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4
- 655 215
생물관찰-WhyTV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20 вер 2011
이 채널은 생물이름만을 단순히 알려주거나 주위에서 보기 힘든 신기한 생물을 촬영하여 재미 위주로 보여주는 채널은 아닙니다. 가능한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의 관찰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과 생명현상의 근본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과학교육 채널입니다. 아울러 시청자들의 생태감수성도 높아지면 좋겠습니다.
직접 촬영한 영상 곳곳에 있는 ‘의문’ 이나 ‘생각 과제’ 를 해결하다 보면 저절로 과학적 사고 근육이 강화될 것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정답을 제시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도록 여러 비계(힌트)를 제시하였습니다. 🤔 충분히 생각한 후에도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거나 원리가 궁금하면 댓글이나 이메일(dhshin@snue.ac.kr)로 질문을 하면 최대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이 채널을 구독 & 시청하시는 분들은 생물과목이 단순히 암기만 잘하면 되는 과목이 아니라 작은 생명현상에도 질서 정연하고 심오한 생명의 과학적 원리가 있다는 사실을 같이 발견하고 기후위기 시대에 적합한 생태소양을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 shorts 가 생김으로 해서 shorts 에는 '생물 영상 도감' 성격의 영상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CReward@5a040fe5
직접 촬영한 영상 곳곳에 있는 ‘의문’ 이나 ‘생각 과제’ 를 해결하다 보면 저절로 과학적 사고 근육이 강화될 것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정답을 제시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도록 여러 비계(힌트)를 제시하였습니다. 🤔 충분히 생각한 후에도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거나 원리가 궁금하면 댓글이나 이메일(dhshin@snue.ac.kr)로 질문을 하면 최대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이 채널을 구독 & 시청하시는 분들은 생물과목이 단순히 암기만 잘하면 되는 과목이 아니라 작은 생명현상에도 질서 정연하고 심오한 생명의 과학적 원리가 있다는 사실을 같이 발견하고 기후위기 시대에 적합한 생태소양을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 shorts 가 생김으로 해서 shorts 에는 '생물 영상 도감' 성격의 영상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CReward@5a040fe5
[벌들의 전쟁]#왕가위벌 #밑들이벌 #산란 #투쟁 #서초동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벌들의 #전쟁 승자는 누구? #벌의날 #야생벌 #생태감수성 #서울교대
[벌들의 전쟁]#왕가위벌 #밑들이벌 #산란 #투쟁 #서초동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벌들의 #전쟁 승자는 누구? #벌의날 #야생벌 #생태감수성 #서울교대
Переглядів: 2 525
Відео
[SNUE-A016] #왕사마귀 #산란 #부화 및 #짝짓기 #암컷 사마귀는 짝짓기 후 수컷을 왜 잡아먹을까? #Mantis #Cannibalism #약충 #기후변화 #서울교대
Переглядів 2,8 тис.2 роки тому
[SNUE-A016] #왕사마귀 #산란 #부화 및 #짝짓기 #암컷 사마귀는 짝짓기 후 수컷을 왜 잡아먹을까? #Mantis #Cannibalism #약충 #기후변화 #서울교대
[유채 & 갓] #OMG #유채 #갓 #과학적 #분류방법 #Brassica oleracea 의 여러 품종 #제주#Triangle of U #우장춘 #배수체 생물 #배추속 #겨자씨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2 роки тому
[유채 & 갓] #OMG #유채 #갓 #과학적 #분류방법 #Brassica oleracea 의 여러 품종 #제주#Triangle of U #우장춘 #배수체 생물 #배추속 #겨자씨
[HD]#동백나무 #애기동백 완전 정리 #짝퉁 #쪽동백나무 & #생강나무 구분 #동박새 비밀 #제주 #원예종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2 роки тому
[HD]#동백나무 #애기동백 완전 정리 #짝퉁 #쪽동백나무 & #생강나무 구분 #동박새 비밀 #제주 #원예종
[#힐링 #제주]#한라산 최고 #절경 #관음사 코스 #겨울왕국 살아생전 두번 볼 수 없는 #적송설화 강풍으로 통제된 #한라산 #눈꽃산행 #겨우살이 #큰오색딱따구리 #4k
Переглядів 8323 роки тому
[#힐링 #제주]#한라산 최고 #절경 #관음사 코스 #겨울왕국 살아생전 두번 볼 수 없는 #적송설화 강풍으로 통제된 #한라산 #눈꽃산행 #겨우살이 #큰오색딱따구리 #4k
[제주 생물 탐사]남방큰돌고래 관찰 및 핀북(Fin book) 활용 개체 식별 영상. 해안가에서 Dolphin Watching 을 통해 돌고래 직관 및 개체 식별 방법 제시.
Переглядів 9453 роки тому
[제주 생물 탐사]남방큰돌고래 관찰 및 핀북(Fin book) 활용 개체 식별 영상. 해안가에서 Dolphin Watching 을 통해 돌고래 직관 및 개체 식별 방법 제시.
북한양서류, 한국산개구리, 통일, 남생이무당벌레, 기생파리, 왕침노린재 등의 곤충생태와 두루미, 재두루미의 울음소리, 그리고 만추의 고석정 영상
Переглядів 6813 роки тому
북한양서류, 한국산개구리, 통일, 남생이무당벌레, 기생파리, 왕침노린재 등의 곤충생태와 두루미, 재두루미의 울음소리, 그리고 만추의 고석정 영상
[제주 생물 탐사]기생식물인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이들과 함께한 한라산 정상 등정. 눈덮힌 + 물있는 백록담 영상은 보너스!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3 роки тому
[제주 생물 탐사]기생식물인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이들과 함께한 한라산 정상 등정. 눈덮힌 물있는 백록담 영상은 보너스!
철원에서 만난 사위질빵, 노박덩굴, 떡갈나무, 억새, 구절초, 아그배나무의 완전 정복!
Переглядів 7793 роки тому
철원에서 만난 사위질빵, 노박덩굴, 떡갈나무, 억새, 구절초, 아그배나무의 완전 정복!
두타산 생강나무, 쪽동백나무, 작살나무, 회양목, 누리장나무, 개옻나무, 두메고들빼기, 용추폭포, 쌍폭포, 무릉계곡 완전정복!!
Переглядів 6463 роки тому
두타산 생강나무, 쪽동백나무, 작살나무, 회양목, 누리장나무, 개옻나무, 두메고들빼기, 용추폭포, 쌍폭포, 무릉계곡 완전정복!!
[제주 생물 탐사] 멸종위기종인 먹구렁이인줄 ㅠ 제주 현무암 돌담위에서 발견한 누룩뱀 관찰 영상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3 роки тому
[제주 생물 탐사] 멸종위기종인 먹구렁이인줄 ㅠ 제주 현무암 돌담위에서 발견한 누룩뱀 관찰 영상
[과학영재교육원]국화과 꽃 탐구하기 설명 영상 : 두상화, 설상화, 관상화 해부
Переглядів 7143 роки тому
[과학영재교육원]국화과 꽃 탐구하기 설명 영상 : 두상화, 설상화, 관상화 해부
장마를 알리는 모감주나무, 황금비나무, Golden rain tree, 염주나무, 천연기념물, 제138호, 식물의 이동방법, 종자는 돛단배를 타고~~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3 роки тому
장마를 알리는 모감주나무, 황금비나무, Golden rain tree, 염주나무, 천연기념물, 제138호, 식물의 이동방법, 종자는 돛단배를 타고
100년만에 피는 신비의 꽃 대나무. 모소대나무 이야기는 거짓!. 나무가 아니라 벼와 같은 풀!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3 роки тому
100년만에 피는 신비의 꽃 대나무. 모소대나무 이야기는 거짓!. 나무가 아니라 벼와 같은 풀!
알에서 부화한 올챙이(도롱뇽 & 산개구리) 채집과 두꺼비 & 청개구리 등장. 양서류 3총사 출동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3 роки тому
알에서 부화한 올챙이(도롱뇽 & 산개구리) 채집과 두꺼비 & 청개구리 등장. 양서류 3총사 출동
#시화호 #탐조 #수리부엉이 #펠릿 #혹고니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황조롱이 #검은목논병아리 #혹부리오리 를 관찰한 #기록 영상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4 роки тому
#시화호 #탐조 #수리부엉이 #펠릿 #혹고니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황조롱이 #검은목논병아리 #혹부리오리 를 관찰한 #기록 영상
[에너지기후변화교육 학회 & 연구소] 기조강연 01 : 기후변화-위기의 북극(경북대 윤일희 명예교수) [2020.11.14]
Переглядів 1114 роки тому
[에너지기후변화교육 학회 & 연구소] 기조강연 01 : 기후변화-위기의 북극(경북대 윤일희 명예교수) [2020.11.14]
[에너지기후변화교육 학회 & 연구소] 기조강연 02 : 기후변화와 남극의 동물 (강원대 최순규 박사) [2020.11.14]
Переглядів 1244 роки тому
[에너지기후변화교육 학회 & 연구소] 기조강연 02 : 기후변화와 남극의 동물 (강원대 최순규 박사) [2020.11.14]
[에너지기후변화교육 학회 & 연구소] 논문발표 및 토론[2020. 11. 14]
Переглядів 1714 роки тому
[에너지기후변화교육 학회 & 연구소] 논문발표 및 토론[2020. 11. 14]
[곤충] 숲속 범인을 찾아라!! 잘라진 도토리나무 가지 전격 해부! #도토리거위벌레 #생태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4 роки тому
[곤충] 숲속 범인을 찾아라!! 잘라진 도토리나무 가지 전격 해부! #도토리거위벌레 #생태
[참매미 짝짓기] 리얼 영상, 쌀알같은 매미알, 1령 애벌레, 현미경 영상 등 '매미의 한살이'를 완벽 재현한 영상. cicada mating, copulation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4 роки тому
[참매미 짝짓기] 리얼 영상, 쌀알같은 매미알, 1령 애벌레, 현미경 영상 등 '매미의 한살이'를 완벽 재현한 영상. cicada mating, copulation
[매미의 비밀 : 완결판] 매미의 주기적 출현에 대한 전술적 이해, 탈피각으로 매미 동정 및 분류, 암수구분 등을 생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 cicada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4 роки тому
[매미의 비밀 : 완결판] 매미의 주기적 출현에 대한 전술적 이해, 탈피각으로 매미 동정 및 분류, 암수구분 등을 생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 cicada
배경음악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일 유명한 첼로음악~~~
너무 예뻐요. 땅 위를 다니는것처럼 나무를 타고 다니니 신기하네요.
@@WM-dg6kp 반가워요~더보기 설명란을 보시면 상세한 설명이 있어요~🤗
영상 초반의 '물박갈나무'는 '물박달나무'의 오타입니다. 😭😭
노안 때문이군요!!ㅠ
동네 뒷산이나 도시공원에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텃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지만 세계적인 조경수입니다. 해외에서 쉽게 보실수 있습니다. 😊 학명이 수정되었습니다. 더보기 설명란을 참고하세요~
어제죽었어😢😢😢😢
@@큰별e ㅠㅠ 😭
이쁘네 했는데 보호종이쿤
@@bosspossseo2884 반갑습니다~
직박구리 정도의 크기이었습니다.
태양조 색이 참 아름답네요.
빛 각도에 따라서 색깔이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태양조(sunbird). 벌새를 닯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왜 서식하지 못할까요?🤔
제가 키워요.♡+♡♡!!
@@JINMINGJI 반갑습니다~🤗 먹이는 어떻게 공급하냐요? 🤔
저것 비슷한 곤충을 오래 전에 라오스 방비엥 길가에 꼬치에 꿰어놓고 식용으로 파는 것 본 적이 있는데ᆢ 그때는 '여기 사람들은 바퀴벌레도 먹는구나!'라고 생각한 적이ᆢ ㅠ 아무튼 곤충의 세계는 무궁무진합니다. 그리고 신교수님, 이국 멀리 객지에서 아무 동물이나 함부로 마지지 마소. 혹 풍토병 걸릴지도 모르니~ㅎㅎ
염려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징그럽다.
@@최강프리스 ㅎㅎ 식용곤충으로 각광!
징그럽다.
2025년 1월 5일에 UBEC DRC 에서 발견한 개미입니다. 강의실에서 발견했지만, 풀밭에도 많이 있었습니다. ㅎㅎ
한국에서는 관찰기록이 없는 비둘기입니다. 참새보다는 크고 멧비둘기보다는 작습니다. 울음소리를 잘 들어보셔야~~
어떤 새거나 참 이쁘다.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관찰 가능한 '노랑때까치'와 다른 종입니다. 서아프리카에서 서식중인 '노랑부리때까치'입니다. BGM은 크게~~
한국에서는 사육종 & 아프리카는 야생형!!😊
저도 드디어 출연!! ㅋㅋ
@@skehsleh 첫 댓글 매우 감사!! 이제 온라인으로도 자주 봐요~~~🙏
신기해요!
@@menohero 저도 신기해요~ 이 먼곳에서 같은 생명체를 만나다니~~😲
검은머리베짜는새 암수 영상이 너무 아기자기하네요. 시간이 되신다면 차후 나이지리아 영상을 하나의 다큐멘터리로 모아도 좋겠습니다. 😊
@@swkwon1003 ㅎㅎ 조언 땡큐!!
신종 육상플라나니아 www.hani.co.kr/arti/animalpeople/wild_animal/1175961.html
신종 플라나리아 기사 www.hani.co.kr/arti/animalpeople/wild_animal/1175961.html
겨울에 꽃이 핀다... 생명력 ^^ 그 마음으로 선물하기 좋은데요 ^^
@@이수진-l1i4f 한번 가 보세요~
교수님~ 감사해요 그동안 까맣게 잊고 있었던 초등학교 때 배운 겉씨식물/속씨식물 생각나네요 ㅎㅎㅎ 추억이 방울방울, 저는 개인적으로 잎이 큰 식물을 좋아해요~~ 멋지자나요
@@이수진-l1i4f 잎이 크면 열매도 일반적으로 큽니다~~ 멋지죠!! ㅎ
몸통 색깔이 너무 예쁜 새이네요 ^^
@@이수진-l1i4f 집짓는 기술이 예술입니다~
인체의 신비나 자연의 신비ㅡ식물, 동물의 신비나 경이롭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연은 우리 인간의 스승 ㅋㅋㅋ
맞습니다~~
나이지리아 정원에서 발견한 유사 털별꽃아재비! 😮 세계적인 잡초임이 확인! 아메리카가 원산지! 설명란에 학명변경했습니다 😅
진짜, 다큐멘터리 같아요. 설명도, 목소리도, 어조도요. EBS 자연 다큐 보는 줄 알았어요.
@@hyeonsolJo ㅎㅎ댕큐!!
매미 양식 할수는 없나요??
반갑습니다. 실험실에서 사육하는 경우가 있으니 양식하려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식용, 약용도 안되니 경제적으로 할 필요가 없을것 같아요!!
@@Bio-MicroDocumentary 식용 약용 아니고 다른 용도로 쓸대가 있어서 대량 생산 가능하면 좋을거 같은데 .
@ 대량생산업체는 제가 모릅니다. 필요하시다면 직접 하셔야 될듯 합니다.
직조새의 짝짓기가 놀라운 공예품을 만드네요. 멀리 나이지리아에서도 생물관찰은 계속되는군요. 건강하게 일 잘 보시고 오시길ᆢ
예~ 호텔안에서만 관찰 ㅠ
정성들여 집을 짓는 모습이 아름답네요. 인간이나 새의 세계나 암컷에 잘 보이기 위해 평생 정성을 다해야 종족을 보존..좋은 종족을 보존할 수도 있고 허니문 같은 삶을 평생 즐길 수 있다. 감사합니다..
예~ 종족보존의 DNA 기능
수컷의 둥지제작단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1단계: 기초 작업 - 나뭇가지 끝에 적당한 위치 선정 - 긴 풀잎을 이용해 기본 틀 형성 - 입을 바늘처럼 사용하여 풀잎을 엮기 시작 2. 2단계: 본체 구축 - 씨실과 날실처럼 풀잎을 교차하며 엮어나감 - 조롱박 모양으로 둥지 형태 만들기 - 입구는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계[ 3. 3단계: 내부 장식 - 부드러운 풀, 깃털, 솜 등으로 내부 채우기 - 둥지 안을 아늑하게 만들기 4. 4단계: 완성 및 유지 - 건기에도 지속적으로 둥지 수선 - 암컷들의 방문을 기다리며 둥지 관리
소철이네여
@@최성연-d9i 예~ 맞습니다! 채널 방문 및 댓글 감사 드립니다 🙏
@Bio-MicroDocumentary 어릴쩍 엄마가 키우시던 거라서 알아 봤네여 ^^
@ 좋은 추억을~~~
와! 소철 수꽃이 아름답네요... 🎉
너무 신기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제주 등의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에서 서식가능하고 중부지방에서는 실내에서 재배 가능! 😊
와~~다른 세상같아요 노래랑 어울려요
@@seongheelee7296 Bgm 신경 썼죠 ㅎㅎ
완전 다른 세상이네요. 너무 이쁩니다~~~^^
@@김태선-k3j good ~ 👍
자연관찰 영상을 지속적으로 보니 마음이 평화로움을 느낍니다. 또한 인간이 만물의 영장 이 아니구나, 라는 것을 알게됩니다. 인간은 자연계의 최상위포식자 일뿐이다는 것. 감사합니다.
@@최강프리스 제 영상으로 통찰을 얻으셨다니 저도 기쁩니다 ~~ 감사합니다 😊
보기 드물거나 멸종 위기 생물들만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의 평범하게 보이는 생물들 관찰이 더 중요합니다. 😊 새들은 깃털손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
동백은 '冬柏' 또는 '棟柏'을 표음한 것이다. 동백은 한자어이지만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말이다. 이 꽃은 겨울에 꽃이 핀다 하여 동백(冬柏)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하며 그 가운데는 봄에 피는 것도 있어 춘백(春柏)이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꽃으로 보는 한국문화>에서, 남도의 대표적인 겨울나무꽃 ^^
지난 1월에 연수차 갔었는데 정말 장관이더라구요🎉 영상으로 감상하니 추억이 되살아나네요. 감사합니다
예~~ 한겨울이 절정기죠!
동백과 애기동백의 차이점은 아래 풀영상에서~(ua-cam.com/video/xQfWoKCbLf4/v-deo.html)😊
내 젊은시절의 정열같은 붉디붉은 동백꽃 식지않는 정열은 목표와 행동이 있다면 장구하다ㅋㅋㅋ 영감을 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쥐똥처럼 생긴 열매는 강장제로 사용됩니다. 쥐똥나무는 남정목, 광나무는 여정목이라고 합니다. 쥐똥나무 영상은 여기에서~ ( ua-cam.com/video/_UrAhfjyHdA/v-deo.htmlsi=MLEB9Xvl8BQVxPFq)
떼떼아 떼떼 수선화꽃과 금잔옥대!!🎉❤
채널 방문 및 댓글 감사합니다~~ 다양한 생물들이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으니 종종 방문해주세요~
펄벅여사가 한국에 와서 새먹이로 감을 남겨두는 한국인의 정서를 보고 감동했다는 일화가 생각나는 풍경입니다. 감사합니다.
감동적인 일화죠~~까치밥!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