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이 바라본 전기력과 자기력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22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Місяць тому +19

    ★구독자 이벤트 당첨을 축하드립니다!★
    당첨자 명단
    spa*****693@gmail.com
    whd*****999@gmail.com
    evolv*****life@gmail.com
    jy***14@naver.com
    easy*****028@gmail.com
    당첨되신 분들은 메일을 꼭 확인해주세요^^
    포스터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석군 쇼핑몰*
    seokkun.imweb.me/
    실물과 파일 두 종류로 구분해 놓았습니다.
    이 지도를 통해 여러분이 즐거운 상상력을 뿜뿜하셨으면 합니다.^^

  • @김창일-w3g
    @김창일-w3g 25 днів тому +3

    감사합니다.

  • @TheZimmermanWB
    @TheZimmermanWB Місяць тому +19

    정확하면서도 쉽게 설명한다는게 정말 어려운데 이만큼 고퀄리티로 물리학을 설명하는 컨텐츠는 국내 해외 통틀어서 최고입니다
    특히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현대물리학에 대해서도 불필요하게 현학적인 많은 대중도서나 매체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간결합니다 그만큼 이해가 깊다는 것이겠지요
    항상 고맙습니다

  • @user-lq7zd1qu2z
    @user-lq7zd1qu2z Місяць тому +23

    전자기학, 양자역학도 물리학 지도처럼 만들어주세요!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Місяць тому +2

      기획해 보겠습니다^^

    • @HRK-299
      @HRK-299 Місяць тому

      물리학 지도 안에 들어있죠... ㅎ

    • @user-lq7zd1qu2z
      @user-lq7zd1qu2z 28 днів тому

      또한 4대 역학 중요 개념을​ 설명해주시는 영상 보고싶어요, 독학중인데 책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요.. 특히 전자기학, 양자역학이요@@석군seokkun

  • @user-sp9wt6ml4q
    @user-sp9wt6ml4q Місяць тому +6

    정말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다음 영상도 기대됩니다.

  • @kim_do_hyeon
    @kim_do_hyeon Місяць тому +9

    볼때마다 이해는 완전한 이해는 안되지만, 물리학자들의 끝 없이 깎은 공식과 상상의 결과들을 멋진 영상으로 일반인들에게 멋지게 풀어주는 것이 정말 감사하고 멋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 @이종명-l9l
      @이종명-l9l Місяць тому

      완전히? 조금은 이해를 한단 밀이네요. 난 뭔 말인지 도통......

  • @sunnysky1118
    @sunnysky1118 Місяць тому +4

    늘 더 알찬 내용을. 더욱더 멋진 영상으로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Wheel_of_f0rtune
    @Wheel_of_f0rtune Місяць тому +9

    다음 영상 기대되네요

  • @조준-z2m
    @조준-z2m Місяць тому +1

    물리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 늘 높은 퀄리티의 영상에 감탄하고 있습니다. 전공 서적에서 활자를 통해 공부하는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시청각 자료로 접할 수 있게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달려야하니-x8h
    @달려야하니-x8h Місяць тому +2

    40대 후반이 되어 늦은 나이에 물리학이 너무 재미있는데 석군 채널이 너무 흥미롭습니다. 좋은 컨텐츠 많이 올려주세요.

  • @lllethanlll
    @lllethanlll Місяць тому +4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성현명-g1z
    @성현명-g1z Місяць тому +1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제가 양자역학을 좋아하는데 제가 이전에 알고 있었던 지식을 쉽게 정리까지 해주시니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국내 과학 유투버 중에서는 가히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kyeong-junjeong6411
    @kyeong-junjeong6411 Місяць тому +2

    체계적이고 전문성 있는 정보 항상 감사드립니다

  • @kslim5983
    @kslim5983 29 днів тому

    늘 간결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 @dhfpswlfhem
    @dhfpswlfhem Місяць тому +2

    늘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TV-po4mg
    @TV-po4mg 27 днів тому

    이번 영상도 최고입니다! 석군님의 영상은 어려운 물리학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유용한 예술품입니다! 언제나 늘 감사하면서 시청하고 있습니다.^^ 또 물리학 발전 역사 지도 증정 이벤트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에 걸어놓으면 언제나 볼 수 있어 공부에 유용할 것 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 @nangraloidoneneobsetseo
    @nangraloidoneneobsetseo 29 днів тому

    진짜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 과학적 유희가 즐거운데 이런 채널이 있어서 좋네요

  • @bad-angel
    @bad-angel Місяць тому

    깔끔하고 차분한 설명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kyeonghunjo2597
    @kyeonghunjo2597 Місяць тому

    영상의 퀄리티가 굉장히 좋습니다. 흥미를 불러일으키네요^^

  • @human_ingan
    @human_ingan Місяць тому +2

    항상 많이 배워갑니다

  • @김창일-w3g
    @김창일-w3g 25 днів тому

    난이도가 높은 이론을 이해하기 쉽도록 편집된 영상들과 매우 일치하는 장면들이 무척 인상적이었고 다른 과학 채널과는 확실히 차별화 되어서 돋보였습니다.

  • @dennnisH
    @dennnisH 19 днів тому +1

    와!! 시각화 정말 이해하기 쉽게 하신 것 같아요. 혹시 어떤 툴을 사용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moonci0007
    @moonci0007 Місяць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mirozen718
    @mirozen718 29 днів тому

    강의실에선 듣기 싫었는데 석군님의 영상은 시간이 저도 모르게 훅 지나가네요

  • @kangbyun4561
    @kangbyun4561 Місяць тому +1

    감사합니다. 물리학 발전 역사지도 부탁해요!

  • @astrolee3457
    @astrolee3457 Місяць тому

    너무 재밌어요 이전 영상도 열심히 다 챙겨보고 있습니다🎉

  • @jeungheesang1419
    @jeungheesang1419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물리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윤영관-b8h
    @윤영관-b8h Місяць тому

    항상 좋은 지식 얻어가구있습니다 감사해요

  • @namhs1354-m6q
    @namhs1354-m6q Місяць тому

    늘 많이 배웁니다

  •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28 днів тому +1

    참 좋아요 ^^

  • @산골바라기
    @산골바라기 28 днів тому

    정말 흥미있는 내용입니다~^^

  • @girltalk798
    @girltalk798 Місяць тому

    처음 시작하실때부터 구독해왔습니다. 좋은 내용 항상 감사합니디.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겠습니다.^^

  • @기꺼이-c7t
    @기꺼이-c7t Місяць тому

    여윽시 오늘도 석군!
    설멸은 물론이고 그래픽의 탁월함!
    당연한 결과지만, 지도도 아주 멋지네요!!^^

  • @Jongdeok_Kim
    @Jongdeok_Kim Місяць тому

    늘 유익한 물리학 영상 잘 보고 갑니다. 단언컨대 석군의 수납장만큼 수학적으로 또 직관적으로 물리학을 잘 설명하는 유튜브 채널은 없을 것입니다. 거의 전공 수준으로요.

  • @황성연-k3b
    @황성연-k3b 26 днів тому

    과학 기초가 없어 이해할 듯 이해할 수 없는 훌륭한 영상입니다

  • @pathwayforest7247
    @pathwayforest7247 Місяць тому +1

    우리가 경험한 일반적 물리학 강의는 틀에 박힌 공식의 설명과 문제 풀이 연습 위주였는데 여기는 이론의 의미와 이론의 큰 줄기를 설명하고 있어 물리학 개념을 큰틀에서 이해할 수 있다.

  • @LOVELOVE-rp9cn
    @LOVELOVE-rp9cn Місяць тому +4

    아인슈타인 니콜라테슬라 진짜 하늘이 내려준 천재들

  • @tendekarma
    @tendekarma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석군님. 포스터 정말 탐나네요. 집 벽에 걸어두면 참 멋질 것 같아요. :)

  • @주녀기
    @주녀기 Місяць тому +1

    초6 학생입니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길위의인생-o7v
    @길위의인생-o7v Місяць тому

    전자기장에 대한 설명은 여러번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hskim9842
    @hskim9842 27 днів тому

    고등학교 때 물리를 배우며 느꼈던 즐거움을 요새 다시 느끼고 있습니다!

  • @seohoko6211
    @seohoko6211 Місяць тому

    물리학공부하는데 많이 도움받고있어요

  •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Місяць тому

    덕분에 물리가 다시 좋아지게 된 전 물2 선택자입니다 ㅎㅎ

  • @bontter
    @bontter Місяць тому

    가득한 하루 되세욧!!

  • @whdrhks3425
    @whdrhks3425 Місяць тому +1

    어렸을때 석군님 영상을 보고 차원에 대한 생각을 해봤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의 저를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징어-r4b1l
    @오징어-r4b1l Місяць тому

    영상에서 다뤄지는 과학자들의 통찰력과 상상력에 대한 내용을 알게 될때면 생각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생각이란걸 하게하는 지능과 뇌는 어떤것인가 궁금해지게 되네요. 뇌속의 화학물질과 전기신호로 생각이 이뤄진다면 그 속도도 측정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아무튼 영상 재밌게 보았습니다.

  • @옼케발
    @옼케발 Місяць тому

    로렌츠 힘이라는 개념이 맥스웰 방정식 다음에 나온 개념인 건 처음 알았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rchive22nn
    @Archive22nn Місяць тому

    현대물리 시리즈 너무 재밌네용

  • @MinseoKim-tk7fk
    @MinseoKim-tk7fk Місяць тому +3

    길이 수축 공식은 로렌츠가 개발했었군요, 비록 에테르를 버리진 못했지만요

    • @HRK-299
      @HRK-299 Місяць тому +1

      우리가 현재 부르고 있는 로렌츠인자[1 / (1-v^2)^(-1/2) (광속을 C가 아니라 1로 치환한 식)]
      는 로렌츠가 시기적으로 먼저 도출했습니다.
      다만 석군님 영상에도 자주 나오지만 아인슈타인과 같이 빛의속도는 모두에게 일정하다는 생각으로 나아가지 못했고 에테르같은걸 가졍하면서 계속 시간,공간 변환식이 복잡해져만 갔습니다.
      상대성이론이 완전히 정립되면서 시간지연, 길이수축을 나타내는 저 인자를
      이 인자를 처음으로 유도했던 로렌츠의 공을 기려 로렌츠인자라고 부르게 된거죠.
      그리고 로렌츠 본인도 자신이 저 인자를 알아내긴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인슈타인처럼 대담한 가정을 떠올리지 못했고
      따라서 자신과 상대성이론과는 관련이 없다는것을 쿨하게 인정했죠.

  • @afad8662
    @afad8662 Місяць тому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mathix7810
    @mathix7810 Місяць тому +1

    석군님의 초끈이론 특집 보고 싶어효~^^

  • @user-ze8xx8xi8f
    @user-ze8xx8xi8f Місяць тому

    돌아서면 까먹기때문에 볼때마다 흥미진진합니다. ㅋ

  • @HRK-299
    @HRK-299 Місяць тому

    물리학 발전 역사 지도 너무나 갖고 싶네요.
    꼭 당첨됐으면 좋겠습니다.

  • @건포도호밀빵
    @건포도호밀빵 Місяць тому

    재밌게볼게요!^^

  • @박종하-d5e
    @박종하-d5e Місяць тому

    한 때는 근원을 중요시 여겨 전자기의 근원이 궁금하였는데
    지금은 근원보다는 관계를 더 중요시하게 되어 전자기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어졌습니다
    추가로 이 영상을 접하면서 관계와 더불어 관점/기준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고 싶어지네요

  • @tedjay6735
    @tedjay6735 29 днів тому

    최고다. 석군😊😊😊😊

  • @hwanjeong1648
    @hwanjeong1648 Місяць тому +2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상대론에 관한한, 제가 본 영상 중에서 최고였습니다. 하지만, 부연설명을 조금 드리고자 합니다. (부연설명이 길어서 2부로 나누겠습니다.)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상대성 이론은 그 이름과는 달리 상대론이 아니라 절대론입니다 (뉴턴(Isaac Newton)의 이론이 절대론인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도 그 만큼 절대론입니다. 단지 그 절대적인 것이 시간에서 빛의속도로 바뀐것 뿐입니다.) 아인슈타인 자신도 "상대성 이론 (Relativity Theory)"이라는 이름을 싫어하였고 "불변론 (Invariance Theory)"이라는 이름을 선호 했습니다.
    저의 경험상, 상대성 이론은 그 역사를 따라서 공부하는 것이 가장 쉽고 (=덜 어렵고) 확실합니다. 역사적으로 상대성 이론은 아인슈타인이 전자기(Electromagnetism) 현상을 깨끗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만든 이론입니다. 고전 전자기 이론은 맥스웰(James Clerk Maxwell)에 의하여 완성 되었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그가 실험 없이 순수히 수학적 결론으로 발견한 고주파 항(Displacement Current) 입니다. (그 당시에는 고주파 실험을 할 줄도 몰랐고 할 필요도 못 느꼈습니다.) 이 순수히 수학적으로 발견한 고주파 항을 더한 맥스웰 방정식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존재를 말했고, 또한 그 전자기파의 속도는 빛(=전자기파의 일종) 의 속도이며, 더욱이 빛의 속도는 관성계(Inertial frame of reference)의 속도와 관계없이 모든 관성계에서 동일하다고 말합니다. (사실은, 빛의 속도는 관성계가 아니더라도 동일합니다. 어떤 상대론강의에서는 빛의 속도의 동일성을 가정이라고 하는 데, 이는 틀린 말입니다. 빛의 속도의 동일성은 가정이 아니라, 수학적 결론이며 실험으로 증명된 사실입니다. 어떤 이론의 전제가 사실이 아니고 가정이면, 그 이론은 수학이론은 될 수 있어도 물리학이론은 될 수가 없습니다.) 빛의 속도의 동일성은 그당시 물리학자들이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처음에는 많은 물리학자들이 혹시 맥스웰 방정식이 틀린 것이 아닐까하는 의구심도 가졌지만, 맥스웰 방정식이 모든 실험사실들과 완벽하게일치하였기 때문에 더이상 맥스웰 방정식을 의심할 수없게 되었습니다.) 물리학자들은 빛의 매질(=Ether)을 상정하고, 그 매질의 성질을 이해함으로써 빛의 속도의 동일성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그중의 한 사람이었는데, 상당한 시간이 지난후, 아인슈타인은 전자기파와 같은 근본적인 파동(Fundamental waves)은 그 자체가 파동이기 때문에 매질이 필요없으며, 따라서, 매질의 성질의 이해로서는 빛 속도의 동일성을 이해할 수없다는 것을 깨닽고, 사실은 우리가 시공간(Spacetime)의 성질을 잘 못 알고 있으며, 시공간의 성질을 똑 바로 알면 빛의 속도의 동일성을 쉽게 이해할 수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 당시에는 맥스웰과 로렌츠를 포함한 모든 물리학자들이 생각하기를 시공간이란 너무도 텅 비어 있고 자명한 것이어서, 사유나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점에서 아인슈타인의 발상은 실로 혁명적이라고 생각 됩니다. 하지만 되돌아 보면, 로렌츠 변환식(Lorentz transformation)이 이미 시공간의 성질을 웅변하고 있었고, 아인슈타인은 그 웅변을 웅변 그대로 받아 드린 것 뿐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쉬운 것이었는 데도 불구하고 로렌츠(Hendrik Antoon Lorentz)를 포함한 다른 물리학자들은 그 쉬운 것을 못하고 모두 어려운 길을 선택하고 모두 실패하였습니다. (불행하게도 로렌츠는 자신이 유도한 로렌츠 변환식이 실로 무엇을 뜻하는 지 알아 맞추지 못했습니다.)
    앞에 말씀드렸듯이 상대성 이론은 전자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만든 이론이지만, 결국에는 물질이 아닌 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모든 물리현상은 시공간 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상대성 이론은 모든 물리현상에 예외없이 적용이 됩니다. 그 후에 맥스웰 방정식과 상대성 이론은 양자론(Quantum theory)과 합쳐져서, 양자 게이지장 이론(Quantum gauge field theory)으로 발전하고, 양자 게이지장 이론은 최첨단 물리이론인 "표준모델(Standard Model)"의 기초가 됩니다.
    또 한 가지 재미있고 꼭 알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자기와 양자역학은 모든 물질은 파동성을 가지며 파동방정식으로 기술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모든 관성계는 우열이 없습니다. 이 말은 물질을 기술하는파동방정식은 모든 관성계에서 똑 같은 모양을 가져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파동방정식이 모든 관성계에서 똑 같은 모양을 가져야 한다면, 필연적으로 빛의 속도는 관성계의 속도와 관계없이 모든 관성계에서 동일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다시 말하면, 물질에 파동성이 없다면, 수학적으로뉴턴적인 시공간이나 상대론적 시공간이나 둘 다 받아 들여질 수있습니다. 하지만 물질에 파동성이 있다면, 수학적으로 오직 상대론적 시공간만 받아 들여질 수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물질에 파동성이 있다면, 상대론은 필연이며,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수학적으로 보면, 뉴턴적 시공간은 입자(Particle)의 운동방정식은 쉽고 간단하게 만들어 주지만 파동방정식은 어렵고 복잡하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파동방정식의 모양이 관성계의 속도에 따라 달라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상대론적 시공간은 입자의 운동방정식은 좀 어렵고 복잡하게 만들지만 파동방정식은 쉽고 간단하게 만들어 줍니다. 왜냐하면 파동방정식의 모양을 관성계의 속도와 관계없이 모든 관성계에서 동일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시공간을 Minkowski spacetime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모든 물질은 파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대론은 모든 물리방정식을 어렵고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쉽고 간단하게 만들어 줍니다. (쉽고 간단하다고 해도 실상은 괭장히 어렵습니다. 저도 물리학을 전공했지만 수박 겉핥기의 겉핥기 정도 밖에 알지 못합니다. 현대 물리학의 기본이론은 상대론적 양자장론 (Relativistic quantum field theory)인데 이것은 모두 Noncommutative 수학으로 되어있습니다. Noncommutative 수학은 Commutative 수학보다 어마어마하게 더 복잡하고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는 몰라도, 양자장론은 어마어마하게 어렵지만 또한 어마어마하게 흥미롭습니다.)
    상대론은 언뜻 보면 파라독스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상대론에는 어떠한 파라독스도 없읍니다. 파라독스가 하나라도 있었다면 당연히 물리이론이 될 수 없었습니다.
    (2부에서 계속 ........)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Місяць тому

      정성스런 부연설명 감사합니다^^

  • @joshuaoh1911
    @joshuaoh1911 Місяць тому +1

    플러스 전하가 살짝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상대성이론에 의한 척력이 발생한다면.... 충분히 강력한 전류의 흐름만으로도 기존의 여러형태의 엔진들처럼 일종의 추진(척)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그 강력함이 얼마나 되어야 할지는 상상이 않되지만.... 댓글 적고나서 잠깐동안 생각해보고 든 궁금증은... 1. 과연 지구의 광물중에 그만한 전력의 강력함을 견딜 수 있는 물질이 있는가... 2. 그 전류로인해 생성된 강력한 자기장으로부터 우리의 신체를 보호해줄 재료는??? 위의 두 문제가 해결된다면 빛의 속도에 다다를만한 속도를 얻어낼 수 있을지와 광활한 빈 공간 투성이인 우주에서도 극히 소량의 그 어떤 물질이라도 전도체 성질을 지니고만 있다면 추진체로 쓰일 수 있겠죠.. 그리되면 초장거리의 우주여행도 가능해질거라 추측됩니다...

    • @wansukim3689
      @wansukim3689 Місяць тому

      플러스전하가 살짝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척력이 생기기에 이를 이용해서 이온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wansukim3689
      @wansukim3689 Місяць тому

      사람들은 확보한 기술 수준 내에서 얼마든지 강력한 자기장이나 전기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걸로 양성자들을 충돌시켜 기본입자를 생성하는 실험을 하기도 합니다.

    • @wansukim3689
      @wansukim3689 Місяць тому

      뭔가 엄청난것을 기대하는 댓글이라 주절대었으나, 힘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뭔가 엄청난 일이 일어나려면 엄청난 뭔가가 투입되어야 하죠. 뭘 기대했는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기대한 정도는 아닐것입니다. 그리고, 굳이 전도체 성질이 없더라도 이온화 할 수 있다면 이를 자기장으로 가속하여 추진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온엔진의 원리입니다.

  • @chungzinin7812
    @chungzinin7812 Місяць тому

    너무 맘에들어요

  • @seubman
    @seubman 28 днів тому

    아무래도 상호작용이란 게 참 애매하다고 느낍니다
    상호작용 안하면 파동, 하면 입자인 걸로
    생각하는데 맞을까요? 맞다면 예외는 있을까요?

  • @김형훈-i7e
    @김형훈-i7e Місяць тому +2

    미쳤다.. 저걸 머리속으로 구상하는게 더 미쳤다

  • @hwanjeong1648
    @hwanjeong1648 Місяць тому +6

    부연설명 2부:
    E=mc^2 라는 유명한 식은 아인슈타인이 그의 상대론으로 부터 처음으로 유도하였지만, 조금뒤에, 빛(=전자기파) 의 에너지와 운동량과의 관계식(E=pc)과 뉴턴의 운동법칙으로 부터 아주 쉽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또하나 재미있는 사실을 덧붙이자면, 잘 생각해보면, 고등학교 수준의 전자기학 지식만으로도 뉴턴적 시공간 개념이 틀렸다는 결론을 낼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수준의 전자기학 지식만으로는 뉴턴적 시공간 개념이 틀렸다는 것은 알수 있어도 시공간의 성질에 대한 정답은 유도할수는 없으며,그 정답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맥스웰 방정식을 완전히 알아야합니다 (즉, 빛의 속도의 동일성을 완전히 이해하여야 합니다.)
    또한, 맥스웰 방정식은 비뉴턴적 시공간의 성질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거꾸로, 비뉴턴적 시공간의 성질(과 쿨롱법칙)으로부터 맥스웰 방정식을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20세기에 와서, 맥스웰 방정식은 "상대론적 양자론의 수식은 gauge 변환 (=Local phase 변환) 에 대하여 불변이어야 한다"는 상식(common sense)적인 필수조건으로 부터도 유도할 수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 발견이 양자 게이지장 이론(Quantum gauge field theory)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상대론은 우리의 생활과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아주 밀착되어있습니다. 전자기파, 원자, 원자핵, 등등 뿐만 아니라, 매일 보고 쓰는 자석, 모터, 발전기 같은 것도 상대론 없이는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만약 우리의 시공간이 뉴턴적 시공간이었다면, 발전기도 모터도 모두 불가능했습니다. 즉 전기가 없는 세상입니다. 끔찍하지 않습니까? 제 생각에는 아마도 생명체도 태어날 수 없었을 것 같습니다.
    일반상대론(General Relativity) 의 기원에 대하여 조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일반상대론은 아시다시피 휘어진 시공간을 다루는 학문인데, 그것의 수학적기원을 따지자면 그것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이미 시작되었다고 말할수 있을 것같습니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물체의 모양의 성질을 다루기 위하여 만든 학문인데, 문제는 아시다시피 "평행선의 공리"에서 터졌습니다. 아시다시피, 많은 학자들이 2000 년이 넘는 기간동안 열심히 생각하였지만 불행하게도 "평행선의 공리"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내지 못했습니다. "평행선의 공리"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200여년 전쯤에 와서야 Carl Friedrich Gauss를 비롯한 서너명의 수학자에 의하여 밝혀지게되었습니다. 그 수학자들은 "평행선의 공리"는 물체의 모양에 관한 것이 아니라 공간의 성질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간단해보이지만 이 깨달음은 실로 천지개벽적인 깨달음이라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그들 이전에는 아무도 텅빈 공간이 사유나 연구의 대상이 되리라고 상상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 이후로는 물체의 모양보다는 기하학의 배경으로만 여겨져 별 관심이 없었던 텅빈 공간 또는 시공간 그 자체가 기하학의 중심연구분야가 되었고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핵심 수단이 되었습니다. 이러한데 어찌 천지개벽적인 깨달음이 아니라 말할수 있겠습니까? Carl Friedrich Gauss의 제자였던 Bernhard Riemann의 눈부신 휘어진 공간에 대한 연구업적이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론을 완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긴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대학 1학년 역학시간에서 상대론을 처음 접하였는데 이해할수도 없었고 받아 들일 수도 없었습니다. 이로인하여 심리적 갈등을 많이 격었는 데, 이 모든 것이 맥스웰 방정식(특히 Covariant form)을 배움으로써 한꺼번에 해결이 되었습니다. 그 때의 희열을 50여년이 지난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 @vollovz
      @vollovz Місяць тому

      대단하십니다 어찌보면 과학은 보이는것과 상상이 더해져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란 생각을 해봅니다 아직도 빛은 입자다 아니다 파동이다 와같은것들이죠 저는 인류가 측정불가한 영역에 왔다고 봅니다 이론상으로 존재하는 단계말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빛은 입자로 봅니다 그런데 왜 파동처럼 결과를 접하게 되는지는 우리 측정불가한 텅빈공간으로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는 공간이 텅비어있지않은 결과로 봅니다 전기장 자기장 여기서 장은 밀도 크기이고 변화정도에 따라 장은 파동처럼 변하겠지요 우리 눈이 빛을 감지하는건 입자들이 만들어낸 장의 요동의 결과라 저는 봅니다 우린 아직 자기의 실체를 알지못합니다 단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의하고 활용할뿐이죠 님의 해박한 물리의 세계에 견줄만한 지식은 없지만 자기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이용하려 개인적인 관심영역이란 이란점을 밝혀 둡니다 내용 잘 읽었습니다 👍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Місяць тому +1

      @vollovz 말씀하신 가설이 에테르 가설입니다.^^

    • @HRK-299
      @HRK-299 Місяць тому +1

      구구절절 다 맞는말이고 그냥 아시는 수준은 아니네요 ^^
      현대물리를 50년전에 배우신 분이 이 정도로까지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억하고 있다는 것은
      하시는 일과 연관이 없다면 불가능하겠죠.

    • @jsykefgjfghdry
      @jsykefgjfghdry Місяць тому

      Bianchi identity로 맥스웰 방정식을 하나로 통합할 때의 희열이 엄청나죠.

    • @hwanjeong1648
      @hwanjeong1648 Місяць тому

      @@HRK-299 저 (=부연설명 저자)는 미국 Silicon Valley에서 Engineer로 일하고 있습니다만은, 이제 퇴직을 10일 앞두고 있습니다. 퇴직후에는 좀 더 여유있게 삶을 즐기려고 합니다. 제가 비록 물리학을 전공했지만, 아직도 깊이가 어마어마하게 부족합니다. 하지만, 제가 알고있는 물리지식만으로도 세상과 사람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우주만물의 신비를 보다 깊게 느끼며, 또한 제가 하는 일도 잘할 수 있게하는 데에 엄청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리학 전공은 제가 일생에서 가장 잘한 선택이었다고 생각됩니다.

  • @히해-f3f
    @히해-f3f 16 днів тому

    스칼라장이 통합이론에 베이스가 될수있는 이유?
    과연 어떤 시각적 모습인지
    궁금합니다

  • @감사보은
    @감사보은 Місяць тому

    관심이 많은데,이해가...제대로 알고 싶다......

  • @kinoairis
    @kinoairis Місяць тому

    물리학 발전 지도, 게임 문명 테크트리가 생각나네요.

  • @웅-q9h
    @웅-q9h 27 днів тому

    상온초전도체 필요없는 광자를 이용한 양자컴퓨팅도 개발되고 있는중이라 꼭 상온초전도체가 나와야 양자컴퓨팅이 완성되는건 아니란 말이지요

  • @soongum
    @soongum Місяць тому +1

    좋아요~

  • @AOTW99
    @AOTW99 Місяць тому

    석군은 천재야!!!

  • @윤치웅-f1t
    @윤치웅-f1t Місяць тому

    결귝른 전기력이었군요. 나중에 대통일 이론이 만들어지면 뭐 다 중력으로 기술 될 수도 있을랑가 모르겠내요

  • @ik964
    @ik964 18 днів тому

    시간 t가 느려지는 (과거) 질량방향으로 시간차보상을 하기 위해 중력가속도가 발생함.

  • @박호진-c2k
    @박호진-c2k Місяць тому

    굿

  • @posthouse
    @posthouse Місяць тому

    좋아요 😀

  • @jakankim2183
    @jakankim2183 29 днів тому

    '아인'슈타인...이새기 짱짱맨이였누?;

  • @micemouse1114
    @micemouse1114 Місяць тому

    26살에 1년동안 인류역사를 바꿀논문을 네편이나 발표했다고????? 진짜 미쳤다ㅋㅋ

  • @jsykefgjfghdry
    @jsykefgjfghdry Місяць тому

    지금이야 파동으로 설명하지만 맥스웰 방정식 처음 나올때는 유체이론으로 접근했을 텐데...

  • @ik964
    @ik964 18 днів тому

    음~~ 맥스웰. 전자기학 연습문제 풀던거 생각나네.

  • @Bro.s
    @Bro.s Місяць тому +2

    물리의 역사 지도라니 간지나잖아?

  • @박지훈-g9l
    @박지훈-g9l 29 днів тому

    자기 또래는 천재라고 생각하겠지.

  • @heeyongchae1520
    @heeyongchae1520 Місяць тому

    너무 공도 많이들이고 내용도 좋고, 공학도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게 잘 만드셨어요.
    그런데.. 뭔가 기운이 쑥 빠지는 분위기 같은거 하.. 속이 답답해지고. 음.

  • @wonj3222
    @wonj3222 Місяць тому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 논문 제목이 '움직이는 물체의 전기 역학에 관하여' 였군요. 덕분에 좋은 지식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asrada0625
    @asrada0625 7 днів тому

    딱딱 끊어서 하는 워딩이 너무 기계같아서 좀 거슬림. 내용도 좋고 목소리도 개성있고 차분해서 포인트만 살짝 덜주면 좋을거같은데..

  • @찡찡형제맘
    @찡찡형제맘 Місяць тому +1

    되게 똑쟁이시군요

  • @beom01638
    @beom01638 Місяць тому +2

    하 전자기학 포기했었는데 이걸 봐도 모르겠다 ㅋㅋ

  • @CheriYoon5871
    @CheriYoon5871 Місяць тому

    전기력! 자기력! 중력! 양자도약! 전자의 스핀! 빛의 속도! 전자의 이동! 등은 위대한 물리적 소산입니다

  • @윤치웅-f1t
    @윤치웅-f1t Місяць тому

    하하

  • @90091e
    @90091e Місяць тому +1

    0등

  • @jongsoolee1716
    @jongsoolee1716 Місяць тому +2

    1등

  • @권영민-b6x
    @권영민-b6x Місяць тому

    가끔 아인슈타인은 그냥 얻어걸린 발상만 천재 아닌가 생각도 든다.. 정적우루론을 주장한 것이나.. 양자역학을 부정한 것이나.. 자신의 이론에 배척되는 주장을 많이 함.

    • @우주-y4g
      @우주-y4g Місяць тому

      개인의 철학적 신념 때문에

    • @HRK-299
      @HRK-299 Місяць тому

      19세기 후반 당시 날고긴다는 과학자들도
      갈릴레이 변환과
      멕스웰방정식에서 유도되는 작은세계에서 광속으로 진행되는 입자의 변환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현상에 대해 에테르같은 것을 가정하거나
      멕스웰방정식에서 뭔가 빠진게 있을거라고 생각하는 수준이었으나
      두가지 가정이 전부 잘못되었고
      이를 해결하기위해서 누구에게나 광속을 불변한다는 개념을 생각해낸 것이
      아인슈타인이 16살 때였고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것이 20대 후반이었으니까
      단순히 공산만 하다가 얻어걸린 과학자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겠죠

  • @아무개-u2i
    @아무개-u2i Місяць тому

    아인슈타인은 이론과학자 입니다 상대성이론은 과학적근거를 인정받지 못한 가설입니다

    • @우주-y4g
      @우주-y4g Місяць тому

      검증도 안된 이론을 가지고 블랙홀, 중력파를 설명하고 입자 가속기 및 핵폭탄, GPS 등 실생활에서도 잘만 응용되네 ㅋ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27 днів тому

      현대 최첨단 기술은 대부분 특수상대성이론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특수상대성이론 틀리다면 오류 투성일 것입니다.

  • @agnomy2543
    @agnomy2543 Місяць тому

    전자기장 통합은 패러데이의 발견 멕스웰의 수학정리로 설명 되는 것이고 실제로는 수학을 몰랐던 패러데이가 발견해낸 것이죠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27 днів тому

      페러데이와 맥스웰은 전기와 자기를 별도의 힘으로써 연관성을 발견하고 정리한 것이고 아인슈타인은 하나의 힘을 관찰자마다 달리 경험한 결과로 본 것입니다. 진정한 전기와 자기의 통합이죠.

    • @agnomy2543
      @agnomy2543 27 днів тому

      @@석군seokkun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에 가치를 많이 두시는군요, 저는 처음 전자기를 발견한 패러데이 공이 전자기 관련해서는 가장 크다고 봅니다.

  • @agnomy2543
    @agnomy2543 Місяць тому

    특수상대성 이론과 에테르 가설이 왜 배치 되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개인적으로 에테르는 검증되지 않았을 뿐 존재한다고 생각함

    • @바코드ilililil
      @바코드ilililil Місяць тому

      ?

    • @HRK-299
      @HRK-299 Місяць тому

      마이클슨-몰리의 실험에 의해 에테르는 없다는게 실험적으로 검증되었습니다.
      대략 120년전에 끝난 내용입니다.

    • @agnomy2543
      @agnomy2543 Місяць тому

      @@HRK-299 마이클슨-몰리의 실험은 실패한 것으로 유명한 실험이죠, 당시 아인슈타인조차 에테르의 존재를 부정하지는 않았습니다. 실험적 오차내의 결과값으로 결과를 도출해 내는 것은 잘못된 것이죠, 그후에 비슷한 정밀한 실험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지 학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성이론을 채택하고 없다고 단정지어 버렸을 뿐이죠, 솔직히 전자기유도의비대칭성은 에테르에 달려있다고 생각하는데 저도 실험으로 뭘 얻은건 아니라 딱히 주장하기는 어렵네요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27 днів тому

      실패한 실험으로 유명한 이유는 에테르를 찾고자 가장 확실한 실험을 진행했지만 찾지 못했다는 뜻에서 유명한 실패한 실험이란 것입니다ㅠㅠ 그리고 이론은 그저 그렇게 받아드리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검증의 과정을 거칩니다. 정밀한 실험은 이후에도 계속 되었으며, 그 이론의 타당성으로 스마트폰을 유용하게 이용하고 계신겁니다.

    • @agnomy2543
      @agnomy2543 27 днів тому

      @@석군seokkun 그렇죠, 있다 없다 단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실험적 오차도 컸었고 중력이나 자기장의 영향은 없는지 에테르가 가질 수 있는 변수같은 예외적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해석도 반영되지 않은 실험 이였죠, 에테르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없다고 단정 짓기는 어려운것 같습니다.

  • @vkvkJKJK
    @vkvkJKJK 18 днів тому

    엄청 졸립고 따분하고 차분한 자신감없는 기어들어가는 목소리와 말투인데, 영상 맨 마지막멘트 되세욧~! 은 좀 안어울리네요. 그리고 갑작스러운 EDM? 음악도 안어울리구요. 영상편집이 처음부터 끝까지 차분했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이런 편집은 카진성님이나 궤도님같이 에너지 넘치는 분들이나 쓰는 기법인거같고, 석군님은 이런 편집은 지양 하셨으면 좋겠어요

  • @sp-bq6wb
    @sp-bq6wb Місяць тому

    다음 영상 기대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