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중국의 진짜 문제는 농촌에 있습니다 | 북언더스탠딩 | 보이지 않는 중국 | 남궁민 북칼럼니스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тра 2024
  • 1부 링크입니다. • (1부) 중국은 교육 때문에 어려워질 겁...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ЕНТАРІ • 1,3 тис.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21 день тому +71

    1부 링크입니다.

  • @leeseunghyun5
    @leeseunghyun5 21 день тому +1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정말 지식적인 부분이나 의사소통하는 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협동하고 양보하는 능력 등을 가르치면서 정말 교육이란게 사회 비용을 줄이는구나 하고 항상 생각합니다.. 얘들을 사회화시키지 않고 일자무식인 상태로 사회에 내보내면 얼마나 많은 추가 비용이 들겠나요.. 물론 모든 선생님이 모두 열정적인건 아니지만 열심히 하시는 선생님 만나시면 응원하고 지지해주세요 ㅠㅠ

  • @duckvirus2024
    @duckvirus2024 21 день тому +805

    고등학교 교사인데 우리나라 교육부 관계자들이 이 영상 꼭 봤으면 좋겠네요. 교사 시작하고 10년간 드론, 3d프린터, 스마트팜, 프로그래밍 등은 시류에 따라서 준비도 안된 상태에서 막무가내로 도입하고, 이공계에서 기본이 되는 수학이나 과학의 교육과정은 지속적으로 축소해왔습니다. 당장 3년후 부터는 물화생지 수능이 없어지고 통합과학만 남길 정도로 과학을 축소 시켰습니다. 유행만 영양가 없이 좇고, 고교학점제 졸속 행정에 STEAM교육도 예산 투자나 제대로 된 교육철학이나 방향도 없이 수업 계획서 틀만 작성하라고 강요하고.. 교육이 영상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매우 중요한데도 학생들의 기본적인 실력을 키워줄 생각은 하지 않으면서 시류에 맞는 보여주기식 교육만 강조하니 안타깝습니다. 문과 출신 행정가들이 수포자 운운하면서 수학 교육과정 축소 시키는 것 보면 정말 슬퍼요.

  • @user-yl6sm2wk6d
    @user-yl6sm2wk6d 21 день тому +710

    없는 삶림에도 20.79% 를 교육에 쏟아주신 부모세대분들께 존경과 감사를

  • @user-ls7le1ht1p
    @user-ls7le1ht1p 21 день тому +393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있습니다 제가 항상 생각하던 부분을 정확히 말씀하셔서 너무나 반가웠습니다 고등학교때부터 아이들의 진로를 결정하게 하는 교육이 맞는가에 대한 계속적인 의문이 있었습니다 경험이라고는 고작 학교밖에 다니지않은 아이들에게 대학의 어느과를 갈지를 정해서 그것에 맞춰 활동을 평가하는 식의 입시가 너무 이상하다고 여겼습니다 수명이 늘어나면서 경제활동 시간도 길어지니 충분히 자신의 삶을 한분야가아닌 다른 분야로의 전환이 유연히 이루어져야하는 시기에 보편적 교육에 대해 너무 공감하며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TV-di5lz
    @TV-di5lz 21 день тому +578

    공교육 별 거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 @edwardlee3373
    @edwardlee3373 21 день тому +196

    중국 조선족입니다. 베이징이나 칭화대학 같은 경우만 말씀드려도 북경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면 550점이면 붙는데 연변에서는 650점 이상이여야 붙습니다. 그러니 다들 북경에서 고등학교를 다니고 싶어합니다. 제친구가 북경알리바바에서 일하고 있는데 세후 월 38000+위안 받습니다.중국에서 상위 1%월급입니다. 북경에서 500만위안을 내고 집도 샀습니나.근데 호구는 아직도 연변 호구입니다. 아직도 10년동안 북경에서 세금을 내야 북경호구를 준다나?애들 유치원 비용 1인당 1만위안입니다.애가 둘입니다.북경호구가 아니라서 정부 보조금을 1도 못 받습니다.

  • @user-lo1uq1zb6y
    @user-lo1uq1zb6y 21 день тому +86

    해양 플랜트 전기 설계가 직업입니다. 그런데 업무 메일 받고 쓰고 보고서 만들고 하는, 요약 정리와 이해가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과목이 많지만 국어 교육이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 하고 있습니다. 보고하러 와서 행설수설 하는 직원이 많습니다. 바쁜데 그러면 핵심만 집어서 물어 보면 답은 안하고 이상한 변명을 합니다 이렇게 되면 대화 자체가 안됩니다. 요즘 이런 직원이 많습니다. A인지B인지 물어 보는데 답은 안하고 어쩌고저쩌고, 국어 교육 상당히 중요 합니다. 특히 업무 이메일 쓰기요

  • @user-xy9xc9gk9h
    @user-xy9xc9gk9h 21 день тому +116

    50년전 교육비 예산을 20%나 떼놓는 결정은. 정말 대단한 결단이었다.. 이게 미래를 위한 위대한 결단이다

  • @yoo8289
    @yoo8289 21 день тому +83

    독일에서 유학한 사람들이 자꾸 독일을 벤치마킹하려고 하는데 아나로그 시절에는 독일이나 일본이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었지만 지금의 디지털시대에는 맞지 않죠. 실제로도 독일이나 일본은 디지털시대에 낙오자가 되어있습니다. 우리의 빨리빨리 문화가 한때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지만 정말 신의 한 수가 되었죠. 어떤면에서는 한국은 운도 좋았고 그만큼 적응력이 뛰어났다고 봅니다.

  • @user-qn2vp2ep4t
    @user-qn2vp2ep4t 21 день тому +141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을 곱씹어보게 됩니다.

  • @user-lc1qy7fh3t
    @user-lc1qy7fh3t 21 день тому +117

    우리는 옛날 자원이 없기때문에 인재를 키워서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했죠 그래서 교육에 집중한거죠..다른것은 몰라도 60.70년도부터의 위정자들이 그것 하나는 정말 잘햐거죠 선배들에게 감사 해야죠

  • @Cheshire_CaTs
    @Cheshire_CaTs 21 день тому +298

    보편성 위에 전문성은 설 수 있지만, 전문성 위에 보편성이 설 수는 없는 거군요. 정말 엄청난 통찰이라 감탄했습니다

  • @meyoungbin2640
    @meyoungbin2640 21 день тому +61

    도저히 댓글을 달지 않을수 없어요.1972년부터 20.79%를 교육에 쏟은 지도자의 혜안에 감사하고 그 덕을 보고 있다는게 감사합니다

  • @mulhorangi
    @mulhorangi 21 день тому +54

    미국은 고교진학율이 50% 정도인데

  • @user-fb8id9mc6k
    @user-fb8id9mc6k 21 день тому +23

    우리나라의 선생님들의 수준은

  • @eudhfjwmdj3jeu1
    @eudhfjwmdj3jeu1 21 день тому +28

    우와~ 저게 전에 본 영상이랑 신기하게 맞아들어가네요. 한국유튜버가 지인 중국사람(10여년전 대학생시절 자원봉사로 중국산골에 선생님을 했었음)이랑 중국산골을 다시 방문하는 영상을 봤었어요. 칭와대, 북경대의 대학생들이 자원봉사로 중국시골에서 생활하면서 1~2년을 갈켰었고 그게 대학생들이 대물림하여 갈켜줘서 시골사람들이 만족했다고 하더라고요.

  • @user-ww5nv7jh7f
    @user-ww5nv7jh7f 21 день тому +160

    호적제로 경쟁자를 제거하여 기득권의 이익을 공고히 하며. 노예로 세뇌하여 노동력을 이용한다. 똑똑하면 공산당에 반기를 들게되고 자유를 원하게되니 계속 우메하도록 해야한다.

  • @user-um2rs6ve1x
    @user-um2rs6ve1x 14 днів тому +8

    우리나라가 공산화가 안된게 천만다행이네요.

  • @hyungyulee1358
    @hyungyulee1358 21 день тому +23

    왜 국영수를 공부해야 하는지 이해 못하는 중고등학생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내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