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근손실 말고 달리기 손실이 두려워 I VO2max 손실 I 최소 운동량 I 테이퍼링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58

  • @Grace88hk
    @Grace88hk Місяць тому +1

    훌륭한 자료들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 @dskim_mt
    @dskim_mt Рік тому +1

    초보 트런에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etherunner
    @betherunner 2 роки тому +4

    부상신호가 오면 쉬긴 쉬어줘야 하는데 기량저하때문에 항상 맘이 편하질 않았는데
    이런 정보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 @jasonbourne248
    @jasonbourne248 2 роки тому +3

    명확한 개념설명, 매끄러운 언변, 과학적 근거 등등 너무 만족하고 있습니다 쟐쌤님!

  • @Damitro4
    @Damitro4 2 роки тому +9

    솔직히 유산소 능력 이전에 쉬면서 살찌는 게 달리는 능력 떨어뜨리는 가장 큰 원인임...
    40대 후반이지만 고딩때까지 단거리 선수였고 해병대 제대후 20년은 10km 조깅을 간간히 하다보니 다리 근육은 그대로 인데 정상체중 60kg대에서 92kg까지 찌다보니 다이어트 때문에 달리고 75kg 내외일 때 또 술마시고 살찌고 이걸 무한 반복...
    당장 60kg대에만 가더라도 100미터 11초 대는 뛸 거 같은데...몸이 무거우니 달리는 거 자체가 느려짐...
    달리기 느려짐의 가장큰 원인은 지방...체중 증가임...장거리는 더더욱 체지방 거의 다 태워야 잘뜀...
    마라톤 채널들 보면 인터발이 어쩌고 lsd가 어쩌고 하는데 가장 중요한 건 언급을 안함...
    마라톤 선수들, 마스터즈 상위권인 사람들 보면 체지방이 거의 없음....다른 사람들 다들 무거운 짐 들고 뛰는데 자기들은 빈손으로 뛰면서 나 잘뛰지>? 나 잡아봐라 하는 격....
    나부터가 고딩때 몸무게 되찾아서 대회나가볼려고 함....지역 대회 입상목표로....풀코스...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중요한 부분을 짚어주셨네요,, 맞습니다!
      달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 하나만 꼽으라고 하면.. 사실 '체중'이죠 ㅋㅋㅋ ^_^;;

    • @Damitro4
      @Damitro4 2 роки тому +2

      @@runningbehind 전문가 분이 운영하시는 채널이라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욕심에 과체중이면서 태권도 선수할 때 체중감량 급격히 하던 버릇대로 무리하게 뛰고 장거리 달리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겠다싶어 줄넘기도 병행하다보니
      학창시절 운동부 생활하면서도 안겪어봤던 족저근막염, 발목염증, 고관절 통중에 고생중이네요 ㅎㅎ
      과체중이 원인인듯 하네요
      90kg을 넘어본적 없눈 30대 땐 시장에서 파는 쿠션기능 전혀 없는 3000원짜리 신발 신고 아침 저녁 10km씩 뛰어도 괜찮았는데 아무튼 선생님 쿠션화에 대한 논문 분석 정말 유용하게 잘봤습니다
      앞으로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채널 대박날 기운이 보입니다

  • @runner_namu_21_
    @runner_namu_21_ 2 роки тому +2

    제마 준비하면서 지금 시점에 필요했던 정보인데~ 감사합니다👍

  • @이핫핫-n9g
    @이핫핫-n9g 2 роки тому +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고형직-t9i
      @고형직-t9i 5 місяців тому +1

      😊😊😊😊😊😊😊😊😊😊😊😊😊😊😊ㅇㅇ

  • @매버릭-f7g
    @매버릭-f7g 2 роки тому +4

    아니 정보도 좋지만, 문장들이 우째 이렇게 찰떡같죠??? ㅋㅋㅋ 말씀을 너무 조리있게 잘하세요. 조리사 자격증이라도 있으신건가요?

    • @strongman-80
      @strongman-80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1

      쟐쌤법인 요리조리 자격증이 있습니다 히힛

  • @jh36003
    @jh36003 Рік тому +1

    2주! 기억하겠습니다.
    1주일에 1~2회 강도있게!
    구독하고 가요~

  • @sese_papa
    @sese_papa 2 роки тому +1

    별말씀을요❤

  • @springsprout406
    @springsprout406 2 роки тому +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큰도움되었어요!

  • @이해곤-r8f
    @이해곤-r8f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whitewhite6159
    @whitewhite6159 2 роки тому +2

    러닝비하인드 주제. 숙취런하면 숙취가 해소될까? 해장국이 빠를까? 10키로 달리기가 빠를까?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1

      캬캬 재밌는 주제입니다ㅋㅋㅋㅋㅋ
      일단 적게 먹는게 빠를거같긴한데 ㅎㅎ

    • @whitewhite6159
      @whitewhite6159 2 роки тому +1

      @@runningbehind 빠른 피드백 감사해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빅사이클
    @빅사이클 2 роки тому +2

    오~평소에 궁금했었던 내용인데 유익한 내용 감사드립니다 ^^

  • @jiminlee3553
    @jiminlee3553 2 роки тому +2

    너무 유익해요+_+ 감사합니다

  • @천장-d5w
    @천장-d5w 2 роки тому +1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나중에 봉크에 관한 내용도 부탁드립니다~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봉크~!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_^♡

  • @백야-s7n
    @백야-s7n 2 роки тому +2

    궁금했던 것들을 이해할 수 있는 진짜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다음 영상이 벌써 기대되네요.
    그리고 바뀐 오프닝 영상도 마음에 듭니다.^^

  • @Franklin-bn
    @Franklin-bn 9 місяців тому

    러닝 포뮬러라는 책에서는 인터벌을 유산소 능력 vo2max를 증가시키는 거라고 합니다. 그런데 젖산을 활용한 트레이닝이라는 책에서 제가 이해한 바로는 Lt를 넘어서면 당을 이용하게 되고 당이 분해되어 피루브산이 되는 과정에서는 무산소성 대사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서로 주장하는 바가 다른 것인지 아니면 제가 잘못 이해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강도에서는 유산소성대사가, 젖산 역치를 넘어서면 무산소성대사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그리고 이 모든 능력을 통틀어 '유산소 능력' 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Franklin-bn
      @Franklin-bn 8 місяців тому

      @@runningbehind 감사합니다

  • @bmw_5442
    @bmw_5442 2 роки тому +2

    우와 재밋었요!!!!

  • @sambrother00
    @sambrother00 2 роки тому +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요즘 자격증 따느라 달리기를 도통하지 못했는데 안심이 되네요

  • @dydyd6692
    @dydyd6692 2 роки тому +3

    하루이틀 쉬면 실력이 떨어질까 무리하다 결국 부상까지 입는 러너들이 많으시더라구요.
    육체는 의지만으로 되는게 아닌데 ㅎㅎ
    그런 분들께 아주 도움이 되는 영상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이성원-p7x
    @이성원-p7x 2 роки тому +3

    궁금했던 부분을 속 시원하게 잘 설명해주셔서 무척 감사드리고, 덕분에 고맙게 잘 보고 있습니다! ^^

  • @jihojang3825
    @jihojang3825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강도드립은 피식했네요 ㅋㅋ

  • @Franklin-bn
    @Franklin-bn 9 місяців тому

    러닝 관련 도서를 읽다 궁금한 게 있는데 질문 가능할까요

  • @formidis
    @formidis 2 роки тому +3

    jtbc 마라톤 대회 저도 참가합니다~ 대회장에서 뵐수 있으면 좋겠네요~ 화이팅요~

  • @patchkeun3760
    @patchkeun3760 2 роки тому +2

    오~~ 정말 궁금했던 내용이네요~~ 간단한 부상은 1주정도는 마음 놓고 충분히 쉬어야겠어요~

  • @basskid_doctor
    @basskid_doctor 2 роки тому +1

    3년전 발병한 프라이버그씨병 얼마전에 진단받고 그제 입원해서 어제 발 수술 받았습니다. 괴사가 발병했을 당시 비만에 통풍도 있었고 그래서 미련하게 통풍인줄로만 인식했었고, 어느정도 급성기가 지난 후 통증이 있는데도 참고 3년간 러닝과 트레일러닝을 이어왔습니다. 아직 과체중이라 기록은 싹 좋지못하지만, 2~3키로 뛰고 헉헉 거리던 제가 21키로, 23키로까지 뛸 체력을 갖추게 되었네요. 입원 전, 전날까지 주력 떨어질까 전전긍긍하면서 업힐 빡시게 달리고 어제 오후에 수술 받았습니다. 이제 회복되기전까지 러닝을 못하지만 스티치아웃만 하면 대량의 맨몸스쿼트나 수영으로 계속 운동을 이어나갈까 합니다. (살뺀다고 맨몸운동과 러닝을 즐겨했었습니다.) 유산소 능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또 다시 살이찔까 염려되네요.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1

      너무 힘드셨겠습니다ㅠ
      운동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신것같습니다
      마음에 여유를 가지셔요~!
      유산소능력 떨어진다하더라도 다시 올리면 됩니다!
      운동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면 식단만 조금 신경써주시면 체중도 관리하실수 있으실겁니다!^_^
      화이팅!

    • @basskid_doctor
      @basskid_doctor 2 роки тому +1

      @@runningbehind 항상 좋은 영상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 @김대현-s6w
    @김대현-s6w 2 роки тому +2

    전 미세 족저가 와서 현재 1주일 통으로 쉬는 중입니다 통증이 없어지면 이 프로그램으로 1달정도 유지해보고 족저가 치료되길 기도해야할듯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wolgye-runner
    @wolgye-runner 2 роки тому +2

    가민 255 에서 측정하는 vo2max 믿을만한지 도 궁금하네용 ㅎㅎㅎ

  • @윤-p9v
    @윤-p9v 2 роки тому +1

    쌤 제가 운동 쉬지도 않고 3년째하고있는데 산소삽취량은 봄 여름 가을은 괜찮은데 겨울만 되면 떨어집니다 심박수도 봄여름보다10장도 높아지구요 왜그런걸까요..??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겨울에 러닝의 빈도나 강도가 달라지지는 않으셨을까요?
      심박수는 추울때 달리면 더 높을수있습니다
      반대로 더울때 상대적으로 더 낮을수있구요!^_^

    • @윤-p9v
      @윤-p9v 2 роки тому +1

      @@runningbehind 답변 감사드립니다 3년째 운동을하고있는데 심박수가 항상180-190정도 나옵니다 왜그런걸까요 ㅠㅠ?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윤-p9v 나이와 운동 강도, 체중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3년째에 조깅하는데 180이 넘는다면, 심박수 측정 방법을 고민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만, 운동 강도가 높다면 심박수가 그 정도 높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run_chaebro
    @run_chaebro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잘봤어요~ 11월6일에 봐요 전 10k 갑니다ㅎㅎ

  • @겸손과인내
    @겸손과인내 Рік тому +1

    지금 40대 가까우시면 동안은 맞으시네

  • @NeverQuitRunning
    @NeverQuitRunni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역시👏👏👏
    이러한 문제때문에 취미러너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달리기 입문이 필요하다 생각이 드네요🤔🤔
    만약 1/2 마라톤 이상의 거리를 뛰는 대회에 참가하는분 경우에 달린다 가정했을때 기초 훈련으로 가장먼저 일정한 속도로 오랫동안 달릴수있는 거리까지 달리신 과정까지 도달하셨다면 최소한 1시간? 이상까지는 꾸준히 달릴수있는 체력이 쌓여야 할테고 가능하면 다양한 속도와 뛰는장소등 고려해서 다양한 변화가 필요한거 같습니다
    마침 유투버 들이 다양한주제로 영상을 올려야 관심과 그영상등을 보는 시청자가 늘어나는것 처럼요
    아직 부족한 취미러너이지만 뛸수있는때 까지는 최대한 뛰어보고싶고 추억들이 쌓이면서 경험도 같이쌓이는게 이득이겠네요
    개인마다 달라도 끊임없는 응원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노력을 되돌아 보면서 끈기와 인내로 결과에 도달하는거 같습니다
    비록 저의 생각을 적었지만 누군가에게 작은힘이 되어서 그사람에게 용기와 응원으로 다가가면 좋겠습니다
    모든것은 잘하고 못하는거의 결과가 아니라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인성을 기르고 결과를 대하는 마음이 가장중요하리라 봅니다
    잘하는실력을 가진사람에게는 노력과 끈기가필요한 사람도있듯이 누군가는 끊임없는 용기와응원등이 필요하겠죠
    시작을 늦게하든 일찍하든 무조건 후회없이 하다보면 결과물이라도 거둘거라 봅니다
    열심히 꾸준히 하려한다면 되지않을까요?
    고맙습니다 선생님

  • @프레퍼-r9l
    @프레퍼-r9l Рік тому +1

    와 정말 궁굼했던 부분인데 일딴 댓글달고 시청 고고~

  • @runrinie
    @runrinie 2 роки тому +1

    발등 부상으로 5개월 정도 쉬었는데요.. 지금은 조금씩 다시 시작하고 있습니다.
    보름정도 뛰었는데.. 느낌상 이전의 50% 정도 돌아온 것 같습니다.
    다음번에 혹시나 쉬게 될 때 이 영상이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아요~ 잘 봤습니다!

  • @달리자또비형제
    @달리자또비형제 2 роки тому +2

    생각보다 유지하는 방법이 간단하네요 감사합니다 !!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우왓! 또비형제님 반갑습니다^_^♡♡ㅎㅎㅎ

  • @cham3061
    @cham3061 2 роки тому +3

    러닝 5년차.. 늘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논문을 곁들여 속시원히 설명해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런데 잘쌤 동안이시네요 많아봤자 30대 초중반으로 봤는데...

    • @runningbehind
      @runningbehind  2 роки тому +2

      아핰핰 감사합니다 😊
      (입금해드릴께요) ㅋㅋㅋ

  • @us21er-rh2wm9cc8x
    @us21er-rh2wm9cc8x Рік тому +2

    걷보기도 약해 보여요 ㅎ

  • @오재미-t4o
    @오재미-t4o 2 роки тому +2

    좋은정보감사합니다 구독자 1만명 금방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