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lab수학력발전소 등, 유투브에 이런 영상 올리는 분들 대단하십니다! 이해도 이해지만 자료편집에, 영상편집까지! 이런 것들이 학생들에게 단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라지만 중고등 학생들의 학력을 좌우하고, 최종 국력이 될 것입니다! 요즘 정규 학교 선생님들 공부 많이 하셔야 합니다! 학생들 보고 게으르다고 욕할 것이 아니라! 교육 개혁이 바로 이런 것입니다! 사학들이든 공학이든, 요즈음은 참교육을 내세우던 전교조까지 자기 밥그릇 쟁기기로 변질되었지만!
궁금한 내용이었는데 참 유익합니다. 그런데 분산을 사용하는 이유 1번과 4번을 잘 모르겠어요. 평균과 멀어질 수록 가중치를 두는게 두지 않는 것보다 더 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거리에 대해서 평면상이면 절대값도 맞는 것 같은데 통계 쪽에서는 3차원 공간 이상의 개념이 필요한지요.
항상 궁금했는데 의미있는 설명을 처음 접합니다. 아마 유클리드 거리와 관련해서 수학적으로 더 의미있는 이유가 있는 듯한 암시가 들기는 하지만.. 아마 저같은 수학 비전공자들에겐 말해도 못알아 듣겠죠? ㅎㅎ 그래도 앞의 3개 설명만으로도 설명이 정말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이런게 참 인터넷 미디어고, 참 영상이죠.
중학교때 했던 내용을 복습하기도 하고 절댓값의 평균, 평균편차도 알아가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너무 설명이 알차서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 여기 설명 중간에 시간으론 5:43 에서 편차를 절대값 취했을 경우의 사례 #1 에서 분자 계산 값이 30 인데 6 으로 오타가 있네요 .. 함 봐 보세요 ~
정말 궁금한거 정확히 설명해주셔서 속이 다 시원합니다.
내가 본 통계기초 설명중 제일 깔끔한 자료다.
산포도로 편차의 절댓값의 평균(평균편차)을 안 쓰고, 절댓값의 제곱의 평균(분산)을 쓰는 이유를 명확히 알겠됐네요!! 비교를 통해 보니 확실히 감이 옵니다. 감사합니다!!!
아~ 최고내요. 뭔가 싹 풀리는 느낌 감사합니다.
와 이해가 속속 되네요. 중간에 분산설명할 때 그러면 절댓값으로 하면 되지 했는데 명확히 구분되네요. 감사합니다~
책으로 보는 것 보다 훨씬 이해가 빨랐습니다.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mathlab수학력발전소 등, 유투브에 이런 영상 올리는 분들 대단하십니다! 이해도 이해지만 자료편집에, 영상편집까지!
이런 것들이 학생들에게 단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라지만 중고등 학생들의 학력을 좌우하고, 최종 국력이 될 것입니다!
요즘 정규 학교 선생님들 공부 많이 하셔야 합니다! 학생들 보고 게으르다고 욕할 것이 아니라!
교육 개혁이 바로 이런 것입니다! 사학들이든 공학이든, 요즈음은 참교육을 내세우던 전교조까지 자기 밥그릇 쟁기기로 변질되었지만!
아주 알차네요 죽입니다 😂❤🎉🎉🎉🎉🎉
최곱니다.
미분식에 x들어간 오타하나 있네욤..
많은 영감을 주는 영상이네요.
강의 콘텐츠 구성도 훌륭하고, 배경 음악도 훌륭합니다. 교향곡이 사고를 촉진시켜 주었어요 :)
최근 공직적성시험(psat)에 '평균편차' 개념이 새롭게 등장해서 분산과의 관계가 궁금하던 참이었는데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분산과 평균편차를 비교하는 내용에서 유클리드 거리가 나왔는데, 저번에 올리신 택시 거리에 관한 영상 링크를 고정 댓글로 달아 주시면 사람들이 참고 삼아 보기 좋을 것 같아요.
엄청난 영상입니다 잘봤습니다
궁금한 내용이었는데 참 유익합니다. 그런데 분산을 사용하는 이유 1번과 4번을 잘 모르겠어요.
평균과 멀어질 수록 가중치를 두는게 두지 않는 것보다 더 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거리에 대해서 평면상이면 절대값도 맞는 것 같은데 통계 쪽에서는 3차원 공간 이상의 개념이
필요한지요.
딱 궁금해하던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확률 및 랜덤변수 배울때 분산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했는데 엄청 설명 잘 해주셨네요 정말 잘 봤습니다!!
최고의 영상^^
굿입니다요~
엄청난 내용.... 진짜 어마어마하다
속시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확통 공부하다 현타왔는데 이거 보고 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정말 이해가 쏙쏙되네요! 감사합니당👍
이거는 좋아요 백만개 줘도 안아깝다 진짜 ㄷㄷ
너무 감사합니다 헷갈리는게 다 해결되었어요!!
8:09 미분할때 x가 곱해져 있는데, 빼야하죠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뜬금없는 알고리즘으로 배운지 10년넘어서 깨닿는구만
오늘아침에 울아들이 분산에 왜 절대값을 안사용하고 제곱을 사용하는지 물어봐서.. 절대값은 로그그래프라서 분포 편차의 크기를 가늠하기 쉬우서라고 얘기해 놓고.. 유투브를 찾아보고 있네요.. ㅠㅠ
중3때 표준편차를 배우며 늘 가지고 있었던 의문인데 해소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학교 선생님과 학원선생님께 여쭈어 봐도 잘 대답을 안 해 주시더라고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궁금했는데 의미있는 설명을 처음 접합니다. 아마 유클리드 거리와 관련해서 수학적으로 더 의미있는 이유가 있는 듯한 암시가 들기는 하지만.. 아마 저같은 수학 비전공자들에겐 말해도 못알아 듣겠죠? ㅎㅎ 그래도 앞의 3개 설명만으로도 설명이 정말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강의 중 나오는 음악(클래식)은 멀까요??
분산의 절댓값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자마자 그 말이 나와서 좀 웃었네요.ㅎㅎ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근데 산포도를 미분하면 보통 어떻게 사용함?? 대표값과 떨어지는 정도의 변화율??
20년만에 알게되었다!!
평균편차가 중앙값일 때 최소가 되는 게 신기하네요. 그럼 산포도를 정할 때 중앙값을 기준으로 두는 평균편차를 이용하는 예시가 있을까요?
와 진짜 학교에서 이렇게 가르쳐주면 진짜 다배울듯
5:44 위 6 아래 50 인것같아요
8:05 미분식에 오타가 있습니다~
뒷항에 x가 빠져야되네요
수학은 개개인의 지적계발과 전체국민의 계몽에 필수불가결한 도구입니다. 노고에 감사합니다.
수학적 막연함 완전 해소됬네요.
혹시 전직 1타강사신가요??
분산이 np(1-p)인 이유도 궁금해요
와 이건 좋아요 안 누를 수가 없다.
대박
진짜 개띵작이다
쩐다
아 그럼 절대값의 합이 그 맨하탄거리군요
♠
이거아닌데
♥
대학생인데도 이해가 안됩니다 감사합니다
국립국어원 없애야... 최솟값?? 최댓값.... 뭔 지랄
국립국엇원이라하지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