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학] 1부 물질의 규칙성 5차시 별의 진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

КОМЕНТАРІ • 43

  • @융융융-l1b
    @융융융-l1b 3 роки тому +39

    진짜 너무 너무 좋아요ㅠㅠㅠㅠㅠㅠㅠ 제 인생을 구하셨음,,, 적게 버시고 많이버세용 !!!!

    • @user-ft2hx8yh4b
      @user-ft2hx8yh4b 3 роки тому +40

      적게 벌라는거에요 많이 벌라는거에요ㅋㅋㅋㅋㅋ

    • @user-hf4qr8wf2e
      @user-hf4qr8wf2e 3 роки тому +23

      @@user-ft2hx8yh4b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ㅋ너무 기뻐서 말이 헛나오신듯

    • @야옹-o6i
      @야옹-o6i 2 роки тому

      아진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적게 버시고 많이 버세요ㅠ

    • @jho0725
      @jho0725 Рік тому

      핰ㅋㅋㅋ겁나웃겨ㅠ

    • @user-ettt_ham
      @user-ettt_ham Рік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뭔소리야ㅋㅋㅋㅋ

  • @moon03176
    @moon03176 3 роки тому +12

    웬만하면 댓글을 잘 안다는데 이 영상 덕분에 이해가 너무 잘 되서 다행이예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승훈-y7u1t
    @이승훈-y7u1t 6 років тому +35

    학교학습지로볼땐 이해안갔는데 강의보고 한방에 이해갔습니다 이런영상찍어줘서 감사합니다

  • @드간
    @드간 3 роки тому +10

    고등학교 올라와서 첫시험인데 이 영상을 봐서 좀더 잘 볼수 있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가이오가-j4m
    @가이오가-j4m 3 роки тому +3

    많은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므-q5g
    @므-q5g 10 місяців тому

    당신이 날 살려요ㅜㅜ❤

  • @정성룡-h4f
    @정성룡-h4f 7 років тому +8

    유익해요

  • @같잖노-y6o
    @같잖노-y6o Рік тому

    선생님 감사합니다

  • @seo-u3j
    @seo-u3j 5 років тому +3

    1:46 쯤에 팽창하느라 표면온도가 낮아져서 붉게 보이는 것 아닌가요?

    • @강하윤-i9o
      @강하윤-i9o 3 роки тому

      팽창하느라 표면 온도가 낮아지지는건 맞지만 핵융합때 에너지를 많이 소비해서 빛을 분출 하는것이고 붉은 이유를 묻는다면 온도차이때문입니다 중력 수축을 하면서 밀도와 온도가 올라가고 별마다 다 온도 밀도 차이가 있기에 색은 다 다를 수 있는거죠 예를 들어 백색 왜성 처럼요

  • @윈아-z2b
    @윈아-z2b 3 роки тому

    ;질량이 태양정도인 별에서요 중심부에서는 온도가 높아지고요 헬륨핵융합반응이 일어나고요 바깥에서는요 다시 수소핵융합반응이 일어나고 별이 팽창하고 온도가 내려가고 붉게 관찰되는것이 맞나요??

  • @정채원-m2t
    @정채원-m2t 3 роки тому +1

    초신성 폭발을 할 때는 철만 남아 있는 거가요? 아니면 철 규소 산소등이 함께 우주로 터지는 건가요??

    • @밤규-c6z
      @밤규-c6z 3 роки тому +1

      철같은 무거운 중원소는 좀 남아있다고 하네용
      가벼운 원소는 날라가고 무거운 원소가 중력에 의해 압축되어 중성자별이 됩니다 질량이 커서 중력이 강하다면 블랙홀이 되기도 합니다

    • @Lukasdadada
      @Lukasdadada 2 роки тому +1

      초신성 폭발이 워낙 짧은 시간에 멀리 뻗어 나가니깐 어주 잠시 동안 고온고압 상태이기 때문에 철보다 훨씬 무거운 원소들이 많이 만들어 집니다. 대부분의 금도 초신성 폭발로 탄생됩니다(오류가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 @inmymind.everything4336
    @inmymind.everything4336 5 років тому +4

    그럼 행융합반응은 연금술?이랑 관련이 있는거아닌가요?
    연금술은 불가능하다고배웠는뎃ㅎ

    • @food8864
      @food8864  5 років тому +3

      신가하죠? 인간의 기술로는 어렵지만 우주에서는 이 연금술이 항상 일어나고 있는 거랍니다^^

    • @inmymind.everything4336
      @inmymind.everything4336 5 років тому

      넵ㅎ

    • @강하윤-i9o
      @강하윤-i9o 3 роки тому

      @@food8864 하지만 팩트는 아니죠 ㅎ ㅎ

    • @Lukasdadada
      @Lukasdadada 2 роки тому +1

      @@강하윤-i9o 증명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 @보라두비뚜비-v1v
    @보라두비뚜비-v1v 6 років тому +4

    수소나 핼륨같은 가벼운 원소들도 생길수 있나요? 아님 철보다 무거운 무거운 원소들만 생기는 건가요?

    • @food8864
      @food8864  6 років тому +4

      수소나 헬륨은 이미 만들어져 있고 그 외 가벼운 원소들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초신성 폭발이 에너지가 엄청 크기 때문이죠

    • @보라두비뚜비-v1v
      @보라두비뚜비-v1v 6 років тому +1

      WONY B 그럼 초신성폭팔때는 다시 수소나 헬륨이 만들어지진 않는건가요?

    • @food8864
      @food8864  6 років тому +2

      수소는 가장 가벼운 원자고 이미 다 만들어져 있지만 헬륨은 주변의 수소가 핵융합하면서 만들어질 수 있겠죠. 초신성 전의 적색거성이 붉은 색인 것은 주변의 수소가 핵융합 하기 때문이니까요 ㅎㅎ

  • @인간-p9p
    @인간-p9p Рік тому +1

    예비고1 입니다 5년전 내용인데 지금이랑 아직 내용이 같을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 @빅스비-r7o
    @빅스비-r7o 10 місяців тому

    사랑합니답

  • @가영-o7m
    @가영-o7m 4 роки тому +2

    태양계의 형성에 관한 강의는 혹시 없으신가요?? ㅠㅜ

    • @인강계정-b1f
      @인강계정-b1f 4 роки тому

      그러니까요 ㅠㅠㅠ 영상 너무 유익한데 그 부분이 없네요..

    • @아그아-y4e
      @아그아-y4e 2 роки тому

      @@인강계정-b1f 그러게요...ㅠㅠ

  • @윈아-z2b
    @윈아-z2b 3 роки тому

    내부의 온도가 1000k가 될때에는요 원시별일때인가요?아니면 주계열성일때인가요?

    • @KMS_1223
      @KMS_1223 7 місяців тому

      원시별이요 수소핵융합은 온도가 1000만K 이상 되야 반응합니다 4개의 H->하나의 He 그래서 주계열성이 생성되는거구요

  • @권민지-y3v
    @권민지-y3v 4 роки тому

    이제 고1 학생인데요 2년전 꺼 같은데 지금이랑 다 같은 내용인건가요 ?

    • @food8864
      @food8864  4 роки тому +1

      예 모두 같습니다 ㅎㅎ

  • @음-x5n
    @음-x5n 3 роки тому +1

    이제 고1인데 내용 똑같나요??

    • @food8864
      @food8864  3 роки тому +1

      교과서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동일합니다.

  • @fern9709
    @fern9709 3 роки тому

    초신성 폭발에서 남은 질량은 중성자 별이나 블랙홀이 된다~~

  • @user-pd2rh8vd2c
    @user-pd2rh8vd2c 2 роки тому

    ✅️

  • @음-x5n
    @음-x5n 3 роки тому

    와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