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 이 영상은 서울교대 국립대학육성사업단의 '조류탐사를 통한 생태적 감수성 함양'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화호에서 탐조한 내용으로 만든 것이다.
    영상은 신동훈 교수의 조류에 대한 기본생태 강의와 수리부엉이와 수리부엉이 펠릿에 대한 설명, 혹고니와 큰고니의 생태. 검은목논병아리의 생태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영상에 나오는 새 사진과 동영상은 최순규 박사님이 촬영한 것입니다.
    사진과 영상을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КОМЕНТАРІ • 68

  • @최강프리스
    @최강프리스 3 роки тому +4

    조으네요.
    시화호 가보고 싶으지네요.

  • @최윤서-i9p
    @최윤서-i9p Рік тому +4

    영상을 통해 시화호에 있는 다양한 새들을 관찰해 볼 수 있어서 정말 유익했습니다. 호수에서 새들을 보아도 거리가 멀어 새의 생김새나 특징에 대해 알아보기가 어려웠는데, 시화호 탐조 활동처럼 저도 직접 새들을 관찰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특-최윤서)

  • @yommyomm
    @yommyomm 4 роки тому +5

    시화호에 이런 새들도 있군요! 다양한 새들을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 @최다솜-x3t
    @최다솜-x3t Рік тому +2

    영상을 통해 멸종위기종들과 평소에 보기 어려운 동물들을 볼 수 있어 신기하고 유익했습니다。 새들은 소화되지 않는 배설물을 바로 입을 토해낸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되어 흥미로움을 느꼈습니다。 (유특-최다솜)

  • @정-n3z4z
    @정-n3z4z Рік тому +3

    예전에 철새도래지에 갔을 때는 새들이 많이 없어서 아쉬웠던 기억이 있는데 영상을 통해서 시화호의 다양한 새들을 직접 보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수리부엉이의 펠릿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어서 더 생생하게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유특-배수정)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 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용띔
    @용띔 4 роки тому +4

    수업때문에 참가는 못했는데, 정말 아쉽네요. 그래도 생생한 현장에서 다양한 새를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3

      온라인으로 만나는 것도 의미 있네요~~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교육!

  • @리예-q5x
    @리예-q5x Рік тому +2

    영상을 통해 시화호에 있는 다양한 새들을 볼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실제로 조류를 보면 더 많은 특징을 관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특-성예림)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rama-xc4xz
    @rama-xc4xz 4 роки тому +7

    영상에서 많은 새들을 좋은 화질로 볼 수 있었고 설명도 간략하게 잘 되어있어서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이번 답사에 참여하지 못해 아쉬웠는데 다음 기회엔 참여하고싶네요!!

  • @하롱이지
    @하롱이지 Рік тому +3

    정지비행은 정말 보기 힘든 장면 중 하나라고 하던데 하늘에 가만히 날고 있다니 신기합니다 !! (유특-임서연)

  • @이수연-i5k3m
    @이수연-i5k3m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시화호에 이렇게 다양한 새들이 쉬어간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들도 여기서 계속 만날 수 있고, 이 곳에서 매년 쉬어갈 수 있도록 환경을 보호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과학-이수연)

  • @jhlee9090
    @jhlee9090 4 роки тому +8

    크 시화호 갔을때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ㅠㅠㅠㅠ코로나로 답답한 요즘 가슴이 뻥뚫리는 경험이었습니다..정말 또 가고 싶네요!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3

      이재훈 학생 반갑습니다. 다음에는 저어새를 보면 좋겠네요~~~ 물고기 잡는 모습을 보면 아마 감동할 것입니다. ㅎㅎ

  • @최소은-e9y
    @최소은-e9y Рік тому +2

    굉장히 좋은 탐사였을것 같네요~ 새들을 눈앞에서 볼수 있는 탐사라니 부럽습니다 (유특-최소은)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같은 장소 탐조계획이 있습니다.
      일정 가능하면 나에게 연락주세요~

  • @전예빈-k3l
    @전예빈-k3l Рік тому +3

    시화호에 저렇게 다양한 새들이 있었네요!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저도 꼭 시화호 탐조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특-전예빈)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에 '시화호 탐조'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dhk3364
    @dhk3364 4 роки тому +5

    좋은 강의 잘 감상했습니다! 흔히 '독수리'로 알고 있던 eagle이 수리이고, 독수리는 '대머리'의 뜻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신기했습니다.
    또한 부엉이의 '펠릿'이라는 것을 통해 사람의 소화과정과 다른 부분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2

      기회되면 올빼미 펠릿을 분해해서 어떤 생물체가 나오는지 예측하는 활동을 해 볼까 합니다. 그 때 참여하세요~~

  • @cozyhappiness
    @cozyhappiness Рік тому +3

    백조로 알고 있던 새의 이름이 일본식 이름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고 아름다운 우리말로 아름다운 새를 부를 수 있는 단어로 고니라는 단어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또한 큰고니와 흑고니등 다양한 고니종류를 관찰하며 같은 종이라도 조금의 차이로 색다른 매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텃새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 직접 관찰해볼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유특-백채연)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eye9054
    @eye9054 4 роки тому +6

    영상으로만 봐도 '매우 즐거운 시간이었겠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버스 안에서 정리해주는 조류에 대한 기본 생태 강의가 매우 유익합니다.특히, '독수리'에 대한 번역 오류 사례를 설명하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 @YURI-il3mz
    @YURI-il3mz Рік тому +3

    영상을 보며 저도 시화호에 가서 여러 새들을 관찰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버스에서 설명해주신 내용 중 흔히 '독수리'로 알고 있는 'eagle'이 사실은 '수리'였음을 새롭게 알게 되어 놀랐습니다. 또 정지비행을 하는 황조롱이의 모습도 인상적이었는데, 먹이를 효과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보았습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에 무엇이 있을지는 더 깊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다방면에서 생각이 풍부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유특-권유리)

  • @챙-n6g
    @챙-n6g Рік тому +3

    다양한 새들과 부엉이를 직접 관찰하고 특징을 찾아보는 활동이 굉장히 즐거워 보였습니다. 특히 펠릿이 가장 신기했던 것 같습니다. 저런 것이 있는 줄도 모르고 있다는 사실에, 조류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예전에 시화호에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에는 새들을 관찰할 생각을 별로 안 했었습니다... 다음 번에 시화호에 방문한다면 꼭 고니들과 특히 수리부엉이를 꼭 보고 싶습니다. (유특-홍채연)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user-gc5so1yn6zz
    @user-gc5so1yn6zz 4 роки тому +4

    다양한 새들을 관찰하고 좋은 설명까지 들을수 있어서 너무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그림처럼 날아오르던 철새들이 특히 기억에 남네요ㅎㅎ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2

      간만에 학생들과 얼굴 보면서 탐조를 하니 매우 좋았습니다 ~~

  • @김영삼-o4o7j
    @김영삼-o4o7j Рік тому +1

    평소에 볼 수 있는 새라곤 비둘기,참새,까치,까마귀 정도뿐인데 이 영상을 통해 여러 다양한 새들을 보니까 너무 좋습니다. 특히 수리부엉이가 듬직하게 생긴게 참 멋지네요!(유특-김민지)

  • @Teacher_sunam
    @Teacher_sunam 4 роки тому +9

    평생에 한 번 보기 힘들다는 수리부엉이를 볼 수 있는 너무나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추웠지만 그보다 보람이 컸던 시간이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또 가고 싶습니다!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3

      반응이 좋으면 1월달에 한번 더 탐조기회를 마련해보겠습니다~~

  • @김선호-m8l
    @김선호-m8l Рік тому +3

    본가의 아파트에서 특정 시기만 되면 맹금류가 창밖에서 우리를 바라보던 기억이 있습니다. 영상에서 그 새가 바로 황조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새를 주의깊게 관찰할만한 기회가 많이 없는데 탐조라는 행사에 참여하면 재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기억에 남아 다음에 참여할 기회가 생기면 참여해보고 싶습니다.(유특-김선호)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이예은-h8x
    @이예은-h8x Рік тому +3

    시화호에 정말 다양한 새들이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생각보다 많은 새들이 우리나라에서 1년 내내 머물고 있는 텃새라는 것이 신기하였다. 또한 도시 개발로 인해 새의 서식지가 많이 파괴되고 있는데 시화호처럼 새들이 편히 쉬고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더 조성되었으면 좋겠다.(유특- 이예은)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 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mytea_420
    @mytea_420 Рік тому +2

    시화호같이 새들이 쉬어갈 수 있는 환경이 많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관찰하기 어려운 동물들을 볼 수 있는 곳인 만큼 계속 깨끗하게 유지되길 바라는 마음이 큽니다! 기회가 되면 탐조하러 가고싶네요 : ) (유특-박묘아)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 계획 있습니다.
      시간 괜찮으면 연락주세요

    • @이수연-i5k3m
      @이수연-i5k3m 9 місяців тому

      시화호는 참 다양한 새들이 쉬었다 가는 곳이네요. 멸종위기종들도 볼 수 있고 유익한 탐사를 하고 배워갈 수 있네요. 시간이 지나도 이곳에 많은 새들이 들리고 편히 쉬어 갈 수 있도록 우리가 보호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과학-이수연)

  • @aviphile
    @aviphile 4 роки тому +9

    영상과 사진의 퀄리티도 좋고 교수님 설명도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새들의 생태와 그들이 살아가는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 @최수현-c4g
    @최수현-c4g 4 роки тому +4

    기회가 되면 저도 가고 싶네요 ~~~ 황조롱이는 정지비행을하면서 먹이를 찾으려 한 건 아닐까요????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3

      들쥐 오줌의 흔적, 자외선을 보면서 들쥐 탐색중 ~~

  • @klitkim2470
    @klitkim2470 4 місяці тому +1

    시화호에 있는 다양한 조류에 대해 한층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영상 자료네요. 이 영상을 보면서 저도 직접 가서 다양한 조류들을 관찰하고, 사진으로 기록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멸종위기종인 수리부엉이를 목격하고 펠릿 안에 있는 내용물을 거꾸로 유추하는 과정에서 관찰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생과-김동헌)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місяці тому

      2학기에 시화호 탐조 행사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공지 뜨면 신청하세요~

  • @강태용-m4b
    @강태용-m4b 4 роки тому +7

    날씨는 추웠지만 책이나 영상으로만 보던 다양한 새들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아주 즐거웠습니다. 중간중간 교수님이 설명해주신 내용도 유익하고 재미있었습니다. 다음에 또 갈 수 있으면 좋겠네요!!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3

      태용학생 반갑습니다. 탐조활동을 비롯해서 다양한 생태탐사활동을 마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professorDhshin
    @professorDhshin 4 роки тому +8

    수리부엉이를 바로 눈 앞에서 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펠릿 관찰도 함께~~~

  • @최유나-y4p
    @최유나-y4p Рік тому +2

    새가 정지비행을 하는 이유는 공중에서 땅이나 바다를 내려다보며 먹이를 노리기 위해서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어렸을 때 시화호에 가본 적 있는데 시화호에 이렇게 다양한 새들이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갔다면 더 좋았을텐데 아쉬움이 드는 것 같습니다 (유특-최유나)

  • @혜미-x3s
    @혜미-x3s Рік тому +2

    새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직접 눈으로 새들을 보며 그 특징을 관찰한다면 너무 재미있고 새와 친해지는 뜻 깊은 시간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니는 흔히 백조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정식명칭은 왜 일본식 표현으로 사용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유특-차혜미)

  • @이승원-e1y3v
    @이승원-e1y3v Рік тому +3

    탐사하시는 분들 모두 무척 즐거워 보이는 것을 보고.. 저도 가보고 싶어졌습니다 ㅎㅎ 새들이 사는 공간에 직접 가서 관찰해보면 훨씬 마음에 와닿고 생태감수성이 높아질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탐사할 때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사용하면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새들도 충분히 알아볼 수 있을 만큼 좋은 화질로 관찰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새들이 번식 때 깃털의 색깔이 변하는 게 신기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지 궁금해집니다. (유특-이승원)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망원경의 성능에 따라서 가능
      깃털 색깔 변화? 가설을 세워 보세요~

  • @박승민-x9d
    @박승민-x9d Рік тому +3

    새들은 소화가 되지 않는 배설물을 바로 입으로 토해낸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영상으로 수리부엉이가 실제로 토해낸 펠릿을 볼 수 있어 신기했습니다. (유특-박승민)

  • @김유진-l9z1j
    @김유진-l9z1j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화호에 많은 텃새와 철새가 온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생명-김유진)

  • @안소민-c2z
    @안소민-c2z Рік тому +3

    탐조에 참여하신 분들이 모두 즐거워 보이고 다양한 새들을 직접 볼 수 있다고 생각하니 저도 가보고 싶어졌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우리나라의 많은 새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펠릿도 신기했고 번식기에 따라 깃의 색이 변하는 새가 있다는 것도 신기했습니다. (유특-안소민)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Рік тому

      11월 22일 '시화호 탐조'행사가 있습니다. 관심 있으면 메일 주세요..

  • @용띔
    @용띔 4 роки тому +4

    그리고 백조는 일본어고, 고니가 우리나라 말인건가요? 아니면 백조라는 종이 또 따로 있나요?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4

      고니가 우리나라 말이고, 별도의 '백조'라는 종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Bio-MicroDocumentary
    @Bio-MicroDocumentary  4 роки тому +9

    시화호 큰고니는 아니지만, 비슷한 경로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news.v.daum.net/v/20201124095601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