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경제 절대 어렵지 않아요~ 경린이 탈출 프로젝트 "또! 오건영" #19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경제는 어렵다? 절대 어렵지 않습니다!
경린이 탈출시켜드리려고 신한은행이 낳은 경제 유튜브 스타
오건영 부부장이 돌아왔습니다.
어려운 금융용어를 쉽고 재밌게 풀어드리는
경린이 탈출 프로젝트! "또! 오건영"
제 19강 : 환율과 금리는 어떤 관계일까?
매주 여러분을 찾아옵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과 함께 기대해주세요~
#신한은행 #오건영 #환율 #금리
학교에서 배우지 못했던 걸 오부부장님께 배워요
감사합니다❤
최고! 최고!! 최고!!! 감사합니다^^
최고입니다!!!!
재테크에 대해 잘 모르는데 일본 금리가 올라서 엔 강세가 시작되는건가? 궁금해서 찾아보게됐습니다~ 딕션이 좋으셔서 귓구녕에 쏙쏙 박히네요 ^_^ 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최고최고 항상응원합니다 분명히 또오건영 대박나실겁니다!!!
매경테스트 보기 전 최고의 선택.
감사합니다 😊 쉽게 설명해주셔서 무식 탈피 해요
부의 대이동 두번째 읽고있어요
환율 금리에 있어서 오건영이 최고다
신한의 보물
감사해요!
최고다 진쯔...... 엄지척
프로필 주요저서에 책 추가 해주세요~~~~~ 한권 더 나왔잖아용~~~~~~~~~!
그냥 신한그만두고 강사하시면 훠얼씬 큰 돈버실텐데.. 오건영님만큼 쉽게 알려주는 사람도 없드라구요..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환율 1450원대 오르고 들어왔습니다 ;;; 1달러를 천원으로 계산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환율에 따른 한은의 금리방향이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9:06
#19~24 환율(대외적 돈의 값,상대가치)// 금리(대내적 돈의값)
오건영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도움 정말 많이 됩니다 ㅠㅠ
와 !!! 너무 값진 강의 입니다. 팍 꽃히네요.
달러가 자국통화보다 강세일 경우엔 달러 당 원, 달러 당 엔, 달러당 위안으로 표시하고
유로는 미국 달러보다 강세이므로 유로/달러를 표시하지 않나요? 한국 원화를 1/1,000 달러가 표시하면 불편하므로
달러 당 1,000원으로 표시하지 않나요?
8:40
금리가 돈 값이라는 주장은 많은 모순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금리는 조금 상승하고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하면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돈값이 오히려 하락하지 않나요?
뿐만 아니라, 외환위기 국가의 경우, 환율 상승 때문에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돈값이 상승안 것인가요? 아니면
해당 국가 돈값이 하락한 것인가요?
환율과 금리 이해는 최고십니다. 애들한테도 같이 공유하고 싶네요.
앞으로 3년 경제전쟁의 미래란 책은 과거의 분석은 최고이고 정작 미래3년은 좀 미흡한거 같습니다. 워렌버핏도 거시경제는 못 맞추는데 책 제목이 좀 안맞는거 같습니다. 저 매우 좋아하는 사람으로 책읽고 더 승승장구 하시라는 개인적인 말씀드리고 싶었서 망설였습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오히려 저는 쉽게 너무 잘 설명해 주시니 방향성만 잘 잡으시면 좋을거 갗습니다.
경제학 교과서는 금리 중심으로 환율을 기술하고 있지만, 환율이 상승하면 시중 유동성이 환전과정에 금융시장으로 흡수되면서
환율이 시장금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나요?
원/달러 환율은 1 달러 당 1000원이지만, 달러/원 환율은 1/1,000 달러 이지 않나요?
오늘날 처럼 초저금리 시대엔 금리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큰
환율이 금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나요>
신한은행은 오건영부부장 cf 찍어주세요.
EBS에는 펭수가 있다면
신한은행에는 오건영부부장이 있다!!!!
갓건
동일한 국가라고 하더라도 고금리 시대와 지금처럼 초저금 시대 화폐가치 하락으로 볼 수 있나요? 더구나 환율이 달러 당 1,500원에서 1,000원으로 하락하면
시장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원화가치는 강세라는 표현이 맞지 않나요?
현재 한국 예금이 낮아지는데 금리인상해도 원화가치 강세가 효과가 있을가요??
암것두 모르는 경린이입니다 질문드리면..ㅠㅠ
한국 금리 상승 -> 원화 수요증가 -> 환율 하락
: 이 경우에 금리가 상승하면 예금 금리는 오르겠지만, 오히려 부채에 대한 금리 부담이 생겨서 원화 수요가 감소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 ㅠㅠ
금리 상승하면 미국보다 한국금리 차이가 더 벌어지니까.. 한국에 돈 박아두자!! 하고 올거고 +
미국이 대출이자가 한국보다 싸네!! 하고 미국에서 대출받아서 한국돈으로 바꾸자!!! 하고 올거에요
근데 오건영부부장님 회사에서 무슨일 하시나요? 그냥 궁금해서
빛건영
유치원도 이해할 수 있는걸
어렵게 설명하는것 자체가 문제인겁니다
그 이유늘 고민해야합니다
이프리카는 경제교육 안 시킵니다
원달러 달러원을 구분해서..
갓건영
원/ 달러가 달러 당 1,000원이라는 표현할 수 있지만, 달러/원 환율의 경우, 1원은 1/1000 달러라는 표현이 맞지 않나요?
달러/원 환율로 표기하면 소수점이 나오는 불편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나요?
ㅋ자기 기준으로 말해주네..눈높이로 쉽게풀이해서 해석해주는게 명강사
직관적으로 듣고있지만 어렵습니다.ㅎㅎ
왜케 어렵게 갈치시나요?? 환율은 화폐의 "교환비율"의 약자입니다. 줄여서 환율이라고 합니다. 환율이 올라간다 의 의미는 '비율'이 올랐다➡비율이 벌어졌다 .. 음 아시겠나요? 환율이 하락했다➡비율이 좁아졌다.. 음 아시겠나요? 여하튼 환율은 기본개념을 확실히 머리에 박아두어야 안헷갈립니다. 한국가의 경제의 건강여부는 환율이 대표적으로 알려줍니다.
기본개념 감사합니다! , 저사람 말하는거 듣자마자 영상 안봄!
그것도 맞지만 이게 어렵다고요...?
그리고 제가 지적하고 싶은것은
현재 환율 자체가 변동환율 이기때문에 이 부분을 언급을 안하는 것입니다.
1달러에 1000원인 고정환율이라면 그런 관점에서 설명을 하는게 맞겠죠.
그러면 10분안에서 설명해야 될 범위를 넘어 섭니다.
혹시 강의 쪽에 종사 하고 계시다면 충분히 고려가 되는 부분일텐데, 본인만의 관점으로 시간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비방을 하시네요.
비판이라면 어조를 좀 더 부드럽게 쓰셔야 할텐데 제가 보기에는 그저 비방으로 느껴지는 댓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