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24년도까지라고 말씀하셔서 다른데 찾아보다가 영 이해가 안되어서 다시 돌아왔습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을것 같아 그냥 들으려구요.. 이해 쏙쏙되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과학공부 잘하고 있어요! 개인적으로 인강보다 훨씬 이해도 쉽고 재밌어요 지금 배우는 내용이랑 너무 잘맞아서 끝까지 다보고 가려구요ㅎㅎㅎ
사투리가 오히려 암기력을 상승시키네요
개소리야 ㅋㅋ
사진이랑 같이 설명해주시니까 이해도가 훨씬 높아지네요..진짜 감사합니다♡
아니 정말 ㅜㅜ 20개 정도 찾아봤는데 이게 제일 최고에요ㅠㅠ
진심 책 여러번 보는것보다 이영상 한 번 보는게 더 나은것 같아요 이해가 쏙쏙됨 ㅠㅠ
진짜 이해 잘 돼요 인강하시면 무조건 들어요 ..
....그저 빛....ㅠㅠ 진짜 짱이에요ㅠㅠㅠㅜㅜㅠㅠ
진짜 ㄹㅈㄷ 강의
수소 헥융합이 양성자 4개 뿐만이 아닌 전자도 필요한데요 양성자 4개에 전자 4개가 필요합니다 즉 수소 원자 4개가 하나의 헬륨 원자가 되겠네요 양성자 + 전자가 중성자입니다 그렇다면 헬륨 원자 핵을 만들려면 수소 원자핵 4개와 전자 2개가 필요하겠군요
울학교 책 내용보니까 진짜 가망이 없었는데 그나마 한줄기의 빛을 본 느낌이에요
내용이 넘 부실하고 e온클에 나오는 내용도 없던데
과학에 대해 이해력이 부족한 저에게 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감사합니다!! 과학을 포기한 저를 살리셨어요 ㅠㅠㅠㅠ 정말 감사해요
진짜 중학교때 너무 감사했구요!!고1인 올해도 잘부탁드립니다!! 열심히 할게요!! 과학의 한줄기 빛...
양성자가 에너지를 흡수해서 중성자가 된다고 나와있던데 수소핵융합반응 할때 양성자가 중성자가 되는데 왜 에너지가 많이 방출돼요??
높은 에너지를 가져 불안정하던 각각의 입자들이 융합을 통해 에너지가 낮아지며 낮아진 에너지만큼 방출이 되는거랍니다. 그 외에도 일정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복잡한 물리현상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 등이 있답니다.
@[Chemistry] H.W의 정리 그것은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현상 때문이요. 단순히 양성자2개와 중성자 2개 질량은 당연히 양성자 4개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양성자2개와 중성자2개가 함께 결합한 핵이 되면 질량의 일부가 에너지로 변하는 현상(E=mc^2)에 의해 질량이 가벼워지게 됩니다.
진짜 강의 잘하시고 목소리도 넘 좋으신 것 같아요 ! 고1 통합과학 도움 많이 되는 것 같아요 ㅠㅠ❤️ 감사합니다 최고에요🤩🙌🏻😍
스펙트럼을 분석해서 원소의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왜 양성자 4개가 뭉치면 2개가 중성자가 되면서 헬륨 원자핵이 되나요?
태양이 수소핵융합을 하고 있는 것인가요?그럼 수소핵융합이 끝나면 질량이 태양정도인 별은 산소까지 만들어지니그때까지 핵융합을 계속 하게되나요?핵융합이 끝나면 태양이 어떻게 될까요??
예 태양은 계속 수소핵융합을 하고 있고 핵융합이 끝나는 순간 별이 죽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그럼 지구멸망이 되는걸까요,,? 갑자기 호기심이 생겨서 물어봤네요 ㅎ추가로 질문하고 싶은데, 주기율표는 몇번까지 외워야 할까요?
@@Strawberr817 ㅎㅇ
2:23 온도가 높아지면 핵융합이 일어나는 건가요? 온도가 높아지는 것과 핵융합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 올라가면 핵융합을 하는 것입니다
선생님 주계열성에서는 수소핵융합만 일어나나요? 아니면 탄소까지 (10배면 철까지) 다 주계열성에서 만들어지는건가요!!
다음 차시에서 설명하지만 주계열성에서는 수소핵융합까지만 일어나요 ㅎㅎ 탄소까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단계는 적색거성 단계입니다
@@food8864 앗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럼 태양도 별이 생성되는 과정인가요?
깔끔한 설명 감사드려요!
아이시험이라 교과서강의로 찾아봤는데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2:40
잘 보고 있습니다 선생님^^
알러뷰
감사합니다
완강
24년도까지라고 말씀하셔서 다른데 찾아보다가 영 이해가 안되어서 다시 돌아왔습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을것 같아 그냥 들으려구요.. 이해 쏙쏙되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과학공부 잘하고 있어요! 개인적으로 인강보다 훨씬 이해도 쉽고 재밌어요 지금 배우는 내용이랑 너무 잘맞아서 끝까지 다보고 가려구요ㅎㅎㅎ
사투리가 오히려 암기력을 상승시키네요
개소리야 ㅋㅋ
사진이랑 같이 설명해주시니까 이해도가 훨씬 높아지네요..진짜 감사합니다♡
아니 정말 ㅜㅜ 20개 정도 찾아봤는데 이게 제일 최고에요ㅠㅠ
진심 책 여러번 보는것보다 이영상 한 번 보는게 더 나은것 같아요 이해가 쏙쏙됨 ㅠㅠ
진짜 이해 잘 돼요 인강하시면 무조건 들어요 ..
....그저 빛....ㅠㅠ 진짜 짱이에요ㅠㅠㅠㅜㅜㅠㅠ
진짜 ㄹㅈㄷ 강의
수소 헥융합이 양성자 4개 뿐만이 아닌 전자도 필요한데요 양성자 4개에 전자 4개가 필요합니다 즉 수소 원자 4개가 하나의 헬륨 원자가 되겠네요 양성자 + 전자가 중성자입니다 그렇다면 헬륨 원자 핵을 만들려면 수소 원자핵 4개와 전자 2개가 필요하겠군요
울학교 책 내용보니까 진짜 가망이 없었는데 그나마 한줄기의 빛을 본 느낌이에요
내용이 넘 부실하고 e온클에 나오는 내용도 없던데
과학에 대해 이해력이 부족한 저에게 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감사합니다!! 과학을 포기한 저를 살리셨어요 ㅠㅠㅠㅠ 정말 감사해요
진짜 중학교때 너무 감사했구요!!
고1인 올해도 잘부탁드립니다!! 열심히 할게요!! 과학의 한줄기 빛...
양성자가 에너지를 흡수해서 중성자가 된다고 나와있던데 수소핵융합반응 할때 양성자가 중성자가 되는데 왜 에너지가 많이 방출돼요??
높은 에너지를 가져 불안정하던 각각의 입자들이 융합을 통해 에너지가 낮아지며 낮아진 에너지만큼 방출이 되는거랍니다. 그 외에도 일정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복잡한 물리현상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 등이 있답니다.
@[Chemistry] H.W의 정리 그것은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현상 때문이요. 단순히 양성자2개와 중성자 2개 질량은 당연히 양성자 4개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양성자2개와 중성자2개가 함께 결합한 핵이 되면 질량의 일부가 에너지로 변하는 현상(E=mc^2)에 의해 질량이 가벼워지게 됩니다.
진짜 강의 잘하시고 목소리도 넘 좋으신 것 같아요 ! 고1 통합과학 도움 많이 되는 것 같아요 ㅠㅠ❤️ 감사합니다 최고에요🤩🙌🏻😍
스펙트럼을 분석해서 원소의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왜 양성자 4개가 뭉치면 2개가 중성자가 되면서 헬륨 원자핵이 되나요?
태양이 수소핵융합을 하고 있는 것인가요?
그럼 수소핵융합이 끝나면 질량이 태양정도인 별은 산소까지 만들어지니
그때까지 핵융합을 계속 하게되나요?
핵융합이 끝나면 태양이 어떻게 될까요??
예 태양은 계속 수소핵융합을 하고 있고 핵융합이 끝나는 순간 별이 죽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그럼 지구멸망이 되는걸까요,,? 갑자기 호기심이 생겨서 물어봤네요 ㅎ추가로 질문하고 싶은데, 주기율표는 몇번까지 외워야 할까요?
@@Strawberr817 ㅎㅇ
2:23 온도가 높아지면 핵융합이 일어나는 건가요? 온도가 높아지는 것과 핵융합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 올라가면 핵융합을 하는 것입니다
선생님 주계열성에서는 수소핵융합만 일어나나요? 아니면 탄소까지 (10배면 철까지) 다 주계열성에서 만들어지는건가요!!
다음 차시에서 설명하지만 주계열성에서는 수소핵융합까지만 일어나요 ㅎㅎ 탄소까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단계는 적색거성 단계입니다
@@food8864 앗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럼 태양도 별이 생성되는 과정인가요?
깔끔한 설명 감사드려요!
아이시험이라 교과서강의로 찾아봤는데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2:40
잘 보고 있습니다 선생님^^
알러뷰
감사합니다
완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