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 you happy now?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Hello, I'm Ki Man Sung.
    I made it so that I can deliver what I want to say.
    Please enjoy it.
    비즈니스 문의
    ki.utuber@gmail.com
    #Life #happiness # entrance exam

КОМЕНТАРІ • 392

  • @순분황-j8d
    @순분황-j8d Рік тому +109

    울 아들 대학 안간다고해서 본인결정하게했다 지금 울아들 30살이다 전기일 하고있는데 너무착실하게 살고있고 울아들 외국여행 많이다니라고 여행자금 내형편에 많이줬다 많은생각하고 살것같다 울아들 항상 엄마를 존경한다고한다 고마울따름이다 아들 건강하게 잘크줘서 너무감사하고고맙다

  • @비비-t7y
    @비비-t7y Рік тому +75

    초등학교 교사로 퇴직했어요. 부모님들이 상담 오시면 공부 못해도 잘 살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씀 드렸어요. 너무 공부에 연연하지 마시라고...
    어릴 적 친구들 성인이 되어 사는 모습 보니 증명이 되더라구요.
    솔직, 진솔하신 모습 멋지십니다!❤😊❤

    • @TV-lf9nr
      @TV-lf9nr Рік тому +3

      초등학교 선생에게 차별받고 이유없이 매맞고 나서 저는 선생에 대한 좋은 기억이 없습니다. 요즘 애들은 생각보다 똑똑하고 현명해요. 그들을 믿고 지지해줘야 한다고 봅니다. 이제 선생은 필요없는 세상입니다.

  • @또니니-l6x
    @또니니-l6x Рік тому +42

    의견에 공감을 표합니다. 저는 제가 공부를 좋아하는줄 알고 석사까지 했습니다. 전공 살려서 직장도 7년동안 다녔구요. 살아보니 알겠더라구요. 이게 정말 내가 원하는 삶인가?에 대한 극한의 고민끝에 저는 이 일과 맞지않는 사람이라는걸요. 저는 창의적으로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잘 맞는 성격이더라구요. 직장 다니면서 눈치보고 주눅들고 위축되며 주어진 일만 소극적으로 해야하는 제 모습을 보니 더이상 이렇게 살아서는 안되겠다 싶어서 퇴사를 하였습니다. 지금은 예전부터 정말 하고 싶었던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삶이 정말 즐겁습니다. 행복하구요. 만족합니다. 대표님 말씀에 적극 동의합니다😊

    • @세븐판도라
      @세븐판도라 Рік тому +4

      하고 싶었던 일은 무엇이며 수입도 만족하시나요?

  • @정태호-u5c
    @정태호-u5c Рік тому +64

    오늘 영상 다 보고 느낀 점.
    재벌2세도 사람이다 존경받을 만하다
    제가 20대초에 어느 회사에서 무시당해서
    죽을각오로 인정 받고 퇴사가 목적이였는데 공부 꼴지에 맨날 놀고 끈기없던 그런 청년이 기술로 6년을 악착같이 버티고 인정 받고 나왔는데 다른직종 제친한 친구는 같이 힘들게 서로 고생했지만
    저는 최고의 복수를 하기위해 목표를 달성하고 친구는 대표를 잘만나 개인사업으로 끌어주셔서 돈도잘벌고있습니다
    34밖에 안되었지만 능력도 다르지만 누구를 만나는가도 중요한것같아요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공부보다 인생경험 이 중요한것같습니다 지금20대에
    대표님을 만낫더라면 돈보다 더 소중한 귀인이였을 것같네요 존경스럽습니다😊

    • @세븐판도라
      @세븐판도라 Рік тому +1

      실례지만 어떤 기술인지 그리고 친구분은 어떤 개인사업이신가요?

    • @gsjbvfgh
      @gsjbvfgh Рік тому +1

      글 연습이 필요해보입니다. 정신이 없네요

  • @조미경-j1h
    @조미경-j1h Рік тому +30

    아들2명키우는엄마로써 박수쳐드리고싶어요
    인생에 경험이 얼마나중요하고 필요한지 스스로 책임지고 올바른사람으로 행복한시람으로 자랐으면 하는 제맘에 공감이되는분
    인거 같아 박수쳐드리고싶어요🎉

    • @user-Griezman
      @user-Griezman Рік тому

      아줌마랑 이사람이랑 재산규모가 다른데 하늘과 땅차이예요 뭔 공감을 형성하세요?

  • @카라멜-z7w
    @카라멜-z7w Рік тому +66

    이제 오십대가 되어 가는 사람입니다. 하시는 말씀 200프로 공감입니다.
    저도 대학생활을 3곳에서 했고 졸업후 결국 한국에 최고 기업에 들어갔고 지금은 해외에서 기업에 다니고 있습니다. 해외에 와보니 한국의 교육체계 숨이 막히고 제가 다시 학창 시잘로 간다면 다시는 그렇게 공부만 하고 싶지 않고. 정말 내가 원하고 좋아하는 걸 어릴적부터 찾고 싶습니다. 공부가 정말 인생에 다는 아니라는거 100 프로 공감합니다

    • @김이박-s8o
      @김이박-s8o Рік тому +6

      다가 아닌것도 못하면서 전부를 갖을 수 있을까요..? 하기 싫어도 하는 그걸 배우는 시간이고 절대 낭비되는 시간이 아닐거라는건 자명합니다

    • @심슨-p2e
      @심슨-p2e Рік тому +6

      ​@@김이박-s8o 그럼 다가 아닌것을 해낸다면 전부를 가질수 있나요..? 하기 싫은걸 하는것 또한 배움을 위한 값진 시간이고 낭비되는 시간이 아니라는 말은 공감합니다! 하지만 좋아하는 일을 찾기위해 경험하는 시간은 낭비인가요? 이것또한 낭비되는 시간이 아닐거라는건 자명합니다.

    • @김이박-s8o
      @김이박-s8o Рік тому +1

      @@심슨-p2e 그 맥락이 아닌 것 같은데요..?ㅋㅋㅋㅋ 국어 어지간히 못하셨겠네

    • @김이박-s8o
      @김이박-s8o Рік тому

      @@탐사수-s5d 저게 전부를 가져라!! 이런 뜻으로 보이실까요..? ㅋㅋㅋㅋ 수준 나옵니다

    • @심슨-p2e
      @심슨-p2e Рік тому

      @@김이박-s8o 카라멜님 댓글에 대한 너님 답변도 맥락이 다른거같은데요ㅋ 그리고 맥락따지고 국어실력을 논하기전에 인성부터 갖추시죠ㅋ

  • @정희신-f9e
    @정희신-f9e Рік тому +21

    대표님 호텔도 대학 나오지 않아도 센스있고 예리한 그런분들을 많이 채용하셨으면 좋겠네요 ~~
    사교육 정말 문제인데 속이 시원하네요

  • @안경자-k4x
    @안경자-k4x Рік тому +1

    정답입니다~공부보다~행복해야됩니다😂😂😂

  • @홍-d9p
    @홍-d9p Рік тому +19

    너무 공감합니다. 저의 직업은 영업사원인데 부모님의 의사 그리고 보여지는것 때문에 대학도 졸업하고 대학원도 입학했지만 결국에는 조금 늦었지만 본래 꿈이였던 직업으로 찾아간 것 같습니다. 부모님의 의견과 조언도 좋지만 꿈을 찾아가고 사회를 경험으로 배우는것이 책상에서 낭비되는 시간보다 훨씬 도움이 되었습니다.

  • @아나이스힘낼게
    @아나이스힘낼게 Рік тому +9

    옛날 못살았던 우리나라 부모세대들이 내자식들은 잘살길바래서 공부시키고 대학보내는 것 같아요 저희부모도 공부에 목숨걸으셨어요 그러다 좋은대학못가고 좋운직장 안다니는 자식들은 무시했구요 그걸 보고 자란 자식들도 자기자식한테 똑같이해요 제가봐온 많은 엄마들이 욕심 질투가많아요 한달 자식들 과외비 사백쓰는 엄마도봤어요 그러면서 다 니네들 잘되라고한다고..우리나라는 집평수 돈 좋은직장 이런걸로 사람을 평가하는나라입니다 부모세대들부터 이런 마인드라서 요즘사람들도 보고배운거구요 서양은 돈보다 본인의 행복에 중점을두고 좋은대학 안나와도 무시를안받아요 그러니까 그쪽사람들을 돈에 집착도안하고 대기업 안가도되고 사회적인 정서가 성공에 목표를두지않고 사람들 눈치도안받구요 한국은 사람들의 정서 마인드가 여전히 안바꼈어요 내가 괜찮다해도 사람들이 그렇게안보니까요 한국도 사람들이 다양성을 받아드렸으면 좋겠어요 그러기위해선 부모들이 바껴야된다고생각해요 솔직히 부모들이 문제가많아요

  • @ThatSalamiLover7777
    @ThatSalamiLover7777 Рік тому +14

    1000000%공감합니다. 한국에 이런 입시 교육 너무나 아이들 혹사시키는거라 생각하며 진정성 진실 있는 이런 의견 너무나 좋습니다. 인생은 행복입니다.

  • @네살차이-w8s
    @네살차이-w8s Рік тому +11

    격하게 공감합니다~^^
    주입식 교육의 폐해는 결국 자식을 사회의 부속품으로 전략시킬뿐입니다
    거꾸로 교육, 창의적인교육이 정말 중요하죠

  • @대박이최고
    @대박이최고 Рік тому +21

    진짜 대박입니다 대표님~^^
    저도 대표님보다 한살 어리지만 고딩까지 꼴등하고 맘껏놀고 살았지만 지금 친구들중 가장 크게 사업하고 잘살고있습니다
    좋은대학 다녔던 친구들도 제가 밥값내고 술사줍니다^^ 근데 자식은 잘가르치고 싶긴 하더라고요 아빠가 공부안했으니 좀 잘했으면 해서 ㅠㅜ 근데 대표님 방송보고 자식 교육관을 다시 진지하게 생각해봐야겠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ㅎㅎ 구독 하구 영상 자주보다보니 강릉 호텔가보고 싶어집니다 ^^

  • @user-alotofenergy
    @user-alotofenergy Рік тому +3

    한국의 교육에 대한 문제점은 일부분 동의하지만 수능이 단순히 암기만 요하는 시험은 절대 아닙니다. 이 영상의 요지가 그런 부분과는 큰 상관은 없지만 선생님같이 영향력이 크신 분들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댓글을 적습니다. 학교에서 수학, 국어, 영어 등등 실생활과 밀접한 교집합이 없는 것들을 가르치는 이유는 학생이 커서 무엇을 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귀하께서 수능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택한 공부방법으로 인해 아직까지 수능에 대한 오해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늘 감사드립니다.

  • @LEEkyouho
    @LEEkyouho Рік тому +2

    금수저가 돈버는 방법이 다양하다고 얘기하니까 설득력이 0. 방법이야 다양하죠 근데 흙수저는 기회가 1번 입니다. 고등교육을 받으면 실패확률을 극단적으로 낮춰줍니다. 또 고등고육을 받고 국가공인 자격을 취득하면 실패해도 기회를 줍니다. 왜 공부에 목메다는지 설명이되죠.

    • @LEEkyouho
      @LEEkyouho Рік тому

      흙수저가 어떤 직업이나 사업에 도전했다가 실패하잖아요? 다음이 없어요. 실패 후 남은 빚을 갚기위해(대학등록금부터 공부하는 동안 의식주까지 전부 본인이 해결해야합니다) 몇년이 길게는 10년이 날라갑니다. 파산한다해도 신청하고 인용되서 파산이 이루어지고 파산 후 일정기간이 지나서 신용회복이 되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해질까지 기간을 생각하면 흙수저의 실패는 10년간의 노예 생활을 의미합니다. 이런걸 겪거나 보고나면 실패할 수 있는 가능성만으로도 그 방법을 피합니다. 만에 하나로 실패하고 10년 노예가 되느니 그저그런 중소월급쟁이로 사는게 낫거든요. 반면에 고등교육을 받고 국가공인자격(소위 사짜 전문직)을 받잖아요? 제1금융권에서 몇억씩 턱턱 대출해주고, 야망없이 전문직 월급쟁이로만 살아도 중소월급쟁이 비교도 안되는 소득이 보장되죠. 파산한다해도 사짜전문직 선후배들이 도와줍니다. 도와주는 방법이 정말 다양해요 그냥 기부하듯 현찰 주는건 너무 당연하고 전문직 월급쟁이 직장챙겨주는건 시작일뿐이죠. 정말 기회가 다양해요.

  • @surinlee9844
    @surinlee9844 Рік тому +13

    구구절절 진심이 느껴집니다.
    바쁘신 중에도 이런 영상 만들어 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교육학자가 아닌 부모된 마음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 많이 들려주시길 바랍니다

  • @satanglee
    @satanglee Рік тому +2

    저는 독일 유학한지 7년됐습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전부 독일에서 혼자 보냈습니다.
    유학하면서 사회생활 같은 여러모로 많이 배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유학하면서 오히려 맞지 않았고 우울증이 심각하게 왔습니다.
    하지만 이미 투자한 돈이 적지 않아 계속 악으로 깡으로 버티고 있습니다.
    정말 유학간게 후회 많이 되고 지금도 후회하지만 사람마다 다 다른거 같아요..
    유학간다고 다 잘되는 케이스가 아니라는점…아셨으면 좋겠습니다.

  • @hye.123
    @hye.123 Рік тому +21

    언제든 뭘 하든 성공하실 분이셨네요.
    매일 미친 듯이 문제집 푸는 거 웬만한 정신력으로는 못 할 것 같아요. ㄷㄷ

  • @moisson74
    @moisson74 Рік тому +7

    반은 맞고 반은 틀리고죠
    환경 유전자 경제력등등에 따라서 스스로든 타의에 의해서든 결국은 본인 선택이고 경험이라고 봅니다.

  • @조승휘-q2m
    @조승휘-q2m Рік тому +6

    이런금수저 분들이 많아야 세상이 맑아지는데...좋은이야기입니다

  • @아지랑이-m8u
    @아지랑이-m8u Рік тому +61

    모든 기업의 오너가 대표님과같은 마인드를 가졌으면 좋겠어요~

    • @서도이칠란드
      @서도이칠란드 Рік тому

      대부분 그래요. 하지만 학력이 짧은 애들이 대학 나온 사람 보다 확률적으로 바보일 경우가 많아요.

  • @마하나임-n3z
    @마하나임-n3z Рік тому +10

    참 멋지시네요
    부모된자라면 아이의 행복이 가장 중요하죠
    하지만 많은경우 아이의 행복을 위함이라 하지만 좀더 솔직하다면 부모의 욕심과 자랑삼기 위함이 크죠
    청소년시기 대표님은 값싼 공부보다 더좋은 경험을 많이 하셨겠어요

  • @합격가자-t4o
    @합격가자-t4o Рік тому +6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하면됨
    그래도 공부가 학창시절 성실성을 나타내는거고 그래도 공부가 기본이라는 생각이 든다

  • @mimipark5161
    @mimipark5161 Рік тому +1

    "이분ᆢ"
    "대표님 "
    "음청나게 믓찌고 매력적이다"
    "구독하며 나도모르게 보구잇다"
    얼마안됫지만 영상 감사하고 즐겁게
    보구 잇답니다😊❤
    예뿐 사모님과 아기😊🎉
    항상 건강하세요

  • @7j113
    @7j113 Рік тому +3

    정말 자기가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뭘 잘 할 수 있는지 찾고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 생각하고요. 대표님 말씀대로 공부가 다는 아니고 과거에 비해 현재는 할 수 있는 종류가 훨씬 많습니다. 그래서 꼭 공부가 아니더라고 성공할 수 있는 길은 예전에 비해 많죠.
    그런데 제 생각에 여기에는 한 가지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사람은 각자의 근성이 천차만별 다르고 잘하는 것이 다 다릅니다. 근성이 좋은 사람은 무슨 일을 해도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근성이 좋지는 않은게 문제죠. 특별히 하고 싶은것도 없고 잘하는 것도 없을 경우에는 그나마 공부를 잘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공부를 잘하면 먹고 사는데 지장은 없으니까요. 근성 외에 다른 부분은 공감합니다.

  • @DJNAM-tb4te
    @DJNAM-tb4te Рік тому +8

    절대 동감합니다~창의력을 기르는 게 인생을 유연하게 살아가는데 더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아요

  • @honghyunkim1037
    @honghyunkim1037 Рік тому +3

    진심 공감가는 이야기 이네요.
    저는 귀금속 하는 사람인데 아직까지 아침에 출근하기 싫었던적이 거의 없습니다.
    늘 눈뜨면 일상처럼 출근하고 일은 무지하게 재미있게 하고 있습니다.

  • @Kkkigeaniee
    @Kkkigeaniee Рік тому +9

    공부잘 하면 다 되는줄 아는데
    좋은대학나와서 그다음 next 를 다들 생각하지않고 암생각없이 공부만하는것같아서 다들 깨달아야하는거같아요

  • @뭉치1234
    @뭉치1234 Рік тому +1

    누구처럼 대본 없이도 쉼없이 솔직한 심정을 술술 이어지는거 또한 능력이고
    진짜란 거죠
    매력이 넘칩니다 아들보다 아래지만 이런 남자들만 있음 불행한 여자 확!줍니다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인성의 소유자.

    • @뭉치1234
      @뭉치1234 Рік тому

      김현성님!
      유튜버의 이름은 소리음?
      기먼성
      이 또한 멋있음 입니다

  • @보보-v9n
    @보보-v9n Рік тому +2

    이분 말씀에 95% 공감합니다~
    나머지 5%는 아주 안전한 보험이 있다는 것과 없는 것~그 차이?
    결과적으로 보면 이분 말씀처럼 살아가는 게 살아보니 맞더라고요~
    근데 대부분이 안전한 삶에 대한 보장 없이 시작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인데 ~그걸 극복하고 정말 좋아하는 일에 노력하다 보면
    행복과 성공은 자연스레 친구가 된다는걸~
    이걸 아는 저도 실천하는 게 힘들더라고요~~
    다른 분들은 일단 시작하고 생각하시길~
    시작하기도 전에 리스크를 완벽히 잡을 수 있는 일은 없으니까요~
    모든 어린 청년 분들에게 행운이 가득하길 빌어봅니다~

  • @grimachim1356
    @grimachim1356 Рік тому +4

    저는 유명 대학에서 석사까지 했구요~ 아들 하나 딸하나 있는 엄마입니다. 저 역시 대표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저는 사실 제가 공부가 좋아 많이 한 것이고 저희 부모님은 한번도 공부해라 하신적이 없습니다. 저는 저희 아들 딸이 공부가 싫다면 남들 눈치보며 억지로 시킬 생각 없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고 싶어하는 따뜻한 사람으로 키우고 싶습니다.

  • @elonmusk7007
    @elonmusk7007 Рік тому +11

    40대 입니다. 저도 현재 패밀리사업으로 중소기업 사장이구요.
    이분 말씀 정말 제생각과 소름돋을정도로 일치하네요. 대한민국 입시 정말 문제 많죠.
    원어민도 못풀 영어문제가 수능으로 나오니
    무슨 말이 필요하겠습니까.

  • @rory-chan
    @rory-chan Рік тому +20

    저와 생각이 너무 같아서 반갑네요 ㅎㅎ
    기먼성 사장님이 고3때 1년간 얼마나 열심히 하셨겠어요? 아마 그때 얻은 성취감. 자신감이 사장님 인생에 알게 모르게 도움이 많이 되었을거에요 ㅎ
    저는 저희 아이들에게 공부하기 싫으면 하지 말라고 합니다. 대신 책을 많이 읽어주라고 부탁을 하죠. 저희 아이들이 착실한 학생, 직원이 되기보다 남들이 생각치 못하는 아이디어가 번뜩이는 오너가 되길 바랍니다. 오롯이 자기 인생을 사는 아이가 되길 바라며 ㅎㅎ 착하고 성실한 사람들은 많더라구요 ㅎ

  • @johnahn4185
    @johnahn4185 Рік тому +2

    완전 공감하는 이야기 입니다.
    저도 공부는 평생을 해야 하는 거라 생각하고 책도 읽고 관심 가는 것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지내고 있거든요.

  • @이인숙-j2g
    @이인숙-j2g Рік тому +18

    기먼성님 멋있습니다.
    살면서 인생 공부는 제대로 하신 것 같습니다.

  • @user-8b5en6bgh7f
    @user-8b5en6bgh7f Рік тому +1

    찬성입니다. 결국은 자신의 소중한 인생 몇십년을 남들이 와~해주는 한마디를 듣기위해 사는 한국인들

  • @성이름-d3x1t
    @성이름-d3x1t Рік тому +8

    외부의 기대와 압력으로 공부 엘리트로 잘하는 쓰레기 인성보다 뒤늦게 자발적으로 공부한 바른 인성의 대표님이 더 본받고 바람직한 인간상입니다. 이런 분들이 사회 지도층으로 많이 계셨음 하는 바람입니다.

  • @비타니아
    @비타니아 Рік тому +1

    대표님 말씀 정독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간판 문화가 한몫했죠 대학교라는 타이틀을 클라스로 만들어 버린 사회가되어버렸죠 물론 어느 나라도 다 마찬가지지만 입학만이 목표로 하지 말라고 하신말인듯합니다
    정말 와닿는 말씀 A는 B다 라는교육 미국에서는 A는 왜 A 일까하는 생각하게하는 말씀 공감이 많이되고 젊으신분들도 내가 노력할수있는 건 모가 있을까하는 ?를 던져주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으면 그목표를 위해 노력하고 발전하고 만족한다면 베스트가 될것입니다.공부가 학벌이 목적이 아닌 인생을 목표로 살아가라고 하신말씀 같습니다
    사람마다 각자의 인생도표를 가지고 열시미 노력하고 사시기 바란다는 것~ 하지만 노력을 할수있게 뒷받침이 되어줄수있는것도 가정형편도 한몫한다는것도 사실이긴하죠
    하고 싶은거 형편상 못하시는 분들도 엄청~많죠 저또한 유학은 꿈도 못꾸고 학창시절을 보냈으니까요
    저 또한 이제 자녀를 두고 살아가는 부모로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녀를 두신 우리 부모님들 모두 힘내시길 바랍니다~!

  • @문기분-t1m
    @문기분-t1m Рік тому +35

    오랫동안 느껴 온, 백퍼 공감하는 내용이고 꼭 사회 전체적으로 변화를 추구해야 할 내용을 잘 짚어 주셨어요 김헌성님의 진정성 있는 유튜브 내용들이 참 좋아요!

  • @dogoodmen
    @dogoodmen Рік тому +1

    자기 인생이 투명하다면 안가도 된다.
    문제는, 어떤 사람이 사업이든 취업을 할때
    그 사람이 누구 인지 모르는데 어떻게 하나?
    대학을 가던, 가지말던 선택지는 2개는 아니다.

  • @파트라슈-s6d
    @파트라슈-s6d Рік тому +2

    부모님한테 배운것중 가장 원망스러운것1. 공부안하면 기술배워야한다 2.누구네는 주식하다망했다더라 주식하면망한다.
    자기가하고싶은걸해야된다는 말씀 진짜중요하다고생각합니다. 저는 아들신생아때부터 비트코인투자해놨구요 앞으로도 장난감살돈들 받을때마다 투자시키고 돈에대해알려주고경제얘기해줄겁니다.
    그리고 아무간섭안하고 자기꿈을 지지해주고 같이 나아갈생각으로 아기키우고있습니다. 말씀감사합니다^^ 은근 재밌어서 보는데 이런내용도있었군요ㅋ

  • @deangding9793
    @deangding9793 Рік тому +6

    맞는말씀.. 요즘 10대 20대는 생각없이 사는 사람들이 많아요.. 직원으로 채용해보면... 진심.. 로봇으로 서빙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할정도로..스스로 생각이없고.. 시켜야만 움직이는 직원들이 많죠... 진짜 제대로된직원을 찾기란...하늘의 별따기보다 더 힘든듯해요,..

  • @여호와닛시1004
    @여호와닛시1004 Рік тому +2

    맞는말씀입니다.
    우리아들도 인하대 나왔고,직장 갈때 너가행복한 직업을 택해라고 했고,
    늦둥이 딸도 공부하기싫어해서 대학가기싫으면 가지말고 사회생활하라고 했는데,본인이 가겠다고 해서 보냈서요.
    자녀들 인생이기에 부모는 길잡이만 하면 될듯요.간섭은 노노임~~^^

  • @럭키걸ll
    @럭키걸ll Рік тому +1

    격공감 입니다 최고입니다 ~!👍👍👍👍
    1000000% 구구절절 맞는말입니다 😊

  • @클라시커피
    @클라시커피 Рік тому +14

    이번 영상은 좀 공감이 힘드네요
    해라 하지마라 문제가 아니라 각자가 처한 집안 환경이 다른데 대표님 경험을 이 영상에 녹여버리면 학생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할거같네요. 대표님은 지역 굴지건설사의 2세고 유학 뒷바리지도 되고 물려받을 자산 및 직장도 있는 환경이고 대다수는 수는치고 대학가고 경쟁해서 취업하고 그렇게 힘들게 살아가죠. 대표님 호텔에 취업해서 일하는 주임 대리들도 마찬가지 인생을 살고있는겁니다.

    • @yayoutoo
      @yayoutoo Рік тому +4

      대표님의 초점이랑 다르다고 생각되네요. 학생들이 잘못된 길을 간다는 이유가 뭔가요?
      제가 영상을 보면서 느낀 점은 현재 대다수 수능치고 대학교가고 경쟁해서 취업하고 그렇게 힘들게 살아가는 현실이 안타까우신걸로 느꼈습니다.
      대표님 밑에서 취업하는 주임괴 대리분들도 애초에 목적과 꿈이 이 분야였으면 힘들더라도 행복하실겁니다. 대표님은 그 아이, 자식들의 행복에 우선를 두자라고 초점을 두신겁니다. 영상을 보면서 대표님의 배경이 저랬으니 가능한거다라는 생각이 하나도 들지 않았어요. 제가 느낀 현실을 영상과 동일했습니다. 저는 MZ세대면서 주변 친구들을 보면서 느낀점이 자신의 목표를 가지고 추진력을 가지며 싸워나가는 친구들은 저처럼 부모님의 목표에 따라가는 친구들과 크게 괴리감이 느껴집니다. 싸워나가는 과정이 멋져보이고 그 과정에서 힘들고 포기하고 싶지만 즐거워하고 행복해하더라구요.
      이 영상에서 느끼는건 다들 경험에 따라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댓글의 말씀이 틀리다는 것은 아닙니다.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저도 세상이 바뀌면 좋겠습니다. 누구는 공부가 즐거워서 공부를하고 누군가는 게임. 연기. 연구. 축구 등 하고싶은거에 마음껏 도전해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가정환경 및 상황을 이야기하실 수 있습니다만 유복하지 않더라도 복지체계를 알아보고 누리면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송진화-f4g
      @송진화-f4g Рік тому +1

      이말이 맞는것 같네요

    • @Raonhyojae
      @Raonhyojae Рік тому

      어차피 영상에 개인 의견이라는 전제를 달았습니다. 판단은 각자 하는거지 잘못된 길로 인도할꺼다라고 하는건 순 억지네요~ 자신이 판단하면 되는거 같아요~

    • @raymondosman
      @raymondosman Рік тому

      당연히 처한 상황이 처참하면 닥치고 공부해서 리스크 가장 적은 고시나 공무원 시험쳐서 신세 바꾸는게 답이고. 이 영상은 배달음식 시켜쳐먹고 배뚜드리면서 유튜브 보는 그래도 먹고살만한 가축들한테 하는 얘기지. 어디서든 최하위는 가야할 길이 명확하다. 팔자좋게 남얘기 들을 때가 아님. 본능적으로 신세바꿀려면 뭘해야하는지 알지만 애초에 개돼지라 최하위 인생을 사는거라 진리를 외변할 뿐이야.

    • @user-Griezman
      @user-Griezman Рік тому

      @@yayoutoo
      백날 노력해도 부모찬스랑 흙수저 삶은 인생시작이 다릅니다 대부분 서민들은 부모찬스없이 자수성가해야하고 돈때문에 굉장히 스트레스에 시달립니다 이사람은 재산규모가 서민층들이랑 차원이 달라요 저 호텔이 무슨 구멍가게인 줄 아세요? 호텔사장을 저 나이 하는 사람이 전국에 몇명이나 있겠어요? 생각 좀 하고 사세요 가게월세밀려서 배달하는 사장도 있습니다 결국에 돈 돈 돈입니다!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세상이예요

  • @주사랑-r6r
    @주사랑-r6r Рік тому +2

    기대표님은 부요한 환경에서 정말 자존감 높고 자기사랑 실천을 잘 해온 분이라 멋집니다. 대학입시를 떠나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의 문제는 교육철학과 목표가 부재하다는데 문제가 있어요.
    초등은 원리와 사회이해과정ㆍ 중고등은 응용과정 ㆍ대학은 다시 원리와 적용력을 깊게 배우는 과정인데 여기에 우선하는 것은 이런 교육과정을 통해 한 인간의 논리적 판단능력과 이를 통한 내적 성숙이 가장 큰 목적이라고 봅니다. 무엇보다 대학이 취업학원으로 전락한 풍토에 문제의식없이 이를 좇는 대중들 의식도 안타깝네요.

  • @초딩하는것
    @초딩하는것 Рік тому +1

    사장님 말씀 너무 동감합니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현실 정말 아이를 바보로 만드는 교육인것 같아요 30년전 교육 그대로 주입식 교육 변한게 하나도 없어요 아이키우는 입장에서 답답할뿐입니다

  • @민선김-d3x
    @민선김-d3x Рік тому +3

    너무 공감해요~. 제생각과 똑같네요ㅡ 기술을 배우는게 더 살아가는데는 도움이 돼는거같아요 ㅡ 창의력 중요한말씀!

  • @아도-b8l
    @아도-b8l Рік тому +10

    얼마전 휴먼스토리를 보면서 구독하여 영상을 보는 구독자입니다 개인적으론 지금방송 너무 와닿고 진솔한 방송 감사합니다

  • @봉선봉선-c7c
    @봉선봉선-c7c Рік тому +2

    최근들어 호텔사장 기먼성님 영상을 재밌게 보던 중 이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마음이 불편하여 글을 적습니다. 대한민국 교육이 주입식 교육이고 무조건 의미없이 외우기만 시키고 쓸모없는 것처럼 말씀하시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기먼성님께서는 어떤 교육을 받으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선생님들께서는 최대한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를 해야하는 것은 학생들의 몫입니다. 학교교육 뿐만 아니라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우기 위해서는 관련된 분야의 기초적인지식은 필수적이며 그 지식은 결국은 (이해를 바탕으로한) 암기입니다. 창의성을 강조하시는데 창의적인 생각은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분야에대한 (방대한) 지식이 있어야만 창의성도 나오는 것입니다. 아는만큼 보이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기본적인 지식은 결국 (이해를 바탕으로한) 암기입니다. 그럼 학창 시절에 공부를 하지 않으면 무엇을 해야할까요? 아이들에게 장래희망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없다는 애들이 대다수거나 유튜버(인플루언서), 주식투자자, 연예인 등 (1박2일이 유행하던 때는 개그맨, PD 등이 다수였어요) 소위 쉽게 돈 많이 버는 것처럼 보이는(현실은 그렇지 않지만) 직업들을 말하고는 합니다. 그렇지만 꿈을 위해 노력하지는 않습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이 인생에서 꼭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하지만 공부를 잘 한다는 것은 머리가 좋을 수도 있지만, 성실함이 뒷받침 되어야하며, 이런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무엇인가를 배울 때(운동, 외국어, 악기연주, 취미활동, 주식공부 등) 비교적 꾸준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꾸준히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은 어떤 분야든지 성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공부를 잘 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적성이 안맞기 보다는 단순히 놀고 싶어하고 게으르기때문입니다. 의지력도 약한 학생이지요. 저의 친구의 지인 중 의사부부가 있습니다. 그 분들은 아이에게 공부를 힘들게 시키지 않겠다고 하더군요. 이유는 이미 의사부부로 많은 부를 이루어놓았기때문에 아이에게 힘들게 공부를 시킬 필요가 없다고 하더군요. 참 현명한 부부라는 생각과 함께 부럽기도 하였습니다. 부모에게 물려받을 것이 1도 없는 흑수저라고 불리우는 학생들은 부자가 되기 위해서 학창시절에 무엇을 해야할까요? 살아가는데 답은 없겠지만, 꾸준히 성실하게 공부를 하다보면, 살아가기 위해 자신이 할일을 찾게 되고, 그 때에 머리속에 있는 지식과 몸에 익힌 성실함으로 무엇이든 더 잘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교공부만이 공부는 아니지만, 학교교육의 내용이 쓸모없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며 오히려 기초적인 지식이나 소양을 갖추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의견에 동의하는 부분이 있으신지 그렇지 않은지는 모르겠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재밌게 잘 보고 있어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할게요!

  • @최현정-u2f
    @최현정-u2f Рік тому

    저는 아들에게 그럴꺼에요. 한국사회에서 과정내 성적이란 끈기와 인내 시험의 결과물이고 인성과도 관련이 있다고요. 근데, 유교적인 이 시스템이 인간의 기본욕구인 자유와 행복과는 관련이 없다고 알려줄거에요. B+만 받아오고 취미생활에 할애하라고 할거에요.
    수학도 누적, 언어도 누적.. 모든게 누적이니깐 스트레스 안받으려면 한 과목당 20분씩만 예습10분, 복습10분, 엄마랑 같이 공부하자고 할거에요... 그리고 영상 보면서 느꼈지만, 고졸과 대졸의 차이를 두지 않으시는 것은 가장 시원하고 통쾌한 해석이신 것 같아요.

  • @magiclife20091
    @magiclife20091 Рік тому +1

    아직은 본인의 되게 부족한 인생 경험으로 너무 단호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요. 물론 유의미한 이이기인것도 맞아요. 단 다 맞진 않아요. 이미 다 아이들을 키운 선배가 ^^

  • @nilsonyolla7722
    @nilsonyolla7722 Рік тому +5

    외우기만 잘하면 되는.. 어딜가도 인정받는 이 교육시스템 정말 문제많습니다.

  • @WBWSJABUTV
    @WBWSJABUTV Рік тому +1

    아! 저랑 똑 같은 마인드를 가지신분의 이야기에 어찌나 사이다인지!
    1000%공감하며 잘 들었습니다~

  • @경주서라벌다과
    @경주서라벌다과 Рік тому +5

    진짜 공감하고 갑니다.아이들이 행복하게 살았으면하는 바람이 가장 큽니다❤

  • @달타-o3t
    @달타-o3t Рік тому +1

    대표님 말씀 맞습니다
    요즘 친구들 너무 억압된 생활 불쌍합니다ᆢ
    자기가 원하는 삶을 살기에도 짧은 인생입니다

  • @주주가족
    @주주가족 Рік тому +6

    정말 어려운 이야기죠
    뭐가 정답 이라 할수 없으니

  • @죽마고우범
    @죽마고우범 Рік тому +4

    같은동년배이신데.
    생각이같으시네요.
    저도어렸을때.
    꿈이뭐냐고물어보면
    막연하게
    대통령아님
    좋은대학가는거
    아님없다였습니다.
    지금생각해보면
    어렸을때젤중요한건
    새로운경험을
    느끼게해주는게
    젤중요한것같습니다.
    새로운경험을통해
    즐거움을느껴서
    아님재능을발견해서
    그걸바탕으로
    꿈이란걸
    생성되었으면
    좋겠네요~

  • @이철호-s3x
    @이철호-s3x Рік тому +6

    옳은 말씀이네요

  • @강성미-r8p
    @강성미-r8p Рік тому +4

    인간성 참 좋습니다. 사장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이대권-g8e
    @이대권-g8e Рік тому +1

    본인의 작은 날개짓이 강한 바람이되어 모두에게 전달되기를 간절히 기도해봅니다

  • @임소민-s2i
    @임소민-s2i Рік тому +1

    기먼성 대표님~~이 영상 격하게 공감됩니다~많이 배웁니다

  • @yhkmtj
    @yhkmtj Рік тому +2

    진짜 리얼한 얘기네 어디가서 쓸데없는 강의듣지말고 이런 말 듣는게 훨씬 필요하지

  • @yuriorloffeify
    @yuriorloffeify 7 місяців тому

    김헌성대표님의 말씀을 들으면 삶의 깊이가 느껴지는거 같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뚜뽀로롱
    @뚜뽀로롱 Рік тому +2

    제가.생각하는건 공부는 필수는 아닙니다 하지만 기회가오거나 혹은 내가 꼭 뭘하고싶다할때 학력과.성적이.필요한건 사실이고 이게 기회의 발판이자 목표를이룰수있는 가장 확실한 객관적 지표이기도하죠...

  • @멍멍게임튜브
    @멍멍게임튜브 Рік тому +5

    어쩜 저리 끊기지않고 자기생각을 말할까
    참으로 신기합니다
    고2때까지는 열심히 놀았다고하시는데 그것이 행복하고 경험이 많이되셨는지도 궁금하네요
    멋있는 삶이라 생각하지만 그 기간에 어떤생활을 하셨는지 말씀부탁드림

  • @뭉치1234
    @뭉치1234 Рік тому +1

    참!멋있고 괜찮은 그 이상의 사람이다
    저는 기먼성님의 부모 때 지만
    내나이에 봐도 외모로나 생각이나 인간성이나 뭐 하나 나무랄데가 없는 사람이라 칭 해요
    우연히 유튜브를 보다가 어!뭐지?
    몇편을 봤는데
    매력이~장난이 아닌거예요
    아내되는 분은 또 얼마나 괜찮은지도요
    흔히 있는 자
    대충 메뉴얼이 있잖아요
    전혀
    해당 없고
    앞날이 훤히 보이네요

  • @이정란-g4z
    @이정란-g4z Рік тому

    맞아요. 정말 중요한 지적이에요.
    특히 젊은 부모들이 먼저 각성 하는 것이 중요할 거 같은데...
    여전히 아이들은 긴 시간 학원가를 전전하는 것 같아 걱정이네요

  • @들꽃-k2k
    @들꽃-k2k Рік тому +1

    진짜 맞는말..혹사죠.행복한게 중요하죠..!!공감200%

  • @sangkim2696
    @sangkim2696 Рік тому +10

    이 분 정말 실질적이며 정말 똑똑하고 지혜로운 분임.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분의 정신적인면을 본받아야 실질적으로 사회에 나가서 성공할 확률이 클것 같습니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Рік тому

      이말은 너 평생 흙수저로 살라는 말이자나

  • @최진희-c7w
    @최진희-c7w Рік тому +2

    전 중고딩때 공부만 한 기억뿐일 정도로 대학만 가면 되는줄 알고 10대를 아무생각없이 보냈어요. 서울에 있는 중상위 대학에 가서 멘붕이 왔답니다. 이제 뭘해야하지?? 20대후반까지 나에 대해 생각했지만 (늦은 사춘기ㅠ) 30대가 되어도 답을 못찾고 헤매이다가 결혼해서 아이낳고 살다보니..50이네요. 인생 별거없는데..그래서 제 3아이들에게 10대때 많이 놀고 경험하라고 공부학원 안보내고 대학진학도 본인 선택에 맡겨놓고 강요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먹고 살수 있는 ...본인이 좋아하는 일을 찾길 옆에서 응원할 뿐입니다😂

  • @툴이
    @툴이 Рік тому +1

    그렇다기엔 본인 혼자서 이룬게 없으신데... 잘 닦아놓은 길에 사고없이 걸어가는게 누군가한테는 힘든과정일수있으니까요 가시밭길 이란게 존재하는지도 모른채 . 책임감 없는 말뿐.

  • @Goodmanusermh
    @Goodmanusermh Рік тому +4

    사장님 자식을 정말 그
    교육관 그대로 키우시게 된다면 인정 합니다
    저도 비슷한 교육관을 갖고 있는 사람이긴하지만 자식 셋을 키우는 상황에서 그렇게
    실천하기란 쉽지 않더군요
    일단 아내가 동의를 해줘야하는 것이 가장 크지만 그 외에도 많은 부분이 쉽지 않더군요

    • @ZzAa-h3y
      @ZzAa-h3y Рік тому

      ㅋ 님 인정이 뭐 그리 중요하다고 ㅋㅋㅋ 여기서 설득이 되는건 결국 저 사람의 사회적 위치와 성과임. 그냥 저럴수도 있구나 그대로 받아들이면 되는걸로 뭐 당신도 그렇게하면 인정이다 뭔 이런 푸념을..ㅋㅋ

    • @Goodmanusermh
      @Goodmanusermh Рік тому +1

      @@ZzAa-h3y 뭔소리인지 내 인정이 중요하다 했나 아직 자식이 어리니 크면서 말한 실천을 할 수 있다면 대단하는거지

    • @user-Griezman
      @user-Griezman Рік тому

      @@Goodmanusermh
      혹시 재산 천억정도 있으신가봐요? 공감하다니 물려줄 재산은 있고?

  • @danielmom312
    @danielmom312 Рік тому +3

    지금 고3 입시생 부모이다보니 대표님 말씀이 너무 맘에 와닿네요.감사합니다

  • @손범석-d6u
    @손범석-d6u Рік тому +2

    저또한 고졸로 법테두리 안에서 열심히 살아 성공아닌 성공을 한 사람으로~
    지금은 소소한 장사하며 살고 있습니다 오토사업이라서 가끔 신경만 쓰며
    자유아닌 자유를 느끼며~ 여행을 많이 다니고 저희 아들또한 저와 같이 키우고 있습니다!

  • @kbk1352
    @kbk1352 Рік тому +6

    두자녀를 둔 엄마에게
    힘을주셔서 감사해요 ~!!잘 듣고갑니다^^

    • @김민진-w3c
      @김민진-w3c Рік тому +2

      이런영상을 찾아보시고 공감을 하시다니 깨어있는 부모시네요. 대부분의 부모들은 영상에서 대표님이 말씀하셨듯,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시켜야될지에 대해선 고민도 안하고 남들이 전부 학원보내니까 따라보내고, 자식들한테 윽박지르고 혹사시키면서 다 자식들을 위한 일이라고 합리화하는 부모자격 없는 인간들이 태반인데요.

    • @AidenLe-un7bj
      @AidenLe-un7bj Рік тому

      @@김민진-w3c 그런부모들도 다 고민이 많을겁니다~ 예단하지마시어요 ㅎㅎ

    • @용산개고기-m9u
      @용산개고기-m9u Рік тому +1

      ​@@김민진-w3c 오바한다
      여기 대표는 출발선이 다른삶이라 선택지가 많아요 호텔대표까지도 본인능력으로 올라간것도 아니고
      평범한집안 자녀가 성공하는 가장안전한길이 공부이고 여기서 호텔대표가 말하는 요지는 그런 삶이 행복과 꼭 성공으로 이어지는건 아니다라는거구

    • @user-Griezman
      @user-Griezman Рік тому

      @@김민진-w3c
      너도 금수저니? 강남에 부모님 빌딩있어서 공감하니?

  • @현성황-j4d
    @현성황-j4d Рік тому +1

    한국의 교육에 문제점 너무 잘 알고있죠 . 문제는 질문을 던지는 교육이 실현되지않고있다. 무조건 외우게하는게 한국 교육의 현실이다 .ㅠ 도움 전혀 안되죠
    이 한국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살아야할까요?

  • @doohlee3084
    @doohlee3084 Рік тому +4

    결론 = 부모가 돈이 많으면 공부 안해도 됨

  • @TheSUKJIN
    @TheSUKJIN Рік тому +2

    중독성강한 기대표님 유툽 자주보게 되네요 .. 요즘은 Mix_믹스 세상이래요 전혀 엉뚱함과 엉뚱함이 만나 오묘한 콘텐츠를 만드는 대표님이 유튜브하는것처럼 .. 강릉 너무 좋죠 .. 건강할때 서너시간 달려 바다는 30분도 있지않지만 보고 왔던 기억이 많네요 .. 반려견 키우는 뷴들이 많고 가족이자나요 대표님 호텔에 사람도 숙박하지만 반려견 도 쉬었다가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 생각이들어요 사람이 숙박하러 호텔을 잡는게 아니라 반려견을 위한 숙박을 역으로 생각해봅니다 늘 번창하시고 편안하세요 _구독자

    • @김옹-b5s
      @김옹-b5s Рік тому

      반려견 동반실 있습니다

  • @Awesome-im1sf
    @Awesome-im1sf Рік тому +58

    작년 사교육비도 쩔었다는데 헛된 교육에 부모들이 돈을 너무 쓰는것 같아요 아꼈다가 아이가 진짜 하고싶은게 생기면 거기에 투자해주고 밀어주는게 나을텐데 그저 남들 하니까 대학만 목표로 보내고

    • @goodfeel557
      @goodfeel557 Рік тому +8

      미안하지만. 공부해서 좋은대학나와 대기업이나 사짜 직업 갖는경우가 더 쉽기 때문이에요.
      유튜버 운동선수 처럼 진짜 잘해야 성공하는 사람들 이야기는 말그대로 극히 힘들기 때문입니다.
      당장 본인이 알고있는 유튜법 운동선수 예체능을 하고 있는 사람 몇명없잖아요. 하지만 네이버 지도에 병원 검색해보면 얼마나 많이 뜨나요. 이렇듯 부모님은 아는 거죠.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쉽다는 것을요. 뭐 꿈을 찾아주고 밀어주면 좋지요. 아름답잖아요 어릴때의 꿈을 노력해서 성인이 돼서 이뤘고 그럴로 돈을 많이 번다. 하지만 하시죠 현실은 힘들다는것을.
      부모님이 돈이 있으셔서 중학교때 유학학원을 다니다가 미국 유학을가서 중고등학교를 나와서 nyu를 졸업후 시민권을 사서 아버지 회사를 도와주던 아니면 투자회사나 돈을 운영하는 흔히 이런 테크 타는게 아닌이상은 공부가 제일 쉽죠.
      결론은 예체능이나 꿈을 쫒는것보다 공부가 돈으로 치환 하기가 확률이 높다.

    • @옷삣맨-o1r
      @옷삣맨-o1r Рік тому +1

      @@goodfeel557 공부가더쉽다 아니올시다

    • @Awesome-im1sf
      @Awesome-im1sf Рік тому

      @@goodfeel557 사짜직업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죠 직업이 엄청 많잖아요 특히 요즘같은 Ai격동기에는 지금 중학교도 안들어간 어린 아이들에게 지금까지 해온 사교육.교육 방식보다는 다른 방향성도 있다는겁니다

    • @phy2585
      @phy2585 Рік тому +2

      근데 일반적으로 회사 들어가더라도 고졸 초대졸 대졸 초봉 및 진급속도 차이 어마어마하다~ 나올 수 있다면 나오는 게 좋음. 다만 부모가 강제로 시키는 게 아닌 본인 의지가 있다면 더더욱 좋고

    • @yayoutoo
      @yayoutoo Рік тому

      ​@@goodfeel557나이가 어떻게 되실지 모르겠지만 일단 저는 20대 중반이 된 대학생입니다. 공부잘해서 좋은 대학 나와 대기업가는게 쉽다는 것은 압니다. 저도 어릴때부터 사교육도 많이 받았고요 제가 대학을 다니면서 느낀 점은 제가 원해서 대학은 온게 아니다보니 목표 의식이 부족하며 생각이 굳은 느낌입니다. 정해진 방향성을 가는 느낌이예요. 주변에 자기가 원해서 자기가 원하는 꿈을 위해 달리는 친구들을 보게되면 색다르게 느껴집니다. 어떻게 저런 목표의식 꿈 추진력을 가질 수 있는지.. 진정으로 사짜 달고 대기업 단순 그 목표를 가진 아이라면 댓글에 동의하겠습니다만 어른이 아이를 조종하는 것이 아닌 아이의 꿈을 밀어주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며 제 부모님께도 말씀드립니다. "나는 커서 아버지 어머니처럼 학원을 보내기 보다 하고 싶은 일, 재능있는 일, 즐거운 일을 시켜줄 것이다" 공부가 쉽다? 그건 부모에게서 공부로 밀어붙여친 아무 재능을 깨닫지 못한 아이들에게 해당되는 말이라고 감히 생각합니다. 자신이 재밌는 일은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맞서며 배우지 않을까요.
      아직 저는 그런 목표가 없습니다. 군대에 있을때만 하더라도 내가 뭘 잘하는지 몰라 대학의 과에 맞추어 그냥 진로를 정해야겠다 생각했지만 다시 생각해보고 하고 싶은 일을 하려고 합니다.
      생각을 변화시키려는 반박하는 글은 아니며 저도 대표님처럼 한번쯤 자식이있는 부모님 혹은 학생들이 보고 다시한번 생각을 해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알콩이-s4l
    @알콩이-s4l Рік тому +1

    청춘들 물론 부모님들까지 대표님 강의 많이 들었으면 좋겠네요~ 참 교육 강의네요~요즘애들은 인성 교육은 더~ 많이 필요합니다~공부 보다 인성 ~

  • @origin8510
    @origin8510 Рік тому +1

    소오름~제가 평소 생각하던것, 얘기하던것과 너무 똑같아서 놀랐어요. 20대 아들딸 키우지만 진학, 취업 참견 별로 안하고 키웠고 원하는 삶을 살고있어요. 성공이라는 기준엔 안맞을지는 모르나 나름 행복하게 착하게 잘자라줘서 고맙답니다.

  • @뭉치1234
    @뭉치1234 Рік тому +1

    사진으로 볼때는 영화감독 이름이 문득 생각이 안나지만
    젊은 배우와의 스캔들로 뉴스가 됐던 감독
    닮아서~
    그러나 곧은 생각에 팬이 된거죠

  • @박종관-l4n
    @박종관-l4n Рік тому

    인생에공부가 전부가않입니다 사람이될수있느냐가가문제입니다 인성입니다 대표님에 솔직함 젊은사람들 귀감이되겠네요 동영삼 잘보고 느끼는점 많이있습니다 ~~~

  • @박상숙-f1s
    @박상숙-f1s Рік тому +1

    맞습니다~!!!
    회장님을 따라 하는
    사람들이 많이 많이 생기기를
    응원하고 기도합니다

  • @인삼희애쏭tv찐팬
    @인삼희애쏭tv찐팬 Рік тому +1

    ❤❤❤❤❤

  • @정재훈-h1i
    @정재훈-h1i Рік тому +6

    네~ 사장님 말씀도 옮은 면이 있지만 항상 어떻게 해라 라고 하는 말씀은 가장 위험한 말씀이세요
    어떤 위대한 철학가도 누군 이렇게 말했다 이지 해라 라고 하진 않습니다.
    자신에게 해당되는 말이 누군가에겐 해당되진 않죠 소위 sky 안가본 사람들은 대학이 전부가 아니다 라고 말씀 하시지만 50넘어서 다시 대학에 가서 공부를 하는 제가 느끼는 점은
    공부의 위대함입니다.~ 사장님도 그나마 대학가고 유학도 가고 해서 human capital이 생겨서 호텔도 운영하시는 겁니다.
    사장님과 공감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 거예요 하지만 이제 세상은 많이 발전했고 다방면으로 변화가 심해서 무었어 어떻다라고 단정 지을 수 는 없는 것 같습니다.
    대니얼 카너먼이 사고적으로 system1, system2가 작용하는 것 이런 것은 대학에서 배웁니다.
    저도 90학번이지만 지식의 연료가 바닥나서 대학가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open mind 열린사고라는 개념은 뭐죠? 말 그대로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 입니다.
    대학교에 대한 가치와 열망은 과거제도가 있는 시대부터 지금 까지 개인이 갖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어느 제도와 어느 사회 문제점있고 개인들이 겪는 경험은 다양합니다.
    유튜브는 개인 채널이라 개인 적 소견은 존중합니다만 저는 자녀 둘다 대학을 보내고 졸업시킨 부모로서 말씀하시는 내용은 조금 조심스럽습니다.~

  • @울트라기공
    @울트라기공 Рік тому +1

    너무 공감합니다 고졸과대졸차이를 두지를 말아야됩니다

  • @서준원-t4y
    @서준원-t4y Рік тому

    아이의 행복한 하루하루를 같이 해줘아 부모랍니다.
    제 지인은 고3였는데 부모가 의대가라했는데
    결국은 극단적선택으로 아까운 삶을 마감했습니다.

  • @형배-l6y
    @형배-l6y Рік тому

    공부하지말라고 하고싶은거 하라고 얘기하는데도 본인이 배우는게 좋아서 찾아하면 그 아이는 커서도 능동적으로 본인에게 필요한 배움을 찾아다니고 그 습관이 결국 일할때나 연구할때까지 이어집니다. 근데 억지로 시키거나 본인이 뭘 하는건지 왜하는거지도 모르고, 어떠한 목적 의식도 없는 아이한테 공부시켜봤자 수동적인 바보를 한명 더 만들뿐입니다. 본인은 사회에서 원하는걸 다 했는데 난 지금 뭘하고 있는거지?라는 현타가 오고..
    대표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다음 생엔 내가 대표님 아들이나 딸로 태어나고 싶다 응애

  • @탄탄소나무소나무
    @탄탄소나무소나무 Рік тому +3

    우와 교육강단에 많이도움될듯요
    역시 최고세요
    감동입니다

  • @브이로그하는유튜버
    @브이로그하는유튜버 Рік тому +3

    대표님 생각 너무 공감이 되네요..어쩜 내맘 같은지~ 우리 아이들에게 공유 했네요. 대표님 부모님이 뿌듯하실거 같아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감사합니다.

  • @Xion_official101
    @Xion_official101 6 місяців тому

    스스로 생각할줄 모른다는 말은 맞아요

  • @keyong-donpark6598
    @keyong-donpark6598 Рік тому

    애 둘 키우고있습니다. 가끔 나도 애둘에게 공부 강요했을때 뒤돌아서 후회하네요..저도 지금생각하면 공부가 행복에 비례하지 않는다 깨달았으면서도 애들에게 강요하니....당신만의 의견이 아니라 모든이의 동감이자 공감 입니다.

  • @LUXUEVOLI
    @LUXUEVOLI Рік тому +3

    오래전부터 한국 교육과 문화에 대한 불만이 많았고 다른 나라들의 교육과 문화를 경험했던 사람으로써.. 정말 너무 답답하고 이런 우리나라의 현실이 너무 안타깝고 어찌보면 모두 한심해보일 정도였는데.. 대표님이 정곡을 찔러서 말씀해주셨네요.. 진짜 제발 우리나라 사람들 정신차려야됩니다…. 그 시간, 능력, 에너지, 돈으로 정말 모두가 더 넓은 세상을 보고 나아갔으면 하네요..

    • @Skfghvs
      @Skfghvs Рік тому

      제가 고등학교2학년 여고생인데 2주뒤에 시험이에요…제 등급은 4,5등급이 나올껄 당연시하게 알고있습니다. 제 꿈이 부자에요.. 하지만 이 영상을 보고도 뼈저리게 느끼면서도 내일 학교에가서 똑같이 머리쥐어짜가며 공부할껄 알거든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공부는 지금처럼 기본은 해야하는건 알아요 하지만 제 진짜 길을 찾기위해서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알바를 시작해보는게 좋을까요?

    • @아나이스힘낼게
      @아나이스힘낼게 Рік тому +3

      저도 외국살다왔는데 한국오니까 사람들 마인드에 숨이막히네요 여기사람들은 오로지 목적지는하나 돈이더라구요 돈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이상한 나라예요 선진국으로 발전해도 사람들 생각은 꽉막혀서 다양성도없고 돈도없으면서 대출로 집사고 할부로 차사고 보이기식문화 정말 한심해요

    • @LUXUEVOLI
      @LUXUEVOLI Рік тому +1

      @@아나이스힘낼게 맞아요..
      자기만의 삶을 찾아나서며 진짜 원하는 행복을 찾는다기보단 돈많이벌기, 좋은차타기, 명품사기, 아기좋은학교보내기, 등등 그냥 남들따라 경쟁만 하며 그들보다우위를 차지하기만 바쁘죠.. 외국처럼 개개인을 인정하고 개개인마다의 캐릭터와 생각들이 다양하고 그렇지 못하죠.. 그 부분이 저도 숨이 막히긴 하더라고여….이게 인간이기전에 우리는 동물인데.. 이게 과연 본능이란건 무시하고 그냥 시스템에 갖쳐 사는게 아닐까 생각이들더라고여..ㅎ

    • @LUXUEVOLI
      @LUXUEVOLI Рік тому

      @@Skfghvs 저는 외국 대학교를 나왔다가 다시 한국에서 졸업을 했었습니다. 물론 외국대학교 졸업장을 땄다면 좀더 취직도 쉽고 모든게 순조로웠겠죠.. 이 얘기를 한 이유는 엘리트 교육코스도 해보고 바닥부터 일어나는 경험하기도 해봐서 말씀드리는거에요. 결국 대학의 목적은 취직=돈이죠.
      돈은 회사를 다닌다고 넉넉하지 않아요. 넉넉하게살려면 사업을 하거나 투자를 하거나 운이 좋아야해요. 그 것들은 리스크가 감수되는거고요. 결국 정답은 없다는거에요. 그래도 호텔 회장님이나 제가 가장 정답이라 생각하는건 내가 잘하고 좋아하는 것 그리고 꿈을 가지면 그 꿈을 향해 알바를 하던 고기집에서 고기를 굽던 설거지를 하던..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다보면 그 안에서 또다른 길들이 보이고 배움, 경험을 하다보면 그게 스펙이 되고 경력이 됩니다. 이것들이 오히려 공부보다 더 중요한거고요. 회사나 취직을 할때에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입알 안뽑고 경력만 뽑으려고 하는 것도 이유이고요.
      하지만 그렇다고 공부를 해야될때 공부를 할 필요없다 얘기하는게 아닙니다. 내가 필요없다 생각하는 공부도 그때에는 내게 주어진 숙제, 책임이기도 해요 학생으로서. 공부를 하라는게 공부만 배우는게 아니라, 책임감, 끈기, 어려움, 힘듦, 고통, 등등 모든 것들을 경험하고 배우는거에요. 그리고 그 때가 아니면 공부도 하고싶어도 못합니다. 당장 하루살 돈 벌기 위해서 미친듯이 걱정하고 고민하고 굶고 있을테니깐요.. 능력이 없다면.. 알바를 하면 돈은 벌겠지만 그돈으로 여유치 않을 겁니다. 시간도 없을거고요 ㅎㅎㅎ 그러면 거기에서 머물게 되죠 하루살이하며.. 그래서 알바도 내 꿈에 가까이 가기위한 일을 해야하고.. 결국 꿈을 가지십쇼. 그리고 무조건 할수있다는 생각으로 될때까지 달려가십쇼. 그러면 분명히 조금이라도 성취를 하는날이 있을겁니다. 그러면서 한단계씩 올라가다보면 그다음단계는 어쩔땐 금방 가까워지고 어쩔땐 한번에 몇단계 가까워지고 하다보면 꿈에 가까워질겁니다. 정말 절실히 원하고 끝까지 목표를 ㅇ위햐 달리면 분명 그 길안에서 충분한 꿈에 가까운 삶을 살게 되실겁니다. 다만 그 길에서 정말 어려움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건 알고 계셔야 합니다. 어른들 모두가 그렇게 살아왔을 겁니다.
      이주가 남았다면.. 저라면 일단 이주만이라도 마지막으로 머든 노력해서 시험을 칠 것 같습니다. 그러면 그래도 나중에 내가 해보긴 했다는 뿌듯함이있지 않을까 합니다.
      어자피 시험이 끝나면 그땐 또 다시 꿈에대해 고민하고 실천해야 되니, 공부도 할 수 있을 땐 해보십쇼.

    • @LUXUEVOLI
      @LUXUEVOLI Рік тому

      @@Skfghvs 공부로 꿈을 이루는게 어찌보면 제일 쉬운 방법이기도 합니다.. ㅎㅎㅎ
      그래서 그 쉬운 방법이 가능할때 최대한 노력해서 꿈을 이뤄보라는 말입니다. 나중에 바닥부터 시작해서 무시당하고 사회에서 약자로 시작하면서 해보면.. 공부 진짜 미친사람처럼 할걸 이라는 생각 무조건 드실거에요 ㅋㅋㅋㅋㅋㅋㅋ
      공부하지말라는 얘기가 아니라 꿈을 가지라는 얘기입니다 결국. 요즘 친구들은 꿈이 없어요. 돈을 많이 벌려면 꿈이있어야 하고, 돈많이 버는게 꿈이면 돈을 많아 벌기위한 수단등을 찾는게 꿈을 쫒는겁니다. 하지만 모든것에 배움이나 개념이 부족하면 꿈을 쫒을 때 내가 가진 무기가 좋진 않아 더 힒들겁니다. 결국 공부할땐 진짜 미친듯이 내가 스스로 노력해서 하면서 꿈을 이루려고 열심히 하자는 생각으로 하고 안되면 어쩔 수 없는겁니다. 어찌보면 기회이기도 하니깐요..

  • @다시못올시간
    @다시못올시간 Рік тому +6

    진짜 이게 가능하구나
    와 놀랐습니다

  • @TM-li7bl
    @TM-li7bl Рік тому +2

    Just subscribed from SoCal, USA!! 🥰
    I agree with what you are saying, totally!!

  • @들꽃-e5d
    @들꽃-e5d Рік тому

    공감합니다
    공부도 님처럼 해봤고(전교4등) 막판에 우울증으로 공부도 나 자신도 놓아도 봤고.
    현실도피로 학교도 안나가고 돈만 벌었고, 일류레스토랑 매니져에 아파트 회장까지 해봤습니다.
    제 경험에
    뒤돌아보면 공부는 하고싶을걸 할 확률을 높여줄순 있지만 잘살게하거나 하고싶은거 찾거나 돈을 버는것에는 딱히 도움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내안의 갈증은 운이랑 맞닿았을때 괭장한 시너지를 내는 에너지원이 되었습니다
    사람마다 색 모양 능력이 다릅니다
    본인의 능력 에너지 생각에 맞는걸 찾아 자기 인생을 사는게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 @우리-n5y
    @우리-n5y Рік тому +2

    대표님 멋져요~
    근데 보편적인 이야기 부탁드려요
    학비없어 공부 안했던 사람 많아요
    위치가 사람을 만들죠~
    행복한 말만 부탁드려요
    격지못한 고통 이해 바래요ㅠㅠ;;

  • @뭉치1234
    @뭉치1234 Рік тому +1

    부모님 잘 둬서 잘난척이나 하고 있는 척이나 했으면 초장부터 작살 나는 채널일텐데
    전혀
    아주 괜찮은 인성의 사람
    누구라도
    지지자가 될 만한 충분한 매력과 마력을 겸비한 사람임을 전 찍었습니다
    앞날이 훤히 비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