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4
- 606 762
정용식의 사찰 기행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13 гру 2020
▷여행심리 회복을 위한 ‘생활밀착형’ 여행 콘텐츠
코로나19로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 감성여행을 통하여 일상의 ‘쉼’을 느끼게 해주는
본격 감성힐링 여행이야기
임금이 벼슬 내렸다는 '이 나무'…속리산의 '보물 창고' l 보은 법주사 l Temples of Korea
법주사(法住寺)는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 5교구 본사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명찰입니다.
이 곳에 절을 지은 후 절 이름을 인도에서 가져온 경전 즉, ' 부처님의 법이 머물렀다'는 뜻에서 법주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법주사에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유일한 목탑인 국보 제55호 팔상전(八相澱)이 있습니다.
팔상전(八相澱)은 임진왜란 때 불탔으나 인조 때 벽암스님이 주도하여 다시 지은것으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탑 중 유일하게 근대 이전에 지어진 5층 목탑입니다.
건평 170평의 상당히 거대한 대웅보전(보물)은 흔지 않은 중충(2층)건물로 마곡사 대웅보전,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불전으로 뽑기도 합니다.
법주사는 높이 33m인 동양 최대의 거불이라는 '금동미륵대불'이 절 전체를 환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법주사에서 세조가 심신을 달래고 병을 치료하기 위해 갔다는 '복천암'이 있습니다
#templestay #템플스테이 #사찰 #속리산 #법주사
이 곳에 절을 지은 후 절 이름을 인도에서 가져온 경전 즉, ' 부처님의 법이 머물렀다'는 뜻에서 법주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법주사에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유일한 목탑인 국보 제55호 팔상전(八相澱)이 있습니다.
팔상전(八相澱)은 임진왜란 때 불탔으나 인조 때 벽암스님이 주도하여 다시 지은것으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탑 중 유일하게 근대 이전에 지어진 5층 목탑입니다.
건평 170평의 상당히 거대한 대웅보전(보물)은 흔지 않은 중충(2층)건물로 마곡사 대웅보전,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불전으로 뽑기도 합니다.
법주사는 높이 33m인 동양 최대의 거불이라는 '금동미륵대불'이 절 전체를 환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법주사에서 세조가 심신을 달래고 병을 치료하기 위해 갔다는 '복천암'이 있습니다
#templestay #템플스테이 #사찰 #속리산 #법주사
Переглядів: 4 884
Відео
'불교의 창시자' 부처님이 태어난 이 곳 l 인도 성지순례기 6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14 днів тому
부처는 고대 인도·네팔 지역(히말라야 동부) 부족 중 하나인 석가족 출신으로, 본명은 '고타마 싯타르타'입니다. 부처는 석가족 정반왕과 인접 콜리야족 마야부인 사이에서 첫째 왕자로 룸비니에서 태어났습니다. 네팔에 위치한 룸비니동산은 마야데비 사원, 아기 부처를 목욕시킨 싯다르타 연못, 무우수 나무 등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부처는 인도 쿠시나가르 사라나무 숲에서 열반에 듭니다. 부처가 열반한 곳에는 사라나무가 동서남북에 두 그루씩 서 있었다고 해 사라쌍수라고 부릅니다. 쿠시나가르에는 부처 열반당이 있습니다. 부처의 열반 당시 누워있던 모습을 형상화한 열반상을 모신 곳입니다. 열반지 인근에 부처의 다비장(불교식 화장터)이 있고, 다비장에는 원형 위에 원형이 올려져 있는 모양의 ‘라마바르 탑’이 세워져 있...
미륵성지의 고요한 눈꽃 겨울 풍경 l 고창 선운사 l Temple of Korea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21 день тому
전북 고창군 선운사는 백제의 검단 스님이 577년에 창건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대웅보전, 만세루, 도솔암 마애불 등이 국가 보물로 지정돼 있습니다. 선운사는 지장보살 신앙의 성지로 꼽힙니다. 지장보궁과 도솔암, 참당암에 지장보살상이 있습니다. 특히 참당암 지장보살상은 금동이나 목조와 달리 희귀한 석조로, 연구자료로 가치가 높습니다. 높이 15.7m 도솔암 마애불 복장에는 비밀스러운 기록이 있는데, 이 예언서가 알려지는 날 "조선이 망한다"는 속설이 전해집니다. 선운사는 동백꽃으로 유명합니다. 대웅전을 둘러싼 3000여 그루의 동백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습니다. 600살 나이의 반송인 장사송, 국내 최대 크기의 송악도 천연기념물 입니다. 선운사 송악은 높이 15m, 줄기 둘레 0.8m로, 수백 년 ...
"1600년 전 설립됐다" 불교 최초의 대학은 바로 여기 l 인도 성지순례기 5
Переглядів 23 тис.28 днів тому
인도 비하르 주에 위치한 ‘라지기르’는 부처 당시 16대국 중 최강국이었던 ‘마가다국’의 수도였습니다. 마가다국 ‘빔비사라왕’은 부처의 가르침 속에 부처와 교단을 깊이 숭상해 부처의 가장 우호적인 왕이었습니다. 빔비사라왕의 초청을 받은 부처는 1250여명의 제자를 거느리고 이 지역에 왔고, 국왕은 죽림정사를 지어 부처에게 기증했습니다. 이는 불교 최초의 사원입니다. 라지기르 영축산(영취산) 정상엔 ‘여래향실’ 법단이 있습니다. 부처는 이곳에서 ‘법화경’과 ‘무량수경’을 설법했다고 전해집니다. 법화경은 모든 중생이 바른 도리를 실천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놓은 경전입니다. 부처 이후 900여년이 지난 5세기경 굽타왕조 때에는 이 지역에 최초의 불교대학이 세워져 포교의 중심지 역할을 했...
이성계 소원 들어준 국내 최고의 기도처인 이 곳 I 남해 보리암 I Temples of Korea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일출 명소 중 한 곳이 남해군 '보리암'입니다. 금산 남쪽 해발고도 681m 절벽 위에 자리한 암자입니다. 보리암이 깃들어 있는 금산은 남해의 소금강으로 불릴 만큼 빼어난 경관을 자랑합니다. 보리암은 신라 신문왕 3년(683년) 원효대사가 보광사로 창건했습니다. 이후 1660년에 현종이 왕실의 원당으로 삼고 보리암(菩提庵)이라 개칭했습니다. 보리암으로 가는 관문인 쌍홍문(雙虹門)은 암벽에 커다란 구멍 두 개가 있어 '해골'처럼 보입니다. 쌍홍문 안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풍광이 일품입니다. 남해 호구산 자락에 위치한 용문사는 호국사찰로 이름 높습니다. 땅을 파다가 발굴된 높이 약 81㎝의 고려 초기 석불이 유명합니다. #templestay #템플스테이 #사찰 #남해 #보리암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이곳…불교의 출발점을 가다 l 인도 성지순례기 4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인도 부다가야 마하보디 대사원은 불교 최대의 성지입니다. 바닥 면 한 변이 45m인 정사각형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태입니다. 대사원 내 1층 법당에는 많은 참배객들이 찾는 석가모니불이 있습니다. 대사원은 기원전 3세기 아소카 대왕이 건립했고, 기원후 5세기 굽타 왕조 때 증축하고 현재의 모습을 갖췄습니다. 보리수 나무는 마하보디 대탑 건물 뒤편에 있습니다. 보리수 아래는 황금색 금강보좌가 만들어져 있는데, 아소카 대왕이 석재로 만든 것입니다. 이곳의 보리수는 깨달음의 나무라고 해 ‘대보리수’라 합니다. 부처는 보리수 아래에서 갈대와 비슷한 ‘꾸사’(길상초)라는 풀을 깔고 앉아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그 깨달음은 '모든 것은 상호 연관돼 있다'라는 불교의 연기법입니다. #templesta...
"잘생긴 부처를 만날 수 있는 이곳"…부처의 첫 설법지 ‘녹야원’ l 인도 성지순례기 3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바라나시 인근 ‘사르나트’엔 불교 4대 성지 중 한 곳인 ‘녹야원’이 있습니다. 부처가 깨달음 이후 최초로 5명의 제자에게 설법했던 곳입니다. 녹야원의 상징인 ‘다메크 대탑’은 부처가 두 번째 설법한 장소에 세워진 탑입니다. 둥글고 넓은 컵을 이중으로 엎어 놓은 듯한 대탑 외벽에는 불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8개의 감실이 있습니다. 사르나트 박물관엔 인도 국장(國章) 문양으로 사용되는 4사자상과 부처의 설법하는 모습을 조각한 ‘초전법륜상’이 있습니다. 초전법륜상은 세계에서 가장 잘생긴 부처로 유명합니다. 코가 약간 훼손돼 있지만 잘생긴 소년의 얼굴모습이 뚜렷해 따뜻하며 다정해 보입니다. #templestay #india #템플스테이 #사찰 #인도
"전세계 유일한 이것" 델리에 모셔진 부처님 진신사리ㅣ인도 성지순례기 2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델리는 16세기 무굴제국의 수도였습니다. 지금은 인도의 수도이자 세계 최대도시가 됐습니다. 델리 국립 박물관에는 인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있습니다. 진신사리는 1898년 고대 카필라바스투(가필라성) 발굴 과정에서 작은 사리 용기와 함께 발견됐습니다. 델리에는 이슬람 문화와 건축물의 상징인 72m 높이의 5층탑 ‘꾸뜹 미나르’와 세계 최대의 힌두교사원 ‘악샤르담 사원’이 있습니다. 1986년에 만들어진 바하이교 사원 '연꽃 사원'은 죽기 전에 봐야할 건축물 중 하나로 유명합니다. 인도의 정신적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의 추모공원은 세계 각국의 정상들이 필히 방문해 간디 정신을 기리며 헌화하는 곳입니다. #templestay #india #템플스테이 #사찰 #인도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곳" 불교발상지 인도를 가다ㅣ인도 성지순례기 1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곳" 불교발상지 인도를 가다ㅣ인도 성지순례기 1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돌다리가 있는 곳 | 순천 선암사 | Temples of Korea | #49
Переглядів 38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돌다리가 있는 곳 | 순천 선암사 | Temples of Korea | #49
자연의 보물 : 사찰의 역사와 전통을 느끼는 명소 | 양평 용문사 | Temples of Korea | #48
Переглядів 7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자연의 보물 : 사찰의 역사와 전통을 느끼는 명소 | 양평 용문사 | Temples of Korea | #48
가을 풍경 속 고풍스러운 대흥사: 자연과의 조화 | 해남 대흥사 | Temples of Korea | #47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가을 풍경 속 고풍스러운 대흥사: 자연과의 조화 | 해남 대흥사 | Temples of Korea | #47
푸른 산자락에 안긴 고즈넉한 마곡사, 자연이 빚어낸 조화 | 공주 마곡사 | Temples of Korea | #46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푸른 산자락에 안긴 고즈넉한 마곡사, 자연이 빚어낸 조화 | 공주 마곡사 | Temples of Korea | #46
만어석과 소원돌: 신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물고기신앙 체험 | 밀양 만어사 | Temples of Korea | #45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만어석과 소원돌: 신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물고기신앙 체험 | 밀양 만어사 | Temples of Korea | #45
자연과 어우러진 사찰, 평온을 찾아서 | 청도 운문사 | 북대암 | Temples of Korea | #44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자연과 어우러진 사찰, 평온을 찾아서 | 청도 운문사 | 북대암 | Temples of Korea | #44
숲 속의 천년고찰 : 고요한 휴식의 시간 | 완주 송광사 | Temples of Korea | #43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숲 속의 천년고찰 : 고요한 휴식의 시간 | 완주 송광사 | Temples of Korea | #43
천년고찰이 품은 보물의 가치와 의미 | 부여 무량사 | Temples of Korea | #42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천년고찰이 품은 보물의 가치와 의미 | 부여 무량사 | Temples of Korea | #42
꼭 가봐야 할 지리산 '단풍 명소' 구례 연곡사 | 지리산 피아골 | Temples of Korea | #41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꼭 가봐야 할 지리산 '단풍 명소' 구례 연곡사 | 지리산 피아골 | Temples of Korea | #41
한반도 불교 역사의 시작점, 최초의 사찰 | 강화도 전등사 | Temples of Korea | #40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한반도 불교 역사의 시작점, 최초의 사찰 | 강화도 전등사 | Temples of Korea | #40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천년의 역사를 따라 걷다 | 법보종찰, 대적광전 | Temples of Korea | #39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천년의 역사를 따라 걷다 | 법보종찰, 대적광전 | Temples of Korea | #39
천년고찰 법천사, 무안군 보물 1호 목우암 가는 길 | 무안 회산 백련지, 초의선사 탄생지 | Temples of Korea | #38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천년고찰 법천사, 무안군 보물 1호 목우암 가는 길 | 무안 회산 백련지, 초의선사 탄생지 | Temples of Korea | #38
1,400년 된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100여 점의 문화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양산 통도사 가는 길 | 산지 승원, 성파 대종사 | Temples of Korea | #37
Переглядів 3436 місяців тому
1,400년 된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100여 점의 문화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양산 통도사 가는 길 | 산지 승원, 성파 대종사 | Temples of Korea | #37
병을 치료해 주는 부부 약사불의 효능, 팔공산 불굴사 가는 길 | 팔공산 갓바위와 불굴사의 약사여래불 | 김유신과 원효의 홍주암 | Temples of Korea | #36
Переглядів 7056 місяців тому
병을 치료해 주는 부부 약사불의 효능, 팔공산 불굴사 가는 길 | 팔공산 갓바위와 불굴사의 약사여래불 | 김유신과 원효의 홍주암 | Temples of Korea | #36
남한강가에서 음미해 보는 나옹선사의 청산가와 방생의 의미, 여주 신륵사 가는 길 | 강월헌, 나옹선사의 입적지, 방생 법회 | Temples of Korea | #35
Переглядів 5116 місяців тому
남한강가에서 음미해 보는 나옹선사의 청산가와 방생의 의미, 여주 신륵사 가는 길 | 강월헌, 나옹선사의 입적지, 방생 법회 | Temples of Korea | #35
변산반도의 경관 미와 전통불교 예술미로 극락에 이르게 하는 곳, 능가산 내소사 가는 길 | 국내 3대 전나무 숲, 변산8경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4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변산반도의 경관 미와 전통불교 예술미로 극락에 이르게 하는 곳, 능가산 내소사 가는 길 | 국내 3대 전나무 숲, 변산8경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4
평창 오대산에서 만난 반야 지혜 '문수보살', 문수성지 상원사 가는 길 |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 | 대한민국 5대 적멸보궁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3
Переглядів 3017 місяців тому
평창 오대산에서 만난 반야 지혜 '문수보살', 문수성지 상원사 가는 길 |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 | 대한민국 5대 적멸보궁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3
경주 남산 최다 문화재 보유 구간, 삼릉 역사문화탐방로 그리고 천룡사지 | '즉문즉설' 법륜스님과 동행한 경주 남산 2편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2
Переглядів 3787 місяців тому
경주 남산 최다 문화재 보유 구간, 삼릉 역사문화탐방로 그리고 천룡사지 | '즉문즉설' 법륜스님과 동행한 경주 남산 2편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2
석가모니 부처의 진신사리와 함께 온갖 번뇌와 망상이 사라지는 곳, '5대 적멸보궁' 영월 법흥사와 요선정 가는 길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1
Переглядів 7917 місяців тому
석가모니 부처의 진신사리와 함께 온 번뇌와 망상이 사라지는 곳, '5대 적멸보궁' 영월 법흥사와 요선정 가는 길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1
현충일 특집 여거스님 인터뷰 | 뉴진스님을 필두로 청년포교에 힘쓰는 불교계와 여거스님, 대구 공군 법당 성무일승사 가는 길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0
Переглядів 3848 місяців тому
현충일 특집 여거스님 인터뷰 | 뉴진스님을 필두로 청년포교에 힘쓰는 불교계와 여거스님, 대구 공군 법당 성무일승사 가는 길 | 정용식의 사찰 여행 100선 | 감성여행쉼 | #30
멋지네요 :>
아래와 같이 자막 정정합니다. 1분 27초 : 전법들 -> 전범들 3분 23초: 쌍사자석 -> 쌍사자석등
...___((( )))___...
Chào bạn cảm ơn bạn đã chia sẻ video Rất Cảm Xúc SUBSRiSE Nhạc nền nghe nhẹ nhàng chúc bạn nhiều sức Khỏe ❤🎉🎉
Chúc mừng năm mới...Nam Mô A Dì Đa Phật..._()_...
❤❤❤❤❤
찰영해주시어서감사하고고맏습닏ㅏ❤😂
좋아요☺️..
❤❤❤❤🎉🎉🎉🎉😊😊😊
자세한 장육사 모습 소개해주심에 감사드리며 명절때마다 가족 템플스테이 가는데 이번 설에는 장육사에 신청을 했습니다. 덕분에 장육사를 참배한 듯 설레입니다._()_
😂 younger time
날씨가 추워 많이 힘드셨을텐데, 감사합니다.
즐감합니다 구독하고 응원합니다
🎉🎉😮😮😮😮😮😮😮😮😅😅😊😅😅😅😊😅😅
❤
남해에 가면 꼭 들러봐야 겠군요
정말 절경이네요~~ 여긴 꼭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 TOPCER ❤❤❤👍👍👍🇮🇩🇮🇩🇮🇩
인도 성지순례기 시리즈 다음편 기대됩니다
🎉🎉🎉...___((( )))___...🎉🎉🎉
스리랑카에도 부처님 진신사리가 봉안돼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감사합니다
순천 선암사 구경하러 왔습니다. 자세한 욧점 설명과 함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친구로 받아주시길 원합니다.^^🙏🙏🙏
델리에 부처님 사리가 있다는걸 처음 알았네요
불교 발상지는 네팔 아닌가요?
죽기전에 한번은 꼭 가고 싶은 곳입니다. 근데 당장 가고싶은 곳은 아닙니다
금주에 쌍계사 방문을 앞두고 정선생님의 사찰기행을 통해 쌍계사에 관한 유익한 사전학습하게 되어 감사를 드립니다.
Amoni
예전에 시진핑이 언급한 화개동이 있는 곳이죠
계곡 돌다리는 달력 배경으로 많이 본거 같아요. 순천에 이렇게 아름다운 절이 있다니 놀랍네요
대흥사 저역시 5번 정도 여행 했네요 듀륜산 자락에 사찰 정말 아름답습니다 대흥사 교구장 주지 법상스님도 인자하시고 웃는모습이 국보 마에불 닮아 더군요 대흥사에 가서 주지법상스님과 녹차한잔 할때가 정경감이 생각나네요 ~~~♡♡♡
😂
저도 지난주 다녀왔습니다 !!!^^ 통했습니다 !!
서울에서 무척 가까운 곳임에도 은행나무는 물론이고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죠
산의 능선이 영락없이 누워있는 부처의 모습이네요
댓글을 달 수가 없습니다 올릴수 있게 해 주시고 대흥사 까지 먼길을 가셨으니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미향사 절 도 한번가 보세요 더 오래된 고찰 이며 이곳에도 서산 대사님의 유물이 있습니다 또 다른 모습과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실수 있을 것입니다.
대흥사 듀륜산 기슮에 감쌰여 멋진 사찰 대흥사 좋은곳이죠 대흥사에 가면 뭐니뭐니 해도 대흥사 교구장 주지스님을 뵙고 오셔야 의미가 있죠 주지스님 웃는 모습이 국보 북미륵암과 비슷합니다 관샘보살 🎉❤🎉🎉
이렇게 보니 되게 반갑습니다^^
운문사 방문 예정이라 참고로 찾아봤습니다 북대암 절경에 매료되어서 이곳도 꼭 함께 가보아야겟네요 감사합니다
군왕대 기 받으실때 ㅡ ^^ 기압소리인상적이셔서 너무 궁금해졌어요 ㅡ 김구선생님 기념식수, 삭발바위도 꼭 한번 보고 싶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매월당 김시습의 흔적이 남은 마곡사 영산전을 다녀 오셨네요. 마곡사는 조계종의 교구 본사이기도 한 크고 유서깊은, 멋진 사찰입니다. 국가지정 문화재도 많은 사찰이지요. 제가 첫 댓글의 영광을 안게 되어 기쁘네요.
청도 호거산 운문사! 정말 크고 멋진 비구니 사찰이 지요. 제가 108산사 탐방을 처음 시작한 것이 2014년인데 아마 열 번째 이내로 방문했던 사찰인 것 같습니다. 다시 가보고 싶은 곳입니다.
운문산 참 절경이네요
완주에도 송광사가 있었군요
자세한 설명 참으로 유익합니다~
Chào bạn buổi chiều vui vẻ nhé bạn video bạn chia sẻ thác nước đẹp quá bạn ơi giao lưu đồng hành cùng nhau phát triển nhé bạn chờ đợi bạn ❤like 🎉❤❤❤
서울의 계곡하고는 비교가 안되네요~ 시원한 의상도 잘어울리시고 계곡물도~~ 보기만해도 시원해보입니다!! 지리산 성중종주 할때 피아골 삼거리를 지났었는데~다음에 기회되면 꼭 가보고 싶어요~
계곡이 참 맑고 시원해 보이네요
경치가 아름다운 곳입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매월 셋째 토요일 장육사를 찾으시는분들께 무료로 국수 점심공양드립니다
15년 전에 원주실에 7일 묵었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때 대비로전이 건설 중이었고, 성철 스님 백련암, 철야기도 등이 생각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