정수기만 걸러진다고 전문가가 그러든데 실험한번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gjgj9898
    @gjgj9898 11 місяців тому

    생수를 유리병 전기포트에 100도씨 까지 한번 끊여 먹어도 안되는 건가요??

  • @singenglish0724
    @singenglish0724 11 місяців тому

    생수를 끓여서 증류수로 만들어도 미세플라스틱이 있나요?

  • @VradNorton
    @VradNorton 2 місяці тому

    와 그냥 추측성으로 밑에 2CM.는 그냥버렸는데 진짜네요........ 생수회사에서 한번 세척후 담아주는게 맞지않나싶습니다

  • @richardlee3954
    @richardlee395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1

    1. PET는 비중이 물보다 많이 큽니다. 즉 가라앉습니다. 흔들면 소용없겠지요? 영상메세지처럼 잘 가라앉혀서 마시면 됩니다.
    2. 미세플라스틱은 흡수 안되고 다 변으로 나갑니다. 나노미세를 염려하지만 인체는 흡수하던 물질이 아니면 다 내보냅니다. 혈관따라 돌다가 다 나갑니다.
    싸이즈가 아닌 분해된 화학원소적 물질일 경우에는 문제가 됩니다.
    가령 불에 태우거나 가열해서 화학적 분해 혹은 화학적 재조합되면 건강에 문제를 발생시킨다고 검증된것들이 많이 발생하죠.
    3. 인체는 미약하게 반복하면 이에 초기 거부반응을 보이다가 점차 적응합니다. 병이 발생할때쯤에는 노화로 죽을때가 넘어서입니다.
    4. 조심할 것 : 커피종이컵, 양파자루에 재료삶기, 주전자 뚜껑, 온수기로 입헹구기....
    5. 역삼투압 정수기는 영양가없는 H2O만 마시는것이 맞습니다. 인체는 물속의 미네랄 성분으로 체액을 구성합니다. 음식을 통한 흡수는 보충적인것입니다.
    즉 미네랄없는 물은 좀비처럼 기운없어 보이게 하고 사고력 떨어지고 반복되면 정신병 쉽게 오고, 심장과 부신의 기능을 저하시키...
    정수기는 저가형 정수기를 쓰시면 그나마 덜 손해봅니다. 아예 안쓰는것보다 저가형 정수기가 좋습니다. 구조명칭이 있는데 생각이....
    정수기 물조차 보리차 끓여먹기가 진리입니다. 몸이 찬 분은 진하지 않게 소량만 넣으면 됩니다.
    5. 우리가 물을 통해서 흡수하는 플라스틱보다 매연과 타이어 먼지를 통해서 얻는 미세플라스틱이 1만배 더 많으니 작은 하나의 주제에 몰립되어 스트래스 받지 마세요.

    • @haha852013
      @haha85201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생수로 밥햐먹는데 그것도 몸 밖으로 배출 되나요?

    • @gaeggottt6766
      @gaeggottt6766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마지막줄이 핵심이네

    • @sixkidskorea
      @sixkidskorea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영상의 말대로라면 5번도 의미가 없죠.. 정수기 가장 큰 2가지 방식이 중공사막과 역삼투압인데 중공사막도 미네랄은 패스 시키고 나머지 거르는데
      보통 가정에서 정수기 시스템에서는 필터 4개짜리 많이 씁니다. 업소용도 그렇고요. 거기에 추가로 알카리수나 TCR 추가 되기도 하고요.
      영상에서는 정수기 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고 하는데 시료를 어디서 어떻게 채취하고 옮겨졌는지가 없습니다. 시료를 또 다른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옮겼다면 정수기 물이 아무리 깨끗해도 오염될 수 있겠고요. 미세플라스틱이 미네랄 보다 더 작을까요???
      제 예상으로 영상에서의 해외에서 개발된 생수 필터는 브리타가 아닐까 싶은데..... 브리타 필터 글쎄요....
      브리타도 많이 쓰시는 분들 쓰시던데 개인적으로는 물맛 별로 였는데 일반 정수기 4단계 필터보다는 훨씬 떨어지는거 같고요.

    • @leesj7435
      @leesj7435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뭐 알고 하는 소린가 ㅋㅋ

    • @wsnij37
      @wsnij37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음식을 통한 흡수가 보충적인거라고? 반대로 말하네 물속 미네랄은 극히 소량이고 대부분 음식을 통해서 보충하는데 이게 먼 말도 안되는소리냐 정수기물 먹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그 사람들 그럼 미네랄 보충 못해서 좀비되고 정신병 걸림?ㅋㅋㅋ

  • @1309-jo8qi
    @1309-jo8qi 8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영상 정말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저는 광주과학고등학교에서 기초 RnE로 미세플라스틱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수안에 실제로 미세 플라스틱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중입니다. 생수 내에 있는 미세플라스틱이 일반적인 현미경으로 관찰되는지 궁금합니다.
    관찰되지 않는다면, 영상에서 사용하신 현미경이 어떤 종류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알려주신다면 연구 방향을 잡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영상내에서 사용하신 필터가 어떤 필터인지도 알 수 있을까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민정-o7r
    @민정-o7r 7 місяців тому

    미세플라스틱 불검출 받고 종이박스에 오는 생수들은 어떤가요

    • @브레인트리생명공학연
      @브레인트리생명공학연  7 місяців тому

      '유명휴대용 정수기'로 시작되는 브레인트리 영상에서 실험된부분 참고하시면됩니다

  • @익선-d8p
    @익선-d8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생수병에서 빨대로 3센티 이상만.빨아.마셔야 될.것 같네요. ㅎㅎ

  • @테디b
    @테디b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젖병 소재는 어떤가요?

  • @Adads4754
    @Adads4754 4 місяці тому

    정수기물 부분 그냥 지나가시는 이유는 뭔가요???

  • @해달맨-k6f
    @해달맨-k6f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답이 없네요... 페트병 생수가 뉴스에 많이 나와서 보니까 수돗물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고, 정수기에도...

  • @Borysarang
    @Borysarang Місяць тому

    생수병에서 나왔다면 다른 음료수병에도 나오겠네요,,그보다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된게 없다고 알고 있는데, 혹시 뭐가 있나요? 피티병 사용한 지 50년 도 넘었고, 수많은 이가 마셔왔는데 먼저 안전성에 관한 자료가 필요해 보입니다,, 사실 우리가 입과 코로 넣는 이물질이 상당하거든요

  • @이경성-g3p
    @이경성-g3p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역삼투압 RO MEMBRANE 통한 실험은 없네요

    • @user-im5un8pu3i
      @user-im5un8pu3i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정수기 안믿었는데 생수병 사나르고 집좁은데 쌓아놓고 먹는거 일주일 모아서 버리는것도 스트레스 ..
      얼음 냉온수기 되고 .미세플라스틱 거른다고 해서 역삼투압으로 사려고요.

  • @bbj8484
    @bbj8484 7 місяців тому

    약수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을까요?

  • @zurdtge3305
    @zurdtge3305 11 місяців тому

    브리타 필터 정수기는 어떤지....
    그동안 2리터 생수만 사다 마셔왔습니다.

  • @heyhan5551
    @heyhan5551 Рік тому +20

    그나마 정수기가 적다고하니까 정수기쓰는게 낫겠네요

    • @Max-f3p
      @Max-f3p Рік тому +1

      ​@@bright-we그건 증류방식 수돗물에 미네랄보단 약제가 더많음

    • @writer1911
      @writer1911 Рік тому +12

      @@bright-we 물속 미네랄은 따지는거 의미 없어요. 인체가 필요한건 극미량이고 음식으로 보충됩니다. 물로 미네랄 채우려면 하루에 욕조 하나 분량 마셔야 함. 물은 그저 깨끗하기만 하면 됨

    • @삼청교육대-g5o
      @삼청교육대-g5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정수기가 적게 나왔다는 내용은 없는거 같은데요

    • @nanakim9051
      @nanakim9051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커뮤니티에 정수기 실험이 있다는데 여기에도 올려주심 좋겠네요

    • @제퍼1
      @제퍼1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역삼투압 정수기 사용하시고 인체가 필요한 하루 미네랄은 음식으로 충분히 섭취가능 합니다 요즘 미세플라스틱이 이슈라 그런지 미세플라스틱 제거한 정수기 광고가 눈에 띄네요.

  • @sunnykim5002
    @sunnykim5002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필터는 어떤 필터를 쓰신건가요?

  • @스티브-v9i
    @스티브-v9i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서 생수만 먹으면 되나요?
    정수기는 모든 종류 다 문제되나요?

  • @Tommy-vk5bi
    @Tommy-vk5bi Рік тому +7

    이거 환장할노릇이네 무슨 물을 먹어야 할까요?

  • @김순희-w4g4u
    @김순희-w4g4u 4 місяці тому

    생수먹은지가 십년도 넘었는데 그러면 미세플라스틱으로 죽나요

  • @tunetune119
    @tunetune119 3 місяці тому

    생수를 커피 필터로내려 마시면 된다던데 실험해주셨으면….

  • @harryy5353
    @harryy535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증류수를 마시는건 어떤가요?
    2주째 마시고 있습니다.

    • @benzine6620
      @benzine6620 9 місяців тому

      증류수요? 배탈 안나세요?

    • @harryy5353
      @harryy5353 9 місяців тому

      @@benzine6620 전혀입니다.

    • @harryy5353
      @harryy5353 9 місяців тому

      @@benzine6620 배탈 안납니다. 전혀!

    • @benzine6620
      @benzine6620 9 місяців тому

      @@harryy5353 증류수는 순수한 H2O만 있는데요 그 물이 농도와 체내 농도가 달라서 배탈이 나죠 예를 들어서 바닷물을 마실수록 목이 마른것과 같습니다. 주사용수 (증류수) 보면 절때 마시지말라고 적혀있습니다. 증류수는 수중기를 받아서 마신다는 의미인데요 이걸어떻게 만드시는지도 궁금하네요

    • @harryy5353
      @harryy5353 9 місяців тому

      @@benzine6620 개인의 선택입니다.
      1수돗물, 2프라스틱 생수병, 3정수기물 (체급차이가 많습니다. 비싼 필터 사용후의 물은 미네랄 없다는 증류수에 가까운 상태) 4 또는 비싼 샘물(프라스틱 병). 5 증류수 (이것도 체급이 3개)
      궁금하신 설사문제는 없습니다. 단지 미네랄이 없다니 야채 과일 따위를 많이 먹지요. 천연 수분 섭취.

  • @itthe
    @itthe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리는 우리가 버린 것을 먹고 있다.

  • @프란치스꼬
    @프란치스꼬 4 місяці тому

    정수기 언제 했어요???

  • @햇살나무-q8t
    @햇살나무-q8t Рік тому +5

    종이팩으로 된 물은 괜찮을까요?

    • @황모씨-h8e
      @황모씨-h8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종이팩 내면은 폴리에틸렌 으로 코팅합니다.
      페트나 폴리에틸렌이나 플라스틱 같은겁니다.
      백프로 나옵니다 거기서도

  • @doIgoIae
    @doIgoIa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생수병에미세프라스틱나오면
    프라스틱병에선
    다나올수있다는
    건데 음료수병기
    타카페커피잔 기
    타 프라스틱병에서는 다나온다고
    봐야겠지요
    식생활에프라스틱제품만들지말던가 !!!

  • @stroy916
    @stroy916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스프링 실험 해주세요~~ ㅎ

  • @earlybird_
    @earlybird_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수기물은 안보여주시네요.
    미세플라스틱이 무겁나요?
    생수병 하단3cm남은 물은버리라고 말하시는게 미세플라스틱은 물에 가라앉을 것이라 보시는군요.
    미세플라스틱이 무겁다 가정해도 물 마실때 병을 거꾸로 들기 때문에 어차피 심하게 요동치며 섞입니다..

  • @t알고리즘-p9y
    @t알고리즘-p9y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수돗물은 안올려주셨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