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셰프 서유구와 빙허각
조선셰프 서유구와 빙허각
  • 102
  • 48 409

Відео

학자로서의 서유구
Переглядів 2612 роки тому
학자로서의 서유구
생산자로서의 서유구
Переглядів 2952 роки тому
생산자로서의 서유구
문화인으로서의 서유구
Переглядів 1492 роки тому
문화인으로서의 서유구
생활인으로서의 서유구
Переглядів 1182 роки тому
생활인으로서의 서유구
제4회 UCC 공모전 [대상] 조선셰프 서유구의 토란떡과 봉수탕
Переглядів 415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토란떡(토지병) 만들기-토지병방 [土芝餠方] 봉수탕(잣호두탕) 만들기-봉수탕방[鳳髓湯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최우수상] "얘야, 우리나라에도 쿠키 만큼이나 맛있는 과자가 있단다“
Переглядів 227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약과 만들기-약과방[藥果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최우수상] 사슴고기 살라미 : 내가 조선의 샤퀴테리이니라
Переглядів 270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육포 만드는 전반적인 방법-육포총방[肉脯總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최우수상] 약이 되는 전통 다과상 ⌜강죽차와 당소모과⌟
Переглядів 319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강죽차(생강죽력차) 만들기-강죽차방[薑竹茶方] 당소모과(차조기·모과설탕절임) 만들기-당소모과방[糖蘇、木瓜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오뚜기상] 조선셰프의 레시피를 응용한 쁘띠 디저트, 풍석추향: Petit dessert based on Korean traditional recipe
Переглядів 159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및 현대화 백윤(백밀떡)[白閏], 황윤(황밀떡)[黃閏]을 활용한 쿠키 만들기 밀전강(생강꿀조림) 만들기-밀전강방[蜜煎薑方] 밀전리(배꿀조림) 만들기-밀전리방[蜜煎梨方] 생강아이스크림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오뚜기상] 상자병방(도토리떡)
Переглядів 3,6 тис.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도토리떡(상자병) 만들기-상자병방[橡子餠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오뚜기상] 건구절판과 이화주
Переглядів 645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이화주 빚기-이화주방[梨花酒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오뚜기상] '#밀전리방' 배 구슬 품은 보양 디저트
Переглядів 140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밀전리(배꿀조림) 만들기-밀전리방[蜜煎梨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푸디스트상] 향으로 한 번, 맛으로 두 번 즐기는 유자차와 밀전강
Переглядів 165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밀전강(생강꿀조림) 만들기-밀전강방[蜜煎薑方]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푸디스트상] 조선셰프 서유구의 김치 이야기(루꼴라김치,김치피자,호유제방)
Переглядів 1002 роки тому
《임원경제지》 〈정조지〉 속의 전통음식 레시피 복원 - 호유제(절임고수) 만들기-호유제방[胡荽虀方] 《조선셰프 서유구의 김치이야기》의 현대화편 참고 - 루꼴라김치, 김치피자 본 영상은 조선셰프 서유구 한식 UCC 공모전 수상작입니다.
제4회 UCC 공모전 [푸디스트상] 사과조림떡
Переглядів 1142 роки тому
제4회 UCC 공모전 [푸디스트상] 사과조림떡
제4회 UCC 공모전[푸디스트상] 초계냉파스타와 오미자하이볼
Переглядів 1162 роки тому
제4회 UCC 공모전[푸디스트상] 초계냉파스타와 오미자하이볼
제4회 UCC 공모전 [인기상] 장포법과 육포 고추장
Переглядів 1372 роки тому
제4회 UCC 공모전 [인기상] 장포법과 육포 고추장
제4회 UCC 공모전 [인기상] 창면(녹두국수)
Переглядів 3112 роки тому
제4회 UCC 공모전 [인기상] 창면(녹두국수)
서유구의 유예지 방중악보 연주
Переглядів 2673 роки тому
서유구의 유예지 방중악보 연주
AI 노년 서유구 도슨트, "조선관찰사 베토벤을 초대하다 전시"
Переглядів 3043 роки тому
AI 노년 서유구 도슨트, "조선관찰사 베토벤을 초대하다 전시"
AI 20대 청년 서유구 도슨트, "조선관찰사 베토벤을 초대하다 전시"
Переглядів 2363 роки тому
AI 20대 청년 서유구 도슨트, "조선관찰사 베토벤을 초대하다 전시"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저피병
Переглядів 545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저피병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봉수탕(잣호두탕 )
Переглядів 192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봉수탕(잣호두탕 )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과사두
Переглядів 220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과사두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과사두
Переглядів 125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전북일보상] 과사두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 조선셰프서유구의 술이야기 일일주편
Переглядів 164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 조선셰프서유구의 술이야기 일일주편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 돈설 샤퀴테리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 돈설 샤퀴테리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고구마 막걸리 만들어 드세요, 다만
Переглядів 4,3 тис.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고구마 막걸리 만들어 드세요, 다만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 내복병과 강귤차
Переглядів 1503 роки тому
제3회 UCC 공모전 [우석대학교상] 내복병과 강귤차

КОМЕНТАРІ

  • @정도현-y7x
    @정도현-y7x Місяць тому

    이거 레시피는 없ㅇ나요?

  • @mkim8860
    @mkim8860 4 місяці тому

    박시현 님 완전 아름다우십니다..

  • @BUZZ-hu6xz
    @BUZZ-hu6xz 7 місяців тому

    살루메리아 베이컨이랑 소시지 맛있습니다.

  • @K7qwer
    @K7qwer Рік тому

    많이 만들어놓으면~유효기간지나 남은 막걸리가 쉬지않나요?보관법 아려주세요 .냉장고에서 일주일 지나면 맛변질??

  • @묵찌빠-g4b
    @묵찌빠-g4b Рік тому

    습식 쌀가루 사용과 불조절을 잘해서 뜸을 들여야 한다는 상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서유구 선생님 요리방식은 건강식으로 더없이 좋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영상을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복원 해 주셔서 정말 감사 합니다. ^_^

  • @얼음꽃-t2o
    @얼음꽃-t2o Рік тому

    도토리떡중에 제일 맛있는떡이네

  • @꽃찾았다
    @꽃찾았다 Рік тому

    님 따라서 한 번 해보려고 합니다~ 근데 몇 일을 둬야 하나요?

  • @완식방
    @완식방 Рік тому

    시큼한 맛이 난다면 실패한 것이고 새콤한 맛이 난다면 성공한 것입니다.

  • @sangkwonhyun9254
    @sangkwonhyun9254 Рік тому

    서유구선생의 애민정신과 그 치열한 실천에 깊이 감동합니다.

  • @Choi_ssi_
    @Choi_ssi_ Рік тому

    왜 안먹어봄

  • @henrypark1634
    @henrypark1634 Рік тому

    서유구 정신이란 삼성, 엘지임. 임원경제지를 열심히 보라는 뜻이 아니라 그런 세계적기업을 세워서 국민의 복지에 힘써라고함. 풍석 서유구의 뜻을 헤아려 누가 국가발전을 위하는지 또 저해하는지 국민들이 판단해야함.

  • @henrypark1634
    @henrypark1634 Рік тому

    ♡♡♡

  • @재권서
    @재권서 Рік тому

    서유구 집안은 엄밀히 말해 대구 서씨입니다. 달성 서씨에서 대구 서씨가 분리되었는데요. 그 이유는 본래 달성 서씨였지만 한양에서 벼슬을 사는 경화사족 서씨들이 대구 달성의 토호 서씨들과 구분 짓기 위함이었습니다. 이 기원은 선조 대의 문신 서성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입니다만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달성 서씨와 대구 서씨의 구분을 잘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hmjeon8609
    @hmjeon8609 Рік тому

    정말 뛰어난 학자 겉은데 왜 이름이 덜 알려졌을까.. 제자를 많이 키우지 않았었나..

  • @묵찌빠-g4b
    @묵찌빠-g4b Рік тому

    재현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늘 좋은 일로 가득하시길 기원 드립니다. ^^

  • @묵찌빠-g4b
    @묵찌빠-g4b Рік тому

    실천하는 학자이자 본인의 안위와 명예보다는 진정 민생을 위했던 서유구 선생님... 정말 고맙습니다.

  • @mtopki1008
    @mtopki1008 Рік тому

    영상미가 다큐멘터리 급입니다

  • @집밥요리사
    @집밥요리사 Рік тому

    너무 좋은 영상 이네요 너무 잘봤습니다

  • @베짱이스프링
    @베짱이스프링 Рік тому

    채널운영 반갑습니다.^^

  • @달성서
    @달성서 Рік тому

    언젠가 역사가 인정 할 날이 오겠죠 ~달성서가로써 뿌듯 하네요~

    • @hmjeon8609
      @hmjeon8609 Рік тому

      달성 서씨면 대구 출신이네...

  • @heinlee7816
    @heinlee7816 Рік тому

    강원도의 향토떡 도행병을 찾다가 여기서 보네요.

  • @TV-jm7cf
    @TV-jm7cf Рік тому

    대구 서씨 대표적 인물은 세종에서 성종에 이르는 6대 왕조에서 6조(六曹)의 판서와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학자로도 유명한 서거정(徐居正)이다. 그의 종현손인 약봉(徐藥峰) 서성(徐渻)은 선조 때 5도의 관찰사와 호조·형조·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인(西人)이 주동한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고비로 약봉의 일가는 전성기를 맞았다.약봉의 네 아들 서경우(徐景雨)·서경수(徐景需)·서경빈(徐景霦)·서경주(徐景霌) 가운데 경우는 우의정에 오르고, 경주는 선조의 부마가 되었다. 4형제 중에서도 둘째 경수와 넷째 경주의 집이 특히 번성하여 경수의 현손 서종제(徐宗悌)의 딸이 영조비가 되고, 종제의 현손 서용보(徐龍輔)가 영의정에 올랐으며, 경주의 집에서 영의정 6명과 좌의정 1명, 대제학 5명이 나왔다.특히 서종태(徐宗泰)·서명균(徐命均)·서지수(徐志修)의 3대 상신(三代相臣)과 서유신(徐有臣)·서영보(徐榮輔)·서기순(徐箕淳)의 3대 대제학(三代大提學)이 유명하고, 또 서명응(徐命膺:大提學)·서호수(徐浩修:直提學)·서유구(徐有榘:吏判)의 3대는 다같이 문명(文名)이 높았다. 이처럼 이른바 '약봉가(藥峯家)'이라 부르는 서성의 가계는 선조에서 고종에 이르는 약 300년간 정계에서 주요 역할을 하였다.이밖에 한말의 개화파인 서광범(徐光範)과 서재필(徐載弼) 등을 배출하였다.

  • @silverline996
    @silverline996 Рік тому

    덕분에 도전해봤습니다!

  • @이현정-g4h
    @이현정-g4h Рік тому

    0:29 재료

  • @이정현-r7b
    @이정현-r7b 2 роки тому

    200년전의 소리를 다시 그대로 재현하다니 놀랍고 우리 민족에대한 경외감이 듭니다

  • @seo5337
    @seo5337 2 роки тому

    역시 집안 이 중요 하군요~오블레스 오블레즈~ 실천 하신 분~~~

  • @je-qh5ly
    @je-qh5ly 2 роки тому

    왜 저런것을 사용하게 됐는지 설명도 있으면 좋을텐데 이게 몽골군이 여몽전쟁때 음식 먹을때 투구에 해먹던게 우리 한테도 전해진것 조선시대는 밥을 군사들에게 안해줬음 민가에 가서 얻어먹고 오던지 해먹어야 됐었는데 솥이 없으니 투구에 밥을 해먹게 된것 그것이 발전한게 저것임

  • @닥치통조림
    @닥치통조림 2 роки тому

    맛에 대한설명도있으면ㅜㅜ

  • @youngk3429
    @youngk3429 2 роки тому

    목소리가 좋으셔서 귀에 더 쏙쏙 들어오네요

  • @닥치통조림
    @닥치통조림 2 роки тому

    고문헌과 음식 유투브라니 좋네요ㅋㅋ

  • @닥치통조림
    @닥치통조림 2 роки тому

    오오 구독하고갑니다

  • @Puppy-Art77
    @Puppy-Art77 2 роки тому

    좋은 하루 되세요^^

  • @Puppy-Art77
    @Puppy-Art77 2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samkim750
    @samkim750 2 роки тому

    정조지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전립투는 매우 매력적이라 해보고 싶은데요. 전립투는 별도로 제작 주문하신건지요?

  • @김유신-f8u
    @김유신-f8u 2 роки тому

    맛있겠다^^

  • @youngk3429
    @youngk3429 2 роки тому

    전통을 슬기롭게 계승하시는 모습이 존경스럽습니다.

  • @arnakiel2
    @arnakiel2 2 роки тому

    이떡은 쪄서 못먹습니다 절대부드럽게 안됩니다 여물어서

  • @arnakiel2
    @arnakiel2 2 роки тому

    마른가루는물줘서 멏시간 반나절이상 실온에두어야됩니다 여름 엔 냉장고에 아니면 떡이 단단해서 못먹어요

  • @youngk3429
    @youngk3429 2 роки тому

    전통을 복원하시고 이를 영상으로 기록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상희-g2m
    @이상희-g2m 2 роки тому

    지금 우리가 먹는 약과랑은 맛이 다를거 같네요

  • @dongsukim9178
    @dongsukim9178 2 роки тому

    잘보고있습니다

  • @Babara-k4d
    @Babara-k4d 2 роки тому

    잘보고갑니다 문신은 좀 거시기합니다 신체발부는 수지부모라 했거늘 나약한 인간들의 심리 쎈척하기위함 이라는데 ᆢ

  • @Tomahawk95
    @Tomahawk95 2 роки тому

    가스불에도 쓸수있나요

  • @이이이-h8q
    @이이이-h8q 2 роки тому

    진짜 약과네요~ 꿀이 한되나 들어가고 참기름도 많이 들어가니^^ ~~

  • @kim0307b
    @kim0307b 2 роки тому

    와...박수가 절로나옵니다

  • @이상희-m8q
    @이상희-m8q 2 роки тому

    모과를 이용한 다과라니 특이하네요 환을 다식판에 박아 다식처럼 먹어도 좋을거 같아요 😁😁

  • @frombc7197
    @frombc7197 3 роки тому

    오미자 국물에 말아먹는 국수라니 신기하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 @sunghyonmin6563
    @sunghyonmin6563 3 роки тому

    꿀을 끓이면 해로운 물질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아닌가요?

  • @이이이-h8q
    @이이이-h8q 3 роки тому

    귀한 젓갈이라고 자하젓을 받았는데, 제가 받은 자하젓은 그냥 자하만으로 담근 젓이거든요. 나중에 오이절인거랑 무절인걸 저렇게 섞어놔도 될까요?.. 그리고 자하젓은 제가 처음 먹어봤는데 감칠맛이 돌면서도 약간 새큼한 냄새가 나던데 원래 그런건가요?...

  • @김성희-y6z
    @김성희-y6z 3 роки тому

    발효는 어느곳에 보관합니까