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HUMAN
  • 15
  • 98 160
당신은 상대성 이론을 잘못 알고 있습니다
빛의 속도에 가깝게 달릴수록 정지한 물체가 수축되어 보인다고 배웠습니다. 정말일까요?
Переглядів: 2 252

Відео

[안될과학님 쇼츠 분석]구리관에 틈이 있어도 전자기 유도가 일어난다면 우리가 배운게 잘못된 건가요?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10 місяців тому
해당 쇼츠속에는 구리관이 잘려도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한 낙하지연이 일어나느냐에 대해 다룹니다. 교수님의 설명에선 고리형 전류가 생긴다고 했는데, 틈이 생기면 이 전류가 흐를 수 없죠. 하지만 느려집니다. 과연 교수님의 설명이 틀렸던 걸까요? 원본 영상 : ua-cam.com/users/shortsGxkcBCXFjrM
유튜브에서 한 때 핫했던 논란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11 місяців тому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어떻게 될까? 하는 문제는 주로 물컵 속에 띄워진 얼음으로 비교되곤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안될과학 님의 쇼츠가 이해 안되시는분?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Рік тому
했던 말 또 하고 또 하고, 틀린 내용으로 단 댓글이 많아서 FAQ를 달아둡니다. 1. 마찰 때문에 끝까지 올라올 수 없다! : 초기 운동에너지가 0이 아니므로 마찰에 따라 얼마를 잃는지에 dependent 하지만 충분히 올라올 수 있습니다. 이미 실험 영상이 존재합니다. 2. 코스가 꺾인 부분을 넘어갈 수 없다! : 제가 예시로서 코스를 꺾은 건 그래프를 직선으로 그리기 편하게끔 설정한 것일 뿐이고, 이미 조건에서 꺾인 부분에서는 부드럽게 올라갈 수 있다고 제시를 했는데 그걸 부정하는건... 마치 연료가 있으면 자동차에 시동이 걸립니다! 라고 했는데 연료가 없으면 안걸리는데요 하는 것과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코스를 부드럽게 만들면 충분히 현실에서 구현 가능할 뿐더러 이미 구현한 영상을 고정댓과 설명에...
영구기관 파헤치기2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Рік тому
다빈치조차 빠져나오지 못했던 영구기관의 늪 만들기만 하면 대박이겠죠?
영구기관의 비밀 1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Рік тому
이 장치는 왜 작동할 수 없을까요?
초임계유체로 만든 커피 드셔보실분?
Переглядів 712Рік тому
pubs.acs.org/doi/pdf/10.1021/acs.jpcb.9b08351 가 논문 주소입니다 00:00 초급내용 01:24 고급내용
사람이 날려면 필요한 날개의 크기를 계산해보았다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2 роки тому
실제로 사람이 날려면 천사의 날개정도로는 어림도 없군요
아바타 속 우주선의 작동 에너지를 계산해보았다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2 роки тому
너무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네요?
(소신발언) 긱블님의 영구기관을 본 물리학생의 생각
Переглядів 51 тис.2 роки тому
영구기관은 정말 많이 있다고들 하지만 우리는 이미 그것은 불가능하다는걸 압니다. 근데 왜 불가능한지 더 깊게 생각해보면 좋을거 같아요. 돌림힘은 벡터의 외적이나 이경우는 단순화 ㄱㄴ 00:00 하고싶은말 00:18 왜 안될까 02:02 또 하고싶은말

КОМЕНТАРІ

  • @hanuiin7
    @hanuiin7 Місяць тому

    고압트랜스.. 근데 왜 그러시는거에요 ㅠ 죽어요

  • @capitalism_fish
    @capitalism_fish Місяць тому

    굳이 앞에 계산식 이런거 없어도 직관적으로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원기둥모양으로 연결되지 않아도, 자른 원기둥을 펼치면 구리판이고, 그 구리판은 일단 하나의 형태로 연결된 도체입니다. 그 안에서 어떤 식으로든 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데, 내부에서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나면 그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어떤 식으로든 전자가 움직이고 재배열되면서 자기장을 형성시킬겁니다. 영상에서는 좀 더 디테일하게 자기장이 어떻게 생길지 까지 생각을 했지만, 굳이 거기까지 가지 않더라도 자석의 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긴다는 건 쉽게 예상할 수 있죠.

    • @아모르파티-e8i
      @아모르파티-e8i 5 днів тому

      그런데 왜 여태 원통으로만 배웠을까요? 자석을 충분히 둘러쌌다는 말과 원통은 전제가 완전히 다르잖아요. 물리학 원리라는게 그런 식으로 이현령비현령 주먹구구로 정리되는게 아닌데 뭔가 큰걸 간과하는게 아닌지...

  • @박떼쉬
    @박떼쉬 3 місяці тому

    아는게 있어야 보이는게 있겠구나...

  • @WAVEW-e6l
    @WAVEW-e6l 3 місяці тому

    저 분 암흑 상수를 빼먹었네요.

  • @WNF9747
    @WNF9747 3 місяці тому

    "비슷하다고 가정하면"에서 그냥 개소리 인증인데 뭔

  • @크레용팝-h3e
    @크레용팝-h3e 3 місяці тому

    위대한 시행착오군요

  • @부자부자-w8t
    @부자부자-w8t 3 місяці тому

    아 그렇군요..

  • @Chang-seop-pan
    @Chang-seop-pan 3 місяці тому

    ㅇㄱ ㅈㅉㅇㅇ?

  • @Starcell170
    @Starcell170 3 місяці тому

    저도 어렸을 때 저런거 만드는 거 좋아했는데, 저러면서 크는 거 아닐까요? 😊😊 저는 중력이 공간을 휘는 거니까 중력을 다루려면, n+1차원을 기술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 이러고 놀았어요 ㅋㅋ

  • @서원용-y2r
    @서원용-y2r 3 місяці тому

    본문 글쓴사람 이해하지 못하고 그냥 달달 외우기만 한 사람인듯 ㅋㅋㅋ

  • @또또-j4m8c
    @또또-j4m8c 4 місяці тому

    맴돌이 전류라고하던데 생각보다 국부적인 전류가 아니라 전체를 다 돌긴하네요

  • @lighttax
    @lighttax 5 місяців тому

    하 시발 과제로 이거 잡아서 영어논문만 찾아보다 드디어 이걸 봤네요;;

  • @wildfree04
    @wildfree04 5 місяців тому

    100% 완벽한 이론이 어디있겠는가~ 현 시점에선 상대성 이론등이 과학이라 불리겠지만, 100 년 후~ 1000 년 후~ 인류가 상대성 이론은 샤머니즘 으로 교과서에 나올지도 모름. 천동설을 1400 년간 믿었던 것처럼....

  • @trytemandala7577
    @trytemandala7577 5 місяців тому

    상대성이론이 틀렸다는 것은 이미 증명되었습니다 단지 교육상 필요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어떠한 속도나 운동도 시간이나 공간같은 기본 팩터를 바꾸지는 못합니다 물론 감각적 인식의 팩터는 바뀔수 있겠지요 그러나 그것은 객관적 과학이 아니겠죠 사람이 눈으로 느끼는 시간과 거리는 변해도 그가 차고 있는 시계는 상대방이나 나나 똑같이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시간과 공간이란 무한 변수로 이루어진 도출값이 속도인데 그속도를 절대값인 상수로 고정시켰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즉 시간과 공간에 한계가 멊으므로 그것으로 만들어진 속도도 한계가 있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빛이라는 엄청난 속도 그이상의 속도는 없다고 정의하게 되면 일정한 시간에 움직인 공간이 속도인데 당연히 속도가 상수로 고정되니 나머지 시간과 공간이 즐거나 늘겠지요 ...ㅎㅎ

  • @song6267
    @song6267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교과서나 참고하신 자료가 있을까요? 세타만큼 돌아간 것 처럼 보이는 내용에 대해서요.

    • @Physicks
      @Physicks 5 місяців тому

      personal.math.ubc.ca/~cass/courses/m309-01a/cook/terrell1.html andrewyork.net/Math/TerrellRotation_York.html 을 참고해 파이썬으로 구현했습니다

  • @hotchoco3823
    @hotchoco3823 5 місяців тому

    어차피 그만큼 빨리 지나가면 보이는게 옆면인지 앞면인지도 구분 못 할만큼 흐릿하게 휙 지나갈거 같은데

  • @jookbaeg8508
    @jookbaeg8508 5 місяців тому

    햐 아씨보다 잘났다는 넘도 나오네

  • @제임스-y5v
    @제임스-y5v 5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 이론이 아무리 뛰어나도 나같은 빡대가리를 이해시킬만큼 구현 하는건 너무 어렵다...

  • @Physicks
    @Physicks 5 місяців тому

    2:50 초 경에 자석 주변에 생기는 전기장을 앞의 시뮬레이션과 반대로 그렸네요

  • @SDCHOI-e3n
    @SDCHOI-e3n 5 місяців тому

    떨어지는 자석 주변의 동관에 발생한 전기장은 자석과 먼 위치의(전기장 발생이 거의 없는) 이어진 구리관에 의해 단락(쇼트)되고 있으므로 여전히 자석의 낙하를 방해하게 되는데, 자르지 않은 동관을 통과할 때 보다는 매우 미세한 차이 이지만 빠르게 낙하한다고 보는게 맞을 것입니다~ 사물의 현상은 복합적인 관계로 얽혀 있으므로 단순하게 해석해서는 본질에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 @므므-e3n
    @므므-e3n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냥 이렇게 되지 않을까 했는데 맞네

    • @Physicks
      @Physicks 10 місяців тому

      대부분 그런게 정답

  • @므므-e3n
    @므므-e3n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울 두 개 가져다 실험해줘

  • @dldeo0587
    @dldeo0587 10 місяців тому

    흥미롭습니다 무한해 보일 뿐 실질적으로는 반드시 한계가 있는 것이군요

  • @gamja2952
    @gamja2952 11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은 북극이 상승한다는거죠? 내일 바로 북극 매수 갑니다!!

  • @ijivateilikaansaksie
    @ijivateilikaansaksie 11 місяців тому

    남극같은곳은 확실히 상승하죠

  • @김민성-h4i8u
    @김민성-h4i8u 11 місяців тому

    남극과 만년설 그린란드의 빙하는 얼음이 물에 떠 있는게 아니라 해수면이 상승합니다.

  • @rimo8419
    @rimo84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은 얼면 부피가 늘어난다고 배웠는데 빙하도 녹으면 부피는 줄어들지 않을까? 그 줄어든 부피를 소금물이 채우고 나머지 눈에 보이는 물위의 얼음 정도 만큼 해수면이 상승 할 것 같은데

    • @Physicks
      @Physicks 11 місяців тому

      맹물이 얼면 부피가 늘어나는데, 그 만큼 밀도가 같은 비율만큼 줄어서 전체 얼음 부피와 물에 잠긴 부분의 부피비가 밀도비와 정확히 일치해서 이 얼음이 다시 녹으면 그 구멍에 쏙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데 소금물의 경우는 밀도가 높으니 그 만큼 부력이 조금 쎄져서 얼음이 위로 밀려납니다. 이 부피 차이가 수위를 상승시키죠. 더욱 중요한건 만약 얼음이 소금을 그대로 간직한 채 얼 수 있으면 얼음도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늘어난 부력을 상쇄시킬겁니다. 하지만 얼음이 얼면서 소금을 일부 내뱉기 때문에 부력이 더 우세해진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TrinSevenZ
    @TrinSevenZ 11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 : 상승? ㅇㅇ상승

  • @msblllw
    @msblllw 11 місяців тому

    물리에 무지하지만 이유는 모르게 재밋네요 물리 고를걸그랫나..

  • @レモンLemon7
    @レモンLemon7 11 місяців тому

  • @del7moon
    @del7moon 11 місяців тому

    북극의 얼음이 녹았을 때 해수면이 증가하지 않는점에서 1차 충격, 그리고 바닷물의 소금 농도 때문에 해수면이 증가 할 수도 있다는 점에 2차 충격을 받았네요 😂😂

  • @user-oc5rj6fn8c
    @user-oc5rj6fn8c 11 місяців тому

    실제로는 두 효과 모두 있으나, 계산해보면 육지의 빙하가 녹는 게 훨씬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아마 염분에 의한 효과는 10% 미만일거에요. 지구과학시간에 배운거라 반박시 님 말이 맞음

    • @Physicks
      @Physicks 11 місяців тому

      기존에 잘 알려진 물컵과 얼음 모델에서는 이론상 0이여야 하지만 실제로는 다르다는 걸 소개해보고 싶었습니다

  • @diaragon6
    @diaragon6 Рік тому

    무한동력이 발명 또는 발견 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 있는 방법은 나만 전가료 내고 있는 이상한 상황이거나 갑잗기 한전이 문을 닫고 전기료 안내도 됩니다 하면 무한 동력 발견 된 것임 의외로 간단함

  • @user-in3wt4sx4n
    @user-in3wt4sx4n Рік тому

    두 공이 한쪽에 모두 쏠려있을때 애초에 무게중심 또한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돌림힘에 의거해서 반대쪽으로 안돌아갈거라는 것은 긱블님 영상에서도 처음부터 언급합니다. 그런데도 영상을 만든 이유는 공이 가속을 받아 벽을 쳤을때 받침대 끝쪽에 가해지는 힘의 반작용으로 영구기관이 만들어질까라는 궁금증때문으로 보입니다.(물론 이조차 말도 안되지만) 물리학생님 말씀이 틀렸다는 것은 아니지만 위와 같은 실험을 관찰할때는 정지해있을때의 모습보다는 운동 중의 물체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이는데 한쪽에 공들이 정지해있을때 돌림힘 때문에 당연히 안돌아간다라는 설명은 오히려 더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 @Physicks
      @Physicks Рік тому

      시작을 움직이는 상황으로 만들었다면 초기에 에너지를 준 것이기 때문에 이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제가 정지하는 상황을 시작으로 둔 이유는 에너지를 추가로 뽑아낼 수 있다는 건 0에서 0보다 큰 에너지를 만든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가만히 둔 시소가 스스로 움직여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다른 많은 무한동력 장치를 보면 시작할 때 툭 쳐주거나 움직임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장치들이 이 에너지를 소모하며 움직이는 것은 가능한 구조이지만 원래라면 천천히 멈춰야 합니다. 또 이 장치는 공이 부딪히는 방향이 시소가 기울어진 방향이므로 그 쪽으로 기울어져야 하는데 왜 반대로 기울어지는지에 대해 힘의 전달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트릭을 이용해 설명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공이 당연히 왼쪽에 있으면 무게중심이 왼쪽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이 장치는 막대가 공의 무게를 반대 쪽으로 전달해 주기 때문에 공이 왼쪽에 있을 때 오른쪽이 눌리므로 시소는 오른쪽으로 기울고, 이것이 반복된다는게 이 장치의 트릭인데, 단순히 누르는 힘 뿐만 아니라 돌림힘까지 모두 전달되어야 하므로 이를 모두 고려할 때 시소는 반대 쪽으로 기울어질 수 없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단순히 공의 위치가 곧 무게중심이다에서 끝나지 않고 시청자들이 헷갈릴만한 포인트에 대한 추가 설명이 있었으면 좋겠다 + 단순히 마찰때문에 안된다, 열역학법칙때문에 안된다고 치부하는 몇몇 댓글들도 다시 생각해보면 좋겠다는 취지의 영상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erfumeon7447
    @perfumeon7447 Рік тому

    나는 12년전에 고등학ㄱ교 다녔는데 ... 물1에 토크 안나왔던거같은데 ...

  • @kariapi1606
    @kariapi1606 Рік тому

    참피...?

  • @jameskim5531
    @jameskim5531 Рік тому

    고등 과정에 토크를 안가르친다구요…? 제조업국가에서..?

    • @Physicks
      @Physicks Рік тому

      과고나 특수 과정으로 물2를 배울 경우 있다고는 하는데, 수능특강 2024 물리1 기준으로는 없네요..... 또 나중에 다시 추가 될 지도?

  • @幻月-v8g
    @幻月-v8g Рік тому

    아니 근데 이부분은 물리학까지도 안가고 그냥 직관으로 이상하다는걸 느껴야 하지 않나 싶음 저 선 부분 파이프가 바닥이랑 고정 되어서 회전하지 않는다고 할 때 그냥 0,0 1,1 1,0 의 삼각형 판때기의 1,1 부분에 물체를 매달아 놓은 것과 같지 않음...? 물론 이 판때기 위에 올라간게 저 파이프 뿐이고 중앙을 기준으로 파이프의 왼쪽과 오른쪽 무게가 같으며 뭘 추가로 매달지는 않았을 때에도 직관과 비슷하게 동작하는지는 모르겠는데 이 무게추에 비해 파이프의 무게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일 테니까... 솔직히 물리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해도 이런걸 보면 그냥 일반적인 보기만 해도 안될거 같은데 여서 웃김 보이는 것과 다르면 알아보려는 노력이라도 할거같은데...

  • @sungumam
    @sungumam Рік тому

    긱블이라는데에는 물리학과나 기계공학과 없음? 너무 당연한 소리해서 당황

    • @Physicks
      @Physicks Рік тому

      저보다 더 전문적인 분들 많습니다

  • @joshualee94
    @joshualee94 Рік тому

    캬 좋다

  • @허언증완치자
    @허언증완치자 Рік тому

    병진ㅋㅋ 회전ㅋㅋ

  • @정신차리세요-i9d
    @정신차리세요-i9d Рік тому

    자네 대학원에 가볼 생각 없나?

    • @Physicks
      @Physicks Рік тому

      전 이미 대학원생입니다

  • @taeyeonge
    @taeyeonge Рік тому

    오… 이분 물리수학 진짜 잘할 것 같은 글씨체임

  • @user-zz5nx3xy4z
    @user-zz5nx3xy4z Рік тому

    그니까 공이 있다는 것까지는 이해했어요

  •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Рік тому

    모멘트를 돌림힘이라고 하나요?

    • @그럴수도-h7v
      @그럴수도-h7v Рік тому

      물리쪽에서는 토크라고 하고, 공학쪽에서는 모멘트라고 하더군요. 토크를 교육과정에서 우리말로 순화?해서 돌림힘이라고 쓰긴 하던데.. 보통은 토크라고 더 많이 통용되는 것 같습니다.

    •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Рік тому

      @@그럴수도-h7v 아 분야별로 용어가 달랐던거였군요!

  • @안졸리나젤리-w8v
    @안졸리나젤리-w8v Рік тому

    오늘 처음 봤는데 설명이나 진행하시는게 진짜 머리에 잘들어오고 재밌네요ㅋㅋㅋㅋㅋ 계산해서 알려주시니까 이 실험이 불가능한 이유가 확실히 이해되서 좋아요 앞으로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 @ushar1562
    @ushar1562 Рік тому

    서울대 공대생인데 샤람들이 엔트로피를 언급하는게 뭔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게 바로 이거였네요. 사실 엔트로피가 정확히 뭔지도 모른채 그냥 엔트로피 때문이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과거에 천동설을 주장했던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지구가 둥글다고 믿음으로써 과거의 지식인들을 비난하고 지적 우월감에 차 있지만 지구가 왜 둥근지 어떤 근거로 알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없는 사람들이 태반이죠. 심지어 천동설과 지동설 또한 상대성 이론의 관점에서는 둘다 맞는 말이 되어버리니 어찌 되었든 사람들이 직접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는 자세를 함양했으면 좋겠다는 생각 뿐입니다.

  • @avocatdogg5262
    @avocatdogg5262 Рік тому

    물리과 학생인데 어느정도 공감합니다. 무한동력에 있어서는 특히 "에너지보존 위반이야" 하고 말면 되서 더욱 깊게 못파고들게되죠 ㅋㅋ 하지만 기왕 무한동력기를 소개했다면 그게 이상적으로(마찰무시 등등) 작동할때 어떤 모순이 발생하는지 말하는곳도 재밌는 포인트인데 이게 생략되어 많이 아쉽네요. 또, 긱블님 영상에서 아쉬운부분이 무한동력 하나로도 엄청나게 많은 과학썰을 풀 수 있을건데 그것도 조금 아쉽고..(영상의 토크개념이나, 열역학관련, 엔트로피, 등등...) 특히 어릴때 저를 포함해서, 무한동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오해가 "마찰때문에 무한동력이 아니면, 아주 효율적인 기관은 맞다는 의미인가?" 이런 오해도 발생하고.. 설명을 생략하면 그만큼 많은 오해가 생길 수 있는것같네요 ㅋㅋ

  • @libertyms
    @libertyms Рік тому

    영상 정주행하면서 영재고 입시 이후 자사고에 진학하며 잊었던 물리에 대한 흥미가 살아나는 것 같습니다ㅎㅎ!

  • @libertyms
    @libertyms Рік тому

    2:45 변분법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