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학] 1부 물질의 규칙성 1단원 4차시 별의 탄생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9

  • @MISO_122
    @MISO_122 10 годин тому

    24년도까지라고 말씀하셔서 다른데 찾아보다가 영 이해가 안되어서 다시 돌아왔습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을것 같아 그냥 들으려구요.. 이해 쏙쏙되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구구콘-s1w
    @구구콘-s1w 6 років тому +35

    덕분에 과학공부 잘하고 있어요! 개인적으로 인강보다 훨씬 이해도 쉽고 재밌어요 지금 배우는 내용이랑 너무 잘맞아서 끝까지 다보고 가려구요ㅎㅎㅎ

  • @박형준-t6h3h
    @박형준-t6h3h 6 років тому +99

    사투리가 오히려 암기력을 상승시키네요

  • @좋아밤이
    @좋아밤이 6 років тому +12

    사진이랑 같이 설명해주시니까 이해도가 훨씬 높아지네요..진짜 감사합니다♡

  • @ajdajdsid3339
    @ajdajdsid3339 4 роки тому +4

    아니 정말 ㅜㅜ 20개 정도 찾아봤는데 이게 제일 최고에요ㅠㅠ

  • @이린오-p9q
    @이린오-p9q 3 роки тому +2

    진심 책 여러번 보는것보다 이영상 한 번 보는게 더 나은것 같아요 이해가 쏙쏙됨 ㅠㅠ

  • @백소영-t3y
    @백소영-t3y 4 роки тому +10

    진짜 이해 잘 돼요 인강하시면 무조건 들어요 ..

  • @실버환
    @실버환 3 роки тому +2

    ....그저 빛....ㅠㅠ 진짜 짱이에요ㅠㅠㅠㅜㅜㅠㅠ

  • @Exercis250
    @Exercis250 3 роки тому +6

    진짜 ㄹㅈㄷ 강의

  • @mydreamisscientist
    @mydreamisscientist Рік тому

    수소 헥융합이 양성자 4개 뿐만이 아닌 전자도 필요한데요 양성자 4개에 전자 4개가 필요합니다 즉 수소 원자 4개가 하나의 헬륨 원자가 되겠네요 양성자 + 전자가 중성자입니다 그렇다면 헬륨 원자 핵을 만들려면 수소 원자핵 4개와 전자 2개가 필요하겠군요

  • @catch2_now
    @catch2_now 4 роки тому +2

    울학교 책 내용보니까 진짜 가망이 없었는데 그나마 한줄기의 빛을 본 느낌이에요

    • @catch2_now
      @catch2_now 4 роки тому

      내용이 넘 부실하고 e온클에 나오는 내용도 없던데

  • @하민-l4d
    @하민-l4d 6 років тому +7

    과학에 대해 이해력이 부족한 저에게 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감사합니다!! 과학을 포기한 저를 살리셨어요 ㅠㅠㅠㅠ 정말 감사해요

  • @ヒカリ-w6v
    @ヒカリ-w6v 4 роки тому +1

    진짜 중학교때 너무 감사했구요!!
    고1인 올해도 잘부탁드립니다!! 열심히 할게요!! 과학의 한줄기 빛...

  • @밍-r4g
    @밍-r4g 5 років тому +2

    양성자가 에너지를 흡수해서 중성자가 된다고 나와있던데 수소핵융합반응 할때 양성자가 중성자가 되는데 왜 에너지가 많이 방출돼요??

    • @food8864
      @food8864  5 років тому +1

      높은 에너지를 가져 불안정하던 각각의 입자들이 융합을 통해 에너지가 낮아지며 낮아진 에너지만큼 방출이 되는거랍니다. 그 외에도 일정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복잡한 물리현상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 등이 있답니다.

    • @food8864
      @food8864  5 років тому

      @[Chemistry] H.W의 정리 그것은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현상 때문이요. 단순히 양성자2개와 중성자 2개 질량은 당연히 양성자 4개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양성자2개와 중성자2개가 함께 결합한 핵이 되면 질량의 일부가 에너지로 변하는 현상(E=mc^2)에 의해 질량이 가벼워지게 됩니다.

  • @츠키노유메-b3k
    @츠키노유메-b3k 4 роки тому +1

    진짜 강의 잘하시고 목소리도 넘 좋으신 것 같아요 ! 고1 통합과학 도움 많이 되는 것 같아요 ㅠㅠ❤️ 감사합니다 최고에요🤩🙌🏻😍

  • @Eriesdj
    @Eriesdj 2 роки тому

    스펙트럼을 분석해서 원소의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이석주-w2d
    @이석주-w2d 3 роки тому

    왜 양성자 4개가 뭉치면 2개가 중성자가 되면서 헬륨 원자핵이 되나요?

  • @BY-bo2qt
    @BY-bo2qt 4 роки тому

    태양이 수소핵융합을 하고 있는 것인가요?
    그럼 수소핵융합이 끝나면 질량이 태양정도인 별은 산소까지 만들어지니
    그때까지 핵융합을 계속 하게되나요?
    핵융합이 끝나면 태양이 어떻게 될까요??

    • @food8864
      @food8864  4 роки тому

      예 태양은 계속 수소핵융합을 하고 있고 핵융합이 끝나는 순간 별이 죽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 @BY-bo2qt
      @BY-bo2qt 4 роки тому

      그럼 지구멸망이 되는걸까요,,? 갑자기 호기심이 생겨서 물어봤네요 ㅎ추가로 질문하고 싶은데, 주기율표는 몇번까지 외워야 할까요?

    • @BY-bo2qt
      @BY-bo2qt 9 місяців тому

      @@Strawberr817 ㅎㅇ

  • @바로이거지-t5r
    @바로이거지-t5r 3 роки тому +1

    2:23 온도가 높아지면 핵융합이 일어나는 건가요? 온도가 높아지는 것과 핵융합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

    • @d1dd2ddd3
      @d1dd2ddd3 3 роки тому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 올라가면 핵융합을 하는 것입니다

  • @가취가욥-b1c
    @가취가욥-b1c 4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주계열성에서는 수소핵융합만 일어나나요? 아니면 탄소까지 (10배면 철까지) 다 주계열성에서 만들어지는건가요!!

    • @food8864
      @food8864  4 роки тому

      다음 차시에서 설명하지만 주계열성에서는 수소핵융합까지만 일어나요 ㅎㅎ 탄소까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단계는 적색거성 단계입니다

    • @가취가욥-b1c
      @가취가욥-b1c 4 роки тому

      @@food8864 앗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이름이름-h9n
    @이름이름-h9n 2 роки тому

    그럼 태양도 별이 생성되는 과정인가요?

  • @jubilee1041
    @jubilee1041 2 роки тому

    깔끔한 설명 감사드려요!

  • @푸른새벽-c3p
    @푸른새벽-c3p 4 роки тому

    아이시험이라 교과서강의로 찾아봤는데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user-pd2rh8vd2c
    @user-pd2rh8vd2c 2 роки тому

    ✅️

  • @qkrwjddn-u9z
    @qkrwjddn-u9z 4 роки тому

    2:40

  • @오상언-t9r
    @오상언-t9r 6 років тому +3

    잘 보고 있습니다 선생님^^

  • @Park-xo5xg
    @Park-xo5xg 3 роки тому

    알러뷰

  • @qpwoierjm
    @qpwoierjm 6 рок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이대규-c7k
    @이대규-c7k 4 роки тому

    완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