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중국은 교육 때문에 어려워질 겁니다 | 북언더스탠딩 | 보이지 않는 중국 | 남궁민 북칼럼니스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тра 2024
  • 2부 링크입니다. • (2부) 중국의 진짜 문제는 농촌에 있습...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ЕНТАРІ • 1 тис.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Місяць тому +66

    2부 링크입니다. ua-cam.com/video/Z6wHzRDz6jI/v-deo.html

    • @sbkarajan
      @sbkarajan Місяць тому +7

      아... 노동자들이 대학, 대학원을 나오는게 더 좋은거구나... 🤡
      그래야 능률이 더 오르겠죠? 💩

    • @ansantour
      @ansantour Місяць тому +2

      서울가서 돈벌어 동생들 가르친 교육 가족 국가는 대한민국뿐입니다.ㅎ

    • @user-cy1dx9tj2g
      @user-cy1dx9tj2g Місяць тому +2

      엄마들이 지혜로우셨네요~^^

    • @donnaowen-te2ly
      @donnaowen-te2ly 26 днів тому +3

      너무 어이없는 말들만 해서 한 마디 안 할 수가 없네요.
      남궁민씨는 아무리 다른 사람이 쓴 내용이라고 해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자료라도 보고 자리에 나왔으면 합니다.
      매년 수백만명의 공학자들이 배출된다고 해 놓고 고등학교 졸업자가 30%에 못 미치다는게 말이 됩니까?
      심지어 1부에서는 본인 입으로 1년에 공대생만 7,8백만명이 배출되고 있다고 해 놓고 이런 소리를 하면...ㅠㅠ
      중국 출생아수가 매년 2천만명 미만입니다. 그 중에 거의 천만명이 매년 가오카오(수능)을 봅니다. 이 숫자만 봐도 고교 졸업자가 50%가 넘습니다.
      오히려 중국에서는 대졸자 수가 너무 많아져서 줄이는 것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베이징, 상하이, 선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집을 구매하면 후커우(호적)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아이들이 수업도 들을 수 있고 수능도 새 후커우 지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또,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집을 구매하지 않고 임대로 살더라도 학교에 자리가 있으면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다만, 후커우가 없을 경우에는 교육 받은 도시에서 수능을 볼 수 없습니다.
      저도 2000년 이전의 중국은 모르지만 아마도 1900년대 중국을 얘기하는 것 같습니다.
      참 한심한 강의였는데 무슨 소리를 하나 끝까지 봤습니다.
      진행자분께서 중간에 중심을 잡아주지 않았으면 정말 산으로 갈 뻔 했습니다.
      최소한 저는 앞으로 남궁민씨 영상은 거르겠네요.ㅠㅠ심지어 1부에서는 1년에 공대생만 7,8백만명이 배출되고 있다고 해 놓고 이런 소리를 하면...ㅠㅠ

  • @user-rz5kd6wy4o
    @user-rz5kd6wy4o 10 днів тому +26

    엄청 재밌네요.. 먹고살기에도 힘둘던 시절 4형제 대학까지 보내주신 부모님께 감사드립니다.

  • @kcharnie
    @kcharnie Місяць тому +364

    한줄요약 : 소득수준이 높아야 교육수준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교육수준이 높아야 소득수준이 올라간다는 것.

    • @user-jp3de2mu5z
      @user-jp3de2mu5z Місяць тому +9

      우리나라가 박사 보유 1위국인데 왜 박사 적은 미국 보다 소득이 낮은가요 ㅠㅠ

    • @thisistheway3639
      @thisistheway3639 Місяць тому

      ​@@user-jp3de2mu5z원유가 없어서요

    • @user-wq2zv4tx3x
      @user-wq2zv4tx3x Місяць тому +34

      ​​@@user-jp3de2mu5z그 박사들이 다 미국에 있으니까요. 참고로 전세계에서 모여듬
      우리나라는 박사가 취업할 곳이 너무 적음

    •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Місяць тому +7

      @@user-jp3de2mu5z
      근데 미국 국민소득이 8만 5천불이긴한데
      빈곤층이 너무 많고 빈부격차가 너무 심한 나라여서
      중산층의 실질적인 생활수준은 캐나다.독일.네덜란드.오스트리아.호주 중산층 생활수준이랑 별 차이 없는걸로 알고 있어요

    • @user-mm8rm3bl8m
      @user-mm8rm3bl8m 29 днів тому +5

      ​@@user-jp3de2mu5z미국도 심각해요 소득격차가 날이 갈수록 심해진다고 합니다 월1억을 벌어도 힘들다고 하네요 그걸 못 따라가면 노숙자가 되는겁니다.

  • @hoya1850
    @hoya1850 Місяць тому +221

    우리나라 언론들은 진짜 해외 뉴스를 보도를 안함.. 이게 결국 정치에 포커스 되어있고 해외 뉴스를 취재하는 걸 돈이 안되니까 안하고 지금 보도나 취재가 먼가 이득이 있는거만 취재하는거임.. 실제로 화재나 살인사건 빼곤 결국 어떤 기업이나 법 또는 정치가 엮여있음.. 이걸 지들 입맛에 맞게 보도하면서 중간에서 이득을 취함.. 진짜 언론은 한번 엎어야함..

    • @user-et4kp2tt4x
      @user-et4kp2tt4x 28 днів тому

      언론 사기꾼들이 나라를 망치고 있음. 이것들 정말 손봐야 됨. 공산주의 중국을 찬양하질 않나.
      나라에 빨간물든 정치꾼을 아무 비판도 없이 현상으로만 애기하질 않나.
      언론이 선동하고 조작질을 하지 않나. 정말 문제다 많다.

    • @user-cm4sx1pz9t
      @user-cm4sx1pz9t 28 днів тому +4

      그러면 요즘 mbc KBS jtbc sbs 등에 언론사들이 중국에 관련된 별에별 우리가 알필요도
      없는것을 보내는거나 얼마전에 중국인 부부가 이혼을 하는데 차이리 돈을 안준다고 해서
      이것을 공안들 참여하예 여성을 감금하면서 국영언론사들이 생중계 하는것을 되리어
      국내 언론사들이 이것을 그대로가지고와서 보내는것을 뭘로 바야되나요
      진짜로 상식으로 바도 이해가 안되고 정신나간건지 미친건지 한심하던데

    • @hoya1850
      @hoya1850 27 днів тому

      @@user-cm4sx1pz9t 정말모르는거 같아서 얘기드립니다. 가끔 뜨는 해외이유중에 너무나 유명하거나 주요이슈는 다룹니다.
      그리고 님이 쓴거처럼 그런 이슈는 해외를 담당하고 있는 기자가 성향에 따라 해외 뉴스를 쭉보다가 내보낸거 같은데 약간은 젠더관련이슈 같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내가 지적하는건 해외쪽만 담당하는 직원이 마치 없는거 처럼 시시콜콜한 이슈나 누구나 알만한이슈.. 요새는 경제쪽은 유투버가 훨씬 빠르게 때문에 걔들보다 못하다는 말을 안들을 정도의 이슈만 내보내고 언론이 중요하게 봐야하는 다른나라들이 어떻게.자국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가와 우리나라 걍제나 기업에 타격이 있을만한 다른나라의 움직임들에 대한 견해가 없습니다.

    • @user-wz3vg3bz3i
      @user-wz3vg3bz3i 8 днів тому

      ​@@user-cm4sx1pz9t 윗댓이 말하는 국제뉴스라는게 그런 시시콜콜한 개인들의 잡뉴스를 말하는게 아닌거같은데?? 우리나라가 국제뉴스에 관심없는게 맞음.
      국민들이 국제정세를 모르니까 정치인들이 정신나간 국제관계 얘기를 해도 그 말을 믿으면서 선동당하는거임.

  • @user-yo4df2bm4l
    @user-yo4df2bm4l Місяць тому +104

    공산당은 똑똑해지면
    통제 불가~~유익한 내용이네요.

  • @bbokdoong
    @bbokdoong Місяць тому +216

    우리가 우리 부모 세대와 조부모 세대를 존중해줘야 하는게 이런 이유. 평생 배고프고 못입고 못즐겼어도 자식들 잘되라고 학교 보냈고 그걸로 우리나라가 최빈국에서 이만큼 올라온거임. 그들이 좀 답답하고 앞뒤가 꽉막혔다는 생각이 들더라고 비판 보다 존중하는 마음을 먼저가지는게 중요. 대화를 할때도 좀 생각이 다르더라도 먼저 그들 세대들이 잘한점을 얘기하고 거기서 부터 대화하면 의외로 대화가 잘 통함. 그들의 삶을 통체로 부정하는 비판으로 대화를 시작하면서 그들과 대화가 안통한다고 속터져하는건 우리도 잘못하고 있는거지.

    • @user-xy6xp8zq4t
      @user-xy6xp8zq4t Місяць тому +32

      부모님들은 무에서 몸으로 부닺쳐 살아오신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시대의 산증인들 이십니다

    • @nocoffee6029
      @nocoffee6029 Місяць тому +29

      좋은 생각입니다.
      참 사려깊은 사람, 멋져요.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Місяць тому +23

      좋은 소통법 널리 알리고 홍보했으면 해요 세대갈등 심한데 정부에서 홍보해야 할 소통법이네요

    • @user-nj3wo4kb1p
      @user-nj3wo4kb1p 16 днів тому +13

      정말 말씀
      공감합니다

    • @user-gi9dd8mz4o
      @user-gi9dd8mz4o 11 днів тому +8

      좋은생각입니다..

  • @user-bi1ib4gk6h
    @user-bi1ib4gk6h Місяць тому +168

    38년생 어머니 말씀 김천 살다가 전쟁으로 부산 피난 갔는데 천막쳐놓고 학교 열어서 거기 다녔답니다.

    • @minkyungk420
      @minkyungk420 28 днів тому +12

      우리나라가 특이한 것이 아니고, 그 당시 지도자의 선견지명, 특히도 여학생들의 교육도 신경쓰고 있었다는 것을 왜 말하지 못할까요. 입틀막도 아니고.

    • @jeiw5705
      @jeiw5705 28 днів тому

      보수의 성과를 인정하고 널리 알려지는 게 싫어서.

    • @user-pd2ju2ce7y
      @user-pd2ju2ce7y 28 днів тому

      @@minkyungk420우리나라가 특이한게 맞음.
      그 망해가던 대한제국시대때도 교육사업에 은근히 투자를 많이했었고, 일제시대때도 민간에서 투자할테니 조선총독부에 학교사업 허가만 해주라고 했던 특이한 사람들였음.
      그 506070년 시대때도 배우는 학생들이 공장 노동자들 상대로 야학 열기도 했는데. 이건 지도자의 선견지명도 있지만, 배우는거에 대한 욕구가 극도로 심했던 민족이라고 봐야함.

  • @meyoungbin2640
    @meyoungbin2640 Місяць тому +173

    2부 보고 너무 재미있어서 1부 보러왔어요. 못 먹고 힘들던 시절에도 교육에 투자 했던 우리 어른들의 안목에 감사드립니다

    • @annabelle3926
      @annabelle3926 Місяць тому +2

      지금은 의외로 투자 안해서 큰일이예요. 교육열과 투자에서 양분화가 심각해지고 있어요.

  • @David-bm7ix
    @David-bm7ix Місяць тому +113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에도 신분제에 해당하는 농촌호구와 도시호구를 정해 두었어요..농촌호구가 도시에 나와서 노동자가 된것이 농민공이라고 하죠..농민공은 신분제의 제약으로 값싸게 노동력을 제공할 수 밖에 없지요..이것을 내부식민지라고 합니다..중국은 내부식민지로 농민공의 값싼 노동력을 착취해온 겁니다..그 농민공이 3억명입니다..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Місяць тому +4

      농민공의 월급을 보면 놀라 자빠질걸?
      월급으로만 봐도 국내에서 중소기업 회사원하고 현장인부하고 누가 더 많이 받을거 같음?

    • @alexp2019
      @alexp2019 29 днів тому +1

      @@user-dj3oy5rc7u일하는 시간이 24시간이면 어떨까요?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29 днів тому

      @@alexp2019
      24시간 일할수는 있고?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29 днів тому

      @@alexp2019
      노예주도 잠은 재웠음.

    • @kim-jm4wm
      @kim-jm4wm 29 днів тому

      중공을알아야우리가 이긴다. 지피지기 백전불태 !

  • @sandyahn002
    @sandyahn002 Місяць тому +56

    우리나라의 어리석은 언론들, 공부안하는 기자들, 언더스탠딩이 그나마 지속해서 꾸준히 채워주시네요. 감사드립니다. 힘내셔요. 2부도 보았습니다.

    • @user-be1tn9vq3h
      @user-be1tn9vq3h 6 днів тому

      대통령 국회의원들 부터 공부 많이 해야겠던데요 ?

  • @user-ok4dr5lt1l
    @user-ok4dr5lt1l Місяць тому +77

    고졸 이상되어야 공장 매뉴얼도 해득하고 생산기술도 발전하죠. 소수의 과학자 집단도 중요하나, 더 중요한건 질 좋은 인적자원이 제조업 현장 포함 산업 돌아가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 @jjj-kv4do
      @jjj-kv4do 26 днів тому +2

      중졸 고졸이많았던 70-80 년대보다 현재 발전 더 잘하는건가요???
      학력이높아지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생산 가성비가 떨어지고 경쟁력에서 밀리는거임.
      너무 똑똑하다고 좋은것만은아님. 오히려 잔머리굴리고 힘든일은 안할려고하고.... 부지런하다는 단어는 사라짐.

    •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23 дні тому

      ​@@jjj-kv4do 돌대가리도 돌리는 공장은 인건비 경쟁이라 후진국으로 이전하고
      선진국은 대가리 엄청 돌려야하는 고부가가치 3차 산업에서 일을 해야하는 거란다.

    • @user-ib4qh7wn2i
      @user-ib4qh7wn2i 14 днів тому +3

      많은 시간을 교육에 돈을 투자하면 사회 진출은 더욱 늦었지고, 들어간 기회비용 때문에... 눈높이가 낮은 곳에서 출발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자진해서 히키코모리가 되거나, 비교문화 열등 허영 자존감 문제가 되고, 각종 갈등 심각한 내적 심리병 발생합니다. 행복도가 낮아고 매사 부정적이고 불행하다고 느낍니다.

  • @duriduba9739
    @duriduba9739 Місяць тому +714

    우리나라는 정말 외국뉴스를 다루지 않는다는걸 외국에서 뉴스보다보면 깜짝놀랍니다. 사건사고가쉽이 아니라 정치경제정세를 자주 자세히 꾸준히 뉴스에서 해줍니다. 우리는 전국민 우물안개구리 만들기하나 싶어요.

    • @mincheoloh7992
      @mincheoloh7992 Місяць тому +34

      북한하고 비슷?

    • @user-gq7pr9xd3t
      @user-gq7pr9xd3t Місяць тому +3

      ㅋㅋㅋ

    • @pellet0136
      @pellet0136 Місяць тому +110

      동의합니다.온 국민을 우민화 시기는거죠.외국tv보면 거의 토론이던데 우린거의 드라마.예능 이니..

    • @outerk.8623
      @outerk.8623 Місяць тому +81

      외국은 보도해줘도 관심없는 국민들이 많고, 우리는 보도기관들이 능력부족이고

    • @user-ms3vq8nn4w
      @user-ms3vq8nn4w Місяць тому +14

      영어를 배워서 해외뉴스를 스스로 찾을 생각은 안하니? 떠먹여 주랴?

  • @smile10002
    @smile10002 11 днів тому +14

    원래 기득권은 국민이 똑똑해 지는것을 원하지 않는다는것....

  • @user-fu9ur7mg6d
    @user-fu9ur7mg6d Місяць тому +205

    극단적으로 한국 언론사의 중국 특파원은 언어도 안되고 문화도 모르고 인맥도 없어 사무실에 앉아 미국 언론사의 중국 관련 보도 기사 내용을 스크랩 번역하여 기사 작성한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 @user-ge7xq4oj5q
      @user-ge7xq4oj5q Місяць тому +1

      공감!

    • @user-rr6st6fe2b
      @user-rr6st6fe2b Місяць тому +4

      중국만? 일본이나 호주나 영국은 머 실제 거주하면서 발로 뛰기나 하고?😂😂😂

    • @alexp2019
      @alexp2019 29 днів тому +3

      그건 어느나라나 마찬가지죠 중국도 한국도 다썩어빠진 기사를 정치적분위기에 맞춰서 유포하면서 돈버는거죠 . 결국은 다른 나라에 대한인식이 일정한 틀에 박혀있고 나가 여행해도 기껏해봤자 1-2년 을 거주하지 장기적으로 자기가 알고 있는내용을 확인하지 않기에 그냥 이런 미디어 놀음에 놀아 나죠

    • @user-bc5du3oj7q
      @user-bc5du3oj7q 11 днів тому

      중국현지서 직장생활하는 직장인이나 교환교수,연구자,석박사유학생, 한중결혼 유자녀 한국인이 중국을 더 잘안다... 내가 젤 마지막 케이스.
      파견기자가 중국매체나 사회문제 공개내용 번역해서 보도하는거 보면 내가 기자해도 깊이면으로나 뭐나 현실적인거를 더 논할수있다고 본다. 대도시 출신 시민, 중국 농민, 일반서민, 농촌출신 대도시 고학력출신, 사업가, 부자,유학파, 교육계종사자 모두 가정환경 사고수준이 천차만별 서로 선긋기가 심하고 화이트칼라 출신 중상층가정은 한국대기업 가정같이 사교육, 유학 등 여유로우면서 타이트한 생활을 한다. 주택, 자동차, 공산품 등 자기생활수준 맞는 가격대로 골라구매 할수있는 가격과 품질레벨 선택의 폭이 넓다고 할수있음

    • @WonDevilout-mc1ee
      @WonDevilout-mc1ee 11 днів тому

      한국대학수준부터가 그렇다

  • @jos8899
    @jos8899 Місяць тому +122

    대만과 한국은 출발선이 다르다. 대만은 중국에서 세계 금값이 변동될만큼 엄청난 금은보화를 가지고 이주한 금수저로 이미 50미터에서 출발.
    한국은 전쟁까지 겪은 출발선이 저 뒷쪽 150미터에 있던 나라.
    기적은 한국이 유일하다.

    • @somang8227
      @somang8227 26 днів тому +6

      누가보면 미국 지원없이 자력으로 성공한줄알갰네

    • @user-fw8wv8bu3k
      @user-fw8wv8bu3k 25 днів тому +23

      @@somang8227 미국 지원 파병 받은 나라가 한두곳이 아닌데 성공사례가 한국 유일...

    •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23 дні тому

      ​​@@user-fw8wv8bu3k헛소리하네 🤣
      한국은 미일 덕분에 경제성장한 유일한 나라다.
      삼성전자 - 마츠시타, 도시바
      현대차 - 미츠비씨
      기아차 - 마츠다
      삼성차 - 니싼
      효성 - 스즈끼
      대림 - 혼다
      동아오츠카
      한국 야쿠르트
      CJ라이오
      다이소 등등등
      석유화학 플랜트 다 일본 기술
      일본 ODA 사업 - 소양강 댐, 지하철 1호선, 포항제철
      미국은 국방원조 식량원조 자본원조에 일본 대체 한국산 자동차, 전자제품, 반도체를 사줘서 경제 성장 시켜줌

    • @Space-gw3yj
      @Space-gw3yj 19 днів тому +7

      세계유일 독특한 민족이긴 한듯요 ㅎ

    • @WonDevilout-mc1ee
      @WonDevilout-mc1ee 11 днів тому

      대만 사람들 예의바름. 부자가 아니라도 행동이 부자들 같음. 찌질한 노예근성 잘 없음.

  • @user-ln7uk8km5z
    @user-ln7uk8km5z 28 днів тому +44

    일 시킬때 , 재교육할때 기존에 받은 고등교육이 밑바탕된다는게 재밌네요
    우리나라 교육 질을 걱정하게 되네요

  • @wonhong8287
    @wonhong8287 Місяць тому +112

    대한민국의 기적은 지지리 못사는 주제에 원조 받아서 먹을 거, 입을거 안사고 학교부터 지어댄 데에 있어요. 전후 우리나라의 공교육 투자를 보면 놀랍고 눈물겹기까지 합니다. 여러 후진국, 개도국들이 한 때 자기보다 못 살았던 한국을 만만히 보고 희망회로를 돌리지만, 그들의 마인드로는 절대 대한민국의 발전 경로를 흉내조차 낼 수 없을 겁니다.

    • @jeiw5705
      @jeiw5705 28 днів тому +11

      우리 엄마가 6.25때 초등학교이셨는데 그 때도 천막 치고 선생님이 가르치셨었다고 하셨어요.

    • @user-wx3rq6ec9y
      @user-wx3rq6ec9y 26 днів тому

      동남아 후진국들은 날씨 때문에라도 발전 못함. 부지런할 수가 없는 환경임. 기후랑 지역도 그만큼 중요함

    • @jeiw5705
      @jeiw5705 26 днів тому

      @@user-wx3rq6ec9y
      우리나라는 여름엔 쪄죽고 겨울엔 얼어죽는... 개인적 생각으론 어떤 민족이 원시종교 수준에서 벗어나 고등종교(불교, 기독교)를 접할 때 영적 수준이 올라간다고 봄. 삼국시대 왕실 법도나 의식, 윤리 등등도 불교영향이 있었기에 가능했음. 서양은 기독교. 불교, 유교, 기독교로 이어지는 한민족의 영적 변화와 진화가 있었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음. 북한을 보시오. 인간같지 않은 인간을 어버이 신으로 섬기는 나라 꼬라지를.

    •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25 днів тому

      ​@@user-wx3rq6ec9y ㄴㅇㅁ가 너무 흥건해서 그럼

    • @user-wx3rq6ec9y
      @user-wx3rq6ec9y 25 днів тому

      @@user-dp4vh6yh3z ㄴㅇㅁ 는 너무 뻑뻑하더라 ㅋㅋ

  • @user-py8fs4zk8x
    @user-py8fs4zk8x 11 днів тому +9

    송나라 사신이 고려에 와사 보고 쓴 기록에도 고려의 교육열에 대해 놀라워 했던…ㅎㅎ 우리의 교육열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님요.

  • @user-hz1hb6im2i
    @user-hz1hb6im2i Місяць тому +84

    최준영 박사가 한번 말한 것데 또 들으니 새로네요

  • @user-ml1sk7nd7k
    @user-ml1sk7nd7k Місяць тому +47

    수치가 맞나 싶어 찾아보니 2023년 고등학교 입학율은 91.8%라는데 총인구수로 따지면 아직도 고졸비중이 30%정도가 맞더라구요.
    그리고 영상에서 나오듯 저소득국가일때 고졸비중이 총인구수 50%이상이 되여야 선진국으로 넘어갈수 있는데 중진국에 들어온 지금에 와서 수치를 올린다 해도 이미 괴리가 생겨서 더 발전하기 힘들다 라는걸 설명하는것 같아요.
    근데 그것때문에 발전하기 어려운건 있어도 망할것 같진 않네요.

    • @luca6618
      @luca6618 Місяць тому +7

      대졸 70%의 나라가 고졸 30% 후진국의 돈을 받자고 똥꾸핧고 있다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 @Bee-xs8jn
      @Bee-xs8jn Місяць тому +4

      한일은 12년의무교육이고 중국은9년의무교육이라서 중졸이 많은것같은데요

    • @yeon2839
      @yeon2839 Місяць тому +3

      강력한 인구 정책으로..인구 많은 이전 세대는 가난했던 공산주의 세대고, 개방 이후는 인구가 급감소했으니까요. 그러나 아무리 낙후되고 고졸이상자가 적다한들..기본 인구가 있으니.. AI시대다보니, 과거 근대 산업발전 모델과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땅 넓고 자원 많고 공학도 대접하는 중국보다 우리나라 미래가 더 심각한듯..

  • @essang86
    @essang86 Місяць тому +64

    중국 어른들 보면 위챗사용할때 오디오 메시지 쓰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이유는 글자를 못 읽거나 못써서이다. 문맹률이 굉장히 높다. 그리고 중국의 교육제도는 조금 다른게 한 사람의 삶이 조금 일찍 결정되는데 초등부터 상급학교 갈때마다시험쳐서 들어가기 때문에 초등부터 이미 결정됐다고 봐야한다. 공부 잘하는 학생들만 상급학교로 진학할 수 있고 공부 못하면 기술학교 같은데 가는거임. 그렇게 중국에서 사회의 피라미드가 유지되는게 아닐까. 중국에서는 이런말이 있다. 태어나서부터 세가지를 위해서 싸워야 하는데 첫째 태어나서는 병원의 침대를 위해 싸우고, 학교 책상을 위해 싸우고, 일자리를 위해서 싸운다. 정말 싸운다 라고 말한다. 우리가 헬조선 헬조선 하지만 정말 중국에서 태어나지 않은걸 감사해야한다. 모든 경쟁이 우리의 몇백배 핵마라맛이다

    • @sarah-sz1vl
      @sarah-sz1vl Місяць тому +2

      그렇군요.
      그래도 한국도 치열한 경쟁사회죠.
      중국과는 또 다른 차원의..

    • @jeiw5705
      @jeiw5705 28 днів тому +1

      ​@@sarah-sz1vl그래도 중국보다는 훨씬 낫다는.

  • @user-lt4pc4jj1m
    @user-lt4pc4jj1m Місяць тому +20

    한국 교육열이 대단한거였네요.

  • @user-ou1iu9gu7y
    @user-ou1iu9gu7y Місяць тому +73

    와!! 남궁민 너무
    기다렸어요 바빠도
    자주와주세요 😂😂😂

  • @user-jw6pe9lv6z
    @user-jw6pe9lv6z Місяць тому +45

    우리나란 그리 해외여행은 많이 다니면서 정작 국제문제에 관심없다는 게 문제. 세상일이 한반도 중심으로 돌아간다 착각하는건지.
    주변국가든 먼국가든 좋고 싫음의 문제로 끝나버림. 깊게 알려하지도 않고.

  • @gwisekor
    @gwisekor Місяць тому +213

    9명이 임신해도 한달만에 출산을 할 수 없다. "개발자를 9명 투입해도 한달만에 만들 수 없다." 명언이네

    • @SP-ze1hw
      @SP-ze1hw Місяць тому +20

      한국의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는 거로 들리네요ㅜ

    • @jhpakr8742
      @jhpakr8742 Місяць тому +2

      ​@@SP-ze1hw아

    • @nationalroad123
      @nationalroad123 Місяць тому +1

      국내의 도시도 민주적인 분위기가 뒤처지거나 더 권위적인 지역이 실질적으로 더 못 산다는게 현실이다. 규모는 크더라도 부가 편중된 도시가 있는 반면에 작은 규모의 경제이면서 못살것 같은 지역이 조사해보면 통계적으로 더 잘 살고 돈도 더 잘 벌고 있었다는게 증명됐다.

    • @nationalroad123
      @nationalroad123 Місяць тому +15

      학력이 떨어지면 확실히 덜 민주적인 인지력을 가지고 있다. 결국 중국이 권위적인 사회주의에 머물러 있는건 역시 교육수준이 낮은 결과이군요

    • @subinkids
      @subinkids Місяць тому +2

      개발자 9명을 투입해도 한달만에 만들 수 없지만 90명을 투입하면 한달만에 가능한게 불편한 진실이었는데
      지금은 인공지능 때문에 9명만 있어도 한달만에 만들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 @user-vu5sz9dg3s
    @user-vu5sz9dg3s Місяць тому +105

    내가 이 야그를 10년 전부터 했음...나도 중공에 10년 썩다 나왔는뎅...당시 중공 내부에 있는 한국인 견해는 딱 두분류 였음 중공은 발전한 아니면 못한다...발전한다고 보는 사람들은 중공에 거주 하지만 대 도시의 사무실에서 그 주위의 고만 고만한 사람들만과 교류 하던 분류이고 나같이 발전하지 못한다 라고 결론 내렸던 분류는 시골까지 닭장차 타고 출장 댕기면서 그 시골의 실무진을 만나면서 직접 핸드링 했던 분류들임...

    • @user-xq8tm5nm7s
      @user-xq8tm5nm7s Місяць тому +3

      내그 이야그 햇제?!

    • @hyounggoochung4858
      @hyounggoochung4858 Місяць тому +4

      우리나라 처럼 교육열이 어마어마하게 높은 나라가 실제 많지가 않음. 점차 고졸 정도까지는 대부분 교육을 받게 되는 시대가 오겠지만 대학졸업자 비중은 유럽도 보통 3~40% 정도 밖에 안된다. 중국은 나라의 크기를 떠나 인구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지 도시권의 교육열은 우리나라 못지 않지.
      (오히려 과거 역사사례를 보면 중국은 한국의 고대 왕국들이 문명 측면에서 발달한 점을 상당히 견제하고 시기할 정도로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한국은 문명으로 경쟁하던 나라들임. 놀랍지도 않게 동아시아에서 문명화가 가장 발달한 두 국가가 중국과 한국임. 이는 중국의 교육에 대한 투자는 결과적으로 한국 못지않은 수준까지 올라올 수 밖에 없다는 역사적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줌. 못살아서 못 배우는 걸 이미 수천년전 공자도 지적한 바 있음. 예의염치도 먹고살만해야 논할 거리가 된다고.. 왜 이리 중국을 이런 걸로 무시하는 지 이해를 못하겠네)
      이런 문제로 중국이 발전하지 못한다는 말을 하는 거 자체가 논리적으로 말이 안됨. 특히 10년전부터 이야기 했다는 데 10년전과 비교하여 지금 현 상황을 보면 이 댓글 쓴 이의 주장 자체가 틀려먹은 걸 현실에서 확인할 수 있음.
      안타깝게도 19세기 까지 전세계 경제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포션을 차지한 게 중국임. 1~200 년 뒤쳐졌다고는 해도 내륙 분열기가 오지 않는 한 중국이 다시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라 갈 수 밖에 없음.
      요즘 중국경제 망하니 어쩌느니 하는 유튭 보면 어이 없는 게 한두개가 아님. 게다가 중국경제가 망하는 게 과연 옆나라인 우리에게 경제적으로 좋은 것이냐? 라는 문제에 대해선 관심도 없음. 그저 중국이 싫으니 망해야 한다는 멍청한 소리만 해대는 게 현실임. 외교/안보는 잠재적 적국으로 대비하는 것이 옳지만 돈 벌어먹는 대상으로 중국을 이렇게까지 왜 폄하하나 도저히 이해가 안감.
      나 홀로 과수원 하는데 옆동네 100명이 사는 동네가 좀 나랑 사이가 안좋다고 그냥 다 무시할 거임? 사과는 팔아먹어야 할 거 아님?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부류들

    • @user-xq8tm5nm7s
      @user-xq8tm5nm7s Місяць тому +3

      @@hyounggoochung4858 영상 다시 시청하도록

    • @hyounggoochung4858
      @hyounggoochung4858 Місяць тому +1

      @@user-xq8tm5nm7s 이 댓글에 답한건데 멀 영상을 보라고 함?

    • @user-jw2ji7sy6n
      @user-jw2ji7sy6n Місяць тому

      @@hyounggoochung4858 맞는말씀. 동감

  • @user-kc2ih3yu9v
    @user-kc2ih3yu9v Місяць тому +86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교회를 세우는것과 동시에
    이나라 곳곳에 학교와병원을 세웠슴
    이화학당 세브란스 의대
    전주예수병원
    등등
    수없이 많은
    고등교육기관을 이땅에 세웠슴
    교육이야말로
    미개에서 벗어날수있는
    최선의 방법임
    한국에서 저개발국가에 파송되는 선교사님들도
    현지에가면
    교회와 더불어 학교를 세워줌
    교육이야말로
    가난을 벗어날수있는
    최선의 사다리이기 때문임
    진짜 그옛날에
    잘사는 고국을 떠나
    지지리도 가난했던 한국땅에 와서
    교회를 세우고
    학교를 세워준
    선교사님들께
    감사해야함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 Місяць тому

      전교조가 지금 어린이날이라고 어린이 bl 퍼트리는데 망할듯

    • @kiweejam
      @kiweejam Місяць тому +3

      특히 인요한의 선조들~ 근데 인요한은 어찌 그리되셨어~.

    • @user-sy4qw8vk4c
      @user-sy4qw8vk4c Місяць тому +17

      전세계에 선교사들이 병원 학교 등등 엄청 지였지만 한국만이 초고속 발전햇어요 그차이점이 한국인 특유의 교육열이라고 분석하는거구요

    • @butterflys9132
      @butterflys9132 Місяць тому +11

      한국교육사 공부해보시면 조선시대 이미 우리냐라는 교욱열 미쳤음 전국어 웬만한 고을에는 정부에는 운영하는 향교가 있었고 과거 시험도 양반위주이기는 했지먄 농민도 법적으로는 과거 시험 볼 수 있었음. 그래서 과거시험은 농한기에 치뤄졌고 월말고사 출석체크는 서양에서 온게 아니라 향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던 교육 시스템중에하나였음 향교 없는 동네는 동네분들이 선생님 모셔와 서당 열었음
      그래서 전쟁통에도. 천막치고 학교 열은게 이상하지 않은거임 외국 선교사들도 학교 세워준 가장 보람있는 나라가 아닐까
      선교사들이 세상에 세운 학교가 한 둘입니까
      참고로 서양엔 월말고사 없음.
      그래서 지금은 우리도 월말고사 안보는거임
      원래 우리는 수백년동안 월말고사 보는 민족이였음.

    • @korea-xp2md
      @korea-xp2md Місяць тому

      다 통제하는 나라가 저런책을 쓰겠어요 ㅋㅋ

  • @nabie981
    @nabie981 10 днів тому +4

    남편이 중국 상하이에서 장기 출장을 하던 중에 가정부 아줌마를 두고 있었는데, 짧은 중국어 실력으로 의사소통이 잘 안 되서, 한자로 써서 의미를 전달하려고 하니까 아줌마가 글을 못 읽는다고 하셔서 깜짝 놀랐어요. 조선시대에 한자를 평민이 잘 몰랐던 것처럼, 한자는 오랜 학습없이는 배우기 어려운 글자라 가난하고 교육을 덜 받은 사람들은 아예 글을 못 읽을 수도 있다는 걸 깨달았죠. 한국은 정말 세종대왕님께 정말 감사해야 합니다.

    • @user-tq7td7wr5f
      @user-tq7td7wr5f 9 годин тому

      가정부가 글자를 모른다는 거네요 ㅋ

  • @cai47563
    @cai47563 Місяць тому +45

    패러다임을 다소 바꿔서 볼 필요가 있는게 중국은 딱히 인민이 잘사는 선진국이 될 생각이 없음 , 중국이 되고 싶은건 당과 당의 충성하는 소수가 잘살고 국가로서 파워있는 강대국이 되고 싶은거지 인당 소득수준이 어떻고 교육이 어떻고 관심이 없음 … 평균 임금 오르고 교육수준 높아져 다들 똑똑해지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가 더욱더 공산당을 향할것이고 이를 컨트록하기 매우 힘들것으로 예상됌 언론통제+교육통제+세뇌가 적절하게 먹힐 수 있는 대상은 다수를 차지하는 교육수준이 높지 않은 호적이 농민으로 되어있는 국민들임 … 좀 다른 시각으로 중국을 바라봐야함.. 그저 적절한 기술 강대국으로 당의 충성하는 기업이 있기를 바라지 사상이 넘치고 자유로운 백가쟁명이랑은 거리가 매우 멈… 일회성으로 간단히 쓰고 작은거에 당에 감사하고 버릴 수 있는 저소득층이 계속 유지되기를 바랄거임…

  • @user-lz7fj2gv6u
    @user-lz7fj2gv6u Місяць тому +12

    미국은 고등학교 의무교육입니다 2008년도에 퇴학률이 높고 2016년 에는 최고졸업율이 83% 입니다

  • @jikim6870
    @jikim6870 10 днів тому +4

    못입고 못먹더라도 교육의 중요성을 우리 조부모님들은 잘 아셨던 것 크으 존경스럽넹

  • @user-zu9jf5sq6z
    @user-zu9jf5sq6z Місяць тому +38

    보자마자 망설임 1도 없이 들어왔습니다! 남궁민님 자주 나오시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 @hunihoon6662
      @hunihoon6662 Місяць тому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user-vd2lb4vm4q
    @user-vd2lb4vm4q Місяць тому +18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쳐봅시다… 속 후련하게…초조와 불안감을 해소하는데는 최고… 언더스탠딩👍

  • @mrdragonrider
    @mrdragonrider Місяць тому +14

    뭔가 통계에 오류가 있나봅니다. 미국 25세 이상 인구의 90%가 고졸이상입니다. 지금 얘기되는 50%는 1960년대 미국일지는 몰라도 2020년대 미국 얘기는 아닙니다. 참고로 미국은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입니다.

  • @younggun7002
    @younggun7002 Місяць тому +55

    이 책 최준영 박사님이 지구본연구소에서 한번 다뤄주셨음ㅎㅎ 어쩐지 내용이 낯이 익었음ㅎ

  • @user-cg5kh9cd6g
    @user-cg5kh9cd6g Місяць тому +23

    그 시절에 학교를 지은 이유는 민족성을 지키기위해서입니다
    일제가 민족말살정책을 추진했기에 한글을 한국말을 못쓰게하여 민족성을 잃을 위기에 있어서
    독립운동가들이 학교를 만들고
    일제의 눈을 피해 한글을 가르치고
    한민족 정체성을
    지키고 교육을 시켜 서양의 문물을 배워 일제를 이기려는
    깨어있던 어른신들이 교육에 힘을 많이
    키웠지요
    교육만이 살길이요
    독립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하여 인재를
    키우는데 최우선을 했기에 지금의 교육의 바탕이 된것이지요
    그분들의 헌신의
    역사가 있었기때문에
    가능한 역사입니다

    • @user-lt4pc4jj1m
      @user-lt4pc4jj1m Місяць тому +1

      학교.병원을 지어준건 미국 선교사들이었죠.그들의 신앙심땜에 학교지어주고 유학도 보내주고요.
      연세대.세브란스.이화여대가 증거죠.

    • @Felix-qo9oi
      @Felix-qo9oi 28 днів тому +2

      이게 정답이죠
      누구는 이승만 대통령의 선견지명이다 뭐다라는데
      그것보다는 일제의 교육을
      우리의 교육으로 바꾸기 위한 피치못할 수단이었던 거죠

  • @user-qe7dk9il5s
    @user-qe7dk9il5s Місяць тому +16

    남궁민님 더 자주 나와주세요🎉🎉🎉

  • @blanche1813
    @blanche1813 Місяць тому +15

    남궁민 기자님 소개해주신 책 따라서 사는 중인데 확실히 영상 보고 읽으니까 넘 좋은 ㅋㅋㅋ

  • @SHKim-uv4wo
    @SHKim-uv4wo Місяць тому +55

    중국에 교육열이 높은데 문제는 그 내용입니다. 시진핑 교리 등을 외우고 시험치는데 어떻게 교육이 의미가 있을까요 ~~~

    • @loppesha206
      @loppesha206 Місяць тому +6

      그럼 교리에 무슨 문제가 있나?너 그냥 시진핑이라는 이름이 싫을 뿐이지 '시진핑'을 '대한민국'으로 바꾸면 또 그 교리가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하겠죠ㅋㅋ중국인들은 어리석지 않다. 그들은 변증법적 유물법을 보편적으로 교육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 더 잘 알고 있다. 무엇보다 반공반중의 한국인들이 시진핑을 반대할 때 중국인들은 시진핑이 중국에 유익한 일을 했다는 것을 더 알게 된다.

    • @Anthony-zc7mr
      @Anthony-zc7mr Місяць тому +9

      ​@@loppesha206그럼 뮈함. 시즌2. 문화 대혁명 일어나면 끝. 역사는 되풀이 된다. 시진푸우하는짓이 마오 따라. 하는짓. 그대론데

    • @awsrevelion
      @awsrevelion Місяць тому

      그런점은 한국도 마찬가지

    • @loppesha206
      @loppesha206 Місяць тому

      @@Anthony-zc7mr 네 말이 맞아.'역사는 되풀이 된다'. 그래서 그때 문화대혁명이 실패했으니 나중에 다시 나타나도 실패하는 거야. 중공은 끊임없이 공부하고 진보하는 정당이기 때문에 그런 실수가 반복되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다. 조선이 어떤 침략을 당해도 독립하는 것처럼. 그리고 니들은 그 운동의 부정적인 영향만 보게 될 뿐 사실은 중국 자체의 분석이 더 객관적이다. 그때를 거치면서 중국 지식인들은 학문만 연구하고 현실과 동떨어져 국민과 동떨어져서는 국민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개념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 지식인들은 국민의 존경을 받으면서도 감히 국민 앞에서 위세를 떨치지 못한다. 중공이 지식인을 박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누구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일을 하는 사람이 마오든 덩이든 시든 상관하지 않고, 그 일이 자신들에게 유리한지 아닌지를 따진다.

    • @loppesha206
      @loppesha206 Місяць тому

      @Anthony-zc7mr 네 말이 맞아. '역사는 되풀이 된다'. 그래서 그때 문화대혁명이 실패했으니 나중에 다시 나타나도 실패하는 거야. 중공은 끊임없이 공부하고 진보하는 정당이기 때문에 그런 실수가 반복되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다. 조선이 어떤 침략을 당해도 독립하는 것처럼. 니들은 그 운동의 부정적인 영향만 보게 될 뿐 사실은 중국 자체의 분석이 더 객관적이다. 그때를 거치면서 중국 지식인들은 학문만 연구하고 현실과 동떨어져 국민과 동떨어져서는 국민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개념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 지식인들은 국민의 존경을 받으면서도 감히 국민 앞에서 위세를 떨치지 못한다. 중공이 지식인을 박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누구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일을 하는 사람이 마오든 덩이든 시든 상관하지 않고, 그 일이 자신들에게 유리한지 아닌지를 따진다.

  • @user-yf1rg7eb7f
    @user-yf1rg7eb7f 28 днів тому +5

    너무 재미있네요.빠져들면서 들었어요. 교육이 정말 중요하군요

  • @prankim2163
    @prankim2163 Місяць тому +8

    와 북 언더스탠딩!
    감사합니다 잘볼께요!

  • @yjg9909
    @yjg9909 Місяць тому +8

    성인들을 위한 교육방송~~!!
    모든 컨텐츠들이 너무 좋습니다
    가족들과의 대화주제로도 많이 참고가 되구요
    오늘도 잘들었습니다.

  • @sisoy6999
    @sisoy6999 29 днів тому +4

    남궁민 칼럼리스트가 쏙 빠지게 잘 하시네요

  • @user-sj1hz9kt6g
    @user-sj1hz9kt6g Місяць тому +16

    배워야 잘 산다...맞는 말씀
    중국인들 21세기인데, 불쌍하네요...중졸이라니

    • @Justin-Potato
      @Justin-Potato Місяць тому +1

      사과는 먹고 다니냐? 니가더 불쌍혀~

    • @user-fl7nt7bw6z
      @user-fl7nt7bw6z Місяць тому

      중국인들이 왜 못배운 행동을 하는지 알수있죠.

    • @K-sexygirl
      @K-sexygirl 23 дні тому

      대학나오면 뭐하냐 방구석에서 댓글질만하는데 ㅋㅋ

  • @flowerstarbusan
    @flowerstarbusan Місяць тому +24

    진짜 흥미진진합니다.
    놓칠수가 없네요ㅎㅎ
    감사합니다

  • @user-cu7jm2uv3z
    @user-cu7jm2uv3z Місяць тому +7

    남궁민님 자주나와주세요

  • @user-sd2mt3eh7j
    @user-sd2mt3eh7j Місяць тому +5

    정말 오랫만에 나오셨네요

  • @user-fh9uf3hc4q
    @user-fh9uf3hc4q Місяць тому +4

    최근에 젤 재미와 유익 흥미 있었어요.

  • @yeachanchoi449
    @yeachanchoi449 Місяць тому +5

    한국이 기초학문을 중요시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네요. 돈이 되는 유행을 좇는 것도 좋지만, 변함이 적더라도 가치 있는 일이라면 존중받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user-im2se1xw8f
    @user-im2se1xw8f Місяць тому +13

    감사합니다.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Місяць тому +4

      남궁민님을 최대한 자주 모셔보겠습니다^^

    • @user-Agape153
      @user-Agape153 Місяць тому

      @@understanding.제발요
      많이들 기다립니다

  • @user-im2se1xw8f
    @user-im2se1xw8f Місяць тому +24

    나왔다 남궁민님 ㅠㅠㅠ 자주 나오면 얼마나 조아 ㅠㅠㅠ

  • @user-pr3wg3dz1n
    @user-pr3wg3dz1n Місяць тому +11

    완전히 공감합니다.조선족과 현장에서 같이 일하기 정말로 힘들어요.특히 반말,상대방 인격 무시하고, 안전의식 전혀없습니다, 조선족,한족 중국인 부실공사 원인 입니다

  • @Tanghuru888
    @Tanghuru888 Місяць тому +20

    중졸_한국중졸 아님, 중국 중졸임_이하들이 한국와서 건설현장에서 건물을 지어대니.... 그 건물들이 멀쩡할리가...ㅋ
    그것과는 별개로 영상 내용 최고네요... 말씀 정말 잘 들었습니다.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Місяць тому +1

      건설현장에서 인부들이 뭘 결정할수 있는게 있다고 인부탓을 하냐? 회사가 망하면 사원들 탓을 하냐? 현장에는 총괄책임자가 있고 그 밑에는 팀장들, 오야지들이 있고 감리가 나와서 현장에서 품질검사를 하는데 대갈들이 제대로 안해서 터진 문제를 인부들한테 돌려버리네.
      나라가 망하면 국민들이 열심히 안 해서 망하는거니?

    • @houb_-pc9ox
      @houb_-pc9ox Місяць тому

      반도 바깥세상의 회사들은 분야가리지고 않고 SOP라는 통계에 기반한 효율극대화를 위한 표줄절차가 있단다. 이건 과학이고 원칙이란다. 니네 반도처럼 사장 하나에 휘둘리고 결과는 밑에 직원탓으로 돌리는데 익숙한 니네 생물체들이 그걸 리해할수 있을리가

    • @Jeffrey19974
      @Jeffrey19974 Місяць тому +1

      고졸 대졸이 건설현장에서 건물을 더 잘 짓나?댓글수준이 중졸이네

    • @Bora_san
      @Bora_san Місяць тому +7

      고졸 대졸이 더 잘 지을 수 도 있음... 제도권 교육을 잘 받았다는 말은, 그만큼 사회에서 요구하는 덕목을 교육받는 시간이 길고, 교육받을 환경이 되고(밥상머리 교육도 바른 방향이고), 교육받을 개인의 자질이 된다는 말이기 때문. 도덕이나 직업윤리이라는 것도 교육의 산물임.

    • @pca4947
      @pca4947 Місяць тому +6

      @@Jeffrey19974교육수준이 높다는 건 일반적으로 개인의 생활, 업무, 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요구하는 기준이 높게 설정되어 있을 확률이 높음.

  • @mapx2100
    @mapx2100 Місяць тому +32

    남궁민 AI 를 만들어서 도서관에 있는 모든 책들을 하나씩 넣어보고 싶군요.
    정말 책 요약 및 스토리텔링에 최적화되어 있는 분이네요.

  • @redpeartree
    @redpeartree Місяць тому +9

    와아!!!기다렸어요 자주 나와주세요
    안부르시는겁니까
    안나오시는 겁니까~~

    • @user-Agape153
      @user-Agape153 Місяць тому +1

      남궁민님 너무 바쁘시다네요

  • @user-dh3oi1jx9y
    @user-dh3oi1jx9y Місяць тому +5

    우와.내가 읽었던 책이라니..감사합니다.최준영박사님

  • @user-xl7xs8pp2n
    @user-xl7xs8pp2n Місяць тому +21

    모동지 덕분에 우리 미래가 밝아지네요. 정말 다행입니다.

  • @seoulsoul3983
    @seoulsoul3983 Місяць тому +7

    교육은 진짜루 백년지대계네요

  • @claudi634220
    @claudi634220 28 днів тому +2

    정책적으로 학교를 지은 것도 있지만 자식들 공부시키려고 허리띠 졸라매고 헌신하신 부모님들이 나라 발전의 바탕입니다. 한국 부모님들 감사합니다!

  • @user-sz1hx7rn1v
    @user-sz1hx7rn1v Місяць тому +3

    재미 있네요
    2부 시청합니다

  • @jupiterj2969
    @jupiterj2969 Місяць тому +4

    이프로 진짜 유익합니다. 알림설정 꼭 하세요!

  •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 Місяць тому +102

    모택동 사진이 천안문 광장에 걸려있는 한 우리는 안심해도 됨
    제일 무서운게 모택동 사진을 버리고 역사를 직시하는 중국인이 되었을 때임
    그렇게 되면 그들은 모든 걸 가지게 되는 거임
    진통은 있겠지만

    • @robotcobit6439
      @robotcobit6439 Місяць тому +12

      요즘 절감 합니다. 마오의 초상화가 무슨 의미였는지 감사하죠

    • @user-nq1xe9gh1d
      @user-nq1xe9gh1d Місяць тому +15

      정답입니다. 모택동을 벗어나야 발전할 수있는데 전혀 그럴생각이 없으니 정말 다행이죠.

    • @scy9449
      @scy9449 Місяць тому +18

      한국입장에서 2차 국공내전에서 공산당이 이긴거는 천운에 가까움 만약 중국이 자본주의 국가였으면 한국은 한강의 기적 절대 못 했음

    • @Jeffrey19974
      @Jeffrey19974 Місяць тому +6

      ​@@scy9449중국보다 자본주의가 심한 나라가 있나?ㅋㅋ

    • @subuticho5014
      @subuticho5014 Місяць тому

      @@scy9449 멍청한 소리 그만해라. 현재 시진핑의 중국은 히틀러가 꿈꾸던 자본주의를 기반으로 한 권위주의 나찌당 일당독재의 국가사회주의 시스템이란다. 그 어떤 국가의 경제운영보다도 더 살벌한 자본주의 효율 극대화와 인간의 노동소외를 일으키면서 틈만 나면 정부가 자국 기업들 보조해주는 그 시나리오 자체가 나찌가 공산주의 저주하면서 2차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무너뜨리고 독일에 세울려고 했던 국가 사회 주의 시스템이란다.

  • @ljs2358
    @ljs2358 Місяць тому +1

    좋은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user-xq3my4fo5d
    @user-xq3my4fo5d 8 годин тому

    너무 멋진 우리조상님들 감사합니다

  • @bluesea9753
    @bluesea9753 Місяць тому +15

    대한민국 신문은 앉아서 돈이나 벌지 하는 안이한 생각에
    사로 잡혀있다 특파원을 보내야 하는데 지금도 부족하다
    국내 취재도 마찬가지 인용보도가 대다수 발로 뛰어야 하는데
    앉아서 취재한다 이게 현실이다

  • @user-fh5zg2gb6l
    @user-fh5zg2gb6l Місяць тому +3

    역시
    남궁민님입니당~~~

  • @user-zo2vg7wn2l
    @user-zo2vg7wn2l 9 днів тому +1

    안창호 선생님 '교육은 민족의 근본이다.'

  • @user-mi2wb5cx2g
    @user-mi2wb5cx2g 29 днів тому +4

    교육이 경제발전보다 앞서 갈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지금 50세 된 사람들의 교육수준은 30-40년 전에 정해진 것이거든요. 우리나라가 교육수준이 높은 이유는 옛날부터 공부못하면 사람대우를 받지 못해서 그래요. 유럽 등 다른 나라들 귀족은 세습하는 거지만, 우리나라는 몇 세대 동안 과거급제를 하지 못하면 그냥 짜그러드는 집안이 되는 거죠. 그러니까 양반지위를 유지하려면 공부를 해야하기 때문에 돈을 벌든 못벌든 공부를 해야 사람 대접을 받는 사회가 된 거죠. 단점도 많지만 무시못할 장점도 많은 경우죠.

  • @realongs
    @realongs Місяць тому +10

    이제야 뵙네용 남궁선생님😊😊😊

    • @realongs
      @realongs Місяць тому +1

      역시 모택동이 중국을 살렸네용😊😊😊짱짱짱 계속 그렇게 해라

  • @user-Agape153
    @user-Agape153 Місяць тому +23

    남궁민님 너무 반갑네요
    자주와주세요 매주 엄청기대하며 기다립니다❤❤❤

  • @user-of4ee8ts4c
    @user-of4ee8ts4c Місяць тому +2

    오래 기다렸습니다
    자주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 @tycon9955
    @tycon9955 Місяць тому +3

    너무 좋은시간 이였어요

  • @currykim91
    @currykim91 Місяць тому +4

    느무느무 재밌어요❤❤

  • @user-ju8un9mh8f
    @user-ju8un9mh8f Місяць тому +3

    좋은 👍 정보 감사합니다 😊

  • @user-ii6bv3jk8w
    @user-ii6bv3jk8w Місяць тому +2

    정말 재밌습니다❤❤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Місяць тому +3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danielma26
    @danielma26 Місяць тому +3

    아ㅏ많은 배움을 얻어갑니다

  • @cjpark4287
    @cjpark4287 Місяць тому +9

    이 내용을 어디서 들어 본 기억이 있었는데 손경제에서 남궁민님이 소개하셨던 책이었네요. 아무튼 재밌었습니다.

  • @k112879
    @k112879 Місяць тому +2

    흥미진진하게 잘 봤습니다😊

  • @effieshinkai3584
    @effieshinkai3584 Місяць тому +2

    오~, 오래간만에 나오 셨네.

  • @user-kl9pd8tn9s
    @user-kl9pd8tn9s Місяць тому +36

    박정희대통령은 어느 여공을 만났을때 그녀가 고등학교를 진학하고 싶은데 방직공장에서 일해야 한다는 안타까운 이야기를 듣고 바로 교육부장관의 제도상 어렵다고 난색을 표하자 박정희대통령께서는 방직공장 부설 야간고교 개설 여공의 한을 풀었고 전국에 야간고교와 야간대학 증설에 힘써왔습니다. 워낙 가난한 나라에서 경제를 발전시켜야 할 어려운 상황속인데도 교육에 힘쓴 대통령이십니다.
    박정희대통령은 군인이기 이전에 교육자출신입니다.
    누구보다도 교육의 중요성을 절박하게 느꼈던 분이 박정희대통령이십니다.

    • @jeiw5705
      @jeiw5705 28 днів тому +5

      맞습니다. 제자들이 회고한 영상 본 적 있습니다.

  • @WHH-yi5dw
    @WHH-yi5dw Місяць тому +14

    마오가 제일 싫어한 사람이 지직인이었다니..문화대혁명의 핵심이 이것(지식인 제거)의 실천이었군..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Місяць тому

      지식인을 싫어했던 제일 큰 원인은 그들이 계급을 이루고 세습을 하려고 했기 때문이죠. 실제로 지식인들이 지식을 독점하고 있었구요. 새로운 지배계급을 만들수가 없다고 판단해서 지식인 계층에 칼을 댄겁니다. 그리고 그에 맞춰서 고위간부의 자제들이 홍위병을 조직하여 자신들의 지위(정확히는 공산당간부들의 지위)를 위협하는 지식인들을 나락보내고 빠졌죠. 1세대 홍위병 지도층이 빠져나가면서 홍위병운동은 투쟁상대도 몰랐고 투쟁해야 할 이유도 몰라서 걷잡을수 없이 발전하게 되고 나중에는 당간부도 잡고 책도 태우고 유적지도 파괴하죠. 그들은 10대의 청소년들이였으니까요.

  • @wlgp5181
    @wlgp5181 Місяць тому +2

    최준영 박사님 컨텐츠에서도 재밌었어요. 이책

  • @user-fn3he1cr8l
    @user-fn3he1cr8l 24 дні тому +2

    몰랐던 내용이네요
    잘 들었 습니다 ~

  • @simankim9627
    @simankim9627 Місяць тому +9

    예전에 삼프로tv에서 최준영박사님이 다뤘던 책이네요.. 다시 들어도 재미있습니다.

  • @user-cy1dx9tj2g
    @user-cy1dx9tj2g Місяць тому +3

    미래가 불안할수록 국영수가 답이라는 말에서 답을 얻어갑니다

    • @user-cy1dx9tj2g
      @user-cy1dx9tj2g Місяць тому

      철학을 먼저 가르쳐야겠네요

    • @jeiw5705
      @jeiw5705 28 днів тому

      ​@@user-cy1dx9tj2g국영수를 잘 해야 철학도 잘 이해하죠. 원래 철학에서 수학이 나온 건데... 수학에서 철학이 나왔나... 암튼 철학과 수학은 불가분의 관계임.

  • @hany4099
    @hany4099 4 дні тому +1

    반해버렸다 ㅠㅠ 감동 눙물

  • @mik6898
    @mik6898 День тому

    중국 교육 이런거 일도 관심없는데 보는 내내 소름 돋았어요. 너무나도 좋은 내용입니다.

  • @qjam3104
    @qjam3104 Місяць тому +23

    남궁민님 자주 좀 해줬으면.. 두번씩 돌려봅니다😅

  • @soohan_kim
    @soohan_kim Місяць тому +4

    너무 오랜만에 나오셨네요. 지식에 목마른 애청자 로 부터. 반갑습니다.

  • @drink_pp
    @drink_pp 27 днів тому +2

    남궁민 기자님 오랜만입니다!!😆

  • @dragonwellstudio
    @dragonwellstudio Місяць тому +15

    중국은 1980년 즈음에 고교 승학률은 10%, 대학 승학률은 2%정도 되었죠. 즉 1962년에 1000만 명의 아이가 태어났다면, 그중 100만 명 정도가 고등학교 갈 수 있고, 20만 명 정도만 대학까지 다니는 거죠. 이유는 경제적으로 가난했기 때문. 하지만 그후에 승학률이 꾸준히 올라가며 2000년 정도에는 고등학교 승학률은 30%, 대학 승학률은 7% 정도로 상승. 2000년부터 가속도가 붙기 시작해 지금은 고등학교 승학률은 91.8%, 대학 승학률은 60-70% 정도.
    이 수치에 따라 계산하면, 전체 인구에서 고졸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대졸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라는 것을 쉽게 추리할 수 있죠. 하지만 이게 중국의 발목을 잡는 문제다? 그건 전혀 아니고, 과거 40년 중국의 발목을 잡았던 문제라고 하는 것이 정확하겠죠.
    사실 2000년대 초반에 서양 학자들이 이러한 취지로 쓴 글들이 많아서, 중국에서도 많이 관심을 가지고 보며 교육을 반드시 중시해야 한다고 누차 강조했는데, 지금은 결국 큰 신경을 쓰지 않는 부분이에요.
    문제는 한국인들은 중국을 비하하는 영상만 찾아보는 경향이 뚜렷해서 이런 것을 설명해 줘도 오히려 욕만 먹을 것 같네요. ㅎㅎㅎㅎ

    • @user-fl7nt7bw6z
      @user-fl7nt7bw6z Місяць тому +1

      문화대파괴해서 가르칠 선생도 학교도 부족하니 그럴수밖에.

    • @user-np3zx8hb3r
      @user-np3zx8hb3r 24 дні тому

      한국이 중국을 비하하는 영상만 찾아본다는건 좀 비약이고, 근 20년동안 많이 좋아졌지만 지금 현재 일을하고있는 노동인구의 다수가 저학력 인구인것은 사실이죠. 그리고 그 저학력인구가 몇십여년간 계속되었기때문에 현재에 급격하게 고학력인구가 많이 나타난대도 좋은 일자리가 많지않아서 그것도 문제고요. 그러니 대학원까지 나온 사람들보고 청년이여 시골로 내려가라는 얘기까지 나오는게 아닐까싶은거죠.

  • @user-ku3cu2tu5x
    @user-ku3cu2tu5x Місяць тому +3

    너무 반가워요 어제부터 내린 단비 같아요

  • @user-BearForce
    @user-BearForce Місяць тому +3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 자유민주주의를 갈망하게 될것이기에 결국 중국 공산당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 때문에라도, 독재지배와 국가발전 사이의 밸런스 맞추는게 여간 어려울 겁니다.

  •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7 днів тому +1

    이 책에 대해서 1ㅡ2년 전에 다른 동영상에서 봤습니다. 이 동영상 내용 탁월합니다.

  • @hoonsong6615
    @hoonsong6615 27 днів тому +2

    평균적인 정황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인구의 10%만 엘리트로 교육시키면 1억4천만명...그들과 우리는 경쟁해야한다.

  • @DRMDstyle
    @DRMDstyle Місяць тому +3

    한국은 rural sociology 와 rural econ 연구가 거의 죽어서 농촌을 연구한다고 하니 진행자 분들이 낯설어 하시는거 같습니다만 미국 학계는 꾸준하게 관련 학문의 발전과 연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 @user-gh7zc3v009
    @user-gh7zc3v009 Місяць тому +5

    공장에 중국인이 많아서 기계조작법을 한자로 만들어서 붙였는데.. 이 녀석들 글을 모르내.. 와~상상도 못했다...
    어쩐지.. 기계소리가 시끄러운데 메신저 안쓰고 구지 전화통화하더라..

    • @user-rh8xo5zf5v
      @user-rh8xo5zf5v Місяць тому +2

      맞아여 그리구 한자가 불편해요. 중국어로 타자/문자 치는게 어려우니. 중국어 발음을 영어로 치면 자동으로 단어가(한자) 뜨더라고요.
      중국어 자체가 얼마나 불편하면. ㅎ ㅎ
      우리처럼 문자 자주 안합니다, 손가락으로 문자쳐서. 대부분 음성으로 하고 음성으로 문자보내고 메세지 보내고 하도라구요. 인천공항 가보면 화장실에서.큰일 보면서 스피커본 키고 통화하는 사람 100프로 중국인..

  • @ArjunePark
    @ArjunePark 29 днів тому

    잘 봤습니다!

  • @user-uw2rn2tf5w
    @user-uw2rn2tf5w 26 днів тому +1

    최준영 박사님이 리뷰해 주셨을때 넘 재미있게 들어서 한번 더 들으러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