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거리를 측정하다 발견한 우주의 엄청난 비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강환 박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671

  • @시리우스대왕고래
    @시리우스대왕고래 Рік тому +119

    너무 좋습니다. 천문학도 여기서 들으면 더 재밌습니다.
    이강환 박사님 자주좀 모셔 주세요. 담엔 황호성 교수님도.

    • @김장호-z2t
      @김장호-z2t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너희들 잘안하지?

    • @pass2863
      @pass2863 22 дні тому

      시간 다 까먹어 ~ㅋ

  • @minhoryu459
    @minhoryu459 Рік тому +74

    차분하시면서 재미있게 집중할수있는 고품격 강의. 이강환교수님 황호성 교수님 자주 모셔주세요😊

  • @박윤식-k8z
    @박윤식-k8z Рік тому +59

    너무 재미있어서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고 끝까지 봤네요. 이강환 박사님의 차분하고 쉬운설명으로 천문학에 문외한이었는데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후속 강의도 기대하겠습니다.

    • @seokjushon958
      @seokjushon958 Рік тому +1

      로켔을 발사하면 초기에는 느리고 점점 가속하다가 첨점줄어드는데 현재 가속구간인게 아닐까 ?

  • @Panda_Do_It
    @Panda_Do_It Рік тому +52

    두분의 질문과 대화 덕분에 저도 이해하기 수월했네요~좋은진행 감사합니다^^

  • @anc3664
    @anc3664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 @user-kk6qp3sb7y
    @user-kk6qp3sb7y Рік тому +14

    박사님 덕분에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에 대해 알아서 좋아요

  • @kilreelee5520
    @kilreelee5520 Рік тому +14

    언더스탠딩 오늘도 감사해요. 재미와 알뜰정보😊

  • @sungso7689
    @sungso7689 Рік тому +17

    진짜 흥미롭고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 @minorblue70
    @minorblue70 Рік тому +20

    K박사님 설명 쉽게해서 직관적으로 알 수있네요

  • @이주노-j7g
    @이주노-j7g Рік тому +10

    너무 좋은 지식의 가르침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초반에 삼각비 나왔을 때 왜 그렇게 시간을 할애하시는가 했는데 그 내용이 제일 중요했던 거네요.

  • @alphaomicron213
    @alphaomicron213 Рік тому +6

    k박사님이 여기 나오시다니 너무 좋습니다. 역시 설명의 왕 ㅎㅎ

  • @SeryungPark-c1u
    @SeryungPark-c1u Рік тому +10

    케이박사님 역쉬 최고!! 늘 감사합니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Рік тому +16

    대단히 감사합니다.

  • @dobby.is.free.
    @dobby.is.free. Рік тому +9

    이거 재밌네요. 이강환 박사님과 일대일로 물어보고 싶은게 많습니다

  • @freedom-lz7cg
    @freedom-lz7cg Рік тому +12

    이 박사님은 최고입니다. 이박사님 설명을 군더더기가 하나도 없습니다.그리고 재미있게 말씀하세요

  • @EkarT-q5o
    @EkarT-q5o Рік тому +86

    집구석에 편히 앉아 1시간 남짓의 시간 동안 현대 우주론의 출발까지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세페이드 변광성과 초신성을 활용한 거리 측정 방법 외의 새로운 부분들 알 수 있어 아주 좋았습니다. 다음에는 CMBR 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다뤄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제주-n9u
    @제주-n9u Рік тому +56

    천문학적인 소양을 아무 댓가도 없이 이렇게 쉽게 알려주시니 너무 고맙고 감사합니다

  • @최상수-g9g
    @최상수-g9g Рік тому +3

    엄청납니다
    이런한분야에 일을하시는
    분들이 세상을 바꿉니다
    응원합니다 화이팅!

  • @이정순-y9r
    @이정순-y9r Рік тому +5

    언더스텐딩 참 좋은 프로

  • @지성아빠
    @지성아빠 Рік тому +16

    역시 K박사님 설명은 귀에 쏙쏙들어오네요.

  • @hy8797
    @hy8797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제가 궁금한 수준과 비슷한 레벨에서 mc분들이 질문을 해주시니 이해가잘되네요~

  • @sunghoyun7970
    @sunghoyun7970 Рік тому +28

    이런강의 들으면 대한민국 고등학교 교과과정이 얼마나 훌륭 했는지 알 수 가 있네요.. 30년전 수학 시간에 선생님께서 맞꼭지각 설명 하셨던 내용을.. 지구과학 선생님이 지구가 둥근 이유를 설명해 주셨던 기억이...

    • @chanwookim86
      @chanwookim86 Рік тому

      50:12 ㅂㄱㅂ 50:56 ㅂㅈㅂㅅ

    • @chanwookim86
      @chanwookim86 Рік тому

      발바닥 52:10 아 ㅇㅇ 공부 ㅂ 버거킹 보자 ㄱ😅밥 ㅁㅇㅇ 보자 ㅁㅇㅇㅁㅇㅇ@ㄱ 보자 ㄱ 비가 그리고 ㅈㅁㅁ 도봉산 모두 ㅁㅇ 다시 ㄱㄱ1 보자 ㅃㅈㄱㅁ 박재범 ㅂㅁ 동반성장 보고 54:41 난 아 맞아 😅😅ㅇㅇㅁㅇㅇ 준비 1ㅂ 😅

    • @dlpul7870
      @dlpul7870 3 місяці тому

      뭐레

  • @이지-q6b
    @이지-q6b Рік тому +25

    언더스탠딩 참 묘한 재미가 있어요.세상 이런 것도 있구나~ 사는데 큰 도움은 안되는거 같은데 또 무시 할 수 없는 이야기. 재밌습니다.

  • @유니버스처럼
    @유니버스처럼 Рік тому +22

    이강환박사님 감사합니다

  • @kwangsikko1479
    @kwangsikko1479 Рік тому +29

    교수님도 설명 잘하시는데, 두분역시 이해가 빠르시네요..
    수업의 모범을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주저없이 질문하고 설명해주시고..보기 좋고 보는저도 이해가 더 잘됩니다.

    • @oopp8959
      @oopp8959 Рік тому

      미리 대본이 있고 이때쯤 질문하고 다 있겠지 ㅋㅋ 하여간 개돼지들 쉬워요 ㅋㅋㅋ

  • @키키키-n7p
    @키키키-n7p 9 місяців тому +4

    😂무식쟁이 70줄의 농사꾼인 내가 들어도 재미
    두번째 들으니 더 재미,신비
    어릴적 바당에 멍석깔고 누워 여름 밤 하늘의 별ㆍ유성등을 보면서 신비감을 느꼈던 ㅡㅡ지금까지도 우주에 관심이 😅

  • @一妄一語
    @一妄一語 Рік тому +26

    행복하다. 시원한 맥주(혹은 콜라)에 맛나는 거 먹으면서(냉동제품이면 충분 함)
    이런 얘기만 듣고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방으로 듣고 댓글 남기고 싶어
    다시 왔어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좋은 방송 알려줘서 고마워 영진이 형~

    • @一妄一語
      @一妄一語 Рік тому

      p.s. 깐족이형도 무척 사랑해. 상을 엎는 메소드 연기력 가진 옆에 분도 감사합니다.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근데 여기엔 영진이형이 없어요 ㅎ

    • @一妄一語
      @一妄一語 Рік тому +3

      @@understanding. 애초에 삼프로에 관심을 갖게 된 최초 이유가 매불쇼 영진이 형이거든요.

    • @아이디어의바다
      @아이디어의바다 Рік тому

      @@understanding. 밤하늘에 별이 있는것처럼 말하네요🤓

  • @ljs2358
    @ljs2358 Рік тому +6

    거리사다리 개념이 매우 흥미롭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soraisadesigner
    @soraisadesigner Рік тому +14

    세상 어딘가에서 어쩌면 몹시 지루할 수도 있는 반복작업을 쌓고 있는 분들이 있다는 겻이 경외롭습니다. 이강환 박사님의 재미있는 방송 감사합니다. 최애 채널 언더스탠딩!!

    • @henrythefifth9993
      @henrythefifth9993 Рік тому

      박사님이 두 멍청이들 이해 시키느라 달과 거리재는 초반전에 너무 지루하네요...
      싸인 코싸인 배울때 뭐 했으면 그걸 이해 못해서 또 묻고 또 묻고...

    • @이혜란-u8e
      @이혜란-u8e Рік тому

      하늘에 달이 떠있는 것을 보면 너무나 신비스럽다

  • @이주형-o4z
    @이주형-o4z Рік тому +11

    세상에! 오랜만에 언더스텐딩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봤네요. 난해한 거 같으면서도 쉽고 딱딱한 거 같으면서도 재미있는 오묘한 방송입니다. 언제나처럼 응원해요. 감사합니다!

  • @burroshin8943
    @burroshin8943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강환 박사님 정말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천문학자 멋있습니다.

  • @imjphong
    @imjphong Рік тому +4

    말로는 쉬운데...
    미세한 차이를 어떻게 느끼고 계산할 수 있을까?
    인간의 능력은 위대합니다~!!

  • @kjd5606
    @kjd5606 Рік тому +6

    K박사님의 설명..질문에 대한 반응.등등은 쏙쏙 알아듣기 편안히 해주시는게 최강이십니다.

  • @이선호-u1v
    @이선호-u1v Рік тому +48

    태양과 달이 거의 비슷한 크기로 보이는게,
    태양의 지름을 1미터(100cm)로 축소하면 지구가 1cm 달이 2.5mm로, 지름이 400배 작지만 거리가 정말 황당스럽게 400배 더 멀어서 비슷한 크기로 보인다는것을 알고 정말 충격적이었던 기억이 😅
    이과 화이팅 😊

    • @이선호-u1v
      @이선호-u1v Рік тому

      @@DONGUNLEE-u5s 🤣🤣🤣🤣🤣🤣사막잡신?, 야훼인지 여호와인지 알라인지 갸?
      개독들의 하나님 아부지? 인간아부지한테 잘혀 ㅋ

    • @dnest0
      @dnest0 Рік тому +1

      근데 딱떨어지지는 않습니다. 우연치고는 차이가 크지요. 신기한건 맞습니다^^

    • @dnest0
      @dnest0 Рік тому

      축소/확대시 차이가 없어야 필연이며 진리겠지만...세상에 그런건 없습니다. 0과1이 물리적 저장매체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 생각해보면...100% 아니라 50%의 확률을 최대한 끌어놓은것이니까요.

  • @salva303
    @salva303 Рік тому

    이강환박사님 팬입니다 너무 쉽게 직관적으로 와닫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흥미 진지 하게 청취하게 됩니다 계속 부탁드립니다

  • @이유-f7h
    @이유-f7h Рік тому +1

    오호 기다렸어요..

  • @WelcomeUS-w3m
    @WelcomeUS-w3m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송송-TRee
    @송송-TRee Рік тому +2

    젤 재밌고 흥미로운 분야입니다. 끝까지 잘 보았습니다. 🤗

  • @wayne.x48
    @wayne.x48 Рік тому

    와우~ 이강환 박사님 강의는 들어도 들어도 행복해 집니다 감사합니다.👍

  • @한웅-f6i
    @한웅-f6i Рік тому +4

    휼륭한 강의에 감사합니다. 존재에 대해 자각하게 하는 군요.

  • @coffeemoon3146
    @coffeemoon3146 Рік тому +4

    삼프로는안보는데 언더스탠딩만보는이유가 이런거지

  •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Рік тому +31

    이분 설명 명쾌합니다. 과학과 사람들 주게스트시죠

  • @eunkyoungyoon663
    @eunkyoungyoon663 Рік тому +2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천사호호-o7v
    @천사호호-o7v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천문학이 이렇게 재미 있다니! 교수님 감사드려요.^^

  • @세피로스-h7c
    @세피로스-h7c Рік тому +31

    양자역학에 이어 천문학까지 언더스탠딩은 안다루는 분야가 없군요ㄷㄷㄷ 자칫 어려울수도 있는 내용인데 두분이 중간중간 쉽게 풀어주셔서 시간가는줄 모르고 재밌게 봤네요ㅎㅎ

  • @ysc1237
    @ysc1237 Рік тому +8

    천문학과 무협소설은 뭔가 말이 안 되는 것 같은데
    아무튼 정말 재밌다.

  • @宇宙塵-z9m
    @宇宙塵-z9m 3 місяці тому +1

    기초적인 삼각함수 이해의 중요성! 두 분 사회자의 단순(?)한 질문때문에 한참 웃었네요!😊

  • @renopark
    @renopark Рік тому

    과학하고 앉아있네 팟캐스트에서도 이강환 박사님 출연 에피소드들이 여러 상식들로 농담을 해주셔서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 @랄랄라-l3n
    @랄랄라-l3n Рік тому +7

    딱 잘려는데 타이밍 좋고

  • @kImmAnbOk1004
    @kImmAnbOk1004 Рік тому +15

    가만히 보면 언더스탠딩은 서울대 모임인 것 같아요~ ㅋㅋ 안기자님이랑 이프로님도 서율대이고....

  • @오오병화-b1w
    @오오병화-b1w Рік тому +2

    내 수준에 딱 맞는 질문을 해주시니 이해가 쉬워요

  • @아캐-t6v
    @아캐-t6v Рік тому +12

    배움이 있는 방송 넘 감사

  • @탄곰탱이
    @탄곰탱이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를넘 늦게 알았습니다.
    언더스탠딩 박사님영상들을 찾아서
    보는중입니다...

  • @toxneuro
    @toxneuro Рік тому +2

    ❤❤표준광원에 대해 첨으로 이해가 갑니다!!!

  • @superstar3359
    @superstar3359 Рік тому

    이런거 넘재밌어요 완전 내스타일ㅋㅋ 앞으로 많이해주세요❤

  • @뷰티풀-i3m
    @뷰티풀-i3m Рік тому +14

    K박사님껀 못 참지❤

  • @rennypark
    @rennypark Рік тому +9

    한시간 넘는 영상이라니 😮 잘듣겠습니다!!

  • @EqualizeR-h1w
    @EqualizeR-h1w Рік тому +7

    큰일입니다.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데 손 놓고 있으니.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이지혜-j8p9h
    @이지혜-j8p9h Рік тому +2

    교수님
    고생이 많으세요
    수학잼뱅이들과 진행하려니 힘드시죠?
    힘내세요

  • @포도-q5p
    @포도-q5p Рік тому +3

    우주의 크기가 유한하고 점점 우주 팽창속도가 오히려 빨라진다는건 우주밖 무언가가 있고 거기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주고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네요...우리가 무한하게 생각하는 우주도 사실 그 바깥에서 보면 아주 작은 무언가에 불과할지도 모르겠네요.

  • @seonjouyoun7657
    @seonjouyoun7657 Рік тому +7

    역시 삼프로의 퀄러티는 최고!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Рік тому +4

      감사합니다. 근데 저희는 언더스탠딩입니다 ^^

  • @정우-t1h
    @정우-t1h Рік тому +5

    설명 진짜 잘하시네

  • @날개-g9o
    @날개-g9o Рік тому +6

    화장실도 못갈정도로 흥미진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SuilKim-st4hb
    @SuilKim-st4hb Рік тому

    은근히 중독성이 강합 프로그램입니다.

  • @detshowkawachi6646
    @detshowkawachi6646 Рік тому +1

    오늘 재밋어요

  • @키키득-q9p
    @키키득-q9p Рік тому +7

    난 패널들이 저렇게 질문해줘서 너무 고맙다

  • @강종열-v4b
    @강종열-v4b Рік тому +2

    새로운 지식 감사!!

  • @박진욱-r7o
    @박진욱-r7o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연이 겹치면 설계가 되고 필연이되지요

  • @TV-cc2pl
    @TV-cc2pl Рік тому +11

    언더스탠딩 중독자 된듯 아픈데도 보고마는곳.

  • @그냥-m6o
    @그냥-m6o Рік тому +2

    이강환 박사님께 중요한 것을 배웠네요~ "왜 우주는 팽창하나요?"라고 묻는다면 "암흑물질 때문입니다."라고 하면 되겠네요~^^

  • @forestblack6566
    @forestblack6566 Рік тому +4

    1.우주의 끝을 찾아서
    2.빅맹의 메아리
    초심자도 쉽게 읽을 수 있게 예전에 친히 책으로 쓰셨습니다 . 이강환박사저
    50분에 나온 찬드라세카르 한계...
    지난번 라만 스펙트럼의 그 라만의 조카임.(둘다 노벨상수상자)
    천문학이 더 궁금하시면 과학과 사람들 지난 10년의 내용을 들어보세요.~~~

  • @bluewater7776
    @bluewater7776 Рік тому +3

    잠시겠지만 지금 이순간은 근심 걱정이 사라지는구나..

  • @박경민-i5b
    @박경민-i5b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대단합니다^^

  • @JehanLee-u4y
    @JehanLee-u4y Рік тому +1

    대충 알던걸 쉽게 알게 됬네요 감사😊

  • @돌고래-w5y
    @돌고래-w5y Рік тому +1

    각자 의견을 낼수는 있으나 일월오봉도의
    기본 컨셉은 음양과 오행에 기초한 것 아닐까

  • @tripkorea5064
    @tripkorea5064 Рік тому +1

    속도가 더 빨리 팽창하면
    우주 온도도 팽창속도에 비례하여 떨어질 것
    같은데
    이미 연구 마치셨겠죠❤

  • @khnn-dk2zh
    @khnn-dk2zh Рік тому

    두 피디 질문이 울 나라 수포자 현실을 보는 듯. 애고😢

  • @Ddimmu
    @Ddimmu Рік тому +2

    빌드업이 좋네요 달거리 구하는거에서 시작해서 암흑에너지까지

  • @duddjehrgo
    @duddjehrgo Рік тому +13

    우와... 교수님 진짜 재미있습니다. 두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요, 하나는 팽창이 공간이라는 단일 성분의 현상이 아니라고 가정하면 감속하다 가속팽창하는 걸 설명할 수도 있겠어요.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처음엔 작아지는 멘토스의 외부 접촉 표면적이 줄어들기에 감속팽창하다가, 멘토스 여기저기 구멍이 나고 부서지면서 접촉면적이 증가하면 갑자기 가속팽창해서 급격하게 폭발하잖아요. 우리 우주도 '완벅한 무엇'이라기 보다는 '원래 이런 어떤 것일 뿐'이니, 꼭 단일 속성의 변화로만 생각하는 것 자체가 '우주'라는 너무 큰 유일의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생각 같습니다. 우주가 예를들어, 수주와 미주라는 하위 속성의 상호작용으로 발생중인 새로운 상태라고 한다면, 처음에 주어진 수주와 미주라는 속성의 절대량이나 형태, 성질에 따라 우리 우주의 팽창속도는 충분히 감속\가속, 심지어 정지도 가능할 거같습니다. ㅎㅎ
    다른 생각 하나는 사회자 기자님 말씀처럼 사다리의 근본에 대한 의문제기인데요, '거리측정' 수준이 아니라 그 근본이 되는 '거리'와 '팽창'과 '관측 수단인 빛' 단계에서의 의문제기인 겁니다. 우리는 거리를 빛이라는 자극을 감각해서 '시각적 관점'에서 주로 다루지만, 사실 우리 감각은 다양합니다. 눈을 막고 손을 뻗어서 주변의 물체를 더듬으면 시각과는 전혀 다른 관점의 거리감과 더 뛰어난 입체적 공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발을 써서 이리저리 움직이며 더듬게 되면 그 움직임이 더해진 공간감을 느낍니다. 청각은 어떤가요. 볼 수 없는 곳의 존재감을 진동으로 느끼기도 하고 예로 들어주신, 앰뷸런스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해 움직임도 느끼고, 숙달된다면 박쥐나 고래처럼 방향과 속도도 보는것보다 더 정확하고 멀리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아... 길다. 제가 시간이 없어서...ㅋ 다음에 마저 써야겠네요. 너무너무 재미있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정은-u7r
      @주정은-u7r 5 місяців тому

      맨토스 비유 감탄합니다.

  • @강한민국
    @강한민국 4 місяці тому +1

    두번째 보는데도 신기합니다.

  • @yeongjinkim
    @yeongjinkim Рік тому +3

    역사 캐플러 짱!!! 어려워. 😅😅😅

  • @with_kyu7848
    @with_kyu7848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목소리 미쳤다 너무 좋다......

  • @김상철-s9t
    @김상철-s9t Рік тому

    잘듣고있읍니다
    다른우주도있을듰
    합니다

  • @찰스죽림
    @찰스죽림 4 місяці тому +1

    노벨상을 받아야 그공로거 더 큰것인가?
    어떤이는 준다고 하여도 내팽겨치는 이도 있는데, 유달리 천문관측쪽에서는 노벨상을 받아야
    엄청 공로가 크지는것 같은 느낌이 든다.
    우주 팽창이 언제까지 인가는 알 수가 있는것인지...

  • @물뱀-r9u
    @물뱀-r9u Рік тому +4

    과학과 사람들 구독자분들도 많이 보이네용ㅋㅋ 반가워라 😊

  • @lineroh1
    @lineroh1 Рік тому +7

    다음 타자는 전명원 교수님 확정이군요. ㅎㅎㅎ

  • @Dulung-o1l
    @Dulung-o1l 10 місяців тому

    삼각 함수를 설명하느라 수고가 많으시네요.
    중학교는 나왔을 것 같은데 기억상실증에 걸린 사람같아요.

  • @chs-mms
    @chs-mms Рік тому +1

    암흑에너지는 전자기?
    우주가 부패하나?
    음식물도 부패하면 팽창하는데...

  • @티티나-f8u
    @티티나-f8u Рік тому

    이런얘기는 절대 공짜로 못 듣는법인데.
    감사히 잘듣고 갑니다

  • @roql-kz2wx
    @roql-kz2wx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프로님
    즐거워

  • @비트중독자-k2w
    @비트중독자-k2w Рік тому +6

    와 진짜 정신없이 봤음
    내 시간삭제ㅋㅋㅋ
    우주는 못참지

  • @hitelim728
    @hitelim728 Рік тому +5

    사랑이나 결혼 후 멀어지는 이유는?? => 암흑에너지 의 탓!

  • @김운석-d7j
    @김운석-d7j Рік тому +15

    감사합니다

  • @조성동-c8z
    @조성동-c8z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저는 87학번 물리학과 출신인데요.
    우리가 생각하는 우주가 한개가 아니고 끝이 없다고 가정하면 우리 우주가 지금 지구가 태양주위를 공전 하듯이 우리우주가 더큰 우주주위를 공전중이라 가정하면....

    • @조성동-c8z
      @조성동-c8z 9 місяців тому

      추측은 지금은 가속도중

  • @StarryX2
    @StarryX2 10 місяців тому

    "과학하고 앉아있네"에서 알게된 일타 감사 K-박사님. 천체물리학을 이렇게 구수하게 알려주실 수 있다니 ^^

  • @cleanrok
    @cleanrok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먼 거리 재는 방법의 궁금증이 여기서 해결 됐네요 감사합니다

  • @다이어트는내일부-q4v
    @다이어트는내일부-q4v Рік тому +2

    오 ❤

  • @아재-r9d
    @아재-r9d Рік тому +3

    천문학을 전공 하려면
    첫째도 체력
    둘째도 체력
    세째도 체력이 필요하겠죠
    그리고
    꺾이지 않는 정신이 첨가

  • @9D5P
    @9D5P Рік тому +5

    넘넘 재밋다 진짜 언더스탠딩 고마워요

  • @이승철-c5r
    @이승철-c5r Рік тому +1

    우주는 너무 이상하고 너무 크고 하여간 이상하네요.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