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장안을 비춘 십자가: 대진경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95

  • @bungbungnue
    @bungbungnue  3 місяці тому +1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주변 언어 간의 언어 접촉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훑어보는, 말하자면 한국어의 회고록입니다.
    특설 페이지: www.bungbungnue.com/bisa
    제1장에서는 세상에 알려진 한국어에 얽힌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독자 분들께서 역사언어학이라는 생소한 분야에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제2장은 고대 한국어가 주변 언어에 미친 영향과 전근대 시기의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제3장은 고유명의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고대사의 비밀스러운 일면을 들여봅니다. 제4장은 격변하는 근대에 홍수처럼 몰려온 언어의 변화를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검토합니다.
    이 책은 한국어의 국제성을 시대 별로 돌아보며 한국어의 위상과 입지의 변화를 조망하고, 이를 통해 언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역사언어학의 놀라운 힘을 체험할 기회를 선사합니다. 한국어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즐거운 행위이지만, 섬세하게 맞춰진 여러 퍼즐 조각들이 짜맞춰지면서 숨어 있던 언어 외적인 사실들이 선명하게 드러날 때 역사언어학의 진가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주변 언어 간의 접촉으로 생겨난 언어교류의 거대한 물결을 통시적으로 탐구하여 소개한 대중서는 여태껏 없었습니다.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는 그 첫 번째 책입니다.

  • @SYLee-u5x
    @SYLee-u5x Рік тому +237

    이 정도 퀄러티의 연구 수준을 유튜브를 통해 배울 수 있다는 게 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

    • @ptahoteff
      @ptahoteff Рік тому +5

      격태공감

    • @김선생-y2r
      @김선생-y2r Рік тому +4

      이하동문이오.

    • @holidaysummer9256
      @holidaysummer9256 Рік тому +4

      격공감 이런거는 기성학자나 교수도 방송이나 어디자료서도 한번도 언급한걸 못봤음

    • @ptahoteff
      @ptahoteff Рік тому +7

      @@holidaysummer9256 김호동 교수의 '동방 기독교와 동서문명' 이라는 책이 이 주제를 다룬 국내 최초의 서적이기는 한데, 그 이후로는 아무도 같은 주제를 관심 갖지 않을 뿐더러 중앙 아시아 언어를 배우고 그 문헌을 다루는 이들 자체가 너무 없다보니, 현재도 유일한 서적으로 남아있지요.
      유튜브 영상에서라도 같은 주제를 다룬 것이 이 영상 뿐입니다.

    • @holidaysummer9256
      @holidaysummer9256 Рік тому +5

      @@ptahoteff 정말 공감합니다 물론 중국문명에 회교 이슬람이라던가 기독교가 한 명나라 정도 원나라때 있었다는 정도는 알았지만 저렇게 빨리 전파 되었다는게 너무 신기하네요 기독교 역사에서도 비교적 빠른시기인데 그게 원형그대로 쭈욱 전해졌다면 얼마나 대단했을까 역설적으로 작금의 중국문명을보면 안타까움이...기존 방송에선 기독교 관련 유일하게 도올김용옥선생 정도가 구약알고 신약으로 돌아가야한다 책으로도 이런논쟁이 터져야 이런저런 신학을 좀 접하는데 우리나라 신학이 워낙또 폭이좁은듯해서 대중들은 접할기회가 거의 없어요 신학보단 신앙 이성보단 믿어라..강 강조되는 한국교회인지라 기독교계조차 관심이 없었을터이니...저도 초기 불교나 초기기독교 관심이 많은데 여튼 이자료는 정말 처음봅니다 정말 유튜브시대 아니면 어디서 이런 귀한자료를 볼지
      올려주신거 너무 감사할따름..

  • @TheCar1129
    @TheCar1129 Рік тому +90

    양질의 학술적 자료에 감탄을 하고 갑니다.

  • @츄파춥스-l4c
    @츄파춥스-l4c Рік тому +216

    작업 끝나자 마자 올리는 저 쿨함...향문천은 이제야 잠을 잘 수 있게 되었다.

  • @seoholee8536
    @seoholee8536 Рік тому +138

    로마사 공부하는 대학원생의 입장에서 머리에 한 방 맞은 것 같은 영상이네요... 너무 잘 보고 갑니다

    • @seoholee8536
      @seoholee8536 Рік тому +44

      다만 영상에서 언급하신 안티오케이아(Ἀντιόχεια)는 원어 철자에 대해 고전기 그리스어의 발음을 따랐을 때 나타나는 발음입니다. 같은 원칙을 적용하면 알렉산드레이아(Ἀλεξάνδρεια), 콘스탄티누폴리스(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ις)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을 것 같네요. 또 한편으로 이 영상과 가장 관련이 깊은 CE 7세기에는 같은 도시명이 '안티오히아'로 발음되고 있었습니다. 다른 두 도시의 발음은 약간 차이가 있겠지만 햔글로 음역했을 때 명확한 차이가 드러날 정돈 아닐 것 같습니다.

    • @mil_duck
      @mil_duck Рік тому

      @@seoholee8536섹시해요

    • @별빛나그네-c3u
      @별빛나그네-c3u Рік тому +1

      불교참선 경교 예수호흡기도 모방한거죠
      대승 불교경전 남방불교경전보다 기독교 경전 차용했죠
      도교 여동빈도 경교 신자라 경교에서 교리 차용했죠

    • @이도형-x9x
      @이도형-x9x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별빛나그네-c3u 대승경전이 만들어질 때 성경은 인도에 전래되지 않았습니다

    • @별빛나그네-c3u
      @별빛나그네-c3u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도형-x9x 반야심경 나오는 관자재보살 즉 관세음보살이 힌두교 비쉬누 아내 락슈미에서 온것처럼 대승경전 극락이나 미륵 또한 기독교나 조르아스트교 천국이나 재림의 개념에서 온거죠

  • @FullStackCode
    @FullStackCode Рік тому +60

    전공이 아니신분이 이정도로 퀄리티있는 영상을 제작한다는것은 그만큼 이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이 있다는 것이지요.. 응원합니다!!

  • @jasminteabag
    @jasminteabag Рік тому +33

    중국 현지에서 중국교회 다니고 있는데 정말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유럽,미국을 거치지 않고 근동에서 중국으로 바로 넘어온 그리스도교에 대해서 궁금했는데 정보가 많지 않더라구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andorahan
      @pandorahan Рік тому +1

      중국은 교회 못다니는걸로 아는데 어떻게 다니나요??

    • @jasminteabag
      @jasminteabag Рік тому +20

      @@pandorahan 중국도 종교의 자유가 있어서 교회 다닐수 있습니다. 다만 철저하게 정부의 통제하에 있고, 공산당원(전체인구의 약7%)이면 종교를 가질수 없습니다.

    • @attamohammed5625
      @attamohammed5625 Рік тому +15

      ​@@jasminteabag 시진핑 체제의 혹독한 탄압 속에서도 믿음을 지켜나가시길 바랍니다😢

    • @송지원-v3w
      @송지원-v3w Рік тому

      설문해자 읽어보시면 좀더 이해에 도움이 되실지도..

  • @도바킨
    @도바킨 Рік тому +62

    채널 주인의 차분한 목소리와 보여주는 옛 벽화,그림들이 깔끔한 설명과 어우러져 정말 묘한 느낌을 줍니다
    오묘하게 빠져들면서 간질거리는 느낌이 정말 좋네요
    지식의 깊이도 정말 쉬이 따라하기 힘들 수준인것 같아서 좋습니다
    왜 더 유명해지지 않는지 모르겠네요

    • @피들스틱-y8l
      @피들스틱-y8l Рік тому +1

      BGM도 신비스러움 그자체임ㅋㅋㅋ

    • @좋아요댓글용
      @좋아요댓글용 Рік тому +1

      이 주제로 17만이면 경이적인건데

    • @Na_raola
      @Na_raola 10 місяців тому

      ​@@좋아요댓글용언어학이
      좀 더 대중에 퍼졌으면 좋겠네요ㅠㅠ

  • @King-ui6kt
    @King-ui6kt Рік тому +28

    상당히 정성과 수고가 많이 들어간 자료입니다.
    몇년 전 캐나다 박물관에서 대진경교유행중국비 탑본을 보고 역사와 사료의 매력에 빠졌는데 이후 일본 큐슈의 서남학원대학(기독교계 대학) 박물관에서 또 같은 탑본을 보고 당나라의 세계화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비석 진품은 서안 비원에 있다고 하는데 시간이 없어 보지 못한 것이 아쉽습니다.
    비록 일부이긴 하지만 비문의 내용을 알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gyuseongyi4911
    @gyuseongyi491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경교는 발해 쪽에도 전파되어 십자가를 두른 모자보살상 같은 유물이 나온다고 고등학교 교과서에 짧게 언급되었던 기억이 나요.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라 수업시간에는 그냥 넘어갔는데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을 듣는 건 처음이네요.

  • @이윤율-l4w
    @이윤율-l4w Рік тому +43

    언제나 봐도 이런 압도적인 내용을 어떻게 알아 오시는지 놀라울 따름입니다. 그리고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 @스바-t1o
    @스바-t1o Рік тому +38

    경교에 대해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새로운 걸 알게 되었습니다! 末의 현대 한국어음과 현대 일본어음에 대한 유래 분석에서도 대단한 통찰을 보여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17:32 大師能爲普救度가 '대사능위보구도'가 아닌 직전 가사 '대사시아등법왕'으로 되어있었습니다. 너무 무리하진 마시고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 @모리아12
    @모리아12 Рік тому +7

    신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너무 귀한 자료를 봤네요. 감사합니다.

  • @üsaschie
    @üsaschie Рік тому +91

    아버지가 목회를 하시는지라 중국 지하교회 관련해서 말씀해주신 적이 있는데, 당나라 때부터 이어져 왔다는 것도 참 흥미롭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즐거운 성탄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

    • @sungkilcho7210
      @sungkilcho7210 Рік тому +28

      경교는 맥이 끊겼습니다. 이후로 로마카톨릭, 개신교가 들어온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bleee1
      @bleee1 Рік тому

      경교는 맥이 끊겼어요. 경교는 초기교회 사람들이 종교를 정치화하려는 로마카톨릭을 거부하고 엄청난 핍박을 피해서 동쪽으로 도망친 애들이에요.
      경교는 현재기독교랑은 원수에요. 경교는 카톨릭보다는 영지주의에 더 가까울거에요.
      그래서 경교집안인 징키스칸이 그래서 유럽 쳐들어가서 대뜸 이런소릴하죠.
      신의 뜻에 반항하지 말고 기독교 교황이랑 왕들은 대가리 박으라고 그런식으로 얘기했습니다.

    • @긴들매
      @긴들매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sungkilcho7210 송 초기에 네스토리우스파 본부에서 중국 교회를 복구하려 시도했다는데 이미 신도는 거의 전멸하고 다 흩어진 다음이었다죠.

  • @mike_hotel
    @mike_hotel Рік тому +16

    이런 수준의 연구를 항상 어떻게 해내시는 건지...
    부럽기도 하고 감탄스럽기도 합니다

  • @clover_j
    @clover_j Рік тому +18

    성탄절에 딱 맞는 주제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예전에 범어잡명을 보다가 당나라 장안음에서 청탁 성모의 전탁음화가 나타난 것을 보고 신기하게 생각했는데, 경교 측 음차에서도 드러나는군요.
    종성 r, l 등을 입성 t로 적는 경향에 대해선 중고 한어에 유음 종성이 없어서 조음부위가 같은 발음으로 대체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장안음에서 입성 t의 유음화가 일어나서 그랬던 것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
    영상을 보다 보니 당나라 시기 경교의 음차와 원나라 시기 경교의 음차를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TheLivingBooks
    @TheLivingBooks 3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정말 오랜 시간을 연구하시고 수고해서 만드신 귀한 영상이네요. 그 어디에서도 들어보지 못한 내용이고 귀중한 자료입니다. 영상 전개도 흥미롭고 박진감있어, 영상 끝날 때까지 계속 다음 화면이 기대되고 완전 집중됩니다.

  • @skimhere
    @skimhere Рік тому +57

    정말.. 어떠케참고그림 하나하나까지 이해도를 높여주는 데 도움되는 걸루 잘 찾으시는지.. 대학이나 네셔널지오그래픽 등의 다큐에서 제공해도 손색없는 자료밀도와 전달력 이라고 생각해요! 유로비용 1원도 아깝지않아요 감사합니다 메리크리스마스❤

  • @johnlim9767
    @johnlim9767 7 місяців тому +2

    향문천님, 놀라울 정도로 훌륭한 수준입니다. 찬탄합니다. 그리고, 이런 훌륭한 공부를 같이 나눌 수 있게 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부디 정진 하셔서, 보다 나은 일가를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 @wnswhrdlwnsqhrtkfkd5970
    @wnswhrdlwnsqhrtkfkd597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bungbungnue
      @bungbungnu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Freether
    @Freether Рік тому +60

    역시 종교와 관련된 동아시아사에는 경이로운 면이 있네요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41

      당대와 원대의 경교는 같은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지만 서로 다른 재미가 있습니다. 특히 서유럽과 몽골 제국이 공동의 적인 이슬람 세력을 두고 전개한 종교 외교, 원나라 상도에서 출발한 랍반 사우마의 성지 순례 등은 팍스 몽골리카의 시대가 만들어낸 독특한 사건들입니다. 원대 경교는 언어학과는 관련성이 떨어지지만 언젠가 다룰 일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rmsgh1648
    @rmsgh164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고대교회사를 공부하는 사람입니다. 향문천 님의 영상에는 매번 놀라지만 이 영상은 더 놀랍네요. 앞으로도 양질의 영상 계속 기대하겠습니다!

  • @skimhere
    @skimhere Рік тому +5

    감사합니다.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2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john_go
    @john_go Рік тому +5

    더빙이 더 듣기 좋아졌고 영상도 더 멋지게 발전했네요. 발음도 더 좋아지신것 같고.. 점점 발전하는것 같아 응원합니다. 주제도 더 다양해지는것 같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 @모개짜
    @모개짜 Рік тому +13

    유튜브가 취미라고 하셨었나요? 여튼 매번 영상이 대단합니다. 국내 관련 영상도 재밌었지만 진짜 이런 귀한 지식을 영상으로 남겨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ㅎㅎ

  • @EsJam_es
    @EsJam_es Рік тому +13

    이렇게 새로운 유익한 지식이 하나 더 늘어가네요^^ 즐거운 성탄절 보내세요😊Merry Christmas 🎄 ✝️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3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섭섭-b6l
    @섭섭-b6l Рік тому +9

    마지막 성가 진짜 천주교 미사곡 대영광송이랑 내용이 많이 비슷하네요. 천 몇백년 전이고, 천주교지역인 서유럽, 남유럽과도 지리적으로 엄청 멀리 떨어졌음에도 별 차이가 나지 않는 것에 더 놀랐어요.

  • @김선생-y2r
    @김선생-y2r Рік тому +2

    모르던 걸 알고 가네요. 천주교 신자로서 평생 살다시피 했는데 신부들이 언급조차 않던 사실을 이렇게 여기서 배우네요. 이젠 더 이상 예수 안 믿지만.
    역시 폭넓게 공부해야 오류에 빠지지 않는 법이지요. 새삼스레 다시 확인하고 갑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Musikalische_Ausbildung
    @Musikalische_Ausbildung Рік тому +2

    언제나 신비롭고 흥미롭게 시작하는 시작도, 그 흥미를 끌어올리는 도움이 되는 충분하고 멋진 설명도, 좋은 발음도 목소리까지도 정말 이번 영상도 잘 봤어요
    영원히 구독할 채널 영원히 해주세요~~~

  • @jdhfbyxjkwjz
    @jdhfbyxjkwjz Рік тому +3

    아 형 너무 멋지다... 내 팬티 어쩔 ㅜ
    항상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옼케발
    @옼케발 Рік тому +8

    동양 쪽으로의 크리스트교 전례는 확실히 동서 교역과 관계가 깊은가봅니다.
    당나라 시대의 실크로드를 거친
    본 영상의 시대
    쿠빌라이 시대의 마르코폴로와 잔존 경교로 대표되는 크리스트교 전달
    대항해시대를 거치며 전달된 예수회 전교시대
    그리고 제국주의의 물결과 같이 들어온 개신교 선교
    어찌보면 경교의 전달은 우리에겐 익숙해지기 힘든 내용인데
    예수님의 생일에 즈음하여 좋은 영상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emiyamuljomdao7178
      @emiyamuljomdao7178 Рік тому

      성탄절은 아기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절기이긴 하지만 탄생일은 아닙니다ㅎㅎ 이에 대한 여러 설이 있고 대략적인 설명이 있지만 정확한 날짜는 아무도 모르지요. 성탄절은 생일이 아닙니다~

    • @옼케발
      @옼케발 Рік тому

      @@emiyamuljomdao7178
      네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만,
      현재의 전통 계승상 그러하니 편의상 예수님의 생일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AD1년도 기실 예수님이 태어나신 년도는 아니듯이요.

    •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동시에 유럽에는 유불선의 동양사상이 퍼져 유럽 계몽주의를 촉발시킵니다.
      우리는 항상 거시적으로 주고 받은 영향을 생각해야합니다.

  • @Have_a_Nice_Day_Sir
    @Have_a_Nice_Day_Sir 2 місяці тому

    퀄리티 진짜 장난아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Рік тому +22

    7:13 변려문이 경교에도 나온다니 신기하군요!
    7:49 현대에는 삼위(三位)라고 하는데 삼위(三威)로 되어 있는 것도 신기한 부분입니다.
    8:19 히브리어에서 "루아흐"가 바람, 호흡 그리고 영혼을 의미합니다. 숨을 쉬어야 살아 있는 것이므로, 추상적인 개념인 영혼을 바람을 통해서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 @네시오십분철학
    @네시오십분철학 Рік тому +3

    성탄절에 걸맞는 컨텐츠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ingal77
    @wingal77 Рік тому +20

    한자의 시대에 따른 음가 변화는 언제 보아도 재미있는 주제입니다. 전에도 말씀드린 적이 있지만, 동아시아에서 탈비음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꼭 이야기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munsukwon8393
    @munsukwon8393 Рік тому +8

    와 매번 고대시대의 말도않되는 신화이야기만 풀다가, 현대의 내용과 큰차이가없는 경교를통한 당나라시대 기독교 교리를 이렇게보게되니 정말 감개무량입니다. 신앙이야기가아니라 그 고대시대와 현대시대가 같은 내용의 교리를배우고 같은 기도문을 낭송하는게 감동입니다. 지금처럼 같은사람이 살았었군요.

  • @고집센넘
    @고집센넘 Місяць тому

    이분은도데체 뭐지?? 다방면에 걸친 깊은 지적능력에 감탄밖에 안나옴...뭐지?

  • @나홀로집에28호
    @나홀로집에28호 Рік тому +5

    오늘도 엄청난 작품을 만드신 듯!! 👍👍👍👍👍👍👍👍

  • @minorreview
    @minorreview Рік тому +24

    카쿠레키리시탄같당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23

      실제로 경교 탄압 이후에 가쿠레키리시탄처럼 숨어서 신앙생활을 이어간 집단이 있었고 원대에 다시 표면으로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일본 예수회 선교도 언어학적으로 다룰 부분이 많아서 나중에 영상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 @minorreview
      @minorreview Рік тому +10

      @@bungbungnue 우왕 꼭 보고싶어요
      왜 데우스사마가 되었을까요 신의 이름이...

    • @haraoratsho
      @haraoratsho Рік тому

      곽주열님도 향문천 보시는구나

    • @오사랑과평화가중요해
      @오사랑과평화가중요해 Рік тому +1

      마리갤 님도 향문천 보시는구나!! 두 분 다 문화에 대한 안목이 깊으셔서... 항상 존경해요!!!

  • @kobo_world
    @kobo_world Рік тому +4

    정말 퀄리티 높은 영상에 대해 감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wnswhrdlwnsqhrtkfkd5970
    @wnswhrdlwnsqhrtkfkd597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말 수고가 많으십니다!!!

  • @user-ny5qt6xw7wryu2j4
    @user-ny5qt6xw7wryu2j4 Рік тому +6

    헐. 항문이 형!!!!!! 도대체 어떤 분이시길래 고대 근동어에... 중국어에... 이런 수준높은 자료를 만드시나요.
    웬만한 박사님도 이렇게는 못하실것 같은데. 너무 재밌게 보다 갑니다.
    고딩때 세계사 배울때 경교 딱 한 단어를 가지고 19분 가량의 참 지식으로 재탄생 시키다니.......

  • @pine8reen
    @pine8reen Рік тому +3

    매번 디테일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dioxin2768
    @dioxin2768 Рік тому +4

    미친 고퀄이네요......ㅎㄷㄷㄷㄷ 잘 보고 갑니다

  • @jnj2112
    @jnj2112 Рік тому +9

    온통 한자로된 책과 그 짤막한 번역본에 심취해있는 사람과 대화를 오래전에 나눈적이있는데
    그 책의 내용이 노아,모세가 등장하는 기독교의성경과 같은내용이었죠.
    단 성경의 시작은 '태초'부터지만
    그책에는 태초이전 3가지시대 이야기가 더나온다고 했었으니...
    당연히 정경은 아니었던듯 합니다.
    아마도 4세기에 정경이 확정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퍼져나간 수많은 신화와 외경위경들이
    삽입된 책이었겠지요.
    종교와 경전 이야기는 어렵고도 재밌네요ㅋㅋ

  • @preedamu
    @preedamu Рік тому

    굉장한 수준의 학술내용을 방구석에서 볼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vanguard1051
    @vanguard1051 Рік тому +2

    갓텐츠 또 나왔네요. 유익합니다.

  • @kkeutsori
    @kkeutsori Рік тому +13

    중고 한음의 입성 운미 [t]이 한국 한자음에서 받침 'ㄹ'에 대응되는 것은 말씀하신대로 북방 중국어에서 이미 약화된 것이 전해졌다는 학설도 있지만 고대 한국어에 [t]로 전해졌던 것이 한국어에서 독자적으로 약화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ㄷ불규칙 용언에서 'ㄷ'이 'ㄹ'로 바뀌는 것이나 '숟가락/술', '사흗날/사흘' 등에서 볼 수 있는 'ㄷ'과 'ㄹ' 교체가 한국어에서 성조와 관련된 조건 하에 규칙적으로 일어난 현상이라고 보았으며 한자음에서는 중고 한음의 입성이 거성으로 받아들여졌으니 원래의 '*ㄷ'이 예외 없이 'ㄹ'로 바뀐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이게 맞다면 한자음의 약화가 한국어와 중당기 북방 중국어에서 따로따로 일어나 우연히 같은 유음 말음이 나타났다는 말입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늘(2024. 2. 23.) 숭실대학교에서 금강산 경교유행중국비 탁본을 감상하고 왔습니다.
    중국에 있는 실물은 얼마나 크고 굉장할지 기대가 됩니다.

  • @happyhan608
    @happyhan608 Рік тому +3

    🎄🎉즐건 성탄 연휴들 되셈.

  • @user-ol5nu9ys8r
    @user-ol5nu9ys8r Рік тому +7

    17:32 한문 독음에 오타가 났네요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 @라마-p7j
    @라마-p7j Рік тому +11

    몇백년 흐른 후 징기스칸이 세력을 일으킬 무렵 주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받아들인 부족이 몽골초원에도 있었지요. 대표적으로 옹구트족이 있고, 메르키트족 등에도 신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유럽에는 동방에 신성한 크라이스트왕국이 있어 예루살렘을 구원할 것이라는 전설이 끊임없이 이어졌습니다.

    • @bleee1
      @bleee1 Рік тому +2

      징키스칸 장인이 경교신자였음. 그래서 징키스칸 가문은 현재의 기독교의 뿌리인 카톨릭교황과 원수관계였어요.

  • @RajatonG
    @RajatonG 9 місяців тому

    진정한 학자시네요. 감사합니다.

  • @스마일-b4s
    @스마일-b4s Рік тому +15

    우와와 토착화된 경교 성가라니 아름답고 오묘한 느낌...
    귀한 영상 늘 감사합니다
    토착화 예로 한국에서는 훗날 공식 성가로도 차용되는 천주가사, 망자를 위해 부르는 연도, 일본에서는 오라쇼를 꼽을 수 있을 거 같네요!
    한중일 모두 다뤄주시는 날도 기대해봅니다 흑흑

  • @JeongGwangHee310
    @JeongGwangHee310 Рік тому +10

    당나라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당시 신라에도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경교)가 들어왔다고 하더군요. 신라의 수도 였던 경주에도 네스토리우스파 십자가가 발견되었거든요.

  • @廣川仁志
    @廣川仁志 Рік тому +1

    대단하셔요^^ 정말 보배로운 분 향문천이십니다 . 끝부분에 대사능위보구도를 대사시아등법왕으로 오타네요

  • @분당벧엘교회
    @분당벧엘교회 Рік тому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avakim8021
    @avakim8021 11 місяців тому

    Amazing historical facts! Thanks!

  • @Joytotheworld-b3v
    @Joytotheworld-b3v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단하십니다❤❤❤

  • @hobbesoh3294
    @hobbesoh3294 Рік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좋아요 꾸~욱 하고 갑니다.

  • @Na_raola
    @Na_raola Рік тому +2

    드디어 새 영상이다

  • @배다리혼밥요정
    @배다리혼밥요정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넘모신기행

  • @Perfect_finish875
    @Perfect_finish875 Рік тому +3

    알면 알수록 경교는 참 신비롭죠😊. 비록 당나라-몽골제국 이후 경교는 중원과 몽골 초원에서 이렇게 유물과 문헌으로 남아있지만, 현대 이라크에서는 여전히 아시리아인들이 네스토리우스의 뜻을 받들어 '아시리아 동방교회'나 '칼데아 가톨릭(로마교황 수위인정)' 교파를 구성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여담으로 이라크가 의외로 다민족 국가더군요(아랍+쿠르드+튀르크부족+아시리아인)...

  • @blackvtmc4285
    @blackvtmc4285 Рік тому +6

    중국 당나라 때의 기독교라 정말로 흥미롭지 않을 수 없네요 ㅋㅋㅋ 보면서도 신기하게 보게 됐습니다.
    역시 중국은 예나 지금이나 외국 문물을 접한 기록이 많이 남아있는게 보여지네요.

    • @노가리-m8o
      @노가리-m8o Рік тому +1

      분명히 할 것이 그 당시에는 중국이 없었다.

    • @kimandre336
      @kimandre336 Рік тому +1

      ​@@노가리-m8o 당시에 한국도 없었죠. 20세기 초반에 오늘날 한반도에 서구식 민족주의가 퍼졌으니까요.

    • @Yukgaejang1912
      @Yukgaejang1912 Рік тому +1

      ​@@kimandre336 서구식 기준이 뭘까?씨랜드 독립운동?남미 독립운동?벵골 대기근?말해봐

    • @Yukgaejang1912
      @Yukgaejang1912 Рік тому

      ​@@노가리-m8o 중국이 없으면,향문천도 없다.

    • @HoSangYun.
      @HoSangYun. Рік тому

      ​@@Yukgaejang1912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아닐까요? 물론 미국의 목적은 1차대전 패전국들의 식민지 빼앗기 및 식민지가 하나도 없는 미국의 유럽견제용이었지만 대한제국이나 영국령 인도제국 등에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비폭력 운동을 전개했으니까요.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Рік тому +1

    오오 벌써 올라왔군요!

  • @NexaTrade
    @NexaTrade Рік тому +2

    나레이션 그리고 bgm까지 완벽하다.

  • @변증코너
    @변증코너 Рік тому +1

    기독교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도 아시아에서의 기독교 역사가 얼마나 깊고 긴지 까먹는 경우가 너무나 많은데, 이 주제를 흥미롭게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성탄절을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 @bleee1
      @bleee1 Рік тому

      경교는 초기교회 사람들이 종교를 정치화하려는 로마카톨릭을 거부하고 엄청난 핍박을 피해서 동쪽으로 도망친 애들 아녜요?
      경교는 현재기독교랑은 원수에요. 경교는 카톨릭보다는 영지주의에 더 가까울거에요.
      그래서 경교집안인 징키스칸이 그래서 유럽 쳐들어가서 대뜸 이런소릴하죠. 신의 뜻이니까 교황과 기독교세계 지도자들 대가리 박으라고 하지 않나요?

  • @giant153
    @giant153 6 місяців тому

    학자님 감사합니다💙

  • @금방용
    @금방용 Рік тому +1

    경교 나때는 국사책에 당나라 경교 귀족층에서 발흥했다가 서민에게 전파되지 못하고 후일 탄압되었고 신라까지 전파되었다고 나온거 기억나는데 많은 서람들이 처음 듣는다고 하는군요. 내용이 자세하게 잘 만들었다는 칭찬은 동감합니다.

  • @Lunatday
    @Lunatday Рік тому +6

    다음에도 종교 컨텐츠를 다룬다면 배화교, 불교에 영지주의, 기독교까지 다 섞인 희대의 대짬뽕종교 마니교를 추천합니다. 여러 문화가 다 섞인 종교다보니 타 문화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마니교도들이 외교관으로 많이 활약했다고 합니다. 실크로드를 따라 서유럽부터 중국까지 거의 유라시아 전역에 마니교가 퍼져있었고, 여러 종교에 영향을 끼쳤으며, 위구르, 페르시아와도 큰 연관이 있는 종교입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이들의 경전은 당대 중근동의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언어학적으로도 의미가 있어보입니다. 참고로 경교와 전파 및 쇠퇴 시기가 비슷합니다.

    • @kychoi2653
      @kychoi2653 Рік тому

      의천도룡기에서 마교가 마니교죠. 조로아스터교가 아닙니다. 고려말 홍건적, 나중에 백련교(백련교도의 난) 가 마니교의 중국화된 것이죠. 마니교에는 아브라함도, 석가모니도 나오고 예수도 나옵니다. 마니도 나오죠. 모두 빛의 하나님이 지상에 파견한 ..

  • @Psygonow
    @Psygonow 11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조은희-h3o
    @조은희-h3o Рік тому +1

    간만에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Рік тому +6

    9:23 거룩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히브리어가 카도쉬(קדוש)이기 때문에 거기서 차용했을 것 같습니다.

  • @wooya0902
    @wooya0902 Рік тому +4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마지막 에서 復의 한자 발음은 '복'이 아니라 '부'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백성은-b8t
    @백성은-b8t Рік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gkgkgk-b7s
    @gkgkgk-b7s 10 місяців тому

    기가 막히네요.

  • @조도희-f5e
    @조도희-f5e Рік тому +6

    그 예전 음역이 현대 중국어판 성경의 음역보다 더욱 뛰어난 것 같네요.
    혹시 경교가 발해나 신라로 전파되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언어학적 근거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크리스마스 잘 보내세요.

  • @YASMASTERMAN
    @YASMASTERMAN Рік тому

    진짜 신기하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ooyungdanielsohn7171
    @jooyungdanielsohn7171 Рік тому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 @주영-u4z
    @주영-u4z Рік тому

    사랑합니다…

  • @choidk92
    @choidk92 Рік тому +3

    똑똑한 애널.

  • @minhyeong
    @minhyeong Рік тому +2

    이오타논쟁을 일으켰던 아리우스파가 저 아리우스파? 흥미롭네요 생각지도 못한 채널에서 역사를 봅니다

  • @hkraau-mv6qd
    @hkraau-mv6qd Рік тому

    absolutely good content👍👍👍👍

  • @km72
    @km72 Рік тому +1

    영상 매우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그런데 1:29 에 쓰인 景자가 일반적인 형태와 다른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 @StarShevron
    @StarShevron Рік тому +20

    다음에 일본의 카쿠레키리시탄의 입말로 전해오는 라틴어와 실제 라틴어를 비교하는 영상도 만들어주세요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28

      오라쇼 말씀이군요. 저도 흥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Yukgaejang1912
      @Yukgaejang1912 Рік тому

      ​@@bungbungnue연길교구를 무시하는게 자랑이가?

    • @krusty7982
      @krusty7982 5 місяців тому

      ​@@Yukgaejang1912 느금마

  • @dynamitedavid7146
    @dynamitedavid7146 11 місяців тому

    흥미롭네요

  • @sueyong3
    @sueyong3 Рік тому +4

    3:15 참고로 현대에 그냥 동방교회라고 하면 정교회를 가르킵니다. 정교회는 가톨릭, 개신교와 같은 칼케돈파로 분류되며 예전 로마제국에서 서로마는 가톨릭, 동로마는 정교회로 분리되었죠. 현대에 경교를 전승하는 교파는 아시리아 동방교회입니다.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5

      용어 선정에 모호함이 있었군요. Church of the East를 그대로 동방교회라고 번역해도그런 용례가 있어서 무방할 줄 알았습니다. 다행힌 점은 영상 내에서 아시리아 교회라는 명칭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Рік тому +1

      말씀하신대로 동방교회라고 하면,
      과거 동로마(비잔티움, 지금의 이스탄불)를 중심으로 하는 정교회를 뜻합니다.
      다만, 이 영상을 보시는 분들 중에서는 이 영상에서의 "동방교회"라는 어휘가 정교회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모두 이해하실 것이라고 믿습니다.

    • @lIlIllIlIIIlll
      @lIlIllIlIIIlll Рік тому

      동방교회라고 해도 될 듯 합니다 정교회라고 따로 명칭하면 되기도 하고 정 혼란을 지양하겠다면 조금 꼬아서 동양교회라 해도 될 듯 합니다

    • @video.dongwon
      @video.dongwon Рік тому

      저도 영상보면서 그럼 러시아 동방정교회가 이단인가? 라고 오해했는데 짚어주셔서 감사해요

  • @김해린-c5p
    @김해린-c5p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시리아 동방교회 신자로서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 @성이름-m3u
      @성이름-m3u 10 місяців тому

      네스토리우스는 이단인데 왜 이걸가지고....

  • @keugene99
    @keugene99 Рік тому +1

    이들의 후손격인 칼데아 가톨릭 아시리아 동방교회 그리고 동방 고대교회는 지금도 상당한 숫자가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그리고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영국 등에 거주하고 있다고 하네요 대표적인 신자로는 사담 후세인 시대 이라크 정치인 타리크 아지즈가 있죠

  • @juokhan6
    @juokhan6 Рік тому +2

    옛 가야 근처 지금은 수몰된 지역에 이서국이라는 작은 나라가 있었다는 다큐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이서국의 이서가 혹시 예수를 의미하지는 않나요? 또, 시닝의 이슬람사원의 내부는 기와를 얹은 우리의 절집 같은 모양이었습니다. 그 지역들은 과거 불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요? 대진의 한자어는 통일했던 진나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요? 예전에 어떤 다큐에서 지금도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배두인 가족들의 엄마가 아이가 울면 “친이 온다”라고 어름장을 놓으면 뚝 거친다는 장면을 본 적 있습니다. 그 친이 진나라일거라 생각했었는데 연관성이 없을까요?

  • @mechanicclemont4799
    @mechanicclemont4799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14:28 경교삼위몽도찬만 듣고 싶으면 참조하세요 😗😗😗😗😗😗😗😗😗

  • @그말도맞는듯
    @그말도맞는듯 Рік тому +1

    9:29
    향문천님도 노를 ndo로 발음하셨어요. 역시 한국인.

  • @라떼유니버스_LatteU
    @라떼유니버스_LatteU Рік тому

    경교를 단순히 기독교의 이단 중 하나로만 알고 있었는데... 새로운 것을 많이 알게되네요.

  • @Michaelcoffee
    @Michaelcoffee Рік тому

    구독중인 18% 사람임 ㅋㅋ 오오 ! 도올 선생께 보내주면 감동의 눈물 흘리겠내요

  • @안주안-i4e
    @안주안-i4e Рік тому

    감사해요 크리스마스 선물 같네요

  • @namutnipp
    @namutnipp Рік тому +3

    9:00 그랬구나👀❗

  • @altaikim
    @altaikim Рік тому +3

    신라 발해 경교 전래설이 있긴 하지만 출토 유물만으로 경교가 전래되었다고 확신할 수 없음. 경주 출토 십자가는 한 목사가 발견했다고 하지만 발굴 경위 자체가 납득이 가지 않음.
    당나라 도착 이후에도 회창폐불사건과 황소의 난 이후 불교 이슬람교 조로아스터교룰 포함해 경교도 엄청 핍받을 받고 수만 명의 경교 신자들이 죽음을 당하게 됨.
    그런 것들 때문에 경교는 독자적인 성상을 남기지 못 하고 불교 유물에 십자가 정도의 흔적만 남겼다고 생각도 됨. 경주 그리고 발해 아브리스코 유적과 훈춘 등지에 십자가 유적을 남김.
    구런데 십자가 자체가 기독교적 유물이라고 단정짓기도 애매한게 십자가 유물 유적은 기독교 전파 이전 전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음.
    그리고 경주 출토 성모상의 경우 기독교계 유물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이유가 불교의 귀자모, 도교 선도성모, 힌두교 하라티 계통 모자상, 일본의 선도에서도 나타남. 성모상의 경우 교회가 지배하지 않은 곳 일수록 여신 숭배사상이 강하게 내려오기도 함.
    또한 성모상 자체가 테오토코스를 기반으로 하는데 네스토리우스파는 테오토코스 자체 반대하는 입장이기에 성모상을 만들 이유가 없음.
    그런데 경교 영향이 아닐 가능성에 대해서 쓰긴했지만 당시 불교가 경교 영향을 받아 혼합된 형태로 나왔다고 개인적으로 믿고 싶기도 함. ㅡㅡㅋ
    여담으로 2016년 바티칸 비밀문서고에서 1333년 당시 교황이 고려 충숙왕에게 보낸 편지의 필사본이 발견되었음. 대략적인 내용은 고려왕 당신은 하나님의 좋은 종입니다. 왜냐면 우리가 보낸 신자들을 환대해주고 잇기 때문입니다. 라는 내용인데 가톨릭 신자가 이미 고려에 잇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있음. 다만 이 편지가 고려에 도달했는지 충숙왕이 답장을 해 주었는지는 모름.
    이에 대한 반론으로 편지에 쓰여진 Gegi corum이 고려의 왕인지 몽골의 칸인지 서방의 칸국의 칸읹에 대해 확신을 하지 못 함.
    그렇지만 원나라에 이미 가톨릭이 들어왔고 고려에도 가톨릭이 도달했을 가능성도 큼.

  • @user-hl8ec1vd1
    @user-hl8ec1vd1 10 місяців тому

    역사랑 언어 좋아하는데 영상이 다 너무 재밌음 후욱후욱

  • @Panzer_Soldat_0115
    @Panzer_Soldat_0115 Рік тому +6

    네스토리우스파와 아리우스파는 고대~중세 시기 서양의 신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주었죠.
    실제로 고등학교 때 세계역사탐방 장소가 중국 시안(서안)이었는데, 일정 중 하나가 (영상 초반에 나온) 저 비석을 본 것이 떠오르네요~

    • @Panzer_Soldat_0115
      @Panzer_Soldat_0115 Рік тому +3

      1:51
      예수님께서 다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를 따르는 이는 어둠 속을 걷지 않고 생명의 빛을 얻을 것이다." (by 요한복음 8장 12절)

  • @dannyundos8927
    @dannyundos8927 Рік тому +6

    17:32에 한국 한자음이 잘못 표기됐어요.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6

      ‘대사능위보구도’인데 실수로 이전 구절이 그대로 들어갔군요…

    • @snailjin
      @snailjin Рік тому +2

      @@bungbungnue 아래 부분도 한번 확인 부탁드려도 될까요?
      15:31 師帝(사제) → 帝師(제사)?
      16:59 任(임) → 在(재)?
      17:04 鼎(정) → 量(량)?
      17:09 允(윤) → 乞(기)?
      17:40 羸(리) → 贏(영)?
      경교에 관해서는 문외한이고 중국어만 눈꼽만큼 배웠는데, 자막과 조금 달리 들리는 글자가 있길래 구글링해 보았습니다. 구글 자료가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현대에도 가사가 일부가 미세하게 다른 버전이 몇 가지 있나 보군요.

    • @bungbungnue
      @bungbungnue  Рік тому +3

      네, 그 부분은 저도 인지하고 있습니다. 삼자교회에서는 오자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고쳐서 노래한 것인데, 저는 원문에 비교적 충실하게 가져온 것이라 괴리가 발생했습니다. 현전하는 경교 문헌은 모두 필사본이기 때문에 오탈자가 꽤 많습니다.

    • @snailjin
      @snailjin Рік тому +1

      @@bungbungnue 그런 연유가 있었군요.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