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거리를 측정하다 발견한 우주의 엄청난 비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강환 박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7 вер 2023
  • ✨단백질러 9/8(금) ~ 9/22(금) 2주간 추석 특별 할인🌾
    👉syncombine.com/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КОМЕНТАРІ • 618

  • @user-hu5nl5wr4h
    @user-hu5nl5wr4h 8 місяців тому +81

    너무 좋습니다. 천문학도 여기서 들으면 더 재밌습니다.
    이강환 박사님 자주좀 모셔 주세요. 담엔 황호성 교수님도.

  • @user-uu2bb6xq5z
    @user-uu2bb6xq5z 7 місяців тому +44

    너무 재미있어서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고 끝까지 봤네요. 이강환 박사님의 차분하고 쉬운설명으로 천문학에 문외한이었는데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후속 강의도 기대하겠습니다.

    • @seokjushon958
      @seokjushon958 6 місяців тому

      로켔을 발사하면 초기에는 느리고 점점 가속하다가 첨점줄어드는데 현재 가속구간인게 아닐까 ?

  • @minhoryu459
    @minhoryu459 8 місяців тому +60

    차분하시면서 재미있게 집중할수있는 고품격 강의. 이강환교수님 황호성 교수님 자주 모셔주세요😊

  • @Panda_Do_It
    @Panda_Do_It 8 місяців тому +44

    두분의 질문과 대화 덕분에 저도 이해하기 수월했네요~좋은진행 감사합니다^^

  • @kilreelee5520
    @kilreelee5520 8 місяців тому +9

    언더스탠딩 오늘도 감사해요. 재미와 알뜰정보😊

  • @user-sv2vj6em1n
    @user-sv2vj6em1n 8 місяців тому +77

    집구석에 편히 앉아 1시간 남짓의 시간 동안 현대 우주론의 출발까지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세페이드 변광성과 초신성을 활용한 거리 측정 방법 외의 새로운 부분들 알 수 있어 아주 좋았습니다. 다음에는 CMBR 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다뤄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sungso7689
    @sungso7689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진짜 흥미롭고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 @user-pt7kj7hd3w
    @user-pt7kj7hd3w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이강환박사님 감사합니다

  • @user-xm3dj1ji3v
    @user-xm3dj1ji3v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배움이 있는 방송 넘 감사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대단히 감사합니다.

  • @user-sh5tf1rb2g
    @user-sh5tf1rb2g 4 дні тому +2

    어마어마한 공부를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wq9vd8zt4j
    @user-wq9vd8zt4j 8 місяців тому +40

    태양과 달이 거의 비슷한 크기로 보이는게,
    태양의 지름을 1미터(100cm)로 축소하면 지구가 1cm 달이 2.5mm로, 지름이 400배 작지만 거리가 정말 황당스럽게 400배 더 멀어서 비슷한 크기로 보인다는것을 알고 정말 충격적이었던 기억이 😅
    이과 화이팅 😊

    • @user-wq9vd8zt4j
      @user-wq9vd8zt4j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nf3ml4tg2w 🤣🤣🤣🤣🤣🤣사막잡신?, 야훼인지 여호와인지 알라인지 갸?
      개독들의 하나님 아부지? 인간아부지한테 잘혀 ㅋ

    • @dnest0
      @dnest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딱떨어지지는 않습니다. 우연치고는 차이가 크지요. 신기한건 맞습니다^^

    • @dnest0
      @dnest0 8 місяців тому

      축소/확대시 차이가 없어야 필연이며 진리겠지만...세상에 그런건 없습니다. 0과1이 물리적 저장매체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 생각해보면...100% 아니라 50%의 확률을 최대한 끌어놓은것이니까요.

  • @user-sb8lv4ue4p
    @user-sb8lv4ue4p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케이박사님 역쉬 최고!! 늘 감사합니다

  • @user-cu2jk7dc4w
    @user-cu2jk7dc4w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너무 좋은 지식의 가르침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초반에 삼각비 나왔을 때 왜 그렇게 시간을 할애하시는가 했는데 그 내용이 제일 중요했던 거네요.

  • @eunkyoungyoon663
    @eunkyoungyoon663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ljs2358
    @ljs2358 8 місяців тому +6

    거리사다리 개념이 매우 흥미롭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rg9dv3ru6f
    @user-rg9dv3ru6f 8 місяців тому +53

    천문학적인 소양을 아무 댓가도 없이 이렇게 쉽게 알려주시니 너무 고맙고 감사합니다

  • @nasilso
    @nasilso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역시 K박사님 설명은 귀에 쏙쏙들어오네요.

  • @minorblue70
    @minorblue70 8 місяців тому +16

    K박사님 설명 쉽게해서 직관적으로 알 수있네요

  • @HSJ1048
    @HSJ104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젤 재밌고 흥미로운 분야입니다. 끝까지 잘 보았습니다. 🤗

  •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8 місяців тому +29

    이분 설명 명쾌합니다. 과학과 사람들 주게스트시죠

  • @dobby.is.free.
    @dobby.is.free.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이거 재밌네요. 이강환 박사님과 일대일로 물어보고 싶은게 많습니다

  • @kwangsikko1479
    @kwangsikko1479 8 місяців тому +26

    교수님도 설명 잘하시는데, 두분역시 이해가 빠르시네요..
    수업의 모범을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주저없이 질문하고 설명해주시고..보기 좋고 보는저도 이해가 더 잘됩니다.

    • @oopp8959
      @oopp8959 8 місяців тому

      미리 대본이 있고 이때쯤 질문하고 다 있겠지 ㅋㅋ 하여간 개돼지들 쉬워요 ㅋㅋㅋ

  • @sunghoyun7970
    @sunghoyun7970 7 місяців тому +24

    이런강의 들으면 대한민국 고등학교 교과과정이 얼마나 훌륭 했는지 알 수 가 있네요.. 30년전 수학 시간에 선생님께서 맞꼭지각 설명 하셨던 내용을.. 지구과학 선생님이 지구가 둥근 이유를 설명해 주셨던 기억이...

    • @chanwookim86
      @chanwookim86 6 місяців тому +1

      50:12 ㅂㄱㅂ 50:56 ㅂㅈㅂㅅ

    • @chanwookim86
      @chanwookim86 6 місяців тому

      발바닥 52:10 아 ㅇㅇ 공부 ㅂ 버거킹 보자 ㄱ😅밥 ㅁㅇㅇ 보자 ㅁㅇㅇㅁㅇㅇ@ㄱ 보자 ㄱ 비가 그리고 ㅈㅁㅁ 도봉산 모두 ㅁㅇ 다시 ㄱㄱ1 보자 ㅃㅈㄱㅁ 박재범 ㅂㅁ 동반성장 보고 54:41 난 아 맞아 😅😅ㅇㅇㅁㅇㅇ 준비 1ㅂ 😅

  • @user-di5hg7zs2p
    @user-di5hg7zs2p 8 місяців тому +21

    언더스탠딩 참 묘한 재미가 있어요.세상 이런 것도 있구나~ 사는데 큰 도움은 안되는거 같은데 또 무시 할 수 없는 이야기. 재밌습니다.

  • @user-kk6qp3sb7y
    @user-kk6qp3sb7y 8 місяців тому +7

    박사님 덕분에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에 대해 알아서 좋아요

  • @waynelee48
    @waynelee48 6 місяців тому

    와우~ 이강환 박사님 강의는 들어도 들어도 행복해 집니다 감사합니다.👍

  • @user-qq6jm3lo9n
    @user-qq6jm3lo9n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세상에! 오랜만에 언더스텐딩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봤네요. 난해한 거 같으면서도 쉽고 딱딱한 거 같으면서도 재미있는 오묘한 방송입니다. 언제나처럼 응원해요. 감사합니다!

  • @superstar3359
    @superstar3359 3 місяці тому

    이런거 넘재밌어요 완전 내스타일ㅋㅋ 앞으로 많이해주세요❤

  • @user-bk5bz1wl9p
    @user-bk5bz1wl9p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호 기다렸어요..

  • @user-qx6zz6oz4k
    @user-qx6zz6oz4k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언더스텐딩 참 좋은 프로

  • @user-zc5vb8ms2t
    @user-zc5vb8ms2t 8 місяців тому +6

    큰일입니다.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데 손 놓고 있으니.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srgt456s
    @srgt456s 8 місяців тому +5

    K박사님의 설명..질문에 대한 반응.등등은 쏙쏙 알아듣기 편안히 해주시는게 최강이십니다.

  • @user-mq9hn4kr8e
    @user-mq9hn4kr8e 3 місяці тому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md6ci1cz5n
    @user-md6ci1cz5n 6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를넘 늦게 알았습니다.
    언더스탠딩 박사님영상들을 찾아서
    보는중입니다...

  • @hy8797
    @hy8797 3 місяці тому +1

    제가 궁금한 수준과 비슷한 레벨에서 mc분들이 질문을 해주시니 이해가잘되네요~

  • @alphaomicron213
    @alphaomicron213 7 місяців тому +5

    k박사님이 여기 나오시다니 너무 좋습니다. 역시 설명의 왕 ㅎㅎ

  • @salva303
    @salva303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강환박사님 팬입니다 너무 쉽게 직관적으로 와닫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흥미 진지 하게 청취하게 됩니다 계속 부탁드립니다

  • @user-ee8hw6um3w
    @user-ee8hw6um3w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엄청납니다
    이런한분야에 일을하시는
    분들이 세상을 바꿉니다
    응원합니다 화이팅!

  • @user-mv5mj9sw9t
    @user-mv5mj9sw9t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새로운 지식 감사!!

  • @toxneuro
    @toxneuro 8 місяців тому +2

    ❤❤표준광원에 대해 첨으로 이해가 갑니다!!!

  • @user-sh5dy9go7l
    @user-sh5dy9go7l 8 місяців тому +30

    양자역학에 이어 천문학까지 언더스탠딩은 안다루는 분야가 없군요ㄷㄷㄷ 자칫 어려울수도 있는 내용인데 두분이 중간중간 쉽게 풀어주셔서 시간가는줄 모르고 재밌게 봤네요ㅎㅎ

  • @mmmmmmm7206
    @mmmmmmm7206 8 місяців тому

    ㅎㅎ 간만에 꿀잼이네요!!

  • @detshowkawachi6646
    @detshowkawachi6646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늘 재밋어요

  • @freedom-lz7cg
    @freedom-lz7cg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이 박사님은 최고입니다. 이박사님 설명을 군더더기가 하나도 없습니다.그리고 재미있게 말씀하세요

  • @user-rk2lg1wm4t
    @user-rk2lg1wm4t 8 місяців тому +6

    딱 잘려는데 타이밍 좋고

  • @kImmAnbOk1004
    @kImmAnbOk1004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가만히 보면 언더스탠딩은 서울대 모임인 것 같아요~ ㅋㅋ 안기자님이랑 이프로님도 서율대이고....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8 місяців тому +27

    행복하다. 시원한 맥주(혹은 콜라)에 맛나는 거 먹으면서(냉동제품이면 충분 함)
    이런 얘기만 듣고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방으로 듣고 댓글 남기고 싶어
    다시 왔어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좋은 방송 알려줘서 고마워 영진이 형~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8 місяців тому

      p.s. 깐족이형도 무척 사랑해. 상을 엎는 메소드 연기력 가진 옆에 분도 감사합니다.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근데 여기엔 영진이형이 없어요 ㅎ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8 місяців тому +3

      @@understanding. 애초에 삼프로에 관심을 갖게 된 최초 이유가 매불쇼 영진이 형이거든요.

    • @user-jy8xx9xc8l
      @user-jy8xx9xc8l 8 місяців тому

      @@understanding. 밤하늘에 별이 있는것처럼 말하네요🤓

  • @user-yo9cj3mf4u
    @user-yo9cj3mf4u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내 수준에 딱 맞는 질문을 해주시니 이해가 쉬워요

  • @user-bo7vc8wg2l
    @user-bo7vc8wg2l 8 місяців тому

    넘 재밌어용

  • @TV-cc2pl
    @TV-cc2pl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언더스탠딩 중독자 된듯 아픈데도 보고마는곳.

  • @burroshin8943
    @burroshin8943 3 місяці тому

    이강환 박사님 정말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천문학자 멋있습니다.

  • @ysc1237
    @ysc1237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천문학과 무협소설은 뭔가 말이 안 되는 것 같은데
    아무튼 정말 재밌다.

  • @rennypark
    @rennypark 8 місяців тому +9

    한시간 넘는 영상이라니 😮 잘듣겠습니다!!

  • @soraisadesigner
    @soraisadesigner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세상 어딘가에서 어쩌면 몹시 지루할 수도 있는 반복작업을 쌓고 있는 분들이 있다는 겻이 경외롭습니다. 이강환 박사님의 재미있는 방송 감사합니다. 최애 채널 언더스탠딩!!

    • @henrythefifth9993
      @henrythefifth9993 8 місяців тому

      박사님이 두 멍청이들 이해 시키느라 달과 거리재는 초반전에 너무 지루하네요...
      싸인 코싸인 배울때 뭐 했으면 그걸 이해 못해서 또 묻고 또 묻고...

    • @user-qw2tr8jd3v
      @user-qw2tr8jd3v 7 місяців тому

      하늘에 달이 떠있는 것을 보면 너무나 신비스럽다

  • @anc3664
    @anc3664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SuilKim-st4hb
    @SuilKim-st4hb 6 місяців тому

    은근히 중독성이 강합 프로그램입니다.

  • @renopark
    @renopark 6 місяців тому

    과학하고 앉아있네 팟캐스트에서도 이강환 박사님 출연 에피소드들이 여러 상식들로 농담을 해주셔서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 @user-iy2zl2xo7z
    @user-iy2zl2xo7z 7 місяців тому +4

    휼륭한 강의에 감사합니다. 존재에 대해 자각하게 하는 군요.

  • @user-qk2xm5vo4v
    @user-qk2xm5vo4v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 ❤

  • @user-jj7jn5fo1b
    @user-jj7jn5fo1b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설명 진짜 잘하시네

  • @user-gb4fg5cj3e
    @user-gb4fg5cj3e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난 패널들이 저렇게 질문해줘서 너무 고맙다

  • @9D5P
    @9D5P 8 місяців тому +4

    넘넘 재밋다 진짜 언더스탠딩 고마워요

  • @duddjehrgo
    @duddjehrgo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우와... 교수님 진짜 재미있습니다. 두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요, 하나는 팽창이 공간이라는 단일 성분의 현상이 아니라고 가정하면 감속하다 가속팽창하는 걸 설명할 수도 있겠어요.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처음엔 작아지는 멘토스의 외부 접촉 표면적이 줄어들기에 감속팽창하다가, 멘토스 여기저기 구멍이 나고 부서지면서 접촉면적이 증가하면 갑자기 가속팽창해서 급격하게 폭발하잖아요. 우리 우주도 '완벅한 무엇'이라기 보다는 '원래 이런 어떤 것일 뿐'이니, 꼭 단일 속성의 변화로만 생각하는 것 자체가 '우주'라는 너무 큰 유일의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생각 같습니다. 우주가 예를들어, 수주와 미주라는 하위 속성의 상호작용으로 발생중인 새로운 상태라고 한다면, 처음에 주어진 수주와 미주라는 속성의 절대량이나 형태, 성질에 따라 우리 우주의 팽창속도는 충분히 감속\가속, 심지어 정지도 가능할 거같습니다. ㅎㅎ
    다른 생각 하나는 사회자 기자님 말씀처럼 사다리의 근본에 대한 의문제기인데요, '거리측정' 수준이 아니라 그 근본이 되는 '거리'와 '팽창'과 '관측 수단인 빛' 단계에서의 의문제기인 겁니다. 우리는 거리를 빛이라는 자극을 감각해서 '시각적 관점'에서 주로 다루지만, 사실 우리 감각은 다양합니다. 눈을 막고 손을 뻗어서 주변의 물체를 더듬으면 시각과는 전혀 다른 관점의 거리감과 더 뛰어난 입체적 공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발을 써서 이리저리 움직이며 더듬게 되면 그 움직임이 더해진 공간감을 느낍니다. 청각은 어떤가요. 볼 수 없는 곳의 존재감을 진동으로 느끼기도 하고 예로 들어주신, 앰뷸런스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해 움직임도 느끼고, 숙달된다면 박쥐나 고래처럼 방향과 속도도 보는것보다 더 정확하고 멀리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아... 길다. 제가 시간이 없어서...ㅋ 다음에 마저 써야겠네요. 너무너무 재미있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s4jg5ke6s
    @user-zs4jg5ke6s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 @user-rs9hs5kr9n
    @user-rs9hs5kr9n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K박사님껀 못 참지❤

  • @imjphong
    @imjphong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말로는 쉬운데...
    미세한 차이를 어떻게 느끼고 계산할 수 있을까?
    인간의 능력은 위대합니다~!!

  • @seonjouyoun7657
    @seonjouyoun7657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역시 삼프로의 퀄러티는 최고!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8 місяц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 근데 저희는 언더스탠딩입니다 ^^

  • @coffeemoon3146
    @coffeemoon3146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삼프로는안보는데 언더스탠딩만보는이유가 이런거지

  • @dydwjd123
    @dydwjd123 8 місяців тому +33

    이건 내수준에서 이해 할려면 5번은 들어야겠다..

  • @daisy-gq3ph
    @daisy-gq3ph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언더스탠딩 감사해요❤❤

  • @user-zb6xs9tb4u
    @user-zb6xs9tb4u 8 місяців тому +6

    화장실도 못갈정도로 흥미진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Ddimmu
    @Ddimmu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빌드업이 좋네요 달거리 구하는거에서 시작해서 암흑에너지까지

  • @user-oy8on3jt8d
    @user-oy8on3jt8d 4 місяці тому +1

    대충 알던걸 쉽게 알게 됬네요 감사😊

  • @forestblack6566
    @forestblack6566 8 місяців тому +4

    1.우주의 끝을 찾아서
    2.빅맹의 메아리
    초심자도 쉽게 읽을 수 있게 예전에 친히 책으로 쓰셨습니다 . 이강환박사저
    50분에 나온 찬드라세카르 한계...
    지난번 라만 스펙트럼의 그 라만의 조카임.(둘다 노벨상수상자)
    천문학이 더 궁금하시면 과학과 사람들 지난 10년의 내용을 들어보세요.~~~

  • @user-xn8ig4zm2g
    @user-xn8ig4zm2g Місяць тому +1

    대단합니다^^

  •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감사합니다

  • @user-ny3kt9dr4c
    @user-ny3kt9dr4c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고생이 많으세요
    수학잼뱅이들과 진행하려니 힘드시죠?
    힘내세요

  • @atenrose5871
    @atenrose5871 8 місяців тому +1

    한 분이 진행하면 좋겠어요. 삼프로에 새로 오신 다른 한 분은 건질 말이 없어 제겐 집중에 방해만 됩니다.

  • @with_kyu7848
    @with_kyu7848 8 днів тому +1

    교수님 목소리 미쳤다 너무 좋다......

  • @user-ih5ch3oz9v
    @user-ih5ch3oz9v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강환 박사님께 중요한 것을 배웠네요~ "왜 우주는 팽창하나요?"라고 묻는다면 "암흑물질 때문입니다."라고 하면 되겠네요~^^

  • @ojmkww
    @ojmkww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천문학 졸잼 많이 해주세요~~

  • @user-tm9cn8cz5k
    @user-tm9cn8cz5k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와 진짜 정신없이 봤음
    내 시간삭제ㅋㅋㅋ
    우주는 못참지

  • @usinokaori
    @usinokaori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자야되는데,,,,실방못봐서 보고자야되는데,,,졸리는데,,,그래,,잠은 죽어서자고 지금은 일단 방송 잘 보겠습니다.

  • @hitelim728
    @hitelim728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사랑이나 결혼 후 멀어지는 이유는?? => 암흑에너지 의 탓!

  • @user-hw4fs4rm8o
    @user-hw4fs4rm8o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영상에 박사님의 설명은 오늘날 중학교 공부를 제대로 했으면 누구나 다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설명을 아주 잘하셔 주셨습니다. 그런데 설명내용에 결정적 오류와 착오도 있네요. 치명적인 오류와 착오도 있네요. 이 치명적 오류와 착오를 제가 여기서 간략히 지적해 드리겠습니다. 여기는 유튜브댓글이라 구체적으로 자세히는 할수 없지만 선명히는 지적해 드리겠습니다. 지금 박사님의 설명은 똑같은 밝기와 파장의 빛을 내는 별(변광성과 초신성)이 거리가 멀면 멀수록 파장이 길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분명 도풀러현상으로 설명할수 밖에는 없고 이로소 먼별 일수록 우리로 부터 멀어지고 있다 이렇게 설명할수 밖에는 없다하고 있습니다. 이래서 우주빅뱅팽창설은 확실하다 이렇게 보아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설명을 얼핏 들으면 확실히 맞아 보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치명적 오류와 착오가 확실히 있습니다. 지금 세계 물리학계와 천문학계에서는 우주공간은 준절대 진공이므로 모든 빛(전자기파)은 그래서 빨강색파장의 빛은 1000억광년이나 1000조광년을 날아가도 빨강색파장의 빛이고 노랑색파장의 빛도 1000억광년이나 1000조광년을 날아가도 노랑색파장의 빛이 되며 파랑색파장의 빛도 1000억광년이나 1000조광년을 날아가도 역시 파랑색파장의 빛이 된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이런데 보십시요. 똑같은 밝기와 파장의 빛을 내는 별인데도 거리가 멀면 멀수록 파장이 길어져 있음이 관측되니 이는 도풀러현상으로 설명해야 한다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이래서 거리가 먼 별일수록 우리로 부터 확실히 멀어지고 있다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얼마나 잘못 되었는지 확실히 보십시요. 글이 좀 깁니다. 빛과 소리는 같은 파장과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요. 또 같은 도풀러현상에 영향을 받지요. 어쨌든 본질본성이 다르다 해도 파장, 파동, 도풀러현상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 이런데 소리는 분명히 파동 파장성을 가지고 있어서 멀리가면 갈수록 파장이 길어지고 강도도 약하여져 갑니다. 너무 멀리가면 아예 없어져 버립니다. 이런데 어떻게 빛은 뭔데 같은 파동과 파장성을 갖고 있는데 아무리 멀리 가도 파장이 변하지 않는다고 보십니까? 소리도 같은 파장파동성이 있어서 굴절, 회절, 도풀러현상을 일으킵니다. 빛도 같은 파장파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굴절, 회절, 도풀러현상을 일으킵니다. 더군다나 빛(전자기파)도 멀리가면 갈수록 소리와 같이 강도가 약하여져 갑니다. 이런데 빛은 뭔데 아무리 날아가도 파장이 즉 1000억광년, 1000조광년을 날아가도 이 파장이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날아간다고 보십니까? 이것이 확실히 잘못된게 아닙니까? 또 소리도 매질이 바뀌면 그 속에서 속도와 파장이 바뀝니다. 빛도 매질인 즉 공기속과 물속 및 유리속을 통과 할때는 파장과 강도가 바뀝니다. 더군다나 빛은 중력장속을 통과 할때도 영향을 받는다고 증명까지 되어 있습니다. 이런데 왜 빛은 파장에 변화가 없다고 옹고집으로 보십니까? 또 보십시요. 준절대 진공이라는 우주공간은 즉 성간공간은 왜 초속 350km/s로 날아가는 태양풍이 성간물질에 막혀서 못나아 갑니까? 준절대 진공이라 하는데,,, 이렇게 초속 350km/s로 날아가는 태양풍도 이 성간공간의 우주공간을 막혀서 못나아 가는데 어떻게 빛은 뭔데 이런 성간우주공간을 아무런 영향없이 즉 파장에 변화없이 날아간다고 옹고집으로 보십니까? 분명히 빛도 공기속과 물속 및 유리속을 통과 할때는 영향을 받는데,,, 더군다나 빛은 중력장의 영향까지 받는데... 한번 보십시요. 분명히 빛은 중력장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 중력이 강한 태양도 은하계의 중력힘을 받아 은하계를 못벗어나고 강력히 묶여 있습니다. 더욱이 이 강력한 은하계도 은하군에 강력한 중력힘으로 묶여 있습니다. 또 이 은하군도 초강력한 은하단의 중력힘에 강력히 묶여 있습니다. 또 이 어마어마한 은하단도 초은하단 중심부로 초강력히 끌려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우주가 아무리 준절대 진공이라 하지만 어마어마한 다양한 중력장으로 겹겹이 중첩되어 있고 작용하며 모든 천체가 강력히 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 분명 빛은 중력장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런데 어떻게 빛은 뭔데 이 우주공간을 1000억광년, 1000조광년을 날아가도 파장에 영향을 안받고 날아간다고 보십니까? 참으로 이러한 단순 옹고집 사고 한심하지 않습니까? 이렇게 여기서 간략히만 봐도 이렇기 때문에 빛도 멀리 우주공간을 날아가면 강도도 약하여져 가듯 파장도 길어져 간다고 보아야 합니다.이런 현상을 즉 먼 별에서 오는 빛의 적색편이 현상을 지금과 같이 단순히 도풀러현상으로만 설명하면 절대로 아니 된다는 것이 바로 제 지적입니다. 이렇습니다. 이래서 우주빅뱅팽창설은 100% 틀렸다는 것입니다. 먼 별에서 오는 별빛의 적색편이 현상은 단순히 도풀러현상 때문만이 아니라 우주공간의 여러 영향을 받아서 파장이 길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래서 또 암흑물질이란 것과 암흑에너지란 가상도 한낱 허구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이렇습니다.

    • @hancooksaram2312
      @hancooksaram231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애초에 빛(전자기파)은 매질을 필요로 하지 않기에
      진공이라는 우주의 환경이 빛의 본질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그 본질을 더 잘 보여준다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
      도플러 효과는 단순히 멀리가고 짧고 가고의 문제가 아니고
      파동의 원인 source 라고 부를 만한 것의 움직임이
      가까워지느냐 멀어지느냐의 문제이기 때문에 댓글의 설명은 맞지 않아 보입니다.
      파동이 약해지는 현상은 세상이 3차원이 관계로 r의 세제곱의 역수로 옅어지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점은 댓글에서 말씀하신 세계물리학계나 천문학계도 당연히 알고 있는 사실일테지요.
      분명히 본 영상에서는 빛은 공간의 팽창에 의해서 그 파장이 늘어나 본래 시작된 빛의 파장과는 다르게 늘어난 파장을 보이고 있다고 명확히 적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쯤에 빅뱅우주론이 100% 틀렸다고 하시는 데
      빅뱅우주론이 현재 우주에 관해 일관성 있는 설명을 하는 데 있어서 아주 작은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는데 어떤 근거로 100%라는 값이 나오게 되었는 지도 알 수가 없습니다.
      또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가 가상이고 허구라는 주장도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현 우주와 우주의 역사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체계를
      이야기하지 않고서는 제대로된 의미를 가질 수 없는 주장입니다.

    • @user-hw4fs4rm8o
      @user-hw4fs4rm8o 6 місяців тому +1

      @@hancooksaram2312 님,,, 관심을 깊게 가지시고 이 영상을 진지하게 보시며 님의 식견을 솔직히 올려 주신데 대해 대단히 고맙고 감사히 생각합니다. 그러면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님도 아시겠지만 아직까지 세계물리학회에서도 빛의 실체에 대해서 정확히 모릅니다. 이런 상태에서 깊고 어려운 문제를 풀려하니 결론이 잘못 될수밖에 없어요. 사실 이 우주에 모든 것은 본질이 똑같습니다. 본질이 다른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빛과 바위(돌)와 쇠덩어리도 본질이 같습니다. 이것이 확실히 본질적으로 다르게 보이고 만져지는 것은 오직 인간의 감각기관의 작용일 뿐이고 인간이 만든 관측기기에 반응이 다를 뿐입니다. 핵력(강력), 약력, 전하력, 자기력, 중력, 공간, 시간, 시공연속체, 질량, 에너지, 원자, 바위(돌), 쇠덩어리, 빛(모든전자기파), 소리, 지진파, 우주공간, 등등 이 모든 것들은 모두가 그 본질이 똑같습니다. 시공연속체로서 똑같습니다. 다만 이 시공연속체의 다양한 작용에서 이 다양한 작용을 이 인간의 감각기관의 반응과 인지가 다 달라서 모든 위에 나열한 모든것들일 뿐입니다. 이래서 사실상 위에 나열한 모든 것들의 실물은 없습니다. 예로서 바위(돌)를 봅시다. 확실히 바위는 우리인간의 감각기능과 인간이 만든 관측기기에는 실물로서 반응 관측됩니다. 그러나 이 바위는 실물이란게 없습니다. 우리가 보고 만지는 바위는 원자에 양성자와 음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하장과 자기장이 여러개가 얽히고 설켜서 서로 결을 잘 이루어 서로 전하장의 작용과 자기장의 작용을 원만히 잘하고 있는 상태 이 상태입니다. 님도 아시다시피 이 전하장과 자기장은 빈공간입니다. 이 장내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직 확실히 모르는 힘만이 있을 뿐입니다. 이래서 적외선빛이나 전파는 그냥 통과 하기도 합니다. 님도 아시겠지만 원자는 99.9%가 비어 있다는 사실을 아시지요. 그야말로 빈공간입니다. 아무것도 실물이란게 없습니다. 그러나 확실히 알수는 없지만 그무언가 힘만이 있읍을 압니다. 이 힘을 인간이 전하력이다와 자기력이다 라고 이름지어 부를 뿐입니다. 오직 인간의 손과 가시광선만 이 원자내에 이 전하장의 힘의 작용과 자기장의 힘의 작용에 의해 막혀서 못들어갈 뿐입니다. 이것이 바위와 쇠덩어리내에도 이와 똑같습니다. 그야말로 텅비어 있는 빈공간입니다. 오직 전하장의 힘과 자기장의 힘의 작용만 있을 뿐이고 이 힘의 작용에 막혀서 사람손과 가시광선이 못들어갈 뿐입니다. 이것이 또 중력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중력장을 보십시요.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직 허공의 빈공간일 뿐입니다. 오직 무엇인지 알수는 없지만 전하장과 자기장을(바위와 쇠덩어리) 끌어당기는 힘만이 우리인간의 감각기관이 인지할 뿐입니다. 이를 우리는 중력과 중력장이라고 이름지어 부를 뿐입니다. 이것이 무엇인지 아직 정확히 모르고 있을 뿐이고 오직 단순히 중력이란 실물이 있다 이렇게 단정지어 인지하고 이름지어 말할 뿐입니다. 이것이 핵력, 약력, 전자기력, 중력, 시간, 공간, 시공연속체, 에너지, 빛(전자기파), 소리, 지진파, 우주공간, 등등 모두에 똑같습니다. 알고보면 이 모든 것은 그 본질이 다 똑같습니다. 모두 알고보면 그 본질이 시공연속체로서 다 똑같습니다. 다만 이 시공연속체의 다양한 작용에 의해 이 다양한 작용에 힘의 작용을 우리인간의 감각기능이 반응을 하여 인지하는것 뿐입니다. 이 다양한 인지에다가 우리는 이름 붙혀서 이것이 실물이다 하고 규정지어 이것은이렇게 실물이다, 실물이 있다 이렇게 하고 스스로 규정하여 실물이 있는것으로 인지할 뿐입니다. 이래서 이 우주에 모든 것은 그 본질이 시공연속체이기 때문에 이것이 팽창하거나 축소하는 이런 현상은 없고 빛이란 것도 사실상 알고보면 소리나 지진파와 같이 실물이란게 없습니다. 제대로 알고보면 가까운 거리에서는 빛의 파장변화를 도풀러현상으로만 설명할수 있지만 우주같이 멀고도 먼 거리에서 오는 빛의 파장변화는 그렇게 단순히 도풀러현상으로만 설명하면 아니 됩니다. 이러면 결과물이 완전히 틀리게 됩니다. 어쨌든 님도 아시겠지만 빛과 소리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아실겁니다. 비슷하지만 본질적으로 다를겁니다. 이래서 이들이 받는 도풀러현상의 원인과 원리도 다릅니다. 똑같이 보면 아니 됩니다. 지금 세계 천문학자들의 설명을 들어보면 소리와 빛의 도풀러현상을 똑같은 원리와 원인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계속 이렇게 설명하는데 이는 크게 잘못된 겁니다. 확실히 소리와 빛은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이렇게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도풀러현상을 받는 원리와 원인도 확실히 다릅니다. 이렇게 다른데 우주멀리서 오는 빛의 적색편이현상을 오직 단순히 소리의 도풀러현상과 똑같이 설명하려하면 확실히 결과물이 틀리게 됩니다. 즉 이래서 우주빅뱅팽창설은 100% 틀리다한 겁니다. 어쨌든 여기는 유튜브댓글이라서 여기에 대한 제반 사안사항을 다 자세히 기술할수는 없는데 이렇습니다.

  • @user-pu2ce1xm8y
    @user-pu2ce1xm8y 6 місяців тому

    잘듣고있읍니다
    다른우주도있을듰
    합니다

  • @user-gb4fg5cj3e
    @user-gb4fg5cj3e 7 місяців тому +37

    저런 교수가 있는 학교는 너무 좋을듯 너무 쉽게 가르친다

    • @nop8v
      @nop8v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너무 쉬운거를 몰르니 쉽게 가르칠수 밖에 없기는 함..

    • @user-lj6ks3zo4i
      @user-lj6ks3zo4i 4 місяці тому

      천재이신듯... 이런 엉성한 설명을 쉽다고 하다니

    • @ryanpark7905
      @ryanpark7905 2 місяці тому +1

      지금 교수직에 계신 분은 아니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를 나오셔서 천문학자로 일하셨던 분은 맞습니다. 과천과학관이랑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에서 관장을 하셨고 지금은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고 계셔요

  • @user-gp8mu8yk4v
    @user-gp8mu8yk4v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래 오늘은 이거다

  • @user-nq3zq3wk6w
    @user-nq3zq3wk6w Місяць тому +1

    😂무식쟁이 70줄의 농사꾼인 내가 들어도 재미
    두번째 들으니 더 재미,신비
    어릴적 바당에 멍석깔고 누워 여름 밤 하늘의 별ㆍ유성등을 보면서 신비감을 느꼈던 ㅡㅡ지금까지도 우주에 관심이 😅

  • @user-vr3qw1bi1b
    @user-vr3qw1bi1b 8 місяців тому +4

    과학과 사람들 구독자분들도 많이 보이네용ㅋㅋ 반가워라 😊

  • @lineroh1
    @lineroh1 8 місяців тому +7

    다음 타자는 전명원 교수님 확정이군요. ㅎㅎㅎ

  • @user-te5zw9ff6c
    @user-te5zw9ff6c 8 місяців тому +1

    K박사님 지인 이강환박사님오셨군요^^

  • @user-li5uj4kv2b
    @user-li5uj4kv2b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천문학을 전공 하려면
    첫째도 체력
    둘째도 체력
    세째도 체력이 필요하겠죠
    그리고
    꺾이지 않는 정신이 첨가

  • @josw00
    @josw00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짧은 지식으로.. 그나마 가까운 안드로메다은하 같은건 달보다 좀 크게 보이지만 거리가 먼 은하는 거의 점으로 보이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 은하에 포함된 초신성을 관측할 수 있다고 하니 신기하네요.

  • @brotherjin9725
    @brotherjin9725 8 місяців тому +2

    1형 초신성 정말 이해하기 힘든 부분인데 어디 찾아봐도 잘 안 나오던데...그나마 오늘 아하 했으니 유익한 1시간 였네 ㅋㅋㅋ

  • @user-nr5ps5po8u
    @user-nr5ps5po8u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주의 크기가 유한하고 점점 우주 팽창속도가 오히려 빨라진다는건 우주밖 무언가가 있고 거기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주고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네요...우리가 무한하게 생각하는 우주도 사실 그 바깥에서 보면 아주 작은 무언가에 불과할지도 모르겠네요.

  • @jungyoonyi9291
    @jungyoonyi9291 8 місяців тому +9

    우왕 너무 좋아요 피타고라스에서 헤매는 이프로님 모두를 위해 모르는척 하신걸로 이해할께요

  • @user-pj9un3hs6b
    @user-pj9un3hs6b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달과 태양 일식과월식이 우연이라니....
    그 우연의 확율을 계산해보셨나요
    로또확율 곱하고 로또확율입니다
    즉 가능성은 마이너스입니다
    누군가 설계하지 않았다면 가능성은
    없습니다

  • @user-xt6jm3zr6g
    @user-xt6jm3zr6g 5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은 암흑에너지 ㅋㅋㅋ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