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말씀하신 김시덕 교수는 일어일문학 학사, 석사, 그리고 문헌학 박사라고 소개가 되어 있던데, 철덕들, 그 중에서도 도시계획 쪽으로 관심이 많은 철덕들과 비교를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ㅎ 아무래도 어바니즘이나 워커빌리티, 대중교통중심개발(TOD) 등의 아이디어를 예찬하는 도시계획 덕후들은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에서 개선점들을 찾아보고 철덕질도 열차의 기술적인 내용보다는 도시 계획 및 발전사 쪽을 파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훨신 현실적이고 실용적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서버비치님이 도시계획 및 어바니즘에 대한 다른 채널도 궁금하시다면 Not Just Bikes, CityNerd, Alan Fisher, Miles in Transit 같은 채널들도 체크 아웃 한 번 해보세요! 특히, CityNerd 는 실제로 포틀랜드 주립대에서 도시계획 석사를 하시고 네바다 주에서 도시계획자로 실무를 하시는 분이 운영하시는 채널이고요, Miles in Transit 은 청소년인 철도 및 교통덕후가 덕질하면서 유펜 도시학에 진학하게 되는 등 일반 덕후가 전문가가 되어가는 과정을 같이 지켜볼 수 있어서 특별한 채널이라고 생각합니다. (찡긋) 이상, 물어본 사람, 궁금한 사람, 아무도 없었는데~ 였습니다!
분당선 일산선 일거에 짓고 관리해야할 철도청이 부담스럽다며 발 빼고 서울시 개발에 밀려난 사람들을 위한 노선이니 서울시 예산을 쓰라는 압박에 의한 것. 마찬가지로 7호선 광명시 구간, 장암역도 차량기지 및 향후 편입 가능성까지 넣어서 정기권 구역이 되어 서울시 밖에서 서울정기권을 쓸 수 있는 유이한 예외가 됨. 이후 건설된 노선은 보상 성격이 없고 서울시가 아닌 타 지자체 주도가 되어 기지 이전 연장이 되든가 말든가 서울시 구간으로 인정하는 예외가 추가되지 않을 예정...
성남인이라면 8호선 필수 같은 성남은 물론 분당 서울 가기 편함 다만 위례랑 송파쪽 사람이 많아져서 출퇴근시간마다 지옥 하필 가락시장, 석촌, 잠실 전부 8호선의 끝이 다른 노선의 끝과 이어지는 구조로 빠른환승이 1-1 또는 6-4로 똑같아 늘 사람이 많고 출퇴근 시간마다 꽉참 구리까지 연장되면 이용객이 또 얼마나 늘어날지....
@@DJK-cf1ti 원래 10년전만해도 성남은 존재감 1도 없고 천당 밑에 분당이라그래서 분당만 사람들이 아는 수준이었음. 실제로 분당선 건설되던 30~40년전에는 더더욱 그랬었죠. 최초에 분당신도시를 위해 만들어진 전철이라 그렇습니다. 3호선 끝자락에 있는 일산선도 마찬가지
@@DJK-cf1ti 와 요즘 이거 모르는 나이대 분들도 생겼구나. 지금이야 노선통합되어서 3호선이지만, 일산신도시 만들무렵에는 일산선으로 개통을 하였고, 심지어 노선색도 주황색이 아닌 국철색인 파란색이었습니다. 일산선 국철로 구글링해보면 구분되있다는걸 알 수 있죠. 요즘분들은 알 수 없었겠네요. 너무 신기하다
'광주대단지사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가슴 아픈 대한민국 현대 흑역사입니다. 학교에서 역사 시간에 배울 일은 잘 없습니다, 문학시간에 다루는 9켤레 구두로 남은 사나이,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공 등과 관련 있는 사건입니다. 옛날 성남 으르신들은 서울시에 분노와 한이 맺혀 있었지요.
제가 집 근처에 5호선 마천역[P555]으로 자주 출퇴근 하면서 5호선,8호선 을 자주 이용하는데 이렇게 5호선,8호선 을 개통할려고 이렇게 고생한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마천역 1번출구 옆에 원래 계단이 있었는데 어제 출근할려고 마천역 승강기 내려 가는데요 옆에 계단 다 헐고 경사형 엘리베이터 공사 하고 있는데 알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김포시에서 살고있는 올해 중1 학생입니다. 김포에서 서울로 혼자 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김포골드라인 1,000을 안내고 타고 오히려 2,000원인 버스를 타고 다니고 있습니다. 골드라인을 예전에 많이 탑승했지만.. 계획하고 진행시킨 놈들 욕하고 싶을정도로 좁아터진 지하철을 탈꺼면 차라리 광역버스 타는게 맞습니다.
예. 심지어 남쪽 송파강이 원래 본류여서 송파가 광주군으로 묶였던 것과 달리 잠실은 조선 시대에는 양주군(심지어 저 당시에는 양주관아가 오늘날의 광진구에 있었음), 일제시대에는 고양군으로 묶였던 역사가 있었죠. 그러다 1925년에 발생한 홍수로 건천이었던 신천강이 본류가 되었고 1971년에 매립을 통해 잠실이 강 남쪽의 송파와 하나의 땅이 된 겁니다. 송파강을 매립하면서 딱 하나 남긴 곳이 있는데 바로 석촌호수가 그거죠.
서울 지하철 8호선이 북쪽 종점이 별내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별내별가람역을 거쳐 청학리.신곡동도 거쳐 의정부역까지 연장이 되어지는 것이 맞다고 보았습니다. 참고로 그러므로 8호선 별내역-의정부역 구간은 착공이 가장 늦어도 오는 2024년 4월에는 들어가지게 되어지며 완공 및 개통은 가장 늦어도 2028년 하반기가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지하철 하나 놓는데 일본에 돈을 빌려와야했던 가난한 시절 1970년대 1970년 한국주변 1인당 GDP ($) 미국 5266, 일본 2056, 대만 396, 말레이시아 375, 북한 329, 남한 253, 필리핀 202, 태국 198, 방글라데시 133, 중국 112, 캄보디아 107, 인도네시아-베트남-라오스-미얀마
8호선 언제나 성남이나 잠실갈땐 최고의 노선 고마워요 8호선!
빨리 10만명 되셔서 10호선도 해주세요 현기증난단 말이에요
아니 이분이 여기에 웬일이셔.
아저씨 일하셔. 왜 일안해
저기요 빨리 김포골드라인 또다시 타주세요
10호선 11호선 재밌긴하겠네요
요새 영상 못 올리시던데 바쁘신가요?
8호선은 광주대단지사태의 보상책인 성남선의 실현으로, 실제로도 성남구간은 구성남 구석구석을 훑고 지나가며, 서울시가 주도하여 건설함.
다른 노선과 다르게 노선이 시작하기도 전 계획 단계부터 건설 과정에 건설 이후까지 한국 근현대사를 아우르는 대하사극 같은 노선
역 주변에 유적도 많죠ㅋㅋㅋㅋ
@@yeongminware1035그 유적은 구라지 날조 된 것들
'지하철8호선' 영상 잘 봤습니다. 👍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철덕을 가장한 도시 기획학자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김시덕 교수보다 훨씬 현실적 실용적 정보가 많네요
8만 축하 드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말씀하신 김시덕 교수는 일어일문학 학사, 석사, 그리고 문헌학 박사라고 소개가 되어 있던데, 철덕들, 그 중에서도 도시계획 쪽으로 관심이 많은 철덕들과 비교를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ㅎ
아무래도 어바니즘이나 워커빌리티, 대중교통중심개발(TOD) 등의 아이디어를 예찬하는 도시계획 덕후들은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에서 개선점들을 찾아보고 철덕질도 열차의 기술적인 내용보다는 도시 계획 및 발전사 쪽을 파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훨신 현실적이고 실용적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서버비치님이 도시계획 및 어바니즘에 대한 다른 채널도 궁금하시다면 Not Just Bikes, CityNerd, Alan Fisher, Miles in Transit 같은 채널들도 체크 아웃 한 번 해보세요!
특히, CityNerd 는 실제로 포틀랜드 주립대에서 도시계획 석사를 하시고 네바다 주에서 도시계획자로 실무를 하시는 분이 운영하시는 채널이고요, Miles in Transit 은 청소년인 철도 및 교통덕후가 덕질하면서 유펜 도시학에 진학하게 되는 등 일반 덕후가 전문가가 되어가는 과정을 같이 지켜볼 수 있어서 특별한 채널이라고 생각합니다. (찡긋)
이상, 물어본 사람, 궁금한 사람, 아무도 없었는데~ 였습니다!
@@vinnyoh4274 와 님이 말한 채널들 절반을 이미 구독중임...ㅋㅋㅋㅋㅋ 확실히 도시덕은 도시덕들끼리 만나나보네요ㅋㅋㅋㅋ
@@vinnyoh4274 너무 좋은 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꼭 참고할게요
@@vinnyoh427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M Transit 채널 추천하는 사람이 없네. 이쪽도 좋아요.
단순 철도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도 알려줘서 철덕이 아니어도 재밌고 유익하게 볼 수 있네요
8호선라인 사는데 다른 노선보다 배차간격이 너무 길어요ㅜㅠ 최근 남위례역도 개통했고 조만간 별내 연장까지 끝내면 훨씬 이용객이 많아질텐데, 차량 투입을 더 해야할 시기가 다가온 것 같습니다!
8호선은 최대 6량 승강장에 6량으로 운행중이죠. 요즘 더한 간선도 6량 전철이 많고 경전철도 아니고 중전철로 되어 있기에 량당 수송량이 부족하지도 않고, 급행을 위한 최소 배차 간격도 없으니, 증편하면 수요가 적절할 듯 합니다.
8호선은 솔직히 출퇴근 시간 말고 그외 시간에는 그거 많이 타는 사람 없어요... 솔직히 철도 회사는 굳이 부담하면서 까지 운영할 필요가 없는거죠 다른 노선은 출퇴근 시간 외에도 타는 사람이 많은데 8호선은 그렇지 않는거죠
매번 영상보지만 어떻게 구하기 힘든 옛날 정보들을 이렇게 잘아시는지 + 영상편집 능력 + 지도 그래핑 아주 훌륭하세요
계획의 시작으로 거슬러올라가면 광주대단지 사건이 나올 정도로 계획은 오래전부터 있었던 노선
그 영향으로 8호선 성남시 구간은 서울시 정기권을 사용할 수 있음
역쟁이 이양반도 참 보면 볼수록 대단한 양반임~~!!
직업이 뭔지 모르겠으나 전국철도 지하철을 쫘악
꿰고 있고 막힘없이 시원시원한 설명과 부드러운
카리스마가 일품인 사람입니다. 대단해요 ㅎㅎ
구독자 8만 돌파 축하드립니다!!
경산역님 영상 잘보고 있어요!!!
잠실에서2호선 내리자마자 미친듯뛰어서 8호선타러가 터널같은 길을 미친듯이 뛰어도 시간딱맞아서 맨날 놓쳐요ㅠ배차좀 자주해주세요ㅜ괴로답니다 흑흑
8만명을 축하하며, 드디어 8호선 시리즈 나오는군요,. 갑자기 뜬금없이 8호선 이야기가 나와서
구독자를 먼저 보게 되었습니다 .^^;;;;;; 그냥 성남시의 역사를 영상으로 공부했네요. 감사합니다.
이번 콘텐츠는 수도권 개발의 역사를 요약해 놓은 것 같네요
8만명 축하드립니다 🎉🎉🎉🎉🎉🎉🎉🎉🎉🎉🎉🎉🎉🎉🎉🎉🎉🎉🎉🎉 매번 노선별 영상 올라올 때 마다 역쟁이님의 구독자 갱신축하하러 후다닥 달려오는 😊😊
구독자 8만명 정말정말 축하합니다!!!
철덕이 아닌 저도 보기가 쉬워요! 최고!
국철공 서교공에서 일하시는줄… 철도일 하는데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시네욬ㅋㅋㅋ😂
8호선은 거의 성남선이라고 불러도 무방한데 수도권 전철이 아닌 서울지하철 소속인게 신기할따름
분당선 일산선 일거에 짓고 관리해야할 철도청이 부담스럽다며 발 빼고 서울시 개발에 밀려난 사람들을 위한 노선이니 서울시 예산을 쓰라는 압박에 의한 것.
마찬가지로 7호선 광명시 구간, 장암역도 차량기지 및 향후 편입 가능성까지 넣어서 정기권 구역이 되어 서울시 밖에서 서울정기권을 쓸 수 있는 유이한 예외가 됨.
이후 건설된 노선은 보상 성격이 없고 서울시가 아닌 타 지자체 주도가 되어 기지 이전 연장이 되든가 말든가 서울시 구간으로 인정하는 예외가 추가되지 않을 예정...
서울시가 보상하는 개념으로 지은겁니다. 7호선의 광명구간도 차이는 있지만 그런 의미로 서울시 주도로 지은겁니다.
8호선은 천호에서 잠실 방면 환승할 때
인파가 엄청나죠ㅎㅎ
성남인이라면 8호선 필수 같은 성남은 물론 분당 서울 가기 편함 다만 위례랑 송파쪽 사람이 많아져서 출퇴근시간마다 지옥 하필 가락시장, 석촌, 잠실 전부 8호선의 끝이 다른 노선의 끝과 이어지는 구조로 빠른환승이 1-1 또는 6-4로 똑같아 늘 사람이 많고 출퇴근 시간마다 꽉참
구리까지 연장되면 이용객이 또 얼마나 늘어날지....
그때 되면 구리 출발 암사 출발열차가 1대1 배차 하지 않을까요?
@@magickid7028구리가 아니라 별내죠
최근 남위례역 개통과 그 전 헬리오시티 건설 등 8호선 라인의 인구가 예전보다 밀집됨에 따라 널널하던 8호선이 조금씩 붐비고 있네요. 가뜩이나 6량인데... 이제 차량을 더 투입할 시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문정역도 탑승인구가 많지 않았는데, 법조단지 지어지고나서부터는 출퇴근 하시는 분들이 엄청 많이 타시더라고요
@@anjun8잠실다음 문정이 압도적으로 사람많아짐
위례에서 문정 가락시장 잠실가는 31번 줄 ㅈㄴ길어요
문정쪽 진짜 사람 많이탐 ㅋㅋㅋㅋ
애초에 승강장을 6량에 맞춰서 지었기 때문에 차량 배차 늘려도 한계가 있을 겁니다.
물론 안 늘리는 것 보다야 낫겠지만요.
처음에 이 채널에 들어왔을 때는 구독자 4만명 이셨는데, 벌써 8만명 이시네요. 구독자 8만명 축하드립니다. 🎉 오늘도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일목요연한 설명 잘 봤습니다.
광주대단지사태로 인해서 서울시에서 해당 도의적 책임을 지고 해당구간 운영과 정기권해택을 주고 있다고 하죠
교통공학을 전공하고 현재 교통 엔지니어로 첫 발을 뗀 초년생입니다.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니 왜 오프닝만 한 거 같은데 영상이 갑자기 끝나죠? ㅋㅋㅋ 다음편 존버합니다...
8호선을 깊게 들여다 본다면 광주대단지 사건을 빼먹을수가 없죠. 그래서 7호선과 달리 8호선이 정기권으로 성남시 구간까지 이용할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죠.
8만구독 기념 8호선 영상.... 진정한 역쟁이 그잡채...
진짜 최고의 채널임
광주대단지사건을 이렇게 납작하게 설명할 수 있다니 놀라워요!
그럼 뭘 더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데?
1:20 갑자기 익숙한 동네가나와 놀랐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1974년부터 성남에서 살았는데 이영상보다보니 세월참 빠르다는걸 느끼네요...
벌써 8호선이라니.... 9호선도 기대하고있겠습니다.
초보:9보다 8이 먼저 이니까?
중수:뭐 지하철 역이 적어서?
고수:2기 3기 지하철 기준으로 만들어 졌으니까 어쩔수 없이 8호선 지운건데? 왜지?
???:그냥
광주 대단지 사건에 대해 잘 몰랐는데 광주 대단지 사건이 꽤 영향력이 큰 사건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8호선 역 근처에 사는데 세상 감사한 호선!!!
역문가 역쟁이님 10만을 위해서!!
8만 축하드립니다 🎉🎉
아죠띠
예전부터 봐왔었는데 벌써 구독자 8만이라니..! 축하드립니다🎉🎉
8만명+교통유튜버 중에서 구독자가 두번째로 많아지신거 축하드립니다 🎉
대체..
역쟁이 이분은 누굴까..
아무리 공무원 공사직원이라도 이리 알긴 힘든데..ㅎㄷㄷ
와~ 예전 영상들에 비해서 'ㄹ' 발음 딕션이 많이 좋아져서 듣기가 훨 편해졌습니다 ㅎㅎ
8호선의 역사를 알고 나면 가슴이 숙연해지고 웅장해질 겁니다 성남 대단지 이주 사건
와 이런 고퀄 콘텐츠가 있었다니!!! 당분간 모든 영상 정주행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숫자 달린 노선 이외 이름 붙여진 노선이 더 길어지는 경우도 많아지는듯
8호선 운행 하시는분들이 개꿀인듯 ㅎㅎㅎ
다음영상을 기대하고있습니다.~
진짜 2호선 계획은 정말 잘한거 같다..
10만은 신분당선 11만은 경의중앙선의 비밀 뭐 이런식으로 가다가 지방전철로가도 괜찮을거같아요
8만명 축하드립니다.
광주대단지사건은.. 엄격히 일종의 도시빈민 추방이었습니다.
이주하는 조건에 서울에 돌아오지 않는다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러니 8호선 본질은 서울(도심)으로 오지말라는 성격인거죠.
8만명 돌파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
참 역사적 자료도 보여주시니 정말 유익해요!! ❤
그런 일이 있었군요.
8호선의 역사가 60년대면 저희 부모님이 학창시절때 이야기네요 ㄷㄷㄷ
역쟁이님 지하철 역사공부는 유익하네요 ㅋㅋㅋ
예전에 성남시에 잠깐 산 적이 있는데 8호선-분당선 환승해서 타고 다니면서 같은 성남시인데 왜 8호선이라고 할까 궁금했었어요! 이 영상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됐습니다😊
원래 분당선을 신기해하지않나요? 성남시인데 분당선임
@@DJK-cf1ti 원래 10년전만해도 성남은 존재감 1도 없고 천당 밑에 분당이라그래서 분당만 사람들이 아는 수준이었음. 실제로 분당선 건설되던 30~40년전에는 더더욱 그랬었죠. 최초에 분당신도시를 위해 만들어진 전철이라 그렇습니다. 3호선 끝자락에 있는 일산선도 마찬가지
@@김도인-s9r 일산선이란건 없어요
@@DJK-cf1ti 와 요즘 이거 모르는 나이대 분들도 생겼구나. 지금이야 노선통합되어서 3호선이지만, 일산신도시 만들무렵에는 일산선으로 개통을 하였고, 심지어 노선색도 주황색이 아닌 국철색인 파란색이었습니다. 일산선 국철로 구글링해보면 구분되있다는걸 알 수 있죠. 요즘분들은 알 수 없었겠네요. 너무 신기하다
@@DJK-cf1ti 그것도 알려드릴까요? 지금은 4호선 금정-안산구간이 예전엔 국철(1호선)로 들어가서 안산에서 당고개행이 아니라 청량리행 열차가 존재 했다는거.
'광주대단지사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가슴 아픈 대한민국 현대 흑역사입니다. 학교에서 역사 시간에 배울 일은 잘 없습니다, 문학시간에 다루는 9켤레 구두로 남은 사나이,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공 등과 관련 있는 사건입니다. 옛날 성남 으르신들은 서울시에 분노와 한이 맺혀 있었지요.
제가 집 근처에 5호선 마천역[P555]으로 자주 출퇴근 하면서 5호선,8호선 을 자주 이용하는데 이렇게 5호선,8호선
을 개통할려고 이렇게 고생한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마천역 1번출구 옆에 원래
계단이 있었는데 어제 출근할려고 마천역 승강기 내려 가는데요
옆에 계단 다 헐고 경사형 엘리베이터 공사 하고 있는데 알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마천역 처음보면 이게 서울인가 시골인가 하는 생각듬 일반 집 옆에 지하철 입구
역쟁이 홧팅❤
8호선이 암사에서 남양주 별내까지 연장된다고 해도 좀 애매한 노선이긴 해요
존경스럽습니다!! 화이팅!!
한국 현대사와 함께 성장한 8호선이네요
넘재밌네요 구독자 8만명도 축하드려요
구독자 8만 축하드립니다~!!!
예전에 올리셨던 8호선 건설에 대한 영상을 보다 상세하게 알려주시는군요!
지상을 지나는 철도든 지하철이든 간에 해당 노선이 지날 지역사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함을 다시 한 번 자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네요.
재밌어요
8호선이 구 광주군 지역인 서울 송파구 강동구 경기 성남시 구간만 지나가네요
김포시에서 살고있는 올해 중1 학생입니다.
김포에서 서울로 혼자 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김포골드라인 1,000을 안내고 타고 오히려 2,000원인 버스를 타고 다니고 있습니다.
골드라인을 예전에 많이 탑승했지만.. 계획하고 진행시킨 놈들 욕하고 싶을정도로 좁아터진 지하철을 탈꺼면 차라리 광역버스 타는게 맞습니다.
재밌다…
처음에 언급된 것처럼 서울 동남권이랑 성남에 치우쳐져 있어서 8호선은 한번도 타본 적이 없어요ㅋㅋㅋ 8호선 제외하면 서울 지하철 나머지는 다 타봤고 성남이나 송파를 안 가본 거도 아닌데 어쩌다보니 그렇게 됨ㅋㅋ
서울 시내버스 302, 303, 452번의 성남시 구간을 단축하면 서울시가 X되는 이유가 저 광주대단지 사건이랑 연관되어있음.
지금에 와서는 들고 일어날일은 없겠지만 가처분 신청등으로 없던일로 바꿀수도 있음.
서울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건 이촌향도 현상도 있지만 서울이 다른 지역을 잡아먹어서 경기도 인구의 일부가 서울로 흡수돼서 그런 것도 있음
성남사는 사람입장에선 서울 친구만나기에 딱 좋은 호선이라 편해서 자주이용함
지방에 있는 대학에 다니니 8호선 말하면 애들이 모른다^__^그래도 교통편 최고에 이쁜 핑크색이기까지한 우리 팔호선이 난 너무 좋음!!
성남에 차이나타운 지나가서 이제는 베이징 8호선 느낌임
9만명 돌파를 축하합니다. ㅋ
8만 명 돌파 기념으로 8호선의 비밀이 공개되는군요!
그럼 9만 명 때는 9호선의 비밀........이?
2호선이 구자춘 서울시장에 의해서 만들어졌군요
👍👍
그래서 시외구간인데도 서울정기권 통용이 된다는것
광주대단지는 사업이 아니라 비극이다
부산 지하철도 다루어 주세요
89호선 사랑해요
8호선 신의직장임
수원-용인 권에서 잠실로 지하철로 가려면 꼭 만날수밖에 없는 8호선
단순 역쟁이가 아니네요. 대단~~~~
다산쪽에 노선 뚫는거 괜찮을까...열차도 짧은디 감당 가능하겠습니까
2:41 잠실이 섬이였군..
예. 심지어 남쪽 송파강이 원래 본류여서 송파가 광주군으로 묶였던 것과 달리 잠실은 조선 시대에는 양주군(심지어 저 당시에는 양주관아가 오늘날의 광진구에 있었음), 일제시대에는 고양군으로 묶였던 역사가 있었죠. 그러다 1925년에 발생한 홍수로 건천이었던 신천강이 본류가 되었고 1971년에 매립을 통해 잠실이 강 남쪽의 송파와 하나의 땅이 된 겁니다. 송파강을 매립하면서 딱 하나 남긴 곳이 있는데 바로 석촌호수가 그거죠.
서울 지하철 8호선이 북쪽 종점이 별내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별내별가람역을 거쳐 청학리.신곡동도 거쳐 의정부역까지 연장이 되어지는 것이 맞다고 보았습니다. 참고로 그러므로 8호선 별내역-의정부역 구간은 착공이 가장 늦어도 오는 2024년 4월에는 들어가지게 되어지며 완공 및 개통은 가장 늦어도 2028년 하반기가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8호선 생기고 롯데월드 소풍 가기 좋아서 마냥 좋아했는데 그렇지만은 않았군요😮
성남시는 한강 같은곳에 판자 놓던 가난한 사람들이 쫓겨난(...) 곳이라고 해요
뭐 저는 그시절부터 살지는 않았지만 판교가 미개발 되던때를 생각하면 될거라 생각해요ㄷㄷ
헉! 생각해 보니 나 8호선 타본적 한번도 없어 😱
구로구 사는데 8호선 탈 일 진짜 거의 없는듯
올림픽공원 갔을 때 마지막으로 타봄
8호선은 진짜...ㅋㅋㅋ잘안타게되더라구요ㅜ
아무튼 참 우여곡절도 많은 대한민국의 지하철입니다. 2부 기다립니다.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
그래서 8호선 특집 영상은 몇개입니까???
설마 8개로 분류하신건가요??? ㅎㅎㅎㅎㅎㅎ;;;
4개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이 분 아무래도 기차 및 지하철 종사자임. 그렇지 않으면, 이 정보를 받을 수가 없음
옛날 서울승합 버스회사와도 관련 있죠...
유쾌하 사장...
이거 아는 분들이라면 강동구 토박이 확실함...!!
유쾌하 아시는군요.어릴적 회사 창립기념 찻잔에 특이한 이름이 잇어서 기억이
저당시나 지금이나 신도시에 주택부터 때려 넣고 교동 도로 인프라 나중에 만드는 공무견들의 못된 버릇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
지하철 하나 놓는데 일본에 돈을 빌려와야했던 가난한 시절 1970년대
1970년 한국주변 1인당 GDP ($)
미국 5266, 일본 2056, 대만 396, 말레이시아 375, 북한 329, 남한 253, 필리핀 202, 태국 198, 방글라데시 133, 중국 112, 캄보디아 107, 인도네시아-베트남-라오스-미얀마
암사~잠실구간은 2호선과 연결해서
신도림을 지나서 김포공항으로
연결하고 모란~잠실 구간은 성수로
연결해서 신설동으로 가게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는데
구자춘 시장이 2호선을 저리 짠 이유가 한양도성 영등포 강남 3핵 개발을 연계하는 목적 때문이어서 그건 힘들었을 겁니다.
이 상태로 계속 수도권에만 지어지면 영원히 인구분산은 요원할 겁니다. 지금 계획도 죄다 서울을 중심으로 다 지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